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례적 학습이론에 대한 성인교육학적 고찰

        이병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nifest the possibilities that rituals and ritual theories developed in academia can be applied to adult education discourse and draw the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opted a hermeneutical research method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hile the early ritual theories discussed topics in folklore or religious studies and the negative functions in ritual societies were mainly focused on, the ritual theories actively developed in interdisciplinary academia pay attention to the positive aspect that rituals bring in societies. Rituals are considered important to the concept of extended culture and the implication of these rituals seems to be very important in education research, specifically in adult education research. First, rituals provide a meaningful theoretical basis for explaining informal learning that emerges in adult education discourse in that informal learning is naturally learned in rituals. Rituals also provide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for explaining transitional learning theories that have been extensively employed in adult education. Transition goes with courtesy, and transition involves changes in rituals. Even in intergenerational learning, rituals can explain important points. In other words, the generation community is a ritual community, and the rituals for each generation are slightly different. Even learning in the workplace can be well explained by rituals. The culture of the workplace ranges widely from formalized rituals to everyday rituals of interaction. 본 논문은 학제적으로 발전해 온 의례이론이 성인교육담론에서 어떠한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줄 수 있는가를 밝히는 연구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분석과 내용분석에 기초한 해석학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초기 의례이론이 민속학이나 종교학 담론에서 논의되면서 의례가 지니는 사회 속에서의 부정적 기능에 초점을 두었다면, 학제간으로 활발해진 의례이론들은 의례가 지니는 사회 속에서의 긍정적 측면에서 주목한다. 특히 의례는 확장된 문화개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의례가 지니는 함의는 교육학연구, 특히 성인교육연구에서도 향후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닐 수 있다고 보여진다. 우선 의례는 성인교육담론에서 부각되는 무형식학습을 설명하는 의미있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왜냐하면 무형식학습은 의례 속에서 자연스럽게 습득되기 때문이다. 또한 의례는 성인교육에서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있는 전환학습이론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공급한다. 전환은 의례와 맞닿아 있으며 전환은 의례의 변화를 수반한다. 세대간학습의 설명에 있어서도 의례는 중요한 지점을 형성한다. 즉세대공동체는 곧 의례공동체이기 때문에 세대마다의 의례가 조금씩 다르다. 일터학습에 있어서도 의례는 매우 중요한 설명력을 지닌다. 일터의 문화는 형식화된 의례에서부터 일상에서의 상호작용의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역 속을 움직인다.

      • KCI등재

        의례적 기능과 목회적 돌봄의 관점으로 보는 기독교 장례예식의 구성

        김형락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1

        기독교는 역사적으로 장례의례와 친숙한 종교였다. 기독교가 막 태동할 무렵부터 박해를 받아왔고 박해의 결과는 성도들의 죽음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기독교 공동체는 신앙을 지키다가 죽음을 맞이했던 순교자들을 하나님의 곁으로 보내고 그들의 신앙을 기리는 의례를 거행했으며 지금까지 그 전통이 이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비단 기독교 장례예식 뿐 아니라 타 종교와 일반 비종교적인 장례예식도 죽은 자를 살아 있는 사람이 살고 있는 현세에서 죽은 자들이 가는 곳으로 보내는 기능을 하고 있다. 물론 이 기능은 기독교가 아닌 다른 문화 전통의 장례에서도 존재한다. 이러한 기능은 의례가 갖는 기본적인 목적이고 존재의 이유이다. 그렇기에 본 논문은 의례 이론에서 기능-구조주의적 입장을 주장한 방 주네프와 터너의 이론을 통해 장례의례의 기능이 무엇이고 어떻게 기독교 장례의례에서 적용되는지를 고찰하였다. 어느 사회에서든 거행되어지는 대부분의 장례예식은 단지 죽은 이들을 이 세상에서 다른 세계로 보내는 기능만을 하지는 않는다. 장례예식은 그들의 죽음을 슬퍼하고 애통해하는 남아 있는 가족들, 친지들, 지인들을 위로하고 그들의 마음을 안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장례를 통해 유가족들이나 지인들은 그들이 사랑하는 이가 무사히 이 세상을 떠나 편하게 안식할 수 있는 장소로 갔음을 안도하며 그들과 보냈던 시간들을 회상하면서 서서히 그들의 죽음을 받아들게 된다. 그런 의례의 과정을 통해 죽은 이들과의 단절을 일상에서 인식하게 되고 더 이상 그들을 잃어버렸다는 슬픔을 극복하면서 본연히 자신의 일상으로 돌아오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장례예식은 가장 강력한 목회적 돌봄의 행위이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현재 한국 개신교회의 기독교 장례예식이 목회적 돌봄의 차원에서 유가족과 참석한 친지와 지인들에게 위로와 치유의 기능이 부족하다는 면을 주장하였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고인에 대한 기억과 내러티브 그리고 기독교적 소망이 함께 어우러진 애도 커뮤니타스를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도달한 결론은 기독교 장례예식에서 목회적 돌봄의 중요한 이슈인 ‘죽은 이에 대한 애도와 유가족을 위한 위로’에 대해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토대로 단절이 아닌 기억의 보존과 장례로 인해 새로운 관계를 위한 의미를 만드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보존을 위해서는 의미-만들기 이론을 중심으로 하는 의례를 구성하는 것이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스토리텔링이 중심이 되는 장례 의례구성과 모든 이들이 참여하고 이들이 중심이 되는 애도 커뮤니타스를 형성할 수 있는 장례예식이 되어야 한다. 특히 애도 커뮤니타스를 형성시키는 데 가장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는 기독교 초기 역사부터 행해져 왔던 장례예식에서 성찬 예전을 거행하는 것이다. 장례예식에서 기독교 성찬예전을 거행하는 것은 시간과 공간의 초월하여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나누면서 죽은 이와 살아 있는 이들이 서로 교통하는 신학적 의미가 부여되며 다 같이 참여하는 상징의례로서 애도 커뮤니타스를 형성할 수 있다. Historically, Christianity has been very familiar to the funeral rite. Christianity had been persecuted from very beginning period, and the result of the persecutions were connected to the death of the Christians. The early Christians had performed the funeral rite for the martyrs, who died to defend their faith in God, to commend their spirits to God as well as to commemorate their respectful lives. This funeral tradition has still lasted in Christian tradition, today. The funerals from the other religious traditions than the Christianity also have the function to send the spirit of the dead from this world where the living one exist to the posthumous world where the dead one sent. This function absolutely exists in every funeral rites in various traditions. This function is a basic purpose as well as the core of the funeral ritual. Therefore, in this paper, I researched what the functions of the funeral rite based on the functionalistic and structural theories of cultural studies especially focusing on thw works of Anold van Gennep and Victor Turner are, and how these theories are applied to the Christian funeral rites. Sending the spirit of the dead to posthumous world is not the only function of every funeral rites but consoling the bereaved, such as the family, relatives, and friends of the dead who suffer from the death of their lovely one, and comforting their minds are also important things in the funeral. The bereaved and related people of the dead gradually receive the fact that their precious one is dead during the funeral rite in which they recall the times with the dead, and realize the dead one move from their community to the place where he or she rests in safe. Through this ritual process, they recognize the disconnection to the dead one in their lives, though, they are able to overcome their sorrow and suffering from the loss of the dead, and return to their daily lives. The funeral rite, therefore, is the most powerful action of the pastoral care. In this research, I proposed that the funeral rites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lack the function of consoling and healing for the bereaved family and related people of the dead in light of the area of pastoral care. To overcome this weak point, Korean Christian funeral should be the “mourning-communitas,” which merges the recalling the good narratives related to the dead person as well as the eschatological expectation of all participants. Researching this topic, I have reached a conviction that the constructing the effective new meaning-making process in Christian funeral, mourning to the dead and consoling the bereaved, which are very crucial issues of pastoral care area, should aim at continuing the memory of the dead, rather than severing from the dead. For this continuation of the memory, constructing the funeral rite based on meaning-making theory in which all people are available to participate in the funeral rite to shape the mourning-communitas. Especially,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construct the mourning-communitas is performing Christian Eucharist in funeral rite, which has begun in early Christian funeral. Performing Eucharist in Christian funeral gives the crucial theological meanings that the communion with the living and the dead is possible when the participants eat and drink the body and blood of Christ, transcending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This theological event as a symbolic ritual also gives all the participants the feeling the mourning-communitas.

      • KCI등재

        일본의 불교의례 연구 동향

        김성순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0

        본 논문은 최근에까지 일본 학계에서 진행된 불교의례 관련 연구동향에 대해 알아보고, 그러한 연구가 이루어진 배경과 축적된 연구 결과물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에서는 일본의 불교의례 관련 연구동향을 크게 죽음의례와 사원의 법회의례, 그리고 의례이론 연구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서술했다. 첫 번째 죽음의례 관련 연구에서는 상장례를 포괄하는 임종행의(臨終行儀), 망혼들에 대한 천도의식인 시아귀(施餓鬼), 생전의 왕생의식인 역수(逆修)의 세 항목으로 나누어 정리했다. 첫 번째 죽음과 천도 관련 의례에서는 기존의 장례불교가 사회의 변화로 인해 서서히 도전에 부딪치게 되면서 관련 의례연구 역시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는 현상을 보여준다. 두 번째 사원의 법회의례에서는 불교의례가 세속화되면서 민간사회에까지 확장되는 현상인 불교민속, 법회에서 행해지는 불교음악의 연주와 성명(聲明; 범패), 각 종단별 사원제도와 법회 등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불교민속 연구는 사원에서 특정 기일에 행해지는 법회나, 수행의례 등이 민간사회로까지 확장·수용되면서 점차 세속화되는 현상을 반영하고 있다. 세 번째, 의례이론 연구에서는 불교의례에 관한 역사학적/사회학적/문화인류학적 연구들을 비롯하여, 의례연구의 방법론을 구축하기 위해 시도하는 연구들을 찾아보았다. 이러한 일본불교 의례연구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한 자료들은 한국의 불교의례 연구자들에게도 참고할만한 연구 대조군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불교 딴뜨리즘의 한 정점

        이용현(Lee Yong-Hyun) 한국인도학회 2007 印度硏究 Vol.12 No.1

        본 연구는 후기 인도불교에 있어서 딴뜨라 불교에 대한 가장 위대한 학승으로 불리는 아바야까라굽따의 삶, 저작들, 사상을 소개하며, 그가 대표하는 ‘마음의 의례’를 살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바야까라굽따에 따르면, ‘마음의 의례’는 불교 딴뜨리즘에 있어서 궁극의 의례이다. 본고의 제 1장에서는 우선 아바야까라굽따의 저서들에 있는 간기들과 티베트의 역사서들을 참조해서 그의 삶을 재구축한다. 그런 뒤 티베트 대장경 속에 수록된 26개 저서들에 대한 간단한 개요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아바야까라굽따에게 큰 영향을 미친 중요한 딴뜨라 불교의 전통들과 함께, 그의 사상을 간단히 요약한다. 제 2장에서는 우선 그의 대표작『바즈라발리』에서 보이는 ‘마음의 의례’에 관해 고찰한다. 아바야까라굽따는 50개의 의례법 중에서 하나를 ‘마음의 의례’에 할애하고, 다른 의례법들 중에서 몇몇 구체적인 예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런 뒤『니쉬빠나요가발리』,『조띠르만자리』, 『아바야빠다띠』등에서 보이는 ‘마음의 의례’를 고찰한다. 결론은 ‘마음의 의례’가 항상 통과의례 등 만다라 의례의 문맥에서만 사용되며, ‘신성 요가’와 만뜨라가 대단히 중요하다는 것이다. Abhay?karagupta was probably the greatest ritual theorist in the later phase of Indian Buddhism, as demonstrated by his major works on Tantric Buddhism. In Tantric Buddhism, a ritual theorist was always a ritualist, but not necessarily vice versa. As a ritualist, we do not have any historical records on Abhay?karagupta’s ritual performance, but his ritual activities are sufficiently attested to by his tantric works. As a ritual theorist, Abhay?karagupta synthesized Buddhist ma??alas and ma??ala rituals of diverse Tantric traditions in the Vajr?val?, his magnum opus. In this great ma??alavidhi, he also introduces the ‘mental liturgy’ (m?nasavidhi) for which he was one of the champions. We can get an inkling of the ‘mental liturgy’ through some of Abhay?karagupta’s works, viz. the Vajr?val?, the Ni?pannayog?val?, the Jyotirmanjar?, and the Abhayapaddhati. As prescribed by Abhay?karagupta, the ‘mental liturgy,’ which is based on deity yoga (devat?yoga) and mantras, was considered to be the higher means than the external liturgy based on the ma??ala of colored powders or the ma??ala painted on a cloth. Abhay?karagupta believes that the ‘mental liturgy’ is superior to external one because it is more effective for removing impediments. Examples of the ‘mental liturgy’ in Abhay?karagupta’s works lead us to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mental liturgy’ is always applied to ma??ala rituals such as the consecration ceremony; second, it should be bestowed on only disciples of superior capacity; third, it’s basis is deity yoga by a master of ma??ala visualization; fourth, this very high level of deity yoga is only possible for a guru, who has gone beyond the dichotomy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 KCI등재

        삶의 건전성 확보를 위한 철학-의학 통합 패러다임 모색

        유권종 ( Yoo¸ Kwon Jong ) 한국공자학회 2021 공자학 Vol.45 No.-

        우리 사회는 고령사회로 진입했고 곧 초고령사회를 맞이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사가 되는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100세 인생 시대이다. 이는 질병을 다루는 의학의 발달이 큰 성과를 거두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기는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필수적인 여러 가지 요소들이 함께 뒷받침해 주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즉 경제력의 향상과 정보의 공유에 의한 의학 및 건강관련 지식, 식품 섭취와 영양보급의 상향 균질화, 운동과 체력유지, 명상 등 심신안정 방법의 보급 등등. 이렇게 건강을 유지하면서 장수 시대를 누리게 되는 것은 단지 의학 내지 의사에게만 의존해서 가능한 일이 아니다. 건강을 바탕으로 장수를 누리는 것은 의학적 지식이나 처방을 포함하여 삶의 내용들을 종합하고 조화시키는 능력의 여하에 따라 크게 좌우될 것으로 본다. 이러한 전제 하에서 본 연구는 삶의 내용들을 종합하고 조화시키는 방식에 대한 성찰과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노하우(실행적 앎)를 시스템적 생명이론과 의례이론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개진한다. 시스템적 생명이론은 프리초프 카프라가 산티아고 학파의 자기생성이론을 특히 시스템적 사고에 입각하여 규정한 것이며, 의례이론은 이마무라 신스케와 이 마무라 히토시가 제안한 『의례의 온톨로기』에 입각한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라이프스타일의 조직과 관련된 이론으로 사용한다. 아울러 의학과 관련된 내용은 일본, 미국, 유럽 등지에서 서양의 주류 의학의 맹점을 비판하면서 대안의학적 치료의 방식을 제안하고 있는 의학적 관점을 채택하고 이를 라이프스타일의 건전성 이론으로 융합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Korean society has got to Aged society and will soon get to Hyper-Aged society. Given this, one of the hottest issues should be 100-Year life era. Even this 100-Year life will be possible depending on development of medicine that highly well treats diverse diseases, at the same time it’s due to development of many other essential parts that are supporting to extend human life expectancy; improvement of economy power, wide sharing of medical and health care knowledge, upward homogenization of food intake and nutrition supply, supply of exercise and mind and body rest, etc. However it is not only depending on medicine and medical doctors to keep fit and enjoy long life. But to enjoy long life based on mind-body health should be also depending on ability of a person concerned to conciliate diverse contents of his/her life including medical knowledge and medical doctor’s remedies. Given this precondition, this study goes to review on ways to conciliate diverse contents of one’s life and know-hows to realize such a good life by centering systemic approach to a good living and ritual theory in this research method. The systemic approach implies so-called Santiago School’s Autopoiesis theory as Fritjof Capra introduced, and the ritual theory that comes from Imamura Shinske and Imamura Hitoshi’s work, Ontology of Ritual. In this study these two will be applied to how to organize one’s lifestyle. Besides, main stream medicine in America and Western Europe could not be coupled with philosophy because of its exclusive framework in defining diseases and treatments. On the other hand, some alternative medicines that count routine and habits as main causes of health or disease need to be treated as good partners to philosophical knowledge for sound life. In addition the philosophical knowledge mainly comes from methodologies of self-cultivation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Doaism.

      • KCI등재

        의례이론과 의례적 인식론을 통해서 본 예전의 기독교교육적 의미

        양금희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7 No.-

        This study is about the formative function of liturgy. It is comprisedof two parts, namely, the discussion about the social and communityformational function of liturgy in terms of “ritual theory”, and theritual epistemology on the basis of which the rituals play a significantrole for the formation of the individuals and community. The discussion of ritual theory finds that the ritual has the functionof binding the individuals to the faith community and helping them toform a new identity in the context of faith community. Rituals also helpthe faith community to maintain its identity and transforms thecommunity itself as well. We learn from ritual epistemology that the ritual is a place relatedwith wholistic knowing. The ritual could be the way through which weinternalize the Christian value and attitude due to bodily experiences,and the place where the memory and learning can take placeeffectively, and also stimulate the participant to move things learned tobehavior because of its emotional communication and symbolic pattern. It could be a space where the union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symbolic world, the Kingdom of God which Christianity ultimatelypursues, takes place. This study will conclude that liturgy is an important space containing boundless potential possibility for Christian education as it tries to overcome the schooling pattern of ongoing Christian education and seekswholistic religious formation. 본 연구는 예전의 형성적 기능, 혹은 기독교교육적 기능을 탐구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본고는 먼저 의례이론을 통해서 예전의 사회적 차원의 기능 및 공동체적 형성 기능을 살펴보았고, 더 나아가 예전이 그러한 형성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근거로서 예전의 인식론적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의례이론을 통해서 본고는 예전이 개인을 신앙공동체에 결속시키고 공동체와의관계 속에서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게 할 뿐 만 아니라, 공동체의 통합과 정체성을 유지하는 기능, 그리고 더 나아가 신앙공동체 자체를 새롭게 변형하는 통로가 된다는 사실을발견하였다. 예전적 인식론을 통해 예전은 몸의 인식, 감성적 인식 그리고 통전적 인식이 복합적으로 관련되는 장이라고 하는 사실을 발견하였는바, 예전은 “신체화된 인식(embodied mind)”를 담보함으로써 기독교적 가치와 태도를 내면화 하는 통로가 되며, 또한 감성적 의사소통과 상징체계로 기억과 학습을 효과적으로 일어나게 하며, 더 나아가 가치들을 행동으로옮기도록 하는 자리가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무엇보다 예전은 통전적이고 전인적 인식으로 참여자들에게 실제세계와 기독교가 추구하는 바의 상징적 세계, 즉 ‘하나님 나라’와의 융합이 일어나게 하고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공간이 된다. 이 같은 사실로 부터 본고는 예배가 학교식 교육 형태를 극복하고자 하고, 통전적 형성을 추구하는 기독교교육에게 매우 중요하고 잠재적 가능성을 가진 기독교교육의 통로라고하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 KCI등재

        상호작용 의례사슬이론 관점을 통한 프로야구 관중의 열광메커니즘

        박현권,임수원,권기남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4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which situation makes baseball crowd enthusiatic by sharing common atmosphere and emotional experience with other crowds through Collins’ interaction ritual chains theory approach. Also, how the collective enthusiasm of them is held on till the end of the game.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a cas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9 by purposeful sampling. Date were analyzed by textu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joining process to build up the ritual was presented through sharing the festive atmosphere in the stadium and the culture of watching the game, as well as their emotions in the same space. Second, emotional energy expressions to strengthen the ritual was a manifestation of collective solidarity, courtesy and loyalty through the symbol of the team besides the heroic players and team moral emo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Collins의 상호작용 의례사슬이론 관점을 통해 프로야구 관중들이 어떠한 상황에서 주변의 다른 관중과 감정을 공유하며 경기에 열광하게 되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집단적 열광을 어떻게 유지해나가는 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유목적 표집법을 이용하여 A광역시 K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7명과 대학원생 2명 총9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과 관련 자료 수집 등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텍스트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례구축을 위한 정서적 합류과정으로는 경기장의 축제 분위기 공유, 관람문화의 공유, 같은 공간에서의 감정공유로 나타났다. 둘째, 의례강화를 위한 정서적 에너지 표출로는 응원을 통한 집단결속력 표출, 상징을 통한 팀에 대한 충성심 표출, 영웅적인 선수와 팀에 대한 도덕적 감정 표출로 나타났다.

      • KCI등재

        조선시대 궁중의례용 쌍용도상의 유형과 함의: 일승일강용一升一降龍 도상을 중심으로

        김주연 미술사학연구회 2013 美術史學報 Vol.- No.40

        The dragons were composed in many different illustrations since ancient China. The icons of double dragons ascending and descending, or ascending together had inscribed repeatedly in the ritual objects and paintings. The records showed that the icons of double dragons ascending and descending together were inscribed in the Emperor’s flag, and the ascending double dragons on the ritual costumes. These two icons were especially adored. The icons of double dragons ascending and descending were found to appear since Dang Dynasty, and they were continually appeared in the Song and Jin Dynasty. In the written records of Song Dynasty, the double dragons ascending only,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together were mingled together in the ritual costumes. Therefore, it is inferred that usages of icons of double dragons ascending and descending were widely spread. In the Ming and Ch’ing Dynasty, the double dragons with magic stones were popular and inscribed on the various decorations of utensils and paintings of Emperor. The icons of double dragons with magic stones and double dragons ascending and descending had very close similarities in mode. They were inscribed in the ritual objects, especially associated with Emperor. In Joseon Dynasty when the Confucius rituals were a center of politics, these three icons were inscribed in the king’s decree, wrapping cloth of king’s seal, king’s flag, ceiling of king’s chair, etc… and the objects used by king to illustrate the magnificence of king. Especially, the icons of double dragons with magic stones were painted in the king’s office of Gyeongbokgung Palace which represented as a vivid example that the pattern became a painting. Otherwise, the Korea Empire strived to break away from the previous influences from China and wanted declare itself as an independent empire. It had altered all ornaments and costume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image of empire. The Emperor Go-jong (1863-1907) wore the ritual robe with twelve pattern icons and the knee covering cloth decorated with pattern of double dragons ascending and descending with magic stones in the flame over the mountain. It was illustrated to express an upgrade from Joseon Dynasty. The double dragons ascending together were inscribed in the ritual robes and wrapping cloth of king’s seal. The icons of double dragons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the double dragons with magic stones were inscribed in the king’s decree, ritual objects and places associated with king to continue the tradition of Joseon Dynasty. The ceilings of numerous royal palaces were decorated with golden double dragons with magic stones in order to illustrate new aspects of empire. As explained above, the three types of distinguished icons which were used in the ritual objects and paintings from Joseon Dynasty to Korea Empire were to emphasize the magnificence of king. Especially, it is discovered that the illustrations of icons of double dragons with magic stones ascending and descending were inscribed in more ritual objects than the icons of double dragons ascending together. It means that icons were more than decorations of objects. The observers were recognized the meanings of ritual orders through the symbolic icons. 중국 고대부터 용은 여러 가지 구도로 표현되었으나 그 중에서도 쌍룡이 일승일강一升一降하거나 혹은 모두 승천하는 도상은 의례적인 성격이 짙은 기물과 회화에 반복 시문된다. 중국 고대부터 두 마리의 용이 오르고 내리는 도상은 천자의 깃발에, 승룡은 곤룡포에 시문한다는 기록을 바탕으로 두 도상은 특히 존숭되었다. 일승일강하는 쌍용의 도상은 당대唐代 동경에서 많이 보이기 시작하며 송과 금대에도 지속적으로 제작된다. 한편 송대의 기록에는 가장 의례적인 복식인 곤면복에 두 마리 승룡의 도상과 일승일강룡 도상이 혼용되고 있어 일승일강룡 도상의 사용이 확산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명·청대에는 오르고 내리는 두 마리의 용 사이에 여의주가 삽입된 이룡희주二龍戱珠 도상이 유행하며 오채화룡문대반五彩花龍紋大盤, 금분金盆, 병풍 등 동경 이외에 황제의 여러 기물 장식 및 회화로도 묘사되었다. 이룡희주의 도상은 일승일강룡 도상과 깊은 양식적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모두 궁중유물 특히 제왕과 연관된 기물에 시문되는 공통점을 지닌다. 유교적 의례가 정치의 중심을 이루던 조선시대에는 이러한 세 도상이 교명敎命, 보록寶錄, 교룡기蛟龍旗, 어좌의 보개寶蓋, 쌍룡선, 탁자 등 왕이 사용하는 기물에 시문되며 왕의 위의를 상징했다. 특히 이룡희주의 도상은 경복궁 사정전의 벽화인 운룡도로도 그려져 문양이 회화화되는 극명한 예를 보여준다. 한편 대한제국은 지금까지의 중국과의 외교관계에서 벗어나 황제국으로의 쇄신을 이루며 모든 장식과 복식에서 새로운 황실의 이미지를 성립하고자 노력한다. 이러한 작업의 일환으로 고종(1863-1907 재위)은 십이류면 십이장복을 착용하였고 폐슬의 문양 또한 산 위로 화염에 싸인 여의주와 승·강룡을 시문했다. 이는 「명당위明堂位」에 제시된 폐슬의 문양을 형상화 한 『대명회전大明會典』을 따른 것으로 조선시대와는 구분되는 격상된 모습을 보여준다. 면복과 보록에는 두 마리의 승룡이, 교명, 정전의 천정 등 왕과 관련된 의례적인 기물과 장소에는 일승일강용과 이룡희주의 도상이 선택되어 조선의 전통을 잇고 있다. 창덕궁 신선원전 당가 천판, 황궁우皇穹宇의 천장, 덕수궁의 정전인 중화전 천장 중앙에 마련된 부당가 안에는 황룡으로 채색된 이룡희주상이 장식되어 건물 천장의 중심에서 새로운 황제국의 면모를 직접적으로 시각화한다. 이러한 도상은 황룡기에도 나타난다. 황제의 거동때 세웠던 황룡기는 이화여대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대한제국 동가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조선에서 대한제국까지 세 가지 쌍룡의 도상은 의례적인 기물과 회화에서 왕의 위의를 드러내는 특징적 도상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일승일강의 구도를 중심으로 하는 이룡희주식 표현은 승룡상에 비해 여러 의례적 기물에 사용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들은 여러 의례적 기물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며, 각각 다른 제재로 만들어졌으나 같은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대상을 장식하는 단계를 넘어, 감상자가 고정된 이미지를 통해 그 함의를 인식하도록 기능한다. 즉 예적 질서를 상징적 도상으로 끊임없이 주지시키는 것이다.

      • KCI등재

        중국철학 연구에 관한 구미학계의 최근 추세 및 그 방법론 연구 - 중국 고대철학에 대한 세 가지 시각 -

        나성 대동철학회 1999 大同哲學 Vol.3 No.-

        고대철학사 연구의 중요성은 상대성과 절대성을 갖는다. 상대적 중요성은 고대철학이 이어지는 시기들의 철학에 대해 갖는 정초성을 의미한다. 절대적 중요성은 고대 철학 그 자체의 절대적 중요성을 의미한다. 그러나 동양에서 지금까지 출판된 중국 고대 철학사는 이러한 가치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문화적인 이념이나 철학적 이념 또는 서구적 가치관을 원용함으로써 중국 고대의 사상적 보고를 충분히 개발하지 못한 채 오히려 이데올로기의 희생물로 만들었다. 본 소고의 목적은 198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서구에서 연구된 중국 고대철학사의 연구 경향과 방법론을 세 권의 철학사를 중심으로 소개하는 것이다. 그 책들은 World of Thought in Ancient China(..사상의 세계..), Disputers of the Tao(..철학논쟁..), A Daoist Theory of Chinese Thought(..도가 이론..)이다. 중국 고대철학을 절대적인 가치로 연구한 책이 슈월츠의 ..사상의 세계..이다. 그는 고대철학이 이어지는 시기들에 대해 중요성을 갖기 때문에 연구한다는 것을 진부한 이유라고 치부한다. 슈월츠는 야스퍼스(Jaspers)가 주장하는 기축시대(Axial Age)의 역할로 인해 중국의 고대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 야스퍼스는 기원전 10세기를 상한선으로 하는 기축시대에 있어 인류의 4대 문명권에는 창조적 소수들이 출현하여 자신들이 속한 문명에 대해 “초월적 돌파”를 마련한다고 주장한다. 슈월츠는 다른 문명권과의 비교적 지평에서 중국적인 초월적 돌파가 어떤 내용과 의미를 갖는지를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천착한다. 따라서 그의 관심은 중국의 특수성에서 출발하여 인류의 보편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아울러 그의 관심은 “철학”에 있지 않고 보다 보편적인 “사상”에 있으며, 이를 위해 동원하는 그의 방법론은 주체와 대상, 또는 사유와 맥락 사이의 긴장적 대화이다. 한 편, 그라함의 ..철학논쟁..은 슈월츠의 ..사상의 세계..와 대조적인 입장을 반영한다. 그라함이 중국 고대철학을 연구하는 이유는 슈월츠가 진부한 것으로 생각하는 이유, 즉 이 시기가 이어지는 시기들에 대해 중요성을 갖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이 시기의 철학적 중요성이 천착되지 않고서는 이어지는 시기들의 철학적 발전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불가능하다고 그라함은 생각한다. 이러한 중요성을 발굴하기 위해 그라함은 언어학적 방법을 동원한다 다시 말해 . , 그는 언어라는 유사성을 배경으로 하여 문화에 토착적인 개념적 틀 및 중국어와 인도유럽어 사이의 구조적 차이점을 설명해 주는 중심 단어들 사이의 차별성을 발견하려 한다. 결국, 그는 슈월츠와는 달리 보편성 속에서 특수성을 설명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그는 중국 고대 철학의 성격을 사상에서 찾는 슈월츠와는 달리 그 성격을 철학에서 찾는다. 더 나아가 그는 중국 고대 철학에서 현대 서구의 윤리적인 곤경인 사실과 가치의 괴리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발견하여 자신의 “철학함”의 기초로 삼는다. 채드 한센의 학문적인 기본적 노선은 그라함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다시 말해, 그는 중국 고대철학을 철학으로서 접근하며 사용하는 방법론도 언어학적인 것이다. 그러나 한센은 자신의 언어학적 방법론을 한 층 더 발전시켜 그라함을 비판한다. 양자 사이의 쟁점은 중국 고대인에 있어 가치의 담지자라고 운위되는 내면적인 자아의 존재 여부이다. 이 내면적 자아를 슈월츠는 공자에서부터 인정하는데 반해, 그라함은 이러한 존재가 확립된 것은 맹자에서 비롯한다고 주장한다. 한센은 슈월츠와 그라함 모두를 비판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심리적 자아가 중국에는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아를 상정하는 것은 인도..유럽어의 영향으로서, 불교의 영향을 받은 송명의 신유학에 의해 소급적으로 선진철학에 대해 적용되었다고 한센은 주장한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철학적 문제의 설명을 위한 통일적 이론이 결여되었다고 한센은 주장한다. 이러한 통일적 이론의 수립을 위해 한센은 컴퓨터 유추이론을 원용한다. 이 결과, 한센은 도가가 중국의 고전시기에 있어 철학적으로 보다 우수한 집단이었다는 점을 입증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recent trends and methodology of Chinese philosophy in the West. For the purpose three recent books of ancient Chinese philosophy are chosen: The World of Thought in Ancient China(Benjamin Schwartz, 1985), Disputers of the Tao: Philosophical Argument in Ancient China(Angus Graham, 1989), A Daoist Theory of Chinese Thought: 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Chad Hansen, 1992). Schwartz was inspired by "the Axial Age" of Jaspers in studying ancient China. Jaspers observed that in the age there appeared the creative minorities in each of the four blocks of World civilization; they realized the "transcendental breakthrough" for their own culture, thereby leveling up the standards of human life. Schwartz is concerned with inquiring the common character based on Chinese particularities. And he seeks the nature of ancient Chinese intellectual history not so much in philosophy as in thought inclusive of almost all the spectrums of cultural phenomena. As for his methodology, he regards culture as a dialogical tens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or thought and contexts. Graham makes a good contrast with Schwartz in terms of the nature of ancient Chinese culture and its methodology. Graham is definite in treating ancient chinese culture as philosophy. Furthering this view, he proposes that he is inspired by ancient Chinese philosophy in solving the knotty value/fact dualism, the Western society is faced with. Ancient Chinese philosophy, he thinks, is the basis of his own philosophizing. As for his methodology, he, contrary to Schwartz, is concerned with proving the Chinese particularities based on the shared feature of World cultures, that is, language. Hansen is succeeding Graham's positions; he approaches ancient Chinese culture as philosophy and applies linguistic methodology for its study. However, he takes issue not only with Graham but also with Schwartz in that they posit a psychological self derived from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nner and the outer. He thinks the posit of the distinction is a misunderstanding on the part of Neo-Confucianism, exposed to the linguistic influences of the Indo-European language through Buddhism. The structure of Chinese language, he thinks, has no room for such division, still less the psychological self! He proposes a theory of computer inference to substitute the self, and thereby proves that Taoists were superior to any other groups in terms of philosophy. Thus, the title of "A Daoist Theory of Chinese Thought."

      • KCI등재

        봉은사 생전예수재의 위상과 의의

        성청환 한국정토학회 2018 정토학연구 Vol.30 No.-

        With regard to Advance Funeral Ceremon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lluminate the history, current suatus and its value of Bongeunsa Temple. It examines the historical fondation of Advance Funeral Ceremony at Bongeunsae, which has been left as a record since the Joseon Dynasty, and examines its continuity and reality. Since 1960, Bongeunsa has set a new model of Buddhist ritual that is a combination of Advance Funeral Ceremony, and Ceremony for Saving All Sentient Beings of Water and Land, which is also proved in historical rituals. Since 1993, Bongeunsa is a new model of the new movement in relation to Advance Funeral Ceremony. Bongeunsa Tmeple is faithfully restored and transmitted based on the historical legacy and ritual literatures since 2016. Advance Funeral Ceremony at Bongeunsa temple is coexisted both the sacrificial and the performer personality of the participant. In other words, while restoring, inheriting, and preserving the tradition of rituals, the practical nature of performance is seeking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As religious phenomenology, Advance Funeral Ceremony should be understood as a real phenomenon in which individual experience or experience can never be reduced. In addition, the periodic execution of the Advance Funeral Ceremony is not only the expereince of community but also experience of sacredness which is toally different from everday life. In terms of the theory of behavior, Advance Funeral Ceremony requires active of the participants, and in practice, it is not a simple literature-based theory but a complex and diverse cultural realiz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봉은사의 생전예수재의 역사와 현재의 위상 그리고 그 가치를 조명하는 것이다. 조선시대 이후 기록으로 남겨진 봉은사 생전예수재(生前預修齋)의 역사적 근거는 지속성과 사실성을 증명한다. 봉은사의 예수재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불교관련 문헌이 아니라, 윤달의 세시풍속을 기록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윤월조(閏月條)」에 등장한다. 1960년 이후 봉은사는 예수재와 수륙재(水陸齋)를 병행하는 불교의례의 새로운 전형의 모범을 보였는데, 이는 역사적 사료에도 증명된다. 1993년 이후 봉은사는 예수재의 신행운동의 새로운 모범을 보이고 있다. 봉은사는 2016년 이후 생전예수재를 역사적 근거와 의례집의 의문에 바탕하여 충실하게 복원, 전승하고 있다. 현재 매년 설행되고 있는 봉은사 예수재는 제의적 성격과 참여자의 수행적 성격이 공존하는 의례이다. 제의적 성격은 변하지 않게 잘 보존해가면서도 수행적 성격은 다양하게 활성화 시키고 있다. 즉 의례의 전통을 복원하고, 계승하고, 보존하면서, 수행의 실천적 성격은 시대에 맞게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봉은사 생전예수재를 종교현상학으로서 분석하면 개인의 경험내지 체험은 결코 환원될 수 없는 실재적인 현상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예수재의 주기적인 봉행은 의식의 집전자뿐만 아니라 참여하는 재가신도들 간에도 유기적 공동체를 형성하게 하며, 경험은 일상과는 다른 체험, 성스러움이다. 행위이론의 측면에서 보면 예수재는 참여자들 개인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요구하고 있으며, 실천적 측면에서는 단순한 문헌 중심의 이론이 아니라 복합적이고 다양성을 내포한 문화의 실현적 성격을 띤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