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실습을 경험한 의과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생사관과 영적안녕에 대한 비교연구

        박소영,KIM CLARA TAMMY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1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이하 의과대학생으로 표기)과 일반대학생의 생사관과 영적안녕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 그 상관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H대학교 의과대학생 95명과 A대학교 일반대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표집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과대학생과 일반대학생 모두 생사관 하위요인 중 부정적 죽음의미가 가장 높았다. 의과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은 죽음불안과 생명존중의지에 차이를 보였는데 의과대학생은 일반대학생보다 죽음불안이 낮고, 생명존중의지가 높았다. 생사관과 영적안녕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반대학생의 실존적 안녕이 죽음관여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생명존중의지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의과대학생의 경우 종교적 안녕이 죽음의미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실존적, 종교적 안녕 모두 생명존중의지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료적 죽음에 노출이 될 의과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교육에 차별적 컨텐츠를 구성함에 있어 도움이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views of life and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of medical and non-medical university students and to compare their correlation. To this end, 95 medical students from H University and 103 non-medical students from A University were sampled for this researc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or both medical and non-medical university students, negative meaning of death was found to be most high among sub-factors of views of life and death. Medical and non-medical university students differed in death anxiety and life respect will as medical students showed lower death anxiety and higher life respect will than non-medical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iew of life and death and the sub-factors of spiritual wellbeing, religious wellbeing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meaning of death, and both existential and religious wellbeing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respect will in medical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constructing differentiated contents in biomedical ethics education for medical university students who will be exposed to medical deaths.

      • KCI등재

        의과대학생의 피로 호소와 식생활 습관

        이성민,공은희,최종순,이성곤,이재은 대한가정의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11

        Background: Fatigue is a common problem in medical students and is thought to be related to poor academic performance. Fatigue is expected to be highly related to dietary habits, but previous research was not enough. Therefor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and the prevalence of fatigue and also to give an update on basic research data for improving academic performance in medical students. Methods: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170 healthy second-year medical students attending thre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 Busan. They completed a questionnaire dealing with fatigue (Fatigue Severity Scale), dietary habits, lifestyle, and academic performance. Results: 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kipping breakfast (completely skipping breakfast everyday versus having breakfast everyday; odds ratio 7.23; 95% confi dence interval, 2.07 to 25.28; P = 0.002)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omplaints of fatigue. Conclusion: Skipping breakfast was associated with the complaints of fatigue in medical students. 연구배경: 피로는 의과대학생들이 흔하게 호소하는 증상으 로 학업 능력 저하와 관련이 있다.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 중에서도 식생활습관은 그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 되나, 선행연구가 미흡하다. 이에 의과대학 학업 과정의 수행 능력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의과대학생의 식사습관과 피로 증상 호소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부산지역 3개 의과대학을 다니고 있는 건강한 본과 2학 년 의과대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하여, 피로도(Fatigue Severity Scale), 생활습관, 그리고 학업 수행능력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 였다. 의과대학생의 피로 호소와 생활 습관의 관련성을 확인 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시행하였으며, 의과대학생의 생활 습관이 피로 증상 호소와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단 변량,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매일 아침 식사를 하 는 경우와 비교하여 아침 식사를 전혀 하지 않을 때(odds ratio 7.23; 95% confidence interval, 2.07-25.28; P=0.002), 그리고 불 규칙적으로 아침 식사를 할 때(odds ratio 4.42; 95% confi dence interval, 1.47-13.27; P=0.008) 의과대학생의 피로 호소가 의미 있게 높았다. 결론: 아침 식사를 하지 않는 것은 의과대학생들의 피로 호소 와 관련이 있다.

      • KCI등재

        의과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삶의 질 비교

        민성길,신원철,김광일,정지인,김동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6

        연구목적 : 미래에 환자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책임지게 될 의과 대학생 집단이 의학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어떤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 문제들에 의해 고통받는지 알아보고 이의 개선방향을 발견하기 위해, 의과대학생들이 느끼고 있는 삶의 질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1999년도에 연세대학교 의과 대학에 재학중인 본과 학생 317명과, 연세대학교 재학중인 일반 대학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도구는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였다. 의과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삶의 질을 각 항목(item)별, 영역(domain)별, 그리고 총점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T-test로 검정하였고, 각 영역의 기여도를 다중회귀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 전체점수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항목별점수에서는, 수면과 휴식, 성적 활동, 레저와 여가활동에 대한 참여와 기회에서는 의과대학생의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게 보고되었으며, 약물과 치료에 대한 의존도, 경제적 자원, 새로운 정보와 기술을 얻을수 있는 기회, 교통수단에서는 의과대학생의 삶의질이 유의하게 높게 보고되었다. 영역점수에서는, 사회적 관계 영역에서 의과대학생의 삶의 질이 낮게, 환경 영역에서는 높게 보고되었다. 그리고 의대생에서 신체적 건강, 환경, 그리고 사회적 관계 영역들이 삶의 질에 크게 기여하였고, 반면 일반대생에서는 심리적 영역과 환경 영역이 크게 기여하였다. 결 론 : 이와 같은 결과는 주로 의대생들의 사회적 관계 영역, 그리고 기타 하부척도에서는 수면과 휴식, 성적활동, 레저와 여가 활동에 대한 참여와 기회 등의 항목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quality of life of medical students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general college students to identify what kind of problems medical students are suffering from. Method : Korean version of WHOQOL-BREF was administered to 317 medical students and 150 general college students of Yonsei University in 1999.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s of WHOQOL-BREF between medical students and general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scores of facets of sleep and rest, sexual activity, and participation and opportunities for recreation/leisur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edical students than in general colleges for recreation/leisur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edical students than in general college students, while the scores of facets of dependency on medication and treatment, financial resources, opportunities for acquiring new information and skills, and transpor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edical students than in general college students. The score of social relationships domain was significantly lower in medical students than in general college students, while, the score of environmental doma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edical students than in general college students. Physical, environmental and social relationships domains contributed more to the quality of life of medical students than psychological domain while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domains contributed more to the quality of life of general college students than physical and social relationships domains. Conclusion : The resul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edical students in social relationships domain and in the facets of sleep and rest, sexu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opportunities for recreation/leisure.

      • KCI등재

        의대생의 인성과 환자안전태도와의 관계에서 학습윤리의식의 매개효과

        박귀화(Park Kwi Hwa),이상엽(Sang-Yeoup Lee),임선주(Sunju Im),윤소정(Yune So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본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성과 학습윤리의식, 환자안전태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인성과 환자안전태도간의 관계에서 의과대학생의 학습윤리의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부산과 경기권에 위치한 2개 의과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5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430명(회수율 76.8%)이 응답하였다. 대학생용 인성검사, 의과대학생의 학습윤리의식검사, 환자안전태도검사가 시행되었으며, 결과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활용한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환자안전태도, 학습윤리의식, 인성 간에는 의미 있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인성이 환자안전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윤리의식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환자안전태도를 갖춘 ‘좋은 의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인성과 학습윤리의식의 포괄적인 범위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의과대학에서 학습윤리 교육을 강화하는 것은 인성이 환자안전태도로 발현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이후 향후 의과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역량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learning ethics consciousness, and patient safety attitude among medical students. And we wanted to reveal how the learning ethics consciousness of medical students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patient safety attitude. A survey was conducted on 560 students attending two medical schools located in Busan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final 430 (76.8% of the collection rate) responded. A personality test for college students,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wards academic misconduct test, and a patient safety attitud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 analysis was performed with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e results showed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tient safety attitude, learning ethics consciousness, and personality. And the mediated effect of learning ethics consciousness was shown in the effect of personality on patient safety attitude. In order to develop a good doctor with patient safety attitude, a comprehensive range of education needs to be provided for personality and learning ethics. Strengthening learning ethics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will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as a patient safety attitude. The findings could later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atient safety competency education programs for future medical students.

      • KCI등재

        의과대학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어려움에 대한 연구

        강예지(Ye Ji Kang),김미현(Mihyun Kim),노재희(Jaehee R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ing the difficulties of medical students who have attended the middle and high school out of Korea.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by in-depth interviewing with five students who lived and attended middle and high school abroad and entered the Korean medical school through a overseas students admission track. This study reveals that they were experiencing academic and emotional difficulties. Because of long stay abroad, they have difficulty in reading and writing with Korean language, in which lectures are given. Language issue led to academic difficulties. They take Korean language is their personal problem and try to solve by themselves with little help from others. In addition, they wanted to feel a sense of belonging. They try to become a part of classmates in medical school or form a peer group among similar returning students in university. By doing so, they try to adapt to Korean university culture,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foreign culture. They get most of cheers and support primarily from family. This study help understanding the difficulties faced by returning college students in medical schools and developing medical school curriculum to reflect increasing diversity of students in medical schools. 본 연구는 의과대학 귀국 대학생이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재외국민 특별전형으로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재학 중인 다섯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6월부터 8월까지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어려움은 학업적 어려움과 정서적 어려움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학업적으로는 한국어 능력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였으며 특히 읽기, 어휘, 글쓰기 영역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국 학생 에 비해 학업 역량이 뒤쳐진다는 인식을 가졌고, 한국 교육방식에 낯섦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국 대학생은 이 같은 어려움을 개인의 문제로 감내하고 스스로 해결하는 소극적 대처 양상을 보였다. 또한, 대학생활 초반에는 의과대학 공동체를 자 신과 분리하여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는 정서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국내 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가족의 지지와 응원을 통해 위로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들은 점차 자기이해와 반성적 성찰, 학업과 생활에 대한 긍정적인 마인드를 통 해 귀속 집단에 적응하며 의과대학 학생으로서의 정체성을 획득해 나갔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과대학 귀국 대학생이 경험하는 대학생활에서의 어려움이 의과대학이라는 교육 환경 맥락 전체 속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한다. 이 연구는 의과 대학 교육과정의 다양성을 보완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의과대학 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학업지연 행동 간의 관계 : 의과대학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조민아(Mina Cho),이윤선(Yoon-Seo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의과대학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학업 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의과대학 스트레스가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의과대학생 156명을 대상으로 자기지향완벽주의, 사회부과완벽주의, 의과대학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학업지연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자기지향완벽주의, 사회부과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의과대학 스트레스가 매개하는지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지지가 자기지향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의과대학생의 자기지향완벽주의는 학업지연행동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사회부과완벽주의는 의과대학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을, 사회적 지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과대학 스트레스는 학업지연행동과 정적 상관을, 사회적 지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과대학 스트레스는 자기지향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부과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자기지향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스로 완벽하고자 하는 성향이 강한 의과대학생들은 학업 지연행동을 적게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와 달리 사회적으로 부여되는 완벽주의 경향성이 있는 경우에는 스트레스가 높아질 때, 지연행동이 증가할 수 있어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자기지향완벽주의 경향이 있는 학생들도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얻을수록 학업지연행동을 더 적게 하게 되므로 사회적 관계망을 통한 정서적 지지와 격려가 중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medical school stress, social suppor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mong medical students. And we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medical school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lso,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156 who enrolled college of medicine, Seoul, using survey from February to March of 2019. To measur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ocial support, medical school stres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e used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The medical school stress scale, The 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and 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 For correlational analysis, we us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medical school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self-oriented perfectionism among medical studen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we found no relations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lso, we fou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dical school stres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We found medical school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also, we fou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Moreover, we found medical school stress fully mediated socially-prescribe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social support moderated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Conclusions Medical students who have self-oriented perfectionistic tendencies are not likely to procrastinate. However, Students who have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re tend to academic procrastinate when they felt stress. And also, the effect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academic procrastination differed according to social support level. More social support buff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 KCI등재

        의과대학생의 수면 양상과 성적의 관련성

        신서연,이진성,정도언,Shin, Seo-Yeon,Lee, Jin-Seong,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8 수면·정신생리 Vol.15 No.2

        목 적:의과대학생은 수면량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국내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는 않다. 이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생활 습관 및 수면 양상을 알아보고 이것이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 법:서울대학교 의과대학 3학년 학생의 수면 양상을 평일과 휴일로 나누어 설문 조사하였고, 수면과 관련될 것으로 생각되는 생활 습관, PSQI와 학업 성적을 조사하였다. 총 110명(남자 85명, 여자 25명, 평균 연령 $24.4{\pm}20.6$세)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두 군간 연속변수 비교에는 독립 t-검정, 비연속변수 비교에는 $x^2$-검정, 휴일과 평일 간 비교에는 짝짓기 t-검정,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분석 그리고 세 군 이상 비교에는 ANOVA를 이용하였다(p<0.05, 양측검정). 결 과:의과대학생들에서 평일보다 휴일에 더 늦게 자고(평일 1:24;휴일 3:12;t=-5.23, p<0.01) 더 늦게 일어나며(평일 7 :38 ;휴일 10 :30 ;t=-24.48, p<0.01), 휴일 수면시간이 더 길었다(평일 5:57;휴일 8:17;t=15.94, p<0.01).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좋은 군이 좋지 않은 군에 비해 학업 성적이 더 높았다($3.35{\pm}0.52,\;3.07{\pm}0.67$, t=2.05, p<0.05). 학업 성적은 나이(r=-0.23, p<0.05), 하루 흡연량 및 총 흡연량(r=-0.78, p<0.01;r=-0.75, p<0.01), 평일 및 휴일 수면잠복시간(r=-0.23, p<0.05;r=-0.23, p<0.05) 그리고 PSQI 총점(r=-0.30,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의과대학생들은 휴일에 비해 평일에 더 늦게 자고, 더 늦게 일어나며, 수면시간이 더 길어 평일 수면이 부족한 양상이었다. 전반적으로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좋지 않았고, 수면의 질이 안 좋은 군에서 학업 성적이 더 낮았다. Introduction: Although it is well known that medical students are not getting an adequate amount of sleep, there have been only few studies on the sleep patterns of medical students in Korea.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ife style and sleep patterns of Korean medical students and the impact they have on th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Methods: A questionnaire package was administered to the $3^{rd}$ year medical students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to examine their sleep patterns on weekdays and weekends. It consisted of questions asking about their lifestyles as well as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GPA (Grade Point Average) that are considered relevant to their sleep patterns. A total of 110 students (85 males and 25 females, mean age $24.4{\pm}20.6$)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result was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the chi-square test, the paired t-test, Pearson's rank correlation and ANOVA. P-values of less than 0.05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analyses. Results: The weekend bedtime was significantly delayed (01:24 on weekday;03:12 on weekend; t=-5.23, p<0.01), the weekend rise time was delayed (07:36 on weekday;10:30 on weekend ; t=-24.48, p<0.01) and the total sleep time was increased on weekends (5:57 on weekday;8:17 on weekend ; t=15.94, p<0.01). They wished to sleep for 7 hours 6 minutes which was different from their actual weekday total sleep time (t=-11.41, p<0.01). The poor sleeper group had lower GPAs than the good sleeper group (t=2.05, p<0.05). The GPA of medical studen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r=-0.23, p<0.05), daily amount of smoking (r=-0.78, p<0.01), total amount of smoking (r=-0.75, p<0.01), weekday sleep latency (r=-0.23, p<0.05), weekend sleep latency (r=-0.23, p<0.05) and PSQI score (r=-0.30, p<0.01). Conclusion: Medical students were experiencing a lack of sleep during weekdays as they have a later bedtime and earlier rise time, and consequently had more hours of sleep on weekends. Overall, the responded students were experiencing poor sleep quality, and the GPAs of the poor sleeper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good sleeper group.

      • KCI등재

        의과대학생의 직업 가치에 대한 인식

        유효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Physician values are perceived by medical students. The subject was 572 medical students in May and June 2017, questions on Physician Values in Practice Scale (PVIPS), doctor as an occupation, and as to whether they would re-enter medical university if they were given the option again, were researched.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medical students recognized their physician values in the following order: ‘management’, ‘prestige’, ‘lifestyle’, ‘service’, and ‘scholarly pursuits’. Even under the circumstance in which there is no issue of livelihood maintenance, the study identified that the number of those who would again opt for an occupation as a doctor(79.9%) if they were given an option to choose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responded otherwise(20.1%). Those who opted again to become a doctor as their occupation placed more emphasis on ‘lifestyle’ than those who did not.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the more the value on ‘autonomy’ and ‘lifestyle’ is, the higher is the probability of the students re-opting to become doctors. If they were given a choice to select their field of study at a university again, the number of those who would re-enter a medical school turned out(91.6%) to be higher than those who would not(8.4%). It was also noted that the students who wished to re-enter medical university placed more value on ‘autonomy’ and less value on ‘service’ than those who would not. The implications elicited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that students’ awareness of their physician values should take precedence for career orientation, training, and education for specialty career paths, an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educational programs to equip them with physician values and work ethics as a doctor. 본 연구목적은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의사라는 직업가치를 무엇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2017년 5~6월에 의과대학생 572명을 연구대상으로 Physician Values in Practice Scale (PVIPS) 과 의사직, 의과대학 재선택 여부에 대한 질문을 추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의과대학생은 관리, 명성, 생활양식, 봉사, 학문추구 순서대로 직업가치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의 생계유지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상황에서도 의사직을 다시 선택하겠다는 학생(79.9%)이 선택하지 않겠다는 학생(20.1%)보다 높게 나타났다. 의사직을 다시 선택하겠다는 학생들은 다시 선택하지 않겠다는 학생보다 ‘생활양식’에 더 높은 직업가치를 두고, ‘자율성’과 ‘생활양식’에 더 높은 가치를 둘수록 의사직을 다시 선택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대학을 선택할 수 있다면 의과대학에 다시 진학하겠다는 학생(91.6%)이 그렇지 않겠다(8.4%)는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의과대학에 다시 진학하겠다는 학생들은 다시 진학하지 않겠다는 학생보다 ‘봉사’ 가치는 낮고, ‘자율성’ 가치를 더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진로지도와 진로교육, 전문직업성 교육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직업가치인식 먼저 분석해야 하고, 학생들에게 의사로서의 직업가치와 직무윤리를 갖출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나의 첫 번째 환자와 실습용 교구 사이에서 : 해부실습 과정에서 경험하는 의과대학생의 생각과 감정에 관한 연구

        유효현(Yoo, Hyo Hyun),정덕호(Chung, Duck-Ho),이준기(Lee, Jun-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해부실습 과정에 참여한 의과대학생들이 자신들의 경험을 토대로 적어 놓은 기록들을 바탕으로 해부실습 과정에서 의과대학생들이 느끼고 생각한 것들은 무엇이고, 이들이 경험한 시신에 대한 관계 설정은 어떠한지 탐색해 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남부권 소재 의과대학 학생 161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에게 개방형 텍스트 자료를 수집한 후 Colaizzi(1978)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의과대학생이 해부실습 과정에서 느끼고 생각한 것들은 ‘무지에의 자각을 통한 학습 동기의 형성’, ‘개별지식들의 통합 및 유기적 재구조화를 통한 유의미성 확보’, ‘해부학적 변이성에 대한 깨달음’, ‘정체성 인식에 대한 반성적 전환’, ‘위대한 아름다움으로부터 느끼는 경이감 그리고 경외감’으로 범주화되었다. 또한 해부실습에서 경험하게 된 의과대학생들의 시신과의 관계 설정은 ‘주어진 과업에 몰두하다 존중감과 사람이라는 생각을 잊음’, ‘스키닝이나 신체 절개나 절단 등 온전한 형태가 사라져 감에 따라 대상화’, ‘극도의 두려움과 불편한 감정을 잊고 버티려 방어기제로 의도적으로 대상화’, ‘두부를 절개해 뇌를 꺼내냈을 때 사람이라는 생각을 잊음’, ‘극도의 피로감 때문에 사람이라는 생각을 잊음’, ‘한번도 그런 생각을 해본 적은 없음’으로 범주화해볼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들은 해부실습 교수개발과 해부실습 교육 활동 점검과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medical students felt and thought during the dissection based on the records written by medica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issection practice, and how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the bodies they experienced.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161 students from medical schools in the southern reg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fter collecting open text data from the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Colaizzi (1978).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what medical students felt and thought during the dissection practice were categorized as ‘formation of learning motivation through ignorance’, ‘securing significance through integration and organic restructuring of individual knowledge’, ‘awareness of anatomical variation’, ‘reflective transition to identity awareness’, ‘a sense of wonder and awe from great beauty’.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ies of medical students experienced in the dissection practice could be categorized as ‘Objectization as intact forms such as skinning, body incision or amputation disappear’, ‘Intentionally objectification as a defense mechanism by forgetting extreme fears and uncomfortable feelings’, ‘When I take out its brain after a head incision, I forget that it was a human’, ‘Forgetting the idea of being a person because of extreme fatigue’, ‘I ve never thought about it like that’. Conclusion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develop and improve the curriculum for dissection practice.

      • 정신과 임상실습 교육 전후의 의과대학생들과 간호대학생들의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

        이원우(Won-Woo Lee),장은진(Eun-Jin Chang),정철호(Chul-Ho Ju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1 사회정신의학 Vol.6 No.2

        목 적: 정신과 임상실습 교육 전후에 정신질환에 대한 의과대학생들과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조사함으로써, 정신과 임상실습이 정신과 질환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변화시키는데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정신과 병동에서 2주간 정신과 임상실습을 시행한 의과대학생 68명과 정신간호실습을 한 간호대학생 63명을 대상으로 정신과 임상실습 전후에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각각 행하였다. 설문지는 정신질환의 원인 및 치료에 대해 원시적 혹은 초자연적 개념(제 1 요인)을 나타내는 9개 문항, 심리적 혹은 환경적 개념(제 2 요인)을 나타내는 15개 문항,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이나 사회복귀에 대한 부정적 태도(제 3 요인)를 나타내는 10개 문항 등 총 3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사용된 통계분석은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Mann-Whitney Test를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p<.05수준으로 선정하였다. 결 과: 1) 정신과 임상실습 전, 각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에서, 성별, 가족력 유무에 따른 요인별 반응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소속집단(의과대학 vs 간호대학)에 따른 요인별 비교에서는 제 2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종교에 따라서는 제 1 요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간호대학생이 의과대학생보다 제 2 요인을 더 많이 고려하고, 개신교 군이 다른 군에 비해 제 1 요인을 적게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정신과 임상실습 전후에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실습효과는, 각 문항별 비교에서 모두 14문항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그 중 제 1 요인과 제 3 요인에 해당되는 문항에서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실습효과의 차이는 요인별 비교에서 성별과 종교에 따라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소속과 정신질환의 가족력에 따라서는 간호대학생과 정신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 제 1 요인이 실습 이후에 더 많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정신과 임상실습 교육은 정신질환에 대한 올바른 인식 및 태도를 갖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나, 소속별, 종교별, 가족력 유무 등에 따라 임상실습의 효과가 조금씩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정신질환의 원인 및 치료에 대한 지식적인 측면에서의 교육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의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이들 실습학생들이 직접 정신질환자들과 접촉하고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고 올바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Objectives: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sychiatric clerkship on medical students’ and nursing students’ attitudes and concepts toward mental illness. Methods:For this study, 68 medical students and 63 nursing students who took psychiatric clerkship for 2 weeks were selected and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about mental illness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2-weeklong clerkship. Results:1) Before clerkship,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al concepts toward mental illness were significantly high in nursing students than medical students group. And the primitive, supernatural concepts toward mental illness were significantly low in protestant students than non-protestant students group. 2) The effects of psychiatric clerkship toward mental illness were significant changes of concepts and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The primitive, supernatural concepts and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 mentally ill were much decreased. Sex and relig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ed the effects of psychiatric clerkship. The primitive, supernatural concepts towards mental illness were much decreased in nursing students group and group with family history of psychiatric illness. Conclusion:Psychiatric clerkship of medical students and nursing students positively affected on attitudes and concepts toward mental illness. But the effects were different by their environments.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verse programs of clerkship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attitudes and concepts toward mental illness of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must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