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응급실 다방문 결정 요인: 종합병원급 이상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중심으로

        이정찬 ( Jungchan Lee ),안병기 ( Byeungki Ahn ) 대한보건협회 2018 대한보건연구 Vol.44 No.3

        연구목적: 부적절하게 권역응급의료센터를 다이용하고 있는 환자들의 이용요인들을 찾아 병원이용 전단계에서 환자들의 이용을 사전에 조정함으로써 권역응급의료센터를 부적절하게 다이용하지 않도록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1년 전국 종합병원급 이상 권역응급료센터의 응급실 이용 현황 자료를 사용하였다. Dutton(1986)의 의료이용 모형을 활용하여 응급실 다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일반화추정방정식(GEE)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2011년 총 605,604명의 환자가 733,184번 권역응급의료센터 응급실을 이용하였다. 응급실 다방문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응급실 이용횟수가 높았고, 30대, 50대, 40대, 9세 이하, 10대 순으로 응급실 이용횟수가 높았다. 사고 보다 질병으로 내원한 환자가 응급실 이용횟수가 더 높았다. 암이나 정신질환을 보유한 환자가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응급실 이용횟수가 더 높았다. 의료급여 환자, 자동차보험 환자, 건강보험 환자, 일반 환자 순으로 응급실 이용횟수가 높았다. 응급실 직접 방문 환자, 외래 경유 환자, 타 병원으로부터 전원 온 환자 순으로 응급실 이용횟수가 높았다. 개인 차량, 119서비스, 사설 앰뷸런스, 도보 순으로 응급실 이용횟수가 높았다. 응급실 체류시간이 60분 미만인 경우 응급실 이용횟수가 높았다. 응급실 방문일이 화-금요일, 월요일, 토요일, 일요일 순으로 응급실 이용횟수가 높았다. 퇴실 후 귀가 환자, 입원 환자, 타 병원으로 전원 된 환자 순으로 응급실 이용횟수가 높았다. 트리아지가 9점(중증)인 환자보다 9점미만(경증)인 환자의 응급실 이용횟수가 더 높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 권역응급의료센터 다이용 환자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우회하여 이용할 수 있는 의료기관들에 대한 정보를 지역 주민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주민들 스스로가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이용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비응급환자의 의료이용을 병원이용 전단계에서부터 원할히 조정해주고, 1차 의료제공체계를 구축하여 지역사회 중심의 완화의료를 포함한 통합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utilization factors of the patients who are inadequately using th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REMC) so that the patients do not use the REMC improperly. Methods: We used nationwide general hospital level REMC visit data of 2011. Dutton(1986)'s medical use model was applied and the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GEE)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multiple ED visit. Results: In 2011, a total of 605,604 patients visited 733,184 times ED of REMC. We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frequent ED visit. The number of ED visit higher in males than females. By age, 30s, 50s, 40s, 9 or younger, and 10s were the most frequent users in the ED.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with an illness rather than an accident were more likely to visit the ED. Patients with cancer or mental illness were more likely to visit the ED than those who did not. The number of ED visit was higher in the order of medical aid, auto insurance, NHI, and general patients. The number of ED visit was higher in the order of direct ED visit, referred from outpatient department, transferred from other hospitals. The number of ED visit was high in the order of personal vehicles, 119 services, private ambulances, and by walking. The number of ED visit was higher when the stay time in the ED was shorter than 60 minutes than when it was more than 60 minutes. The number of ED visit was higher in the order of Tuesday-Friday, Monday, Saturday, and Sunday. The number of ED visit was higher in the order of return home, inpatients, and transferred to other hospitals. Patients with less than triage score 9(mild) were more likely visit ED than patients with 9(severe). Conclusion: As a result,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patients in the ED of REMC,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romote the alternative medical institutions that can be used in the local community in case of an emergency, so that the residents themselves do not use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In addition, medical use of non-emergent patients should be adjusted prior to use of the hospital, and a primary health care delivery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provide community-based integrated health care services.

      • KCI등재

        응급실 폭력예방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 고려대병원 응급실 사례 중심으로 -

        김민혜,박승배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Patients with a variety of disease visit ER, thus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and control infection and noise issues causing both medical staff and patients – the service provider and user – to easily feel fatigue in the ER. This causes conflict frequently which lead to ER violence. Although various solutions have been proposed to resolve such conflict, their marginal performance often makes the situation even worse. Therefore, the study of the service design to prevent the ER violence was executed as a part of emergency medical policy promotion of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iming to develop the ER violence prevention service which can be modularized in ERs across the nation, service design methodology,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used. To understand the context, the appropriate service design methodology such as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 and shadowing techniques are utilized. A total of 2 categories of solutions – ER violence prevention solution for immediate application, solution that has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of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KUMC), ER violence prevention solution for future application, and common solution applicable to all ERs – were derived. These solutions were applied to the KUMC Anam Hospital and surveyed the effectiveness and were used to survey the effectiveness.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cluding a variety of resources for general application of the service in ER. The study considering the unique environment of each ER is also necessary. Additionally, not only the long-term plan for accurate measurement of the effectiveness but also diverse and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takeholders is also needed. 응급실은 질병이 다양한 환자가 방문하여 환자의 특성을 예측하기가 어렵고, 감염이나 소음과 같은 문제들이 관리되지 않아 서비스 공급자와 이용자 의료진과 환자 모두 쉽게 피로감을 느낀다. 이로 인해 잦은 마찰이 일어나며 이는 응급실 폭력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되고 있지만 성과는 미미하며 오히려 역으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의 응급의료 정책홍보 중 응급실 폭력예방에 관한 것으로 응급실 폭력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을 연구 및 실행하였다. 전국의 병원 응급실에 모듈화 할 수 있는 응급실 폭력개선 서비스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로 질적 연구 방법론인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응급실의 맥락이해를 할 수 있도록 심층인터뷰, 관찰 및 따라다니기 기법 등 적합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고객여정맵, 이해관계자맵을 도출하였으며, 맥락적 조사로 수집한 정성적 요인들을 친화도 분석법을 통해 유사한 요인을 묶어 문제의 본질을 6가지로 규정하였다. 아이디어도출기법을 통해 도출된 아이디어를 2가지 범주의 솔루션으로 정리하였는데, 이는 고려대 병원에 당장 적용할 수 있는 응급실 폭력예방 솔루션, 추후에 적용 가능한 응급실 폭력예방 솔루션이다. 이를 고려대학 안암병원에 적용하여 1차 효과 인터뷰를 실시했으며, 응급실 방문경험이 있는 환자 및 보호자에게 2차 설문하였다. 일반적인 응급실 적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자료를 포함하여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정확한 효과 측정을 위해 응급실 내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응급실 폭력에 대한 관심 촉구가 필요하다. 더불어 응급실을 둘러싼 타 병원의 응급실간 연계, 경찰, 관련법 개정 등 다양하고 적극적인 이해관계자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응급실 폭력 행위의 현황과 개선방안

        박형곤 ( Park Hyeong-kon ) 한국융합과학회(구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20 한국융합과학회지 Vol.9 No.1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응급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응급상황에 처한 환자나 보호자의 여러 가지 특성으로 인해 응급실 의료진들에 대한 폭력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응급실 폭력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응급실 폭력에 대한 현황과 사례에 대하여 문헌적 고찰을 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응급실에서의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폭력 예방방안과 일반인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응급실 근무자는 환자나 보호자에게 환자의 현재 상태와 응급실 내원 후 진료 과정을 충분히 설명하고 이해하도록 하고 환자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해야 한다. 둘째, 응급실 종사자에게 폭력의 인지 및 예방과 올바른 대처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정기적으로 시행되며, 의료현장 및 응급실에서 폭력 사태에 대한 경찰과 병원 당국의 협조체계를 구축하여 적극적인 대처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3차 병원에서의 응급실 안전요원 배치를 통한 응급실 폭력에 대한 해결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경비인력 부족 등으로 효과적인 대응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응급실 경비전문 인력에 대한 교육과 충분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재정적 지원과 경찰과의 협조체계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는 현실적으로 응급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폭력으로부터 모두를 보호할 수 있다고 본다. Pu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and problems of emergency room violence in relation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emergency care and the increasing severity of violence against emergency room medical staff due to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patients or carers in emergency situations. Methods: This study gave a literature review of the current status and cases of violence in emergency rooms.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effective measures to prevent violence against the medical staff in emergency rooms and to the general public as follows. Firstly, emergency room workers should have patients or carers fully explain and understand the patient's current condition and post-emergency care processes and minimize patient wait time. Secondly, systematic education on the recognition and prevention of violence and the proper methods of coping with the violence are regularly conducted in emergency room workers,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of cooperation between police and hospital authorities against violence in the medical field and emergency room to take active measures. Third, efforts to address emergency room violence through the placement of emergency room safety personnel in tertiary hospitals are needed. However, no effective response is being made due to the lack of security personnel, and the government needs to improve financial support and cooperation with the police to secure sufficient manpower and education on emergency room security personnel. We believe that this can protect everyone from violence that can occur in the emergency room in reality.

      • KCI등재

        응급실 이용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안병기,이근찬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9 대한보건연구 Vol.45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응급실을 부적절하게 이용하는 환자들을 사전에 파악하여, 1차 의료 등을 이용하게 함으로써, 큰 병원 응급실 과밀화를 사전에 방지하고, 의료이용체계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5~2016년 한국 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의료이용 모델(Dutton의 의료이용 모형)을 이용하여 응급실 이용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형회귀분석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65세 이상 노인 환자, 자가용 및 택시 등을 이용한 환자, 감기 환자, 응급의료관리료 본인부담금을 공단이 부담한 환자, 병원급 이하 응급실을 이용한 환자들이 응급실 이용횟수에 영향력이 있었다. 결론: 응급실 이용횟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응급실 이용 보험기준을 정한 후, 적극적인 보건행정(보험행정)이 필요하고, 응급실을 지속적으로 자주 이용하는 암과 정신질환자 등은 1차 의료 제공기관 등에서 진료받도록 사전에 안내해주며, 응급실을 이용하기 전에 전화트리아지(Telepone Triage services) 등을 통해 환자의 흐름을 사전에 조정해주고, 응급의료관리료 환자부담 기준을 재설정하여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mobile팀을 운영하여, 응급 재택의료 이용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utilized Korean Medical Panel data from 2015 to 2016. The medical use model (Dutton 's medical use model) was us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for patients who frequently use the emergency roo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lderly patients aged 65 and over, patients using cars and taxis, patients with colds, and emergency room use fees were included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Patients paying by the insurance company and patients using emergency room below hospital were statistically influential in frequent use of the emergency room.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patients using the emergency room, it is necessary to set the frequency of use for the multi-use patient, and then an active insurance administration is required. In the case of emergency patients, Before the emergency room is used, the patient flow should be adjusted in advance through telephone triage, etc., and copayment should be reset. In the long term, Republic of Korea needs to run a mobile team that is working on emergency home care.

      • KCI등재후보

        응급실 폭력에 대한 대응 및 개선방안

        신승균(Shin, Seung-Gyoon) 한국민간경비학회 2016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5 No.2

        최근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건·사고로 인하여 공공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우려가 높아진 가운데 국민의 생명·건강과 직결된 급박한 응급처치가 이루어지는 병원 응급실 내에서의 취중난동 등 의료방해 행위로 인해 응급환자에 대한 진료가 지연되는 사례가 빈발하여 응급의료시설 내에 안전 확보를 위해 소란행위 발생 시에는 경찰의 신속한 출동 및 엄정한 대처가 필요하다. 병원 내에서 응급실은 폭력에 가장 많이 노출되어 있는 부서이지만 대부분의 응급의료기관에서 폭력예방을 위한 대처방안은 미흡한 실정이며, 응급실 종사자들은 폭력경험 으로 인해 안전에 대한 불안과 직무만족의 저하, 이직률의 증가, 의료서비스의 질적 저하 등을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에서의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폭력예방방안과 일반인들에 대한 제한사항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의사-환자 인식 개선 프로그램 마련이다. 둘째, 경찰과의 긴급 대응시스템 개선이다. 셋째, 민간경비시스템의 신속 대응시스템 마련이다.넷째, 응급실의 출입제한이다. 현재 응급실 폭력 방지에 대한 대응방안은 민간경비서비스의 확대차원에서 생각해 볼 문제이다. 민간경비가 병원 응급실 현장에서 활동하면서도 법률상 제한적인 규정으로 인해 민간경비서비스와 산업의 발전을 어렵게 하고 있다. 제한적이긴 하나 민간경비서비스가 경찰서비스의 영역을 보완하고 협력하는 가운데 영리성 추구와 더불어 사회적 공익추구를 뒷받침한다면 서로 상생할 수 있다고 본다. As there are much high social attention and concerns about public safety due to recent accidents that threat people's safety, frequent incidents occur where medical treatments for emergency patients are delayed due to unfortunate occurrence such as disturbance while drunk in the hospital emergency rooms where urgent first aid directly related to people's life and health is performed. This calls for immediate dispatch and strict responsive measures of the police to secure safety when such act of disturbance occur. Emergency room is the section that is most vulnerably exposed to violence in the hospital, and yet, very limited response measures are established for violence prevention. The staff in the emergency room experience insecurity due to violent incidents and this leads to fall of work satisfaction, rise of turnover rates and decline in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reventive measures for violence and restrictions to general public for the sake of medical team in the emergency room. First is the improvement in the awareness of doctor-patient relationship. Second is the improvement of emergency response system with the police. Third is the immediate response system of private security guard. Fourth is the limited access to emergency room. Responsive measures for violence prevention in the emergency room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xpansion of private security guard services. Private security guards work on site in the emergency room and yet the development of private security service and its industry is hindered by the legal limitation of the regulation. Co-existence of private security and police is possible, although limited, if the two cooperate and compensate in the areas of their services to pursue profit as well as public interest.

      • KCI등재

        응급실을 내원한 약물중독 자살시도자의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참여 영향요인

        윤인아(In Ah Yun),전미양(Mi Yang Jeon)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7

        목적: 본 연구는 국가에서 자살시도자의 자살 재시도를 예방하기 위해 시행하는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에 약물중독 자살시도자가 참여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방법: 본 연구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약물중독으로 자살을 시도하고 응급실을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참여자와 미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약물중독관련 특성, 치료관련 특성을 비교한 후향적 조사연구이었다. 결과: 약물중독 자살시도로 응급실을 내원한 대상자는 416명이었으며,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참여자는 246명(59.1%), 미참여자는 170명(40.9%)이었다. 사후관리사업 참여자와 미 참여자간에 정신질환(χ2=124.91, p<.001), 내원시간(χ2=8.92, p=.030), 수축기혈압(χ2=4.71, p=.030), 중등도(χ2=12.42, p=.006)에 차이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약물중독 자살시도자의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참여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살시도자를 최초 면담하고, 퇴원교육을 실시하는 응급실 간호사의 자살시도자 대응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과 자살시도자가 응급실 퇴원 후 지역사회 상담기관과 연계할 수 있는 행정시스템의 개발 등 자살 재시도를 방지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participation of drug intoxication suicide attempters in emergency room-based post-suicide attempt care program for suicide attempters, which is implemented by the country to prevent re-attempts by suicide attempters. Method: This study targeted suicide attempters who attempted suicide by drugs intoxication and visited an emergency room from January 1, 2020 to December 31, 2021.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that compa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rug intoxication-related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related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an emergency room-based post-suicide attempt care program. Results: There were 416 subjects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due to suicide attempt drug intoxication. 246 (59.1%) participated in the emergency room-based post-suicide attempt care program and 170 (40.9%) did not participate.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emergency room-based post-suicide attempt care program was significant difference mental illness was significant difference mental illness (χ2=124.91, p<.001), hospital visit time (χ2=8.92, p=.030), systolic blood pressure (χ2=4.71, p=.030), and moderate severity (χ2=12.42, p=.006).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of drug intoxicated suicide attempters in the emergency room-based post-suicide attempter care program,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emergency room nurses who initially interview suicide attempters and provide discharge education to respond to suicide attempters. We also suggest developing strategies to prevent suicide re-attemp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an administrative system that allows suicide attempters to connect with community counseling organizations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emergency room.

      • KCI등재

        응급실 간호사의 건강신념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민경,김현영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4 간호행정학회지 Vol.20 No.2

        목적: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낙상예방활동의 수준을 파악하고, 건강신념(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성과 행동계기)을 기반으로 낙상예방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며, 2개 권역응급의료센터, 4개 지역응급의료센터와 2개 지역응급의료기관 응급실에 근무하는 127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0.0으로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응급실 간호사의 낙상예방활동의 평균 점수는 3.78±.50점이었다.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신념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30.8%이었다.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유익성과 행동계기는 낙상예방활동과 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며, 지각된 심각성과 응급실 경력 순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결론: 응급실 간호사의 낙상예방활동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낙상예방활동의 지각된 유익성을 높이기 위한 행동계기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응급실에 배치된 지 1년이 안된 간호사와 5년 이상의 경력이 많은 간호사, 지역의료기관에 소속된 간호사를 대상으로 낙상예방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fall prevention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ER) nurses based on their health belief factors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arriers, and cues to action).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using questionnaires which were given to 127 emergency room nurses from two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four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s, and two local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with LSD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ER nurses' fall prevention activities had a mean of 3.78±.50. Eigh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lief factors accounted for 30.8% of the fall prevention activities. Fall prevention activitie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affected by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perceived benefits, and cues to action and negatively affected by factors, such as ER career and perceived severity.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 plan for enhancing perceived benefits and cues to action to improve fall prevention activities. In addition, fall prevention activities should be encouraged for ER nurses who have worked in local medical institutions for less than 1 year or more than 5 years.

      • KCI등재

        내과 입원결정권이 응급실 체류에 미치는 효과

        이성근,강영준,송성욱,강정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Backgrounds: Overcrowding in emergency department is a global problem that cause the deterioration of medical service quality, delay in treatment and dissatisfactions of patients and medical staffs. We studied the effect of admission decisions on ED Length of stay(LOS) and mortal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dult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department(ED) from January 2013 to September 2016. The decision to admit to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d been made by duty doctor, but emergency physician have decided whether patients were admitted since March 2015.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e control and the intervention group. Comparison of ED LOS between both groups was assessed with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primary outcome was defined as ED LOS and the secondary outcome as mortality in ED. Results: The primary outcome generally decreased in intervention group. ED LOS was shortened by 11.74 minutes, time of deciding admission by 19.55 minutes and time of waiting for admission by 12.6 minut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rtality between both groups. Conclusions: The decision of admission to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by emergency physician has the effects of shortened the ED LOS, time of deciding admission and time of waiting for admission. 서론: 응급실 과밀화는 전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문제로 의료 서비스 질 저하, 만족도 저하를 초래하며 사망률을 악화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일개 대학병원 응급실에서 입원 정책이 변경된 시점의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여 입원 결정권이 응급실 재원시간 및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015년 3월 이전에는 내과 협진을 통하여 입원 결정을 하였으나 이후에는 응급의학과 의사가 입원 결정을 하였다. 새로운 내과 입원 정책이 적용되기 이전과 이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재원시간과 사망률을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새로운 내과 입원 정책이 적용된 후 응급실 체류시간은 11.74분, 입원결정 소요시간은 19.55분, 입원대기시간은 12.6분 감소하였다. 두 집단간에 사망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응급실에 내원한 내과 환자의 입원을 응급의학과 의사가 결정한 후 응급실 체류시간, 입원결정 소요시간, 입원대기시간 모두 단축되는 효과를 보였다.

      • KCI우수등재

        응급실 과밀화 해결을 위한 데이터 분석 기반 응급실 혼잡도 예측 모형 연구

        김벼울(Byeo Wool Kim),윤용익(Yong Ik Yoo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8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9 No.5

        본 연구는 전국에 있는 414개 응급의료센터의 2017년 자료를 토대로 응급실의 특성 및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응급실 혼잡도를 실시간으로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했다. 예측모형 개발에는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다중선형회귀분석, 부분집합선택, 능형회귀, Lasso, 주성분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주성분회귀분석이 가장 높은 예측력을 보였다. 또한, 예측모형을 개발하는데 있어 전체 응급의료 기관을 기준으로 한 예측모형(92.73%) 보다 응급의료기관 유형에 따라 세분화한 예측모형의 예측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가장 혼잡한 유형인 권역의료센터의 예측정도는 97.37%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응급실 혼잡도 예측모형은 응급실 간의 지역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응급실 과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developed a model that predicts the congestion of the emergency room in real time based on the 2017 data of 414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nationwide. In the development of the predictive model, data mining techniques such a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ubset selection, ridge regression, Lasso and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were applied, and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method showed high prediction power. The predictive power of the subdivided prediction models (especially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97.37%)) according to the types of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edictive model based on the entire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92.73%). The emergency room congestion predictive model developed in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olve the problem of overcrowding of emergency room and form a regional network between the emergency rooms.

      • KCI등재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가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산나(San-Na Lee),김선하(Seon-Ha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3

        본 연구는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가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중소병원 응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43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으로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인구사회학적특성, 근무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변수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 차이는 평균비교분석, 관련성은 상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은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단변수분석 결과 연령, 응급실 경력, 직위, 근무형태, 타 부서 이동의향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는 환자안전관리활동과 유의한 중간 정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48), 감정노동은 환자안전관리활동과 유의하지만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19). 회귀분석결과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직무스트레스, 응급실 근무 선택 여부였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7%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응급실 근무가 타의 선택일 경우 환자안전관리활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향상을 위해 직무스트레스 관리와 개인의 요구에 따른 부서 배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emergency room nurs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143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room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As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emotional labor, job stres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work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by age, experience in emergency room, position, work pattern, and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department. In th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job stress and choice to work in the emergency room,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27%.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lower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manage job stress arrange departments according to individual needs to improv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es in the emergency room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