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6세 일반아동 및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음운인식 및 음운처리 능력이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신영(Shinyoung Kim),손진경(Jinkyeong Son),임동선(Dongsun Yim) 한국음성학회 2020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2 No.1

        음운인식은 음운론 영역의 상위언어인식 능력으로, 읽기 및 어휘력 등의 언어능력을 예측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음운인식 능력과 기타 음운처리 능력, 그리고 언어능력 간의 관계를 일반아동 집단과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 간 비교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4~6세의 언어발달지연 아동(n=15)과 일반아동(n=18)을 대상으로 음운인식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음절수세기, 음절탈락, 음절변별 과제를 실시하였다. 또한 비단어 따라말하기, 숫자 거꾸로 회상하기의 두 가지 음운처리 과제와 수용 및 표현어휘력, 문법성판단 과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언어능력을 예측하는 음운인식 하위과제가 무엇인지 검토하였다. 음운인식 하위과제 중 음절수세기를 제외한 음절탈락, 음절변별 과제 수행력의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또한 일반아동 집단은 음절탈락과 숫자 거꾸로 회상하기, 음절변별과 수용어휘력 과제 수행력 간 상관관계가 유의하였으며,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은 음절수세기 과제와 숫자 거꾸로 회상하기, 수용어휘력, 표현어휘력, 문법성판단 과제의 수행력 간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그리고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일반아동 집단은 음절변별 과제가 수용어휘력 및 문법성판단 과제 수행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은 음절수세기 과제가 수용어휘력, 표현어휘력, 문법성판단 과제 수행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음절수세기를 제외한 나머지 음절 수준의 음운인식 과제의 수행력이 저조하였으며, 이러한 특징이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 결과에도 반영되었다. 또한 각 집단에서 음운인식 과제 수행력이 언어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음운론 영역의 상위언어인식 능력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Phonological awareness is a metalinguistic awareness ability of phonology and is known to predict language skills, such as reading and vocabulary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processing, and language skills in 4- to 6-years-old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and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LD). A total of 32 children (TD=18, LD=15)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performed a phonological awareness task consisting of counting, deletion, and discrimination at syllable level. Nonword Repetition, Digit Backward,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and Grammaticality Judgment Task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processing, and language ability. A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honological awareness subtasks that predict language ability. In the TD group, the syllable categorization task significantly predicted the receptive vocabulary and the performance of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ask. The LD group showed that the syllable counting task significantly predicted the receptive vocabulary, the expressive vocabulary, and the performance of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honological awareness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Further,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different results for each group. The result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performance predicted the language ability of each group significantly,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the meta-linguistic awareness ability of phonology.

      • KCI등재

        단어 읽기 과제에서 초등 2학년과 5학년 아동의 음운규칙 적용능력의 비교

        임유진(Yoo-Jin Lim),김영태(Young-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단어 읽기 과제를 통하 여 초등 2학년과 5학년 아동의 음운규칙 적용능력을 단어의 의미 유무와 학년에 따라 비교하여 살 펴보았다. 방법: 서울 · 경기 초등학교 2, 5학년(학년 별 41명씩, 총 82명) 학생을 대상으로 8개의 음 운규칙이 적용되는 유의미 단어와 무의미 단어(의미 유무별 48개씩, 총 96개) 읽기 과제를 실시하였 으며 아동의 읽기 발화를 전사하여 음운규칙 적용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유 · 무의미 단어 목록의 제시 순서에 따라 2학년 아동은 음운규칙 적용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5학년 아동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총 음운규칙 적용도는 단어의 의미 유무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학년에 따른 음운규칙 적용도의 차이는 무의미 단어내에서만 나타났다. 셋째, 2학년과 5학년 아동 모두, 무의미 단어보다 유의미 단어에서 모든 음운규칙의 적용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리고 단어의 각 의미 유무 내에서 학년에 따라 더 잘 적용되는 음운 규칙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동일 학년과 단어의 동일 의미 유무 내에서도 음운규칙 간 적용되는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읽기의 평가 및 중재 시 음운규칙의 적용에 대해 살펴볼 때 유 · 무의미 단어의 제시 순서와 단어의 의미 유무에 따른 음운규칙 적용도의 차이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학년에 따라 잘 적용되는 음운규칙이 있으며, 음운규칙 간에도 더 잘 적용되 는 음운 규칙이 있음을 파악함에 따라, 잘 적용되는 음운규칙의 순서를 고려해 중재 및 평가의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겠다. Background & Objective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bility of 2nd graders and 5th graders to apply phonological rules through reading exercises. We also considered whether the words had meanings or not. Methods: Eighty-two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41 students in 2nd grade and 41 students in 5th grade). The reading exercises consisted of 96 nouns, each with two syllables, to which eight phonological rules were applicable. Each category was sub-divided into ‘meaningful’ and ‘meaningless’ word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were observed in the 2nd graders, according to the orders of meaningful words on the lis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were observed in students in both grades, depending on whether words had meanings or not in each rule. The 5th graders had an increased ability to apply phonological rules to both meaningful and meaningless words than the 2nd graders. In addition, the total applicability of phonological rules of meaningless word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5th graders than in the 2nd graders in reading assignments. We also observed the differences in the applicability level of phonological rules in the same grades and meanings of words. Discussion & Conclusion: The orders in which the words were presented should be considered when evaluating children’s reading abilities. The differences in a student’s ability to apply phonological rules to either meaningful or meaningless words should also be considered. Furthermore, due to the different applicability levels among phonological rules, it is important to prioritize the phonological rules when establishing reading evaluations and intervention plans.

      • KCI등재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in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김나연(Na-Yeon Kim),하지완(Ji-Wan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조음음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음운표상의 질(quality of phonological representation, QPR)과 음운표상 부호화 능력을 비교하여 조음음운장애아동의 말처리과정 상 나타나는 기저의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4, 5, 6세 조음음운장애아동 20명, 일반아동 20명을 선정하였다. QPR 비교를 위하여 음운표상 판단과제를, 음운표상 부호화 능력 비교를 위하여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음운표상 판단과제에서는 두 집단 간 정반응 점수와 반응시간을 비교하였고,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에서는 따라말하기의 정확도와 오류유형의 비율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집단 내에서 음운표상 판단과제 수행력과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 수행력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음운표상 판단과제에서 조음음운장애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보다 정반응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지만, 반응시간에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에서 조음음운장애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보다 따라말하기의 정확도가 유의하게 낮았지만, 오류유형의 비율에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에서 두 과제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논의 및 결론: 조음음운장애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보다 QPR 자체가 미성숙할 뿐 아니라, 음운표상을 부호화하는 능력 또한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에서 두 집단 간 오류유형 비율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운표상 능력은 일반아동과 질적으로 다른 것이 아니라 단지 음운표상을 활용하고 접근하는 경로가 취약하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underlying difficultie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phonological disorders in their speech process by comparing the quality of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QPR) and the ability to encode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to that of normal children. Methods: A phonological representation judgment task and a non-word repetition task were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QPR and their encoding ability in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respectively. With regard to the task of judgment in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the scores of correct responses and reaction times were examined. Regarding the non-word repetition task,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repeated accuracy and the percentage of error types were analyzed. Th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asks was analyzed for each group. Results: In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judgment task,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correct response scor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reaction time. In the task of non-word repetition, the degree of repetition accuracy for children with articulation/phonological disorders was significantly low as compared to that of normal childre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of error typ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asks of both groups. Conclusion: The children with articulation/phonological disorders had less distinct and less accurate QPR than normal children, and the former’s ability to encode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were lower than the latter’s ability quantitatively but not qualitatively.

      • KCI등재후보

        학교 문법에 있어서 음운 자질의 설정에 대한 연구

        이관규 우리말학회 2004 우리말연구 Vol.14 No.-

        본 논문에서 필자는 학교 문법에 음운보다 작은 음운 자질이라는 문법 단위를 설정해야 할 필요성을 피력하였다. 음운 자질을 어떤 음운이 지니고 있는 고유한 특성이라고 보고, 주요 부류 자질, 조음 방법 자질, 조음 위치 자질, 후두 자질, 운율 자질로 대분류하였다. 또한 음운 자질로만 설명이 가능한 음운 변동 현상들을 살펴보았는데, 특히 구개음화, 유음화, 된소리되기, 사잇소리 현상 등을 타당성 있게 설명하려면 음운 자질이 필요함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 KCI등재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

        정필연(PilYeon Jeong),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조음음운장애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음운인식능력이 더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음운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의 관계에 관해서는 상반된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조음음운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두 집단 간 음운인식능력과 외현적 학습 및 암묵적 학습능력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음운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연구대상은 32명으로 생활연령 평균 70.81개월의 일반아동 16명, 생활연령 평균 70.62개월의 조음음운장애아동 16명이 참여하였다. 카우프만 아동지능검사 II, 수용 및 표현어휘력 검사, 우리말 조음•음운 검사, 음운인식능력, 순서학습과제(정확도, 암묵적 학습능력)를 평가하였다. 결과: 첫째,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은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나타내었다. 둘째,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순서학습 정확도와 암묵적 학습능력은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나타내었다. 셋째,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과 정확도에서는 유의한 상관이 있고, 음운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조음음운장애의 평가 시 음운인식능력과 함께 외현적 학습 및 암묵적 학습능력을 고려하고, 음운인식능력의 중재에서 외현적 학습이 음운인식능력 발달을 촉진하므로 이에 대한 중재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Objectives: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APD) have impaired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awareness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are associ¬ated with the same brain regions. Controversi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hono¬logical awareness and implicit learn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implicit learning between children with APD and normal children. The main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in children with APD. Methods: A to¬tal of 32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Sixteen children with APD (70.81 months) and 16 matched normally developing (ND) children (70.62 months) were administered five tests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Korean Children-II,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sequence learning test and the phonologi¬cal awareness test). Results: There were three main findings. First, the phonological aware¬ness score of children with AP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equence learning task (accuracy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of the two groups. Lastly, children with APD and ND had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sequence learning accuracy and phonological awareness.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evaluation of sequence learning and pho¬nological awareness are useful clinical approaches for studying APD.

      • KCI등재

        국어(國語)의 음운론적(音韻論的) 단어(單語) 재고(再考)

        김지은(金志垠) ( Kim Ji-e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1

        본 연구는 1)국어 연구에 사용되어 온 음운론적 단어의 쓰임과 개념을 검토하고, 2) 국어 음운론적 단어의 적절한 정의를 찾기 위해 진행되었다. 1) 음운론적 단어는 음운 규칙이나 제약의 적용 범위, 형태 · 통사적 단어의 성격에 관한 판단 근거, 굴절어를 기준으로 한 단어 개념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장치, 단어음운론을 넘어 발화음운론으로 나아가기 위한 기본 단위의 네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런데 정작 음운론적 단어의 외연은 합의를 이루지 못한 채 논의에 따라 띄어쓰기 단위, 의존적인 구성 요소는 앞선 요소의 일부로 보는 띄어쓰기 단위, 실현된 휴지를 경계로 하는 단위의 상이한 모습으로 등장함이 확인되었다. 이에 본고는 음운론적 단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개념인 휴지와 어절의 개념을 검토하여 음운론적 단어의 정의를 ‘음운론적 어휘소를 하위 단위로 하며, 양 옆에 휴지가 실현된 단위’로 다듬었다. 이는 기존 음운론적 단어의 여러 외연 중 하나인 실현된 휴지를 경계로 하는 단위를 지지한 결과였다. 남은 두 외연은 결국 형태론적 단위로서 각기 단순어절, 복합어절 등 기존의 형태론적 용어로 투명하게 부르는 것이 더욱 합리적인 용어 사용이라고 보았다. In this present study, a) we review how phonological word (‘p-word’) has been defined and used in Korean Linguistics, b) based on which we examine the clear-cut notion of p-word in Korean. We first show that p-word has four major roles in Korean linguistics: a domain to apply phonological rules or constraints, a criterium to judge the boundary of morphological or syntactic words, a bridge to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word that was first developed based on inflecting languages, and a scaffold to the utterance-level phonology. We then suggest that p-word has been used to refer to three different units, some of which are morphological, not phonological, which led to a vicious circle. More specifically, p-word referred to one of the following three units across studies: a) a lexical item and its following postpositions or case markers, b) a lexical item and all following bound forms, c) a phonological unit marked by a physical pause. Based on the above review, we claim that 1) the notion of p-word should be restricted to phonological units and b-2) both connotation and denotation of p-word should be merely phonological. Sequentially, in order to re-define p-word, we examine the notion of pause and eojeol, the key concepts that have been adopted to define p-word in the literature. Finally, we defined p-word in Korean as ‘a unit marked by a physical pause, consisting of (a) phonological lexeme(s)’ in support of the third connotation of p-word: a phonological unit marked by a physical pause. Finally, two remaining connotations were assigned to simple eojeol and compound eojeol, respectively, in consideration of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

      • KCI등재

        음운론과 형태론의 접면에 대한 일고찰

        홍희정 어문연구학회 2023 어문연구 Vol.116 No.-

        Phonology and morphology are separate branches of linguistics that are strictly distinct. However, when observing the linguistic phenomenon that actually appears in modern Korean, it can be seen that it is difficult to explain completely the phenomenon by choosing only one subfield. In particular, the alternation of morpheme has been drawn a lot of attention as one of the phenomena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of phonology and morphology. The alternation of morpheme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phonemes at the boundary change into other phonemes when morphemes and morphemes are combined, and the issue of whether it belongs to the domain of phonology or morphology has been discussed. In this process, the establishment of ‘morphophonology’, a new field that deals only with the alternation of morpheme, was also discussed. However, considering the problem of the unit called morphophoneme, it can be seen that the establishment of morphophonology is unnecessary. Accordingly, this study discussed the properties of the interface of phonology and morphology and the phonological phenomenon in irregular conjugation, one of the examples of such interfaces. It is certainly true that there are interfaces between phonology and morphology, which overlap each other, and through the linguistic phenomenon corresponding to these interfaces, we can understand phonology and morphology at a higher level. The phonological phenomenon in irregular conjugation is a representative linguistic phenomenon that can understand the interface between phonology and morphology. Unlike the regular conjugation, the phonological phenomenon that occurs in irregular conjugation is difficult to explain the combination of the stem and the ending with synchronic phonological rules or constraints. It is also impossible to generalize the phonological environment of predicates that shows the same pattern. Therefore, by examining the phonological phenomenon in irregular conjugation, it is possible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rface of phonology and morphology. 음운론과 형태론은 엄밀히 구분되는 별개의 언어 부문이다. 그런데 현대국어에서 실제로 나타나는 언어 현상을 관찰하다 보면, 하나의 하위 부문만을 택하여 그 현상을 온전히 설명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형태소의 교체는 음운론과 형태론의 접면에 해당하는 현상 중 하나로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형태소 교체는 형태소와 형태소가 결합할 때 그 경계에 놓인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변동하는 현상으로서, 이를 음운론의 영역에 속한다고 볼 것인지 형태론의 영역에 속한다고 볼 것인지의 문제가 논의되어 왔다. 이 과정에서 형태소의 교체만을 다루는 새로운 부문인 ‘형태 음운론’의 설정이 논의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형태 음운이라는 단위의 문제 등을 고려하면 형태 음운론의 설정이 불필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음운론과 형태론의 접면이 가지는 속성과 그러한 접면의 예 중 하나인 불규칙 활용에서의 음운 현상을 논의하였다. 음운론과 형태론 사이에 서로 겹치는 부분인 접면이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고, 이러한 접면에 해당하는 언어 현상을 통해 음운론과 형태론을 보다 높은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불규칙 활용에서의 음운 현상은 음운론과 형태론의 접면을 이해할 수 있는 대표적인 언어 현상이다. 불규칙 활용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은 규칙 활용과는 달리 어간과 어미의 결합을 공시적인 음운 규칙이나 제약 등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같은 양상을 보이는 용언들의 음운 환경을 일반화할 수도 없다. 따라서 불규칙 활용에서의 음운 현상을 살핌으로써 음운론과 형태론의 접면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다.

      • KCI등재

        Development of Phonological Representation in Typically Developing Preschoolers

        김나연(Na-Yeon Kim),권상남(Sang-Nam Kwon),정일권(Il-Kwon Jeong),맹현수(Hyun-Su Meng),하지완(Ji-Wan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3

        배경 및 목적: 장기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단어의 음운정보인 음운표상은 연령이 높아지면서 더욱 세분화, 정교화되고, 이에 따라 어휘 각각에 음운적 뚜렷함과 변별성이 생기게 된다. 음운표상의 결함은 어휘 습득 및 인출 문제, 읽기장애, 말소리장애 등과 같은 여러 말-언어장애를 초래하는 요인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일반아동들을 대상으로 음운표상의 발달과정을 살펴보고, 음운표상의 정확성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아동들이 어떠한 음운적 정보를 활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4, 5, 6세 일반아동 54명을 대상으로, 음운표상 판단과제를 실시하여 정반응 점수와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조작된 말소리 조건에 따라 대상자들의 정반응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음운 단위, 단어 및 음절 내 분절음 위치, 변별자질과 같은 여러 가지 면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말소리들을 조작하였다.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음운표상 판단과제를 수행하는 데에 판단의 정확도는 증가하였고, 반응시간은 빨라졌다. 그리고 이러한 수행력의 차이는 4세 집단과 6세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음소 단위의 조작보다 음절 단위의 조작에서, 한 음소의 조작보다 두 음소의 조작에서, 종성 조작보다 초성 조작에서 아동의 판단 수행력이 유의하게 좋았다. 논의 및 결론: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유사한 음운표상 간의 음운적 변별성을 판단하는 능력이 높아졌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음운적 뚜렷함, 즉, 음운표상의 질(quality of phonological representation)이 견고해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조작된 말소리 조건에 따른 아동들의 음운표상 판단과제 수행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아동들은 음소 단위의 음향-음성학적 명료성에 근거하여 음운표상의 정확성을 발달시켜 나가는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and to determine what kinds of phonological information children use to develop accuracy in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in typically developing preschoolers. Methods: Phonological representation judgment tasks (PR judgment task) were given to 54 children aged 4-6 years and their phonological representation abilities were examined in correct response scores and reaction time. To examine whether the subjects' correct responses vary with manipulated phonological conditions, stimuli were manipulated in diverse methods considering various aspects, such as phonological units, segment positions in words and syllables, and distinctive features. Results: The accuracy in the performance of PR judgment tasks increased, and reaction time was shortened with increasing age. These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perform the task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four-year-old children group and the six-year-old children group. The ability to perform judgment was significantly better in conditions manipulated by syllable than by phoneme, in conditions manipulated by two phonemes than by one phoneme, and in conditions manipulated by syllable-initial consonants than by syllable-final consonan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honological distinctiveness, that is, the quality of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is improved over time. When the results of children's performance of PR judgment tasks under different manipulated stimuli a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children are thought to develop accuracy in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based on acoustic-phonetic clarity of phoneme units.

      • KCI등재

        음운인식 진단·평가 모형 개발

        석동일(Dong II Seo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1 No.3

        최근 들어 음운인식은 언어장애 아동의 문해력(literacy) 기술 뿐만 아니라 언어능력 발달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외에서는 표준화된 여러 검사 도구들로 음운인식 능력을 진단․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표준화된 검사 도구가 없어 음운인식 진단․평가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운인식 진단․평가 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음운인식 검사 도구에 포함되어있는 하위 과제 유형과 수, 과제별 문항 수, 과제 수행 방법 그리고 음운인식 진단․평가의 부가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 포함되어 있는 평가 영역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국내외적으로 음운인식 검사 도구의 하위 과제 유형에는 음절, 음절체-각운, 음소 순으로 변별, 분절, 탈락, 합성이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음운인식 검사 도구의 하위 유형에는 음소수준의 초성, 중성, 종성 변별이 국외 검사 도구와 달리 주요한 하위 과제 유형으로 나타났다. 하위 과제의 수는 검사 도구의 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4~10개이며, 과제별 문항 수는 음절 및 음절체-각운 보다 음소수준에서 더 많았다. 과제 수행 방법은 대부분 피검자의 산출 반응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운인식 진단․평가의 부가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 포함되어 있는 평가 영역은 음운재부호화(phonological recoding), 음운부호재생(retrieval of phonological code), 글자지식(letter knowledge), 읽기 그리고 쓰기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음운인식 진단․평가를 위해 우선적으로 음운인식 검사 도구를 개발하되 이상의 구성적 및 방법적 특징을 고려해야 한다. The phonological awareness refers to the ability to recognize that speech is made up of sentences that can be broken down into words, syllables, intrasyllabic units, and phonemes and is the ability to talk about, reflect upon, and manipulate these component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has naturally been associated with the ability to read and spell. Therefore, the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ASHA) asserted that speech-language pathologist should take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literacy for these children. Nevertheless, we lack a standardized assessment test of phonological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evaluation and assessment model for phonological awareness. We primarily analyzed the task of phonological awareness, number of tasks, number of items each task and children response acts followed direction, and subsequently investigated other factors that might be associated with phonological awarenes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mon tasks of phonological awareness were discrimination, segmentation, deletion and blending in syllable, rhyme and phoneme level. Particularly, in Korea, tasks examined initial consonants, middle vowel, and final consonants discrimination. Common tasks employed 4~10 tasks and production response. More items were included at phoneme level tasks than at syllable level. Second, additional tasks examined phonological recoding, retrieval of phonological code, letter knowledge, reading and writing.

      • KCI등재

        초등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운규칙 교육 연구 ­『표준 한국어』를 중심으로

        김혜영 영주어문학회 2019 영주어문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teaching method of phonological rules i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KSL Learners. Phonological rules are the main content elements of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along with phonemes. In this paper, we discussed why phonological rules education is necessary in KS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honological rules education in Standard Korean Languag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 contents, it is more similar to the pronunciation learning of individual words than the phonological rule learning, and the order of learning phonological rules is not considered, and the unit of learning phonological rules is morphological word centere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consists only of the activities of listening to and following limited language materials,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learners to understand the phonological rule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proposed phonological rules education methods for Elementary KSL Learners. In terms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phonological rules to be learned at the beginner level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difficulty of the phonological rules, frequency of use, and school age and the sequence with Korean subjects, and it was suggested to expand the presentation unit of the phonological rule to a phonological word, phonological phrase and intonational phrase. In terms of the teaching methods, it was suggested to supplement the explanation function by using visual materials, and the practice of teaching-learning methods consisting of ‘exposure-explanation–practice’ was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한국어(KSL)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발음 교육에 서 음운규칙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음운규칙은 음소와 함께 한국어 발음 교육의 주요 내용 요소이다. 본고에서는 초등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운규칙 교육 의 필요성을 논하고, 한국어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용 표준 한국어』 교재의 음운규칙 교육 내용 및 방법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내용의 측면에서는 음운규칙 학습이라기보 다 개별 단어의 발음 학습에 가깝고, 음운규칙의 학습 순서가 고려되지 않았으며, 학 습 단위가 형태론적 단어 중심이다. 교수­학습 방법은 제한된 언어 자료를 듣고 따 라 읽는 활동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학습자가 음운규칙을 이해하기 어렵다. 본고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초등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운규칙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음운규칙 교육 내용의 측면에서는 음운규칙의 난이도, 사용 빈도, 학령 및 국어 과목과의 계열성을 고려하여 초급 과정에서 학습할 음운규칙을 선정하고 그 순 서를 설정하였으며, 음운규칙의 제시 단위를 음운단어, 음운구, 억양구로 확장할 것 을 제안하였다. 음운규칙 교육 방법의 측면에서는 교수­학습 방법에서 시각 자료를 활용하여 설명의 기능을 보완할 것을 제안하고, ‘노출­설명­연습’으로 구성된 교수 ­학습 방법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