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기질환 아동을 위한 환경적 지지모델(The 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erapy)에 근거한 음악치료사례연구

        전미혜,Jun, Mi Hye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5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2 No.2

        Terminal pediatric patient include congenital metabolic abnormalities, chromosome aberrations, congenital anomalies, neuromuscular diseases and other incurable conditions as well as malignant tumors. One third of these diseases are cancers, and two thirds of cancers are lymphadenoma and leukemia. Terminal pediatric patient may feel fear, anger and frustration against treatment process in hospitals, lose control of themselves and stay in helplessness due to restrictions within controlled hospital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ized childrens behavior and music using 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erapya theory stating therapeutic music environments possess three elements of Structure, Autonomy support and Involvement, and increase childrens active engagement. Focused on these three therapeutic elements, this study analyzed music therapy cases of terminally ill childre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behavior and music as environmental supportive medium in the environment. This study is on a single case case subject, a 10-year-old girl with acute lymphocytic leukemia. Nine sessions of music therapy activitie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using qualitative method. Focusing on three therapeutic elements of Contextual Support Model, analysis of sessions was made on the basis of activitie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is study. Main music therapy activities included singing while playing musical instruments, singing while listening to music through CD player, making up songs, and searching for song lin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in terms of Structure, music therapy suggested a direction for effective musical activities for terminally ill children by providing environments where child can sing, play musical instruments and make up songs; b) in terms of Autonomy support, music therapy encouraged childs voluntary participation by giving her chances to make choice while singing 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c) in terms of Involvement, child could gain positive approval of the therapist and conduct musical activities in cooperation with the therapist. Music therapy serves as supportive medium in the environment, develops spontaneity and self-reliance in emotionally depressed children, and promotes voluntary attitudes in the restricted hospital environment. Based on the positive effects of music therapy, mor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approach to more various terminal pediatric patients. 아동에게 있어서 말기 질환의 범위는 악성종양을 비롯하여 선천성 대사이상, 염색체 이상, 선천성 기형, 신경근육계 질환, 기타 다른 불치의 상태까지 포함한다. 병원환경에서 이러한 말기 질환 아동은 질병의 치료 과정과 관련하여 공포심, 분노, 좌절감을 경험할 수 있으며 통제된 병원 환경안에서 자율성을 제한받기 때문에 통제감을 상실하고 무기력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지지 모델(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terapy)을 중심으로 음악치료가 병원환경에 있는 말기질환자들의 정서 및 기능 변화에 긍정적 변화를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환경적지지 모델 음악치료는 음악 환경의 구조적인 특성(structure), 자발성 지지(autonomy support) 그리고 참여(involvement)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치료적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음악 환경은 아동의 활동을 지지하고 격려하도록 도와준다. 이 세 가지 치료적 요소를 중심으로 하여 본 연구는 말기질환 아동과의 음악치료사례를 분석하여 말기 질환 아동의 행동이 환경적 지지 역할을 하는 음악 안에서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10살의 급성 림프성 백혈병 여아로 총 9회의 세션을 통한 음악 치료 활동 내용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내용분석은 환경적 지지모델의 세 가지 치료적 요소 중심으로 본 연구자가 설정한 행동들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환아와의 주 음악 치료 활동은 악기 연주하며 노래부르기, CD플레이어로 노래 들으면서 노래 부르기, 노래 만들기, 노래 가사 탐색하기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경적인 구조적 특성(Structure) 측면에서는 음악치료는 노래를 부를 수 있는 환경과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음악 만들기 활동을 할 수 있는 준비를 해줌으로써 아동이 성공적으로 음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자발성 지지(Autonomy support) 측면에서 음악치료는 노래를 부르거나 악기를 연주할 때 여러 가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여(Involvement)의 측면에서는 치료사가 아동에게 긍정적인 강화를 제시함으로써 아동이 긍정적으로 경험하고 공유된 활동 안에서 치료사와 상호 협력적으로 음악활동을 진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음악치료는 환경적으로 지지 역할을 하며 정서적으로 위축되어있는 아동에게 자발성과 독립성을 개발시켜주고 병원 환경이라는 제약된 환경 안에서 자율성을 촉진시켜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음악 치료의 효과를 근거로 하여 입원 환경에 있는 아동들을 위한 더 다양한 접근 방법의 음악치료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국내 일반 및 장애 아동 관련 음악치료 학위논문 유형분석

        이미경(Lee Mi Kyung)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3 No.2

        인간의 발달 과정에서 음악은 의미 있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아동들은 음악을 통한 여러 활동에 참여함으로 발달 영역별 기술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음악적 환경은 아동들의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동의 치료나 교육에 음악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었으며, 우리나라 음악치료 영역에 있어서 주 임상 대상은 발달 영역의 지연이나 장애를 가진 아동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의 주 임상 대상인 아동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연구되어진 논문들을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국내 아동관련 음악치료 연구의 경향과 흐름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대상 논문은 음악치료 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학교의 논문으로 일반 및 장애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한 논문 90편 을 선정하여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의 목표 영역, 음악적 개업별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별로 살펴보면 장애 아동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장애 아동 중에서는 자폐 아동 위주로 연구가 치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최근에는 장애아동 뿐만 아니라 일반 아동 대상의 연구도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유형별로 살펴보면 기술연구에 비해 실험연구가 많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의 목표 영역별로 살펴보면 사회 영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정서 영역, 언어 영역, 인지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적 개업별로 살펴본 결과 많은 연구에서 특정한 음악적 기법을 사용하기 보다는 노래 부르기와 악기 연주 위주의 음악적 개입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 음익치료의 주 임상 대상인 아동과 관련된 연구의 경향을 알아봄으로써, 지금까지의 학문적 연구 성과와 보완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앞으로의 아동 대상 음악치료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Music plays significant roles in th e process of hwnan development. The requirement in each process of development can be encouraged by children s partidpating in various musical activity and so the musical circwnstance can make an important factor. Acknowledging thlat , there were some attempts to use music as a means of treatment or education for children. The subjects of clinic studies in music therapy, especially in Korea, have mainly been children with delay or disability in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focused on collecting and anlyzing articles which are written about children who are the main subjects of clinic studie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ose articles, the tendency of domestic studies about music therapy concerned with children can be widely examined. Ninety thes is about music therapy related with normal and disabled children have been collected and analyzed considering the subjects, methods, fields of the studies and musical intervention. The conclusions are the same with followngs. First, considering the subjects, the studies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more than normal children and the studies on autistic children occupy the largest portion of them Recen tly the studies on normal children have been increased as well as the studies on children with disability. Second, for the methods, experimental studies have been performed more widely than descriptive studies. Third, considering the fields of development, the studies on the social field occupies the largest part of all and they are followed by emotion, language and conununication, cognition in turn. Last, in case of musical intervention, it is clear that musical intervention is more used as forms of smging songs and playing instrwnents than special skills of music. Through this article, the achievements and shortcomings in this territory could be possibly shown at the same time. Moreover, the direction which it has to move toward could be shown.

      • KCI등재

        연장입양 아동과 주 양육자와의 애착형성을 위한 음악중재 사례

        전예은,김경숙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2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연장입양 아동과 주 양육자의 안정적 애착관계형성을 위한 음악치료 사례연구이다. 연장입양 아동이란, 임시적인 돌봄 환경에서 지내다 태어난 지 12개월이 지나 입양된 아동으로 본 사례에서는 연장입양 아동과 주 양육자와 3쌍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12월 주 2회 40분씩 총 8회기 음악중재를 제공하였다. 연구자는 선행연구와 자료조사를 토대로 음악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3단계로 구성되었으며 프로그램의 단계는 애착척도(IPPA-R)의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애착행동관찰을 위한 애착평가 도구는 Q-set의 하위요소 질문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음악적 행동으로 수정한 후 음악치료 박사 2인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아 사용하였다. 아동과 주양육자와의 애착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의 수집은 부모-유아 애착척도 사전-사후 검사 및 아동애착행동 변화를 분석하였다. 참여 아동들의 애착행동은 5가지 하위 영역으로 자료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음악적-비음악적 애착관련 변화를 정성적으로도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유아 애착척도 사전-사후 검증에서 참가자 전체 평균 5점이 향상되었다. 참여아동의 애착행동의 변화는 순응, 도움요구, 안전기반행동, 정서공유, 신체접촉의 5개 하위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상승하였으며 그 중 신체접촉과 도움요구하기 항목에서 가장 큰 상승 폭이 있었다. 또한 애착행동 변화에 대한 음악적-언어적 정성적 평가 결과는 음악중재가 입양연장아동과 주 양육자에게 애착형성을 위한 긍정적인 장(場)이 되었음을 보여준다. 입양연장 아동들은 음악적 환경에서 안전한 대상과의 상호작용 경험을 제공받았으며, 주 양육자들은 음악활동을 통해 양육 태도와 정서적 조율의 방법을 습득하고 연습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장입양아-주 양육자 대상 국내 첫 음악중재 사례로 그 의의가 있으며, 추후 연장입양 아동과 주 양육자가 상호 건강한 애착관계를 형성하도록 돕는 음악중재 및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공격성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타악기 연주활동 중심의 사례연구-

        한지현,Han, Jee hyun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5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공격성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타악기 중심의 음악활동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를 사례연구를 통해서 알아보고 그 치료적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격성 아동 3명을 대상으로 타악기 중심의 음악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7주에 걸쳐 총 21회 소그룹 세션을 실시하였고 각 세션은 30분으로 구성하였다. 공격성 아동의 선정은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곽금주(1992)가 다소 수정하여 만든 교사평정용 공격성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공격성 점수가 높은 아동 3명을 선정하였다. 또한 이들에게 조해연(2001)과 이주식(2003)이 사용한 척도를 수정 보완한 16문항의 자기 질문식 충동성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충동성 검사도 함께 사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례아동의 공격성과 충동성 측정 도구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와 함께 음악활동 개입 후 치료 초기(1~3회기)와 후기(19~21회기)의 공격적 행동발생 변화를 데이터화하여 비교 분석 하는 양적인 연구와 타악기 연주활동이 아동에게 미친 반응을 관찰 기록하는 질적인 연구를 동시에 하였다. 연구 결과는 공격성 측정도구의 사후검사 점수가 사례아동 A는 19점에서 16점으로, 사례아동 B는 23점에서 19점으로, 사례아동 C는 21점에서 18점으로 낮아졌으며 충동성 측정도구의 사후검사 점수도 사례아동 3명 모두 낮아졌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목표행동 발생 빈도수의 변화도 음악치료 초기보다 후기로 갈수록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사례아동의 질적 연구결과는 타악기 연주활동 후 자기표현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라는 감정상태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양적 질적 분석의 결과들은 타악기 중심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사례아동에게 공격성 감소라는 치료적 효과를 보여준 것으로 타악기가 공격성 아동을 위해 유용한 치료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ffect of musical activities on children's aggressiveness using percussion playing through case studies and to present the therapeutic programs. Musical activities using percussion playing were organized for three aggressive children. Twenty-one small group sessions were conducted over seven weeks with 30 minutes given each session. Fourth-grade children involved in using Aggressiveness Measuring Tool for Teachers-revised by Gwak Geum-Joo(1992) was selected for case studies. Children's impulsiveness was also tested through self-test measuring tool for impulsiveness-revision of 16 questions used by Cho Hae Yeon (2001) and Lee Joo Shik (2003). As quantitative method,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between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using measuring tools for aggressiveness and impulsiveness of children as well as between aggressive behaviors occurring in the initial stage of the first three sessions and in the latter stage of the last three sessions. Qualitative method was used at the same time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ussion playing on children. After the musical activities, child A showed reduced Aggressive Measuring Tool scores from 19 to 18, with child B from 23 to 19 and child C from 21 to 18. The results show that occurrence of aggressive behaviors were lowered in the post test. Impulsiveness Measuring Tool scores in the post test were decreased as well in all three children. During the music therapy programs,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frequency of the target behaviors in all three children has reduced more in the latter stage than the initial stage of music therapy. The qualitative findings indicate that the children experienced releasing stress through self-expression after percussion playing. These findings indicate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using on percussion playing in reducing aggressiveness of children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percussion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aggressive children. These results can be adapted and reapplied by teachers in primary schools to approach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s, and can present a useful therapeutic approach to therapists practicing in clinical environments.

      • KCI등재

        음악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표현에 미치는 영향

        이경미,정규진,최애나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국제결혼으로 인하여 부모가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다문화가정 내 아동 중 언어발달 지체현상을 나타내는 아동들에게 노래중심 음악치료가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지역 S다문화가정지원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로써 3세에서 6세의 유아동으로 PRES 검사결과에서 생활연령보다 언어발달이 뒤쳐진다고 보여 지는 유아 3명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노래중심 음악치료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다.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를 사전․사후로 실시한 결과 노래중심 음악치료가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모두를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래중심 음악치료는 아동의 언어발달 뿐만 아니라 표현력의 증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치료세션에서 활용한 노래 및 동작활동을 치료세션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의 일상생활 중 자주 사용하는 언어 및 낱말을 중심으로 선택함으로써 아동의 학습에도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노래중심 음악치료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This research was done with the aim of looking into the effects that the song -centered music therapy has on the linguistic development of the infant of a multi-cultural family. The research selected the children from amulticultural family who is using 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located in Daegu as its study subjects; in short, this research targeted 3 infants from a multicultural family created by a marriage between a woman immigrant and a Korean man among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group are 3 to 6 in their chronological age, and formed the infants who were left behind their linguistic age comparing to their chronological age on the basis of PRES tes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usic therapy focusing on songs was found to have effects on the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of the infants from a multicultural family. Second, song-centered music therapy was found to have effects on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of the infants from a multicultural family. So the music therapy focusing on songs was found to have effects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the infants from a multicultural family.

      • 정서-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의 기초연구

        박명숙 강남대학교 1994 論文集 Vol.25 No.1

        장애아동에 대한 조기교육은 장애아동의 사회성, 정신집중력, 그리고 신체적 발달을 촉진시키며 새로운 행동의 습득, 독립된 기능의 증가 등을 통하여 행동의 변화를 꾀하고자 하기에 조기교육이 더욱 중요하며, 예방 교육의 차원에서도 조기 교육은 강조되고 있다. 특수교육·심리학·정신의학의 일부 전문가들이 치료와 교육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그 연구 활동도 점차 활발하게 전개되어 가고 있는 중이다. 또한 의사, 대학교수, 정신병원 음악치료사, 특수학교 교사, 장애자 재활센타 음악담당자, 음악전공자 등이 주축이 되어 한국 음악치료협회가 결성되어 음악치료의 보급 및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정서-행동장애아동의 음악치료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통하여 본 논문의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첫째, 정서-행동장애아동에 대한 최선의 이해와 이를 위한 이론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둘째, 장애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체계화, 전문화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음악치료사의 양성기관이 설립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정서-행동장애아동을 치료·교육하기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에 폭 넓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음악극 창작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 자기표현력,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배성진,김경숙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20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involving the creation of a musical play on the self-esteem,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14 first through third graders and 14 fourth through sixth graders from a children’s center. Half of the children from each grade band (Grades 1-3 and 4-6)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to the control group, for a total of 14 children in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music therapy sessions focused on creating a musical play. The experimental group selected themes, made a script, composed song lyrics and music, and performed the completed musical play. The Self-Esteem Scale, Self-Expression Scale, and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on all of the scales except subscales of the Self-Expression scale and the SS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roup music therapy can facilitate children’s engagement in group work and that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group can positively impact their perceptions of themselves.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음악치료 기반 음악극 창작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 자기표현력,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연구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28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저학년 14명, 고학년 14명으로 구성되었다. 학년별 집단은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배치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총 12회기의 음악극 창작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음악극 창작활동 프로그램은 탐색-창작-실행의 총 3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각 단계는 아동들이 기존 음악극을 체험하고, 자신들의 음악극을 창작하여 음악극 발표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참여자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자아존중감 척도, 자기표현능력 척도, 사회성기술평가척도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해 음악극 창작활동 프로그램에 참여 후 자아존중감, 자기표현력, 사회성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단계적으로 구성된 집단음악치료 기반 음악극 창작활동에서 제공되는 음악경험의 수준과 완성도가 발달기 아동의 개인적 사회적 역량강화에 긍정적 경험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장혜원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2 특수교육 Vol.11 No.1

        본 연구는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 유도하는 음악활동을 시행하였을 때 어떠한 음악의 특성이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어떠한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지에 초점을 둔 질적연구이다. 연구는 4명의 장애아동과 5명의 일반아동이 함께 15회 기간 음악활동에 참여하였다.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데이터로 수집하기 위해 관찰과 구술 인터뷰가 실시되었고 데이터분석은 상시 비교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음악의 특성들은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모두 참여하기, 함께 즐기기, 협력하기와 같은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데 첫 번째, 모두 참여하기를 유도한 음악의 특성은 친숙한 멜로디, 간단한 가사, 익숙한 악기소리,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해지는 음악구조이었다. 두 번째, 함께 즐기기를 유도한 음악의 특성은 반복되는 멜로디, 재미있는 가사, 템포의 변화이었다. 세 번째, 협력하기를 유도한 음악의 특성은 변하지 않는 템포, 신호인 악기소리, 반복되는 가사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이 음악활동에서 어떠한 사회적 관계가 도출되며 이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이 어떤 것인지를 제시하므로 기존 연구의 중재 프로그램인 음악활동에서 보다 세밀한 중재 전략으로 음악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usic elements which influenced social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normal peers during group music activities. A total of nine children (4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5 normal peers) participated 15 group music activities. Observation record and oral interview were made to get data from each activity, and all time comparative analysis is used for data analysis. As research results, musical elements induce social relations such as joint engagement, enjoyment, and coopera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eers. First, musical elements that induce joint engagement are familiar melodies, simple lyrics, familiar instrument timbres, and musical structure that change gradually from simple structure to complex structure. Second, musical elements that induce enjoyment are repeated melodies, interesting lyrics, and change of tempo. Third, musical elements that induce cooperations are unchanged tempo, instrument timbre, and repeated lyrics. As meanings of the research, it presents which social relations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eers are shown and which musical elements affect these social relations. And so it is suggested that musical elements as more precise intervention strategy should be needed for music activities, current intervention program.

      • KCI등재후보

        학령기 인공와우 이식 아동과 일반 건청 아동의 음악 선호도에 대한 비교 연구

        황선영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1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학령기의 인공와우를 이식한 아동과 건청 아동의 음악 선호도에 대해 비교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인공와우를 이식 받은 지 최소 2년 이상 된 아동 12명과 안양에 위치한 A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5학년 학생 155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1:1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음성 선호도에서 인공와우 이식 아동그룹은 아동 목소리를 선호한다고 응답한 반면 건청 아동그룹은 어른 목소리를 선호한다고 응답하였고, 성별에 따른 음성 선호도는 두 그룹 모두 여자 목소리를 선호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음고에 따른 선호도 역시 두 그룹 모두 높은 소리를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연주 형태에 따른 선호도는 인공와우 이식 아동과 건청 아동 두 그룹 모두 악기와 목소리가 공존하는 소리를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장르별 음악 선호도는 리커드(Likert scale) 5점 척도에서 인공와우 이식 아동그룹은 민요를 선호하는 반면, 건청 아동그룹은 대중음악과 TV음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인공와우의 특성과 음악 환경에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결과로 음악 환경에 의해 인공와우를 이식 받은 아동의 음악 선호도가 변화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인공와우를 이식한 아동과 건청 아동의 음악 선호도를 비교 분석한 것으로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청각 재활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music preferences of school-aged cochlear implant(CI) recipients in comparison with normal hearing(NH) children. Participants were 12 CI recipients and 155 NH children. CI children were recruited from a hospital in Seoul and they had cochlear implants for longer than two years(M = 4.7). NH children were randomly sampled.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to a questionnaire and rate their music prefer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58.33% of CI recipients preferred child voices, 71.61% of NH children preferred adult voices. For preferred frequency range, both of CI and NH groups preferred higher frequency. With regard to preferred musical styles, while CI children gave the highest rating(M = 3.58) to Korean folk songs on the 5-point Likert scale, popular music and TV and soundtrack music were found to be the highest-rated styles(M = 3.83) for NH childre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lf-rated music preferences of CI recipients may be affected by a musical environment that these children have experienced. The results also implies that the provision of appropriate musical input and experiences would significantly affect future music preferences and appreciation of CI children.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about music preferences of CI recipients in comparison with NH children,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on this population.

      • KCI등재

        음악교과에서의 특수교육의 음악심리적 적용

        조정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2 음악교육공학 Vol.- No.15

        We can say that music psychology is the key to understanding, educating, and caring for handicapped children. If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ng handicapped children is to minimize the difficulties they may have in moving with ordinary children in integrated surroundings, then using a music psychological approach to look into the human mind has to be emphasized in music class for the improvement of these special children’s disabled conditions. But most schools focus only on physical factors, such as special data, teaching methods, equipment, facilities, etc. It is no wonder that handicapped children need proper equipment and related special services because of the special phys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that they have compared to ordinary children. The music psychological approach is a method of maximizing their residual ability and minimizing their difficult condition through the handicapped children`s physical and emotional sympathy and diverse therapeutic activity. Therefore, it would be more efficient to approach the educ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psychologically rather than to improve upon the existing educational method. This article, I am going to look into the useful theories in the field of psychology and then apply the psychological method to handicapped children through music class. This is an attempt to determine the right music psychological method in the course of improving handicapped children`s disability and their means of self-expression,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lization. This music psychology is a meaningful activity in that it is based on handicapped children`s unconscious worlds and helps to improve the diversity of emotional experience and methods of self-expression. 음악심리는 특수아동을 이해하고 교육하며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는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특수아동을 위한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통합 환경 속에서도 일반아동과 살아가는데 어려움을 최소화하는 것이라면, 음악교과에서는 다양한 활동 영역이 있으나 효과적인 특수아동의 효과적인 장애개선을 위해서 인간의 마음을 살펴보는 음악심리적 접근이 우선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학교에서는 특수교육에 대하여 특별한 자료, 지도 기술, 장비 및 설비 등 물리적인 부분만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특수아동에게는 일반아동에 비하여 독특한 신체적․정서적인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보다 더 준비된 기자재와 특수 관련 서비스가 필요하기도 하다. 음악심리적 접근은 특수아동의 신체적․정서적인 교감과 다양한 치료활동으로 그들의 어려운 여건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잔존 능력을 최대로 키울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그러므로 특수아동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이란 단순히 교육 방법의 개선이라기보다는 심리적 접근이 우선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심리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이론들을 살펴본 후 특수아동에게 음악을 통한 심리이론의 적용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특수아동의 장애개선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자기표현의 수단, 감정표현 수단 그리고 사회화의 수단으로써 올바른 음악심리 방안을 찾으려는 시도이다. 이러한 음악심리는 특수아동의 무의식적인 정신세계에 기초하여 풍부한 정서적 경험과 자기표현 방법들을 발달시키도록 도움을 줄 수 있기에 의미 있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