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3년제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음악교육과정 분석

        이영주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2006 아동보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3년제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 관련 과목의 현황 및 교육내용의 분석 을 통하여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 교육과정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3년제 유아교육과 51개교의 음악교육 관련 교육과정이며, 10개 교의 음악교육 관련 교과목의 교육계획안을 분석을 통하여 교과 내용 분석 하였으며, 유아음 악교육 관련 교과목의 전망을 위해 유아음악교육 관련 전문가 5인과 유아교사로 재직 중인 유 아교육과 졸업생 3명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 학교 당 유아음악교육 관련 과목 은 평균 7.4개 개설되었으며, 기악 및 반주법 관련 과목이 가장 많이 개설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유아음악교육 관련 과목은 타 교과목에 비하여 실기의 비중이 높았으며, 학점 운영 및 평 가 방법에 있어 학교 간에 대체적으로 유사하였다. 유아음악교육 관련 교과목 중 기악 및 반 주법의 유용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 되었으며, 음악적 소양을 길러주며, 음악을 즐길 수 있는 교수법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

        ‘음악교육연구’를 통한 국내 음악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저자 선정 주제어를 중심으로

        곽현규,곽민석 한국음악교육학회 2017 음악교육연구 Vol.4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음악교육학회 발행 학술지 ‘음악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의 주제어들을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음악교육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는 2003년부터 2016년 8월까지 ‘음악교육연구’에 게재된 총 369편 논문의 주제어 1371건을 KrTitle 분석프로그램과 UCINET의 NetDraw 의미연결망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30개의 핵심 주제어가 추출되었으며, 추출된 핵심 주제어들 중 ‘음악교육’, ‘교육과정’, ‘음악교사’가 연결망의 가장 중앙에 위치하여 논문 주제를 구성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었다. 반면 ‘창의성’, ‘음악감상’, ‘다문화교육’ 등은 중심성 간에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며 ‘음악교육’, ‘교육과정’들과는 달리 독립적인 주제로 연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유아음악감상교육 연구동향 분석

        엄경림(Eum Kyung Lim),김영연(Young-Youn Kim)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8 음악교육공학 Vol.- No.3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음악감상교육 연구의 현황과 실태를 조망하여 미래의 유아음악교육연구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에서 보고된 유아음악감상교육 관련 연구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1998년부터 2017년까지 지난 20년간 유아음악감상교육을 연구주제로 발표된 석사 87편과 박사 5편의 총 92편 학위논문이고, 분석의 준거로 특정주제 연구동향 분석 관련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효과 변인, 감상곡 유형을 선정하였다. 내용분석의 결과 유아음악감상교육 연구는 만5세아에 치우친 점, 통합교육으로서의 교수학습방법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점, 양적연구방법이 주로 활용된 점과 효과변인으로 유아의 음악성발달이 많았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연구에 활용된 대표적 감상곡 유형은 클래식 음악이었다. 이상의 내용은 유아음악감상교육연구의 활성화 방안으로서 첫째, 만3세, 4세, 5세로 고르게 분포된 연구대상의 선정, 둘째, 통합교육 교수학습방법 이외의 특정음악교수법의 적용이나 부모교육과의 연계 및 교사전문성 함양을 돕는 평가방안 등의 다양한 연구주제의 선택, 셋째, 심층적 분석이 가능한 질적연구방법의 도입과 다양한 장르의 음악곡이 유아감상교육연구에서 활용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 of the young children s music listening education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theses published in Korea and to suggest tips for ways of research development as an academic field for the development of child s musicality in future. The 87 master s and five doctoral dissertations on the young children s music listening education published in Korea during the past two decade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themes, methods, most effectively concerned variables and the utilized music genre based on the literatural review on research tre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otal 92 theses and dissertation related to the young children s music listening education were published from 1998 to 2017 in the Korean graduate schools were utilized for contents analysis. First, 5-year-olds children were the most representative subjects in terms of age concerned. Second, the greatest number of research theme was classroom teaching method, and music listening integration within the artistic areas was the most popular teaching method. Thir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ajor research method contrary to zero qualitative research. Fourth, numbers of studies were dealt with musical development as the effective variable of music listening. Fifth, classical music was the mostly preferable genre utilized in the children s music listening education research. From these results, needs for the extension of future study in terms of the ages of research subjects, research themes, method and the selection of dependant variables, and utilizing music genr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교육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황부남 한국예술교육학회 2018 예술교육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ith regard to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is to explore what music teachers think what and how to teach in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of how they teach Korean classical music in terms of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assessment. Also,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music teachers really teach in Korean classical music class vs. their thought about Korean classical music and to clarify what causes the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usic teachers in middle school think that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has to be Korean classical music class with roots, Korean classical music class to enhance creativity, Korean classical music class with interaction and consideration, and Korean classical music class that values aesthetic activities. Second, as for how they implement Korean classical music class, they set technique-based objectives, and selected the contents which were not demanding and easily taught. The teaching method was teacher-centered and the assessment focused on scores only. Accordingly, the following findings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thought and the real implementation. When it comes to objectives, they carried out technical objectives more than the class with roots. As for the contents, they chose the contents which were not demanding and easily taught rather than that of enhancing creativity. Their teaching method was one-way and teacher-centered without interaction and consideration. Moreover, the assessment focused on scores since it was only for the evaluation rather than aesthetic activities of Korean classical music. The reasons of the differences were lack of the instructional time, the problem of music curriculum, the insufficiency of substantive support and solutions for music teachers major in Korean classical music or non-major teachers, lack of professionalism, and the educational circumstances that had no choice but for the sake of technique-evaluation. For these differences and reasons, there are som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사가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교육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알아본 후, 실제적인 국악수업을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가를 목표, 내용, 방법, 평가로나누어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음악교사가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교육에 대한 생각과 국악수업현장에서 실제 가르치는 것과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있다. 이 연구는 내러티브(narrative) 탐구방법에 근거하여 중학교 음악교사의 국악교육에 관한 생각을 이야기를 통하여 수집하여 생성되는 의미, 즉 지식을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 결과 첫째, ‘중학교 음악교사는 국악교육에서 무엇을어떻게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하는가?’에서 교사들이 뿌리가 있는 국악수업, 창의성이 샘솟는 국악수업, 소통과배려가 있는 국악수업, 심미적 체험을 중시하는 국악수업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중학교 음악교사는 국악수업을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가?’에서는 기능 중심 목표를 제시하고, 교사가 지도하기 편하고 부담스럽지 않은 국악수업 내용을 선정하고 있었다. 수업 방법에서는 교사 중심의 일방적인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으며, 평가는 점수에 치중하는 평가를 시행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국악수업에 대한 생각과수업 현장에서 실행의 차이점은 먼저 목표에 있어서 우리 음악의 뿌리를 가르치기 위한 교육보다는 기능 중심수업 목표를 실행하고 있었으며, 내용 면에서는 창의성이 샘솟는 국악수업이 아닌 가르치기 편한 수업내용 위주로 선정하고 있었다. 교수법에서는 소통과 배려가 없는 교사 중심의 일방적인 교수 방법으로 가르치고 있었다. 또한, 평가를 위한 평가를 하고 있었기에 우리나라 음악의 심미적 체험보다는 점수에 치중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이처럼 차이가 생긴 이유는 수업시수의 부족, 음악과 교육과정의 문제, 음악교사를 위한 국악 관련실질적인 지원 및 해결책 미흡, 음악교사의 국악교육 전문성 부족, 기능 위주로 평가할 수밖에 없는 교육환경으로 나타났다.

      • 한국 음악교육정책의 역사적 고찰

        박장미 한국음악응용학회 2008 음악응용연구 Vol.1 No.-

        본 연구는 해방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음악교육정책이 각 분야별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를 고찰하였다. 이것은 다양한 자료들을 통한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음악교육정책 중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교원 양성, 교원 임용, 교원 연수, 교구 및 시설의 6가지 정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음악교육정책의 분야는 여러 가지로 세분화 할 수 있으며, 각 분야는 서로 긴밀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각 분야에 대한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양한 각도에서 음악교육의 현재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제시함으로 음악교육의 발전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미국 국가핵심음악기준(National Core Music Standards)의 주별 적용사례 비교 분석

        정재은 미래음악교육학회 2018 미래음악교육연구 Vol.3 No.2

        The curriculum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a basis for what students should know and do. South Korea is currently applying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to education sites. Music and education courses have also been revised several times and have applied the current curriculum that emphasizes the convergence of capabilities and creativity. In the U.S., the National Core Music Standards were revised in 2014, and they are being appli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t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weekly applications of American music and educational processes that adopt decentralized system unlike Korea, and derive implications for revising the nation's music and education processes. In response, music and education courses in New York, South Carolina, Washington, Indiana, Montana and Florida were analyzed and brought up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m with the system of Korean music and curriculum.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the revised National Core Music Standards and that New York State approached the most critical music standards. The conclusion was drawn as it follows: First, a sufficient research, discussion, and consultation process were carried out to develop the schoolwook proces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te are reflected as much as possible. Third, overall, the scope of students who are subject to music and education courses has expanded. Fourth, each state's music and education curriculum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as the school year went up, and was structured according to a certain system. Finally, it was concluded that the times and societies presented the capabilities required.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알아야 할 것과 해야 할 것에 관한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현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교육의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음악과 교육과정 역시 여러 번의 개정을 거쳐 역량과 창의융합을 강조하고 있는 현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국가핵심음악기준이 2014년 개정되었으며, 이를 각 주별 특성에 적합하도록 적용하고 있는 과정 중에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와는 달리 지방분권제를 채택하고 있는 미국의 음악과 교육과정의 주별 적용사례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에 뉴욕 주,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워싱턴 주, 인디아나 주, 몬태나 주, 플로리다 주 음악과 교육과정을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의 체제와 비교하여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개정된 국가핵심음악기준의 적용 정도에 있어 차이가 있었으며 뉴욕 주가 가장 국가핵심음악기준에 근접하였다. 첫째, 충분한 연구와 논의 및 협의 과정을 거쳐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둘째, 각 주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셋째, 전체적으로 음악과 교육과정의 대상이 되는 학생들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넷째, 각 주의 음악과 교육과정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그 구조가 현저하게 변하지 않고 일정한 체계에 따라 구조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대와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음악교육의 발전과정 19세기말에서 현재까지의 역사적 흐름을 중심으로

        함희주 ( Hee Ju Ham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3 예술교육연구 Vol.11 No.1

        본 논문은 19세기말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음악교육의 역사적 흐름을 정리한 것이다. 중점 주제는 시대적 흐름 안에서 학교음악교육이 국가적, 사회문화적, 정치적 변화와 함께 어떻게 발전되었는가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음악교육의 발전과정을 구분하는 시기는 모두 7기로 구분하였다. 각 시기 구분과 핵심 주제어를 제시 한 근거는 국가 정책적 요인을 근거로 나타난 사회 문화적 변화와 그에 따른 교육정책 음악교육현황 등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제1기에서 제6기까지 시기구분과 핵심적 주제어는 이러한 사실을 배경으로 제시하였고, 제7기는 시기 구분에 적합한 핵심 주제어를 정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시기와 2000년대 이후의 음악교육으로만 표기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먼저 배경적으로 각 시기별로 국가정책, 사회문화적 현상,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개정, 인물 등을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 음악교육발전에 공헌한 인물들은 먼저 각 시대에서 활동하면서 음악교육 발전에 공헌했던 학자들을 선두로 제시하였고, 이후 1980년대 이후에서 2000년대 이전까지 외국에서 수학하고 한국음악교육계에서 중요한 역할중인 현존하는 대표적 학자들의 영향과 그들의 업적들을 부분적으로 소개하였다. 결론 부분에서 한국음악교육의 미래적 전망에 관해서 간략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국 사범대학교에서의 전통음악교육에 대한 현황 조사

        박은옥(En Yu Piao) 한국음악교육학회 2011 음악교육연구 Vol.40 No.2

        1980년대부터 중국은 개혁개방의 정책을 실시함으로서 교육과정을 다시 제정하였고, 전통음악에 대한 교육도 교육과정의 일정에 편입하게 되었다. 이는 당시 중국식의 사회주의를 건립하겠다는 정치적인 방침과 관련이 있고, 무조건 다른 나라의 것을 뒤따르고, 흉내내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실정에 맞게 발전시키겠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전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고, 전통음악 역시 그중의 일환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당시 중국의 음악학계에서는 서양음악과 서양음악의 교육방식이 절대적인 우세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전통음악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족한 형편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중국정부는 초·중·고의 음악교육과 관련된 음악교육과정을 먼저 개혁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음악교육과정과 직결되는 것이 바로 음악교사이며, 음악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교 음악학과의 교육과정도 이러한 시각에서 매우 중요시하게 되었다. 사범대학교 음악학과의 교육과정은 중국전통음악의 교육현황을 알 수 있게 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일 뿐만 아니라 한국전통음악의 교육과 전승에 있어서 적지 않은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고찰은 매우 필요하다 하겠다. 그러나 중국의 사범대학교가 워낙 많기 때문에 이들을 모두 연구 범위로 삼을 수 없어 각 지역의 대표적인 사범대학교를 골라 조사하였다. 조사한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정부는 1980년대부터 『전국학교예술교육총체규획(全國學校藝術敎育總體規劃)(1989-2000)』, 『전국학교예술교육발전규획(全國學校藝術敎育發展規劃)(2001-2010)』, 『전국보통고등학교음악학(교사교육)본과전업필수과정교육지도강요(全國普通高等學校音樂學(敎師敎育)本科專業必修課程敎學指導綱要)』 등 교육정책을 반포하였으며,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이에 대한 교육의 과정도 구체적으로 규정하려 노력하여왔다. 특히 『지도강요(指導綱要)』에는 각 교육과목에 대해서 교과목의 성질, 목표, 내용, 교육방법, 성적평가 등 항목으로 나누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전통음악교육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의지와 각 사범대학교 음악대학 교육과정의 실행을 통해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얻었다고 할 수 있다. 서양음악이 우세적으로 차지하는 이전의 현상과는 달리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을 같은 위치에 놓고 교육과정을 배정하였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족의 전통음악을 중요시 여기고 있는 동시에 각 소수민족과 각 지역에 있는 민속음악에 대해서 역시 관심을 갖게 되었다. 다시 말하면 이전에 전통음악교육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하고, 다양한 전통음악이 모두 공존하는 분위기를 형성하려고 한 것이다. 그러나, 전통음악의 교육에 대해서 정부의 정책적인 규정과 각 사범대학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문제점은 남아있다. 예를 들어 서양음악의 교육이론은 사범대학교 음악학과의 교육현장에서 아직도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중국식의 교육이론을 정립해야 한다는 과제와 더불어 중국전통음악의 위상이 위축될 수밖에 없는 위험성도 함께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한 개선은 우리가 시급히 해결하여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China reformulated the school curriculum as it adopted the reform and opening policy in the 1980s, an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as incorporated into the school curriculum at this time. This was related to the political policy that China would construct Chinese-style communism. It also signified that China would develop music education appropriate for Chinese society, instead of following and mimicking the systems of other countries. New waves inspired Chinese people to pay more attention to their tradition, and traditional music also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people. However, western music and western music education gained the predominating influence in China`s academic music circles, and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was very weak. To solve this problem, the Chinese government put the priority on the reform of the curricula of music educa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usic teachers were needed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revised curricula, so a lot of focus was put on designing the curriculum for the music education program at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curriculum for the music education program at the college of education shows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t can also provide ideas for the education and transmiss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onsidering these factors, it is very necessary to study the Chinese curriculum. However, it was hard to perform the research with all colleges of education because China has so many colleges of education. Representative colleges of education in region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im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as been quite achieved thanks to the Chinese government`s stress o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by colleges of educa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were well balanced in the curriculum, unlike the past when western music predominated. While Han Chinese race`s traditional music was especially stressed, traditional music of other minority races and Chinese folk music in different regions were also included. To say again, the Chinese curriculum indicates that China has solved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curriculum and tried to include traditional music of different races into the curriculum. Western music education theories still prevail in the class of the music education program at the college of education. China has to formulate Chinese-style music education theories. As long as the current theories are kept, the status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might be downgraded. This problem is also the task we have to solve urgently.

      • KCI등재

        초등 음악과교육의 최근 실태와 문제점

        이동남 한국음악사학회 2010 한국음악사학보 Vol.45 No.-

        The music education tends recently to stray out of its own aim on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in the curriculum as well as on-side education and to depend on its functional purposes and computers. Thus, in this paper in order to prepare an alternative for the desirable surroundings on the music education, I have reviewed the current trend of the music education based on the elementary education. The gist of the paper is as follows. First, in the 'revised curriculum',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is deleted in the textbook. In the formation, the graded system is adopted and in the contents the middle area is deleted. Second, in the 'revised curriculum', both Korean traditional songs and multi- cultural songs have drastically decreased. This is not appropriate in the multi- cultural era. In each lesson, author's name is introduced and it is systematized. In addition, integrated lessons appear in the subject of the textbook, Happy Days. Third, In B.A. level at many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argued, but in M.A. level at graduate schools in the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in the academia of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relevant studies are not enough, and the contents on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re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but the multi-cultural songs have decreased in the textbooks. Fourth, as in the case of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on the Korean cultural identity is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but the Korean traditional songs have decreased in the textbooks. Fifthly, while th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is considered in the curriculum, Western music is mostly treated in the textbooks. This goes against the trend of th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Finally, in the case of teachings by ICT, generalization of the music education based on computers causes difficulties to the true aim of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In teachings by ICT, music educators should try to change their minds on computers themselves from 'the education of the computer' to 'the education by the computer'. 본고는 요즘 우리 사회가 정보화사회를 넘어 다문화사회로 전환되면서 인성교육이 큰 타격을 받고 있고, 국악교육 또한 영향을 받고 있어 강화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고 보고 향후인성교육과 국악교육 강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도움을 주기 위해 초등 국악교육을 중심으로 최근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본 글이다. 먼저 2007 교육과정에서는 ‘목적’에서 인성교육 내용이, ‘성격’에서 국악교육 관련 내용이 삭제되었고, 편제방식이 ‘학년별방식’으로 바뀌었으며, ‘중영역’이 내용체계에서 삭제되었다. 그리고 2007 교과서에서는 7차 교과서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비중이 낮아졌고, 주로 서양식음악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다문화사회와는 반대로 가고 있으며, ‘집필자 단원실명제’가 도입되었고, 『즐거운생활』에 ‘통합단원’이 등장했다. 다음 다문화 음악교육에 있어서는 교대 학부과정에서는 강조하고 있으나 교대 석사과정과 초등음악교육계는 연구 연구 활동이 저조한 편이며, 2007 교육과정에서는 강조하고 있으나 2007 교과서는 반대로 가고 있다. 한국문화 정체성교육 또한 마찬가지로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강조하고 있으나 2007 교과서에서는 반대로 가고 있고, 포괄적인 음악교육도 또한 마찬가지로 2007 교육과정에서는 강조하고 있으나 2007 교과서에서는 서양식음악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등 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다. 마지막으로 ICT 활용 수업과 관련해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음악수업의 일반화로 인성교육에 영향을 주고 있어 ‘컴퓨터의 교육’이 아니라 ‘컴퓨터에 의한 교육’이 되도록 인식변화가 요청된다.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해금 내용 고찰

        정은경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5 국악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해금 관련 내용들을 고찰해 보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 범위는 2014년부터 사용하고 있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교과서로 그것은 10종의 음악과 생활 교과서와 3종의 음악과 진로 교과서의 총 13종이며, 연구 내용과 방법은 첫째, 음악과 교육과정의 해금 관련 내용들을 살펴보고, 둘째, 음악교과서의 해금 내용 수록 현황을 살펴보며, 셋째, 해금과 관련된 지도내용 및 학습활동을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 체계 및 영역별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 하에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음악과 생활과 음악과 진로, 총 13종의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모두 해금에 대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심도 있게 해금에 대한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사진을 수록하는 정도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음악교과서에 제시된 해금 관련 학습활동을 보면, 대부분 해금이 포함된 악기 편성을 알아보는 활동이 가장 많았으며, 이와 관련된 악곡으로는 정악곡에서는 영산회상, 종묘 제례악, 가곡, 수제천 등을 가장 많이 소개하고 있고, 민속악에서는 시나위와 산조를, 창작곡에서는 ‘그 저녁 무렵부터 새벽이 오기까지’의 곡을 수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금의 영역별 지도내용 및 학습활동을 살펴보면, 음악과 생활 교과서의 두 가지 내용 체계 가운데 대부분 10종 교과서에서는 음악적 표현과 소통 영역에 대한 내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문화적 산물로서의 음악 영역에 대한 내용은 10종 모두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음악과 진로 교과서의 두 가지 내용 체계 중 3종의 교과서 모두 음악의 경험과 현장 영역에 대한 내용보다는 음악의 진로와 특성 영역에 대한 내용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알 수 있는 것은,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체제가 검정교과서에서 인정교과서로 바뀌면서 교육과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전 영역의 내용을 골고루 모두 다 엄격히 준수하지 않는 교과서도 있으며 또한, 해금에 대한 내용뿐만 아니라 국악의 비중도 출판사마다 그 비율의 차이가 매우 크고, 집필진에 따라 국악의 내용이 거의 다루어지지 않는 교과서가 있어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음악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새로운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가 제작될 때, 바람직한 국악교육의 방향에 대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줄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contents related to Haegeum included i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following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In accordance with the goal, the scope of research covers 13 kinds of high school music textbooks in total following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applied since 2014. As for the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first, the substance relevant to Haegeum of, music curriculum was investigated, second, the current state of the contents about Haegeum in the music textbooks were studied, and third, the guidance and learning activities in relation to Haegeum were analyzed in the content systems suggested in the curriculum and each category. With these research goal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13 kinds of high school music textbooks of music and life and music and career included contents relevant to Haegeum. Yet, most of the textbooks just had its pictures rather than deal with it in depth. Second, with regard to the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Haegeum suggested in the music textbooks, almost all of them were about the formation of instruments including Haegeum. As for the music relevant to it, Yeongsanhoeisang(the Vulture Peak Assembly), Jongmyo Jereak(royal ancestral rites music), songs, Sujecheon and etc. were being most frequently introduced in case of traditional classical music, Sinawi and Sanjo in case of folk music, and 'Since around the evening till dawn comes' in case of created songs. Third, regarding to the teaching subjects and learning activities of each area of Haegeum, in the system of the two contents of music and daily music textbooks, musical expressions and communication accounted for the biggest part in the 10 kinds of the textbooks, while music as the cultural outcome was being rarely mentioned about in all the 10 textbooks. As for the two contents system of music and career music textbooks, all the 3 kinds of textbooks were proved to cover music and career and characteristics with more emphasis on than experiences of music and field area.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out that as the high school music textbook system changed from authorized textbooks to recognized ones, some textbooks of certain publishing companies were not strictly abiding by the contents of all areas clearly stated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rate of the contents not only about Haegeum but also about Korean classical music was big among publishing companies. It's a pity that there were some textbooks where Korean music was scarcely covered depending on their writing staff, which failed to give learners the opportunities to learn various kinds of music. Therefor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give different implications about the desirable direction for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hen a textbook is developed following a new curriculum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