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교사의 음악을 즐기는 성향,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 음악교수효능감 및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

        황인주,김은정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최근의 음악교육동향에서는 유아의 뛰어난 음악적 지식과 기술 습득에 집중하기보다는 음악을 느끼고 진정으로 즐길 줄 아는 태도 형성에도 중요한 가치를 둔다. 아울러 유아를 위한 질 높은 음악교육을 위해 교사 자신 스스로가 음악에 대해 즐길 줄 알고 유아음악교육내용과 교육과정 전반을 잘 운영할 수 있는 지식과 태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을 즐기는 성향의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의 영유아교사 53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는 PASW 18.0을 이용하여 다변량분산분석, 적률상관계수 분석,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음악을 즐기는 성향이 상집단인 경우 하집단보다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 음악교수효 능감 및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음악을 즐기는 성향은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각각 9.8%, 15.6%, 14.0%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와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교사 자신이 음악을 진정으로 즐기는가에 대한 성향이 음악교육의 전문적 역량 발휘에 많은 역할을 하는 것을 나타낸다. 유아교사가 음악을 가르칠 때 보다 전문적 교수능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 교사 개인의 음악에 대한 성향을 고려하여 예비.현직교사교육과정을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의 수준 및 유아의 음악적 성향 간의 관계

        김은정 ( Eun Jung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수준 및 유아의 음악적 성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수준에 따른 유아의 음악적 성향의 차이를 살펴보고,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유아의 음악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3~5세 유아 161명과 담임교사 27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PASW 18.0을 사용하여 독립적 t검증, 적률상관계수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수준이 상집단인 유아의 음악적 성향이 하집단의 유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음악적 성향은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는 유아의 음악적 성향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의 음악적 성향 발달의 중요한 변인으로서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태도 신장에 효과적인 다양한 예비·현직교사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s of a teacher`s musical knowledge and musical attitude and young children`s musical tendency. So it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young children`s musical tendency according to the levels of a teacher`s musical knowledge and attitude. And it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levels of a teacher`s musical knowledge and attitude on young children`s musical tendenc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61 children and 27 teachers in three-to-five year old classes. The 27 teachers were classified high and low levels by musical knowledge and attitud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d Regression with PASW 18.0. The results were (1) The higher the levels of the teacher`s musical knowledge and attitude, the higher the children`s musical tendency`s score. (2)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s of teacher`s musical knowledge and attitude and children`s musical tendency. (3) Teacher`s musical knowledge and attitude were positively affected children`s musical tendency. So educational researchers should discover ways to improve teacher`s musical knowledge and attitude.

      • KCI등재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및 음악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황인주,김은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6

        본 연구는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에 따른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및 음악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반성적 사고 수준에 따라 교사를 상하집단으로 나누고, PASW 18.0을 사용하여 t검증, 적률상관계수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상집단과 하집단에 따라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음악교수효능감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수변인들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교사의 전체 반성적 사고와 수준은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해 각각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성적 사고 수준이 높은 교사는 복잡한 음악교수학습 상황을 교육과정의 지식과 태도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역동적으로 문제해결하게 된다. 교사의 전문적 지식 기반을 조성하기 위하여 예비ㆍ현직교사교육에서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태도, 음악교수효능감뿐 아니라 이들의 예측변인 가운데 하나인 반성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levels of teachers' reflection, musical knowledge, musical attitud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3 teachers who taught one to five-year-olds. The teachers were classified as upper and lower levels by reflection.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d Regression with PASW 18.0. The results were (1) The scores of the reflection upper level group significantly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lower level group in musical knowledge, musical attitud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2)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s of teachers' reflection and music teaching variables (musical knowledge, musical attitud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3) Teachers' reflections significantly affected teachers' musical knowledge, musical attitud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s a result, teacher educators should apply to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their reflection as well as music pedagogical knowledge.

      • KCI등재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의 관계에서 음악적 자아개념의 매개모형 검증

        윤지영 한국음악교육학회 2014 음악교육연구 Vol.43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음악적 자아개념이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육에 대한태도를 어떻게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유아교육기관 24개소의 유아교사 149명을 대상으로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음악적 자아개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음악적 자아개념에 대한 완전매개와 부분매개모형을 설정하고 공변량구조분석에 기초하여 모형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에서 음악적 자아개념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의 음악적성, 음악적 성향과 교사의 음악관련 태도 변인 간의 구조분석

        김은정 한국음악교육학회 2011 음악교육연구 Vol.40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음감 및 리듬감의 음악적성과 음악적 성향,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음악을 즐기는 성향 및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3~5세 유아 179명과 담임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하고,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유아의 음악적성과 음악적 성향 전체변인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모형 적합도가 매우 적절하며 경로계수도 모두 유의하였다. 교사의 음악을 즐기는 성향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태도는 유아의 음악적성과 음악적 성향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부분매개효과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교사는 유아의 중요한 음악환경으로서 교사의 음악을 즐기는 성향과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가 교육의 질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 불안 및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와 음악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

        신금호 ( Keum Ho Shi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teaching anxiety,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and music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s were 15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round Daegu city and Kyungbuk provinc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volving in this study completed the student teaching.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core of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anxiety was slightly below average, the score of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and music teaching efficacy were slightly above average.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anxiety and music teaching efficacy were negatively correlated.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music and music teaching 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Finally,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showed 57% explanation for music teaching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