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음악구성요소에 대한 교수실제와 음악교수효능감과의 관계

        이상은(Lee Sang Eun),김현수(Kim Hun Soo)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구성요소 대한 교수실제와 음악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 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에게 음악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한 교수실제와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분석하였다. 음악구성요소 를 중심으로 한 음악교수 실제의 실태를 살펴본 결과 음악구성요소 중 빠르기에 대한 개념이 교사의 이해정도, 지도가능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음악구성요소를 어떻게 가르치는지 살펴본 결과 음악 구성요소를 별개의 활동으로 가르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음악구성요소를 가르치지 않는다는 응답 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유아교사의 음악구성요소에 대한 교수실제와 음악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알 아본 결과 음악교수효능감은 음악교수실제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음악교수효능감이 음악교수실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결과기대효능감보다는 개인교수효능감이 음악교수실제 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음악교수실 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개인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음악교수실제는 전 영역에 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usic teaching practice of musical elements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purpose, the investigator distributed and analyzed questionnaires on music teaching practic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regarding the musical elem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e 173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In terms of the music teaching practice of musical elements, this study found that the teachers had the highest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struction for tempo of the musical elements. The study also examined how the musical elements were taught,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s indicated that they have taught the musical elements with a separate activity and that a high percentage (37.6%) of teachers said that they had not taught the musical elements (35.8%).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 teaching practice of musical elements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usic teaching efficacy and music teaching practice. In terms of the effects of music teaching efficacy on music teaching practice, personal teaching efficacy had greater impacts on music teaching practice than outcome expectation efficacy.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ic teach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music teaching efficacy level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articula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ic teaching practice according to personal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 및 실기효능감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윤문정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3 음악교육공학 Vol.- No.54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 음악실기효능감 그리고 음악 사교육 경험이 음악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방안을 논의 하는 것이 목적이다.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초등교사 432명이 연구대상자였으며, 설문지를 활용하여 얻은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반교수효능감과 음악실기효능감, 음악 사교육 경험은 모두 유의미하게 음악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교수효능감, 음악실기효능감이 높고 음악 사교육 경험이 있으면 음악교수효능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해서는 일반교수효능감을 함께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예비초등교사가 초등음악교과에서 요구되는 음악실기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초등교원양성기관의 실기 수업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

      • KCI등재

        초등음악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에 따른 교수행동 분석

        최미영 한국음악교육학회 2014 음악교육연구 Vol.43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비참여 음악수업관찰을 통해 음악교사효능감의정도에 따른 교수행동의 실태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음악교수효능감이높은 초등음악교사 2명과 낮은 초등음악교사 2명의 총 20개 음악수업을 대상으로 현경실의한국음악 수업 분석법과 최은식의 비언어적 수업행동 분석 평가지를 바탕으로 제작된 음악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분석표(황인영, 2004)를 가지고 각 수업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음악교수효능감의 정도에 관계없이 언어적 교수행동이 비언어적 교수행동보다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음악교수효능감이 높은 교사가 낮은 교사보다 언어적 교수행동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음악교수효능감의 정도에 관계없이 언어적 교수행동에서지시적 발언이 비지시적 발언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음악교수효능감이 높은 교사가 낮은 교사보다 비지시적 발언의 비율이 높고, 지시적 발언의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음악교수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낮은 교사보다 비지시적 발언 중 ‘학생의 느낌과 생각의수용’과 ‘단순 질문’을 제외한 ‘질문’ 활동유형에서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지시적 발언 중에서는 총 음악수업시간에서 ‘강의’와 ‘지시’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넷째, 음악교수효능감의 정도에 관계없이 비언어적 교수행동 중 음악적 모델링 제시가 총 수업시간에서차지하는 비율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음악교수효능감이 높은 교사가 낮은 교사보다‘반주’에서 높은 비율이 나타났다. 다섯째, 음악교수효능감의 정도에 관계없이 학생들의 실제 음악활동시간과 ‘개별학습’의 비율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음악교수효능감이 높은교사는 낮은 교사보다 ‘조별학습’에서 높은 비율이, ‘전체학습’에서 낮은 비율이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배경변인 및 음악교수 내용지식과 음악교수 효능감의 관계

        윤혜주,이경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3

        To study the importance of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knowledge of music teaching and music teaching efficacy was examined. A survey of 187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onduct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knowledge of music teaching and music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more than 12 years of teacher experience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in the integrated music education was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In addi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had greater content knowledge of music teaching and music teaching efficacy than other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music teaching content knowledge was positively related to music teaching efficacy. Finally, the simultaneous regression analysis of music teaching efficacy revealed that education level, teacher's career and content knowledge were important predictors. As a result, efforts to improve the content knowledge of musin teach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needed to increase the effect of music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an integrated music teacher education program is raised.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수 효능감과 음악교수 내용지식과 음악교수 효능감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음악교수 효능감에 있어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과 음악교수 내용지식의 상대적 설명력을 검토함으로써 유아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의 중요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8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통합음악연수를 받은 유아교사는 통합음악연수 경험이 없는 유아교사보다 음악교수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석ㆍ박사 졸업 이상의 학력과 12년 이상 경력을 지닌 유아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음악교수 내용지식과 음악교수 효능감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음악교수 내용지식이 높을수록 음악교수 효능감이 높았다. 음악교수 효능감에 대한 동시적 회귀분석 결과, 유아교사 학력과 경력, 음악교수 내용지식의 상대적 설명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종합하면, 음악교수 효능감 증진을 위하여 음악교수 내용지식 향상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통합음악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음악극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태도와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정민,최지현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23 No.1

        This study wan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music drama activities on the attitude of music educ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music teach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research target consisted of 40 first-year students from B University and 40 first-year students from C University located in A city and a comparative group. The research tools used the music education college and the music professor's efficacy rating scale, and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to test independent samples. Music drama activities have shown a positive effect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education ettitud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This indicates that music drama activities in the training course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music education and teaching effective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at it can be a meaningful experience for music education in the field in the future. In addition, various musical experiences should be supported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suggesting that music plays can be an alternative. 본 연구는 음악극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태도와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A시에 위치한 B대학 1학년 학생 40명과 C대학 1학년 학생 40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도구는 음악교수태도와 음악교수효능감 평정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음악교수태도와 음악교수효능감 사전, 사후 점수의 기술적 통계치를 알아보고,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음악극 활동은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태도 전체와 자신감, 편안함, 필요성, 감정적 판단 하위요인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음악극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전체와 개인적 음악교수효능감과 음악교수 결과기대 하위요인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음악극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태도와 음악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추후 현장에서 유아음악교육을 위한 의미 있는 경험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더불어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지원하여 음악교수태도와 음악교수효능감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하며 음악극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음악에 대한 태도의 매개 효과

        방은영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2 음악교육공학 Vol.- No.5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attitude toward music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 teaching content knowledge and the music teaching efficacy in childcare teacher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04 childcare teachers who are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where are located in Seoul Metropolis and Gyeonggi Province.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by using SPSS 27.0 with correlation analysis, 3-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in all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hildcare teacher’s music teaching content knowledge, music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 toward music. Second, the attitudes toward music(cognitive dimension, emotional dimension) reflect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music teaching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Thus, the childcare teacher's music teaching content knowledge can be known to have a direct positive impact on music teaching efficacy and to have an influence upon the music teaching efficacy even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attitude toward music.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enhance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music that childcare teachers have through providing the pleasant music experience, the applicable music teaching method, and the example of music activities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and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n order to allow the music teaching content knowledge possessed by childcare teachers to have an effect on the music teaching efficacy.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음악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7.0 활용 및 상관분석, 3단계 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로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그리고 음악에 대한 태도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음악에 대한 태도(인지적 차원, 감정적 차원)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어 보육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수효능감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음악에 대한 태도의 매개를 통해서도 음악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교사가 지닌 음악교수내용지식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기 위해 교사 양성과정과 현직교사교육에서 즐거운 음악경험과 적용 가능한 음악교수방법 및 음악활동의 사례 제공을 통해 보육교사가 지니는 음악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경험과 음악실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음악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은정,김민정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경험과 음악실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음악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의 4년제 대학교 4곳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156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상관분석과 매개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경험, 음악교수효능감, 음악실기효능감은 서로 정적상관관계에 있으며, 음악적 경험과 음악실기효능감의 관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다음으로 음악교수효능감과 음악실기효능감 간의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음악적 경험과 음악교수효능감 간의 관련성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경험과 음악실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음악교수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실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양성과정에서 음악관련 교과목 운영 시 보다 다양하고 풍부한 음악적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음악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심리적 지원도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받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music teach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experience and music performance efficacy. Data was obtained via 15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4 colleges in Busan, Gyeongnam,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al experience, music teaching efficacy, and music performance efficacy. Musical experience and music performance efficacy were most relevant while music teaching efficacy Music performance efficacy showed a medium degree of relevance. Musical experienc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showed the least relevance. Second, music teaching efficacy exert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al experience and music performance efficacy. These resul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more diverse and richer musical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support that can help to enhance music teaching efficacy in the training process, as well as to enhance music performance efficac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의 차이 및 관계

        박보라,김영연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8 음악교육공학 Vol.- No.3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of the daycare teachers’ perception on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so as to provide materials for teacher training program revision. The subjects were 212 nursery teachers in B city.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PASW 19.0,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s on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curriculum knowledge were higher than those of curriculum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learners while the teachers' perceptions about music teaching efficacy turned out to be higher in results expectation than in the beliefs in the process of music teaching. Second, the differences in the background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both in the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Finally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of music teaching efficacy.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individual teacher educational attainment may be helpful for one’s teaching ability development and there are needs of teacher training program revision with concern on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의 정도와 차이 및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B도시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PASW 19.0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의 정도는 보통의 수준이었고 하위요소별로는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교육과정(누리과정) 및 학습자(유아)에 대한 이해로 구성되는 음악교수내용지식 증 음악교수내용이나 교수·학습법에 비해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해서는 음악교수 결과기대를 음악교수 신념 보다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각의 하위요소 간의 차이를 보육교사의 배경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모두가 학력에서만 인식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은 모든 하위요소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보육교사에게 음악교육내용지식에 대한 이해와 음악교수효능감의 증진 모두가 영유아음악교육의 활성화에 필요한 기반으로서 이를 기초로 유아음악 교사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음악교육 인식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음악적 태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갑순(Kim Kab Soon),김영심(Kim Youngsh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교육 인식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음악적 태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라남도 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설문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로 산출하였고, 음악교육 인식, 음악적 태도, 음악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음악교육 인식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음악적 태도가 매개효과를 발휘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음악교육 인식, 음악적 태도 및 음악교수효능감과 각각의 하위 요인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는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음악적 태도가 높으며, 윰악교수효능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교사의 음악교육 인식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음악적 태도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인식이 음악교수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또한, 음악교육 인식이 음악적 태도를 높임으로서 음악교수효능감을 증가시키는 간접효과도 동시에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 유아교사에게서 음악교육 인식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mediated effect of musical attitude in the impact on musical teaching efficacy of young children teachers musical education awareness. Methods The survey target was one hundred seventy young children teachers in Jeollanam-do. Cronbach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test reliability of the survey questionnaires for the collected data, and Pearson s Ratio Correlation Analysis was applied to perceiv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education awareness, musical attitude, and musical teaching efficacy. The third stage of mediating effect analysis from Baron and Kenny(1986) was implemented to see whether the musical attitude acts as the mediated effect on the effect of music education awareness on musical teaching efficacy. Result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between musical education awareness, musical attitude, musical teaching efficacy, and their subfactor each.. It shows that the young children teachers musical attitude and musical teaching efficacy are tend to be increased by their high musical education awareness. Second, there was a musical attitude s partial mediated effect in the impact on musical teaching efficacy of young children teacher s musical education awareness. This means that the young children teachers musical education awareness directly affects the musical teaching efficamt, and at the same time, it indirectly affects musical teaching efficacy to be increased by the musical education awareness makes the musical attitude gets high. Conclusions This study w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musical education awareness and musical teaching efficacy from young children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수적극성과유아의 부적응 행동의 관계분석

        심숙영,안라영 한국아동교육학회 2022 아동교육 Vol.31 No.1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among music teaching efficacy, music teaching intention, and children's internalizing/externalizing behaviors and analyzed the variables that effect children's internalizing/externalizing behaviors. For the present study, there was a sample of 194 teachers and 388 children they worked with at early childhood centers in Seoul. The results indicate that music teaching efficacy is associated with music teaching intention, which then exerts influence on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Furthermore, teachers' music teaching intention mediat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usic teaching efficacy and children's internalizing/externalizing behaviors. Our findings suggest that increases in music teaching efficacy and music teaching intention may lead to decreases in children's maladjusted behaviors.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수적극성과 유아의 내재적· 외현적 부적응 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고, 이러한 변인들이 유아의 내재적· 외현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94명과 그들이 담당하는 유아 388명(남아 194명, 여아 194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수적극성과 유아의 내재적·외현적 부적응 행동 간에는 구조적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이 높고 음악교수적극성이 높을수록, 이는 유아의 내재적· 외현적 부적응 행동이 낮아지는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내재적· 외현적 부적응 행동에 대한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의 영향력이 음악교수적극성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의 음악교수역량으로 유아의 부적응 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한 바, 유아의 부적응 행동을 예방하거나 낮추기 위해서는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음악교수적극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연수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