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음소결합확률 계산기 개발연구

        이찬종,이현복,최훈영,Lee, Chan-Jong,Lee, Hyun-Bok,Choi, Hun-Young 한국음향학회 2009 韓國音響學會誌 Vol.28 No.3

        본 연구는 현대 한국어 단어의 말소리가 결합하는 음소결합확률 (Phonotactic Probability)을 예측하는 계산기 엔진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한국어 음소결합확률계산기 (이하, KPPC)는 첫째로, 한국어의 주어진 단어에서의 음소와 그 음소의 음소결합의 빈도를 예측하여 말소리가 단어내의 특정위치에서 특정 분절음이 나타나는 빈도 값, 두 음소간의 결합의 빈도값, 그리고 세 음소간의 결합의 빈도 출현률을 예측하여 계산한다. 둘째로 한국어의 주어진 단어에서 말소리 하나만 다르면서 실제로 존재할 수 있는 근접밀도 (neighborhood density)의 값을 계산한다. University of Kansas에서 개발된 음소결합계산기는 영어 20,000단어의 D/B를 대상으로 위치별 분절음빈도와 두 음소간의 음소결합률 빈도를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발음기호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분절음빈도와 두 음소간의 빈도뿐만 아니라 세 음소간의 결합률 빈도와 근접밀도율을 예측할 수 있고 입력할 때 발음기호뿐만 아니라 단어를 입력하면 확률값을 얻을 수 있다. 이 엔진은 67,284단어의 한국어 표준발음을 D/B로 구축하여 고빈도 음소결합확률, 저빈도 음소결합확률, 고빈도 근접밀도, 저빈도 근접밀도의 값을 예측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Korean Phonotactic Probability Calculator (KPPC) that anticipates the phonotactic probability in Korean. KPPC calculates the positional segment frequecncy, position-specific biphone frequency and position-specific triphone frequency. And KPPC also calculates the Neighborhood Density that is the number of words that sound similar to a target word. The Phonotactic Calculator that was developed in University of Kansas can be analyzed by the computer-readable phonemic transcription. This can calculate positional frequency and position-specific biphone frequency that were derived from 20,000 dictionary words. But KPPC calculates positional frequency, positional biphone frequency, positional triphone frequency and neighborhood density. KPPC can calculate by korean alphabet or computer-readable phonemic transcription. This KPPC can anticipate high phonotactic probability, low phonotactic probability, high neighborhood density and low neighborhood density.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어 유성장애음소 설정과 근거

        고영진 ( Young Jin Ko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9 No.-

        기존의 한국어 자음에 대한 연구는 조음방법에 따라 장애음소를 폐쇄 음, 마찰음, 폐찰음으로 분류하고 다시 평음, 경음, 격음으로 분류한다. 그 리고 이렇게 분류된 장애음소의 유.무성에 대해서는 따로 분류하지 않고 당연히 모두 무성음인 것으로 인정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한국어 장애음소체계는 여러 문제가 있다. 음성학적으 로 유성음사이에서 무성음이 유성음으로 변화하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왜 한국어에서 다른 무성장애음들은 동일한 환경에서 유성음화하지 않는지 설명이 필요하다. 영어를 포함한 다른 언어의 경 우, 한국어와 반대로 유성장애음이 환경에 따라 무성음화 하는 경향이 일반 적이다. 또한 세계 317개의 언어를 분석한 Maddison (1984)의 연구도 일반 적인 언어의 장애음소체계는 일차적으로 무성에서 무성과 유성으로 분화 되고 다음 단계로 기식음과 비기식음으로 분화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언어 들의 장애음소체계와 다른 한국어의 특수한 장애음소체계는 외국인들로 하여금 한국어발음 습득을 어렵게 하고, 한국어가 매우 특이한 언어인 것으 로 오해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의 장애음소에 대한 음소관념조차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음소체계로 생각된다.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어 유성장애음 설정의 필요성을 제기했고, 음성.음운론적인 근거, 역사언어학적인 근거 등을 살펴 보았다. 그리나 유성장애음 설정만으로 제기된 문제를 해소할 수 없었다. 하여 타언어모국어화자들의 한국어장애음의 인지, 그리고 한국어모국어 화자들의 외국어 장애음의 인지 등을 비교 검토하여 한국어 경음이 후두 관련 분절음이 아닌 VOT관련 무성평음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반영하여 한국어장애음소체계를 새롭게 구성하자 제기된 문제들이 모두 해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current Korean Consonant Phonemic System, Korean obstruents are classified to stops, fricatives, and affricates and each of them goes into plain, tensed, and aspirated consonants. And without any reference about the state of vocal folds, the obstruents are considered as voiceless sounds. The Korean phonemic system, however, has some problems to explain why should the plain obsturents only be changed to voiced ones among the obstruents between the voiced sounds. And even though the vocalization is considered as a natural phonological process, the direction of the sound change of Korean is opposite compare to other languages such as English and German. In the languages, contrary to Korean, voiced obstruents are uttered to voicelsess ones in some contexts but voiced obstruents are constant in any circumstances. According to Maddison``s study(1984)classifying 317 languages of the world, in ordinary languages, the obstruents are systematically expanded from voiceless to voiced, aspirated, and tensed obstruents. And that is normal, but Korean obstruents phonemic system depending on former studies, is some extraordinary since it involves tensed obstruents instead of voiced ones. The tensed sounds laryngeal related are extremely rare sounds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 And that is the cause to make Korean obstruents phonemic system extraordinary and give some foreigners the impression Korean is difficult language to learn. Furthermore, the Korean obstruents phonemic system does not reflect the intuition on obstruents of Korean native speakers. To solve the problems, first, this study suggest the establishment of voiced obstruent phonemes with some evidences, but it is not enough to melt down all problems Korean obstruents phonemic system has, because the modified obstruents phonemic system until involves the tensed obstruents. So this study compares Korean obstruents and other languages`` and finally find out the Korean laryngeal related obstruents should be classified as plain voiceless obstruents relating VOT rather than tensed sounds relating larynx. As the Korean obstruents phonemic system is modified by applying the result of the study, all the problems lodging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are solved. So in the modified Korean Obstruents Phonemic System, obstruents are classified into only VOT related sounds: voiceless plain, voiced plain, and voiceless aspirated obsturents.

      • 기본소득과 유사제도 비교 연구

        유영성,정원호,서정희,마주영 경기연구원 2021 정책연구 Vol.- No.-

        이 연구는 최근 정치권에서 기본소득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음소득세/안심소득제, 기초자산제, 기본서비스 등에 관해 그 내용을 살펴보고, 기본소득의 관점에서 평가해 보았다. 이들 내용을 간략히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3장에서 살펴본 음소득세는 미국의 Friedman 등이 제안한 것으로서 기존의 사회복지들을 모두 폐지하는 대신 특정 소득수준(면세소득) 이하의 가구에는 면세소득과 가구소득의 차액의 일정 비율(음소득세율)만큼 음소득세, 즉 보조금을 지급하고, 면세소득 이상의 가구에 대해서는 가구소득과 면세소득의 차액에 대해 양(+)의 소득세를 부과하여 음소득세의 재원을 마련하는 제도이다. 이를 통해 조세와 복지 급여체계를 통합함으로써 사회적 비용을 가시화하면 조세 회피가 발생하지 않고 유권자들의 책임 있는 정치적 결정이 가능해지며, 기존의 복지에 수반되는 자산조사를 위한 행정비용을 절감하고 방대한 관료기구를 폐지하여 더 많은 복지재원을 마련할 수 있고, 노동을 할수록 음소득세는 감소하지만 순소득은 증가함으로써 기존 복지에 비해 노동유인을 증가시키는 등의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제도의 골자이다. 국내에서는 이를 다소 변형시킨 안심소득제가 제안되어 있는데, 안심소득의 지급구조는 음소득세와 동일하지만, 음소득세와 달리 기존 복지제도들 중에 일부, 즉 생계급여, 주거급여, 자활급여,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등만 폐지하고, 특히 기존의 소득세 제도를 그대로 유지하여 기준소득 이상의 가구에 대한 별도의 소득세 부과를 상정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음소득세와 안심소득을 기본소득과 비교해보면, 먼저, 음소득세는 설계에 따라 기본소득과 동일한 재분배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음소득세는 가구단위 지급이어서 가족 해체의 위험도 있고, 소득 기준으로 수급자와 비수급자가 나뉘기 때문에 기본소득에 비해서는 행정비용과 낙인효과가 발생하며, 소득이 발생한 이후에 지급되기 때문에 그 이전에 생계보호가 미흡하고, 소득만으로 지급 기준을 삼기 때문에 자산이 많은 부자도 수급자가 될 수 있으며, 노동유인도 기존의 자산조사에 근거한 최소소득보장보다는 크지만 기본소득에 비해서는 작다. 다만, 음소득세와 기본소득의 순비용은 같지만, 총비용은 음소득세가 작기 때문에 정치적 실현가능성에서는 음소득세가 다소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안심소득제는 음소득세의 문제점들을 공유하는 데서 더 나아가 기준소득 이상의 가구에 대해 양의 소득세를 부과하지 않기 때문에 안심소득의 재원조달 방안이 불투명하다. 게다가 안심소득 제안자들은 안심소득의 소득격차 완화효과가 기본소득에 비해 우월하다고 주장하는데, 그러한 주장은 효과분석의 방법론상 오류에 근거하고 있는 부당한 주장이다. 나아가 기존의 몇 가지 복지를 폐지할 경우, 안심소득이 기존 복지 수급액에 비해 더 적어져서 복지가 축소될 위험도 안고 있다. 음소득세나 특히 안심소득제로 기본소득을 대체한다거나 최소한 양자를 병립시킨다는 것은 음소득세와 안심소득제에 대대적인 수정이 가해져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가구 단위를 고집할 경우 병립 가능성은 사라지게 되고, 더군다나 대체는 바람직하지도 않을 것이다. 4장에서는 기본소득 아이디어의 대항마처럼 제기되고 있는 기초자산제의 연원, 주요 논리, 외국 사례를 소개하고, 기본소득론의 관점에서 기초자산제의 의미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기초자산은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청년들에게 일정한 규모의 자산을 지급하는 제도로서 기본소득과 마찬가지로 18세기 말 토마스 페인(T.Paine)으로부터 유래한다. 현대에 이르러 여러 제안자들이 다양한 명칭과 내용으로 제안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미국의 액커만과 알스토트(1999)는 21세 청년에게 창업비, 교육비, 주거비 등의 용도로 8만 달러(2만 달러씩 4년) 지급을 제안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정의당이 용도를 학자금, 취업준비금, 주거비용, 창업비용으로 제한하여 20세 청년에게 3천만 원(아동양육시설 퇴소자에게는 5천만 원)의 기초자산을 지급하자고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기초자산제는 실제로 영국에서 2005~2011년 동안 아동신탁기금(Child Trust Fund)이라는 제도로 실시된 바 있는데, 2002.9.1.~2011.1.2. 사이에 출생한 모든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 명의의 계좌에 정부와 부모·친척이 적립하고, 18세 이후 용도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었다. 이 제도는 개인 기여분의 비중이 큰 편이고 과세가 되지 않아 고소득층의 증여에 이용될 수 있어 당초 목표인 자산불평등 완화에 효과적인 수단이 아니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그런 상황에서 2011년 재정적자 감축을 이유로 폐지되었다. 이러한 기초자산제를 기본소득과 비교해보면, 우선 양자 모두 토지에 대한 지대로 21세 청년에게 기초자산과 50세 이상에게 기본소득을 주장한 토마스 페인의 『토지정의』(1797)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그런 점에서 공유부 배당 원칙의 실현을 목표로 하며, 인간의 ‘자유로운 삶’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양자는 정기성, 보편성, 무조건성에서 차이가 있다. 먼저, 기본소득은 정기적 지급을 통해 삶의 안정성을 지향하는 데 반해, 기초자산은 일시에 목돈을 지급하여 거시적 자유의 실현을 지향하지만, 자산 소진 이후의 삶에 대한 보장이 없다. 보편성과 관련해서는 기본소득은 모든 사람에게 사회적 최저선을 보장하지만, 기초자산은 특정 연령의 청년이 지급대상인데, 최근 사회적 위험은 청년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어서 청년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근거가 약하며, 또 공유부 배당을 청년에게만 제한하는 것은 원칙에 어긋난다. 무조건성과 관련해서는 기본소득은 무조건지급하는 데 반해, 기초자산은 통상 사용처 제한(교육, 주거, 창업 등), 수급자 자격제한(고등학교 졸업 등), 기초자산의 탕진 예방을 위한 재정 교육 의무화 등의 조건을 부과하는데, 공유부 수익은 모두의 당연한 몫이기 때문에 조건 없이 배당되어야 한다는 원칙과 어긋난다. 결국 기초자산이 일회성 목돈 지급을 통해 거시 자유를 확대하고, 자산 불평등을 완화하겠다는 정책적 목적은 그 자체로 유의미하지만, 생활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조건 속에서 기초자산은 한계가 크기 때문에,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본소득과 같이 삶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동반할 필요가 있다. 5장에서는 영국에서 얼마 전부터 기본소득에 대한 대안으로 제안되고 있는 기본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그것은 “안전, 기회 및 참여에 대한 접근을 보장함으로써 모든 시민이 더 큰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무상 공공서비스의 집합체”로 정의된다. 이것은 “필요한 시점에 무상의 보편적 접근”의 원칙을 구현하는 것인데, 구체적 영역은 기존의 무상 의료서비스(National Health Service: NHS), 공공 교육, 민주주의와 법률 서비스에 더하여 주거, 식량, 교통, 정보 영역으로, 나중에는 아동 및 성인 돌봄 영역으로까지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기본서비스를 국가가 제공해야 하는 근거는 첫째, 서비스의 외부성으로 인하여 개인에 대한 혜택보다 사회에 대한 혜택이 크기 때문이고, 둘째, 서비스는 규모의 경제 또는 범위의 경제로 인하여 자연독점이 우려되기 때문이며, 셋째, 불완전 정보로 인해 정보의 비대칭이 발생하기 때문이고, 넷째, 공통의 문화·시민권·가치 때문이다. 이러한 근거들은 ‘공유된 욕구’와 ‘집단적 책임’으로 정식화된다. 즉, 인간은 생존하고, 성장하며, 사회에 참여하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하는 특정한 기본적 욕구들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 욕구들은 사회적 권리로서 국가를 통해 집단적으로 충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서비스는 기존의 복지제도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저소득층의 노동유인을 증가시킨다. 둘째, 재원이 소득에 대한 비례세로 조달된다면, 누진적 효과를 가져온다. 셋째, 게다가 기본서비스가 수요를 증가시킬 경우, 그 효과는 특히 선별적으로 될 것이다. 동시에 선별적 현금급여가 갖는 노동유인에 대한 역효과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넷째, 기본서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negative income tax/safe income system, the basic asset system, and basic services, which are currently in opposition to basic income in the political world, and evaluated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basic income. A brief summary of these is as follows. The negative income tax reviewed in Chapter 3 was proposed by Friedman et al. of the United States, and instead of abolishing all existing social welfare, a certain percentage of the difference between tax-free income and household income (negative income tax rate) is applied to households below a certain income level (tax-free income). Negative income tax, that is, subsidy is paid, and positive (+) income tax is levied on the difference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tax-free income for households with more than tax-free income to raise funds for negative income tax. In Korea, a slightly modified version of the relief income system has been proposed. The payment structure of safe income is the same as negative income tax, but unlike negative income tax, some of the existing welfare systems, namely, livelihood benefits, housing benefits, self-support benefits, work incentives, Only incentives, etc. were abolished, and in particular, the existing income tax system was maintained, so that no separate income tax was levied on households with more than the standard income. Chapter 4 introduces the origin, main logic, and foreign cases of the basic asset system, which have been raised as a counter to the basic income idea, and analyze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basic asset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asic income theory. The basic asset is a system that pays a certain amount of assets to young people who are taking their first steps into society.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basic income and the basic asset system in terms of regularity, universality, and unconditionality. In the end, although the policy objective of expanding macro freedom and alleviating asset inequality through one-time payment of large sums of money for the underlying asset is meaningful in itself, the original purpose is because the underlying asset has a large limit under conditions where the stability of life is not guaranteed. In order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accompany institutional devices that can secure life stability, such as basic income. Chapter 5 looked at basic services that have been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basic income for some time in the UK, which are “free public services that enable all citizens to live bigger lives by ensuring access to safety, opportunity and participation” It is defined as “the aggregate of It embodies the principle of “free, universal access when needed”, with specific areas including housing, food, transport and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existing free National Health Service (NHS), public education, democracy and legal services. In the future, it aims to expand to the area of child and adult care. Proponents of basic services criticize basic income, arguing that basic services are superior to basic income. On the other hand, basic income supporters also oppose the criticism of basic income by basic service proponents. Although there is controversy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services and basic income, the two are not substitutes, but complementary, in terms of principled validity, complementarity by domain, and historical experience. In other words, there exists a Granger causality between cash transfer expenditure and service expenditure in the welfare state, where one increase increases the other. Therefore, the two should not reject each other, but seek ways to develop in parallel. In particular, since basic services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necessity and basic income is based on the right to the commons, the grounds are different. Parallel development will be possible without conflict.

      • KCI등재

        읽기부진아동의 해독특성

        윤효진(Hyo Jin Yoon),김미배(Mibae Kim),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읽기부진아동의 해독특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읽기집단, 학년집단, 낱말의 의미 유무, 자소-음소 일치 여부, 자소-음소 일치형 낱말의 의미 유무, 자소-음소 불일치형 낱말의 의미 유무에 따른 해독력과 음운규칙 오류율을 살펴보았다. 방법: 초등학교 1∼6학년에 재학중인 89명의 읽기부진아동과 학년을 일치시킨 89명의 일반아동 총 178명이 참여하였고, 2음절 낱말 68개의 해독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읽기부진아동은 일반아동보다 모든 해독과제에서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읽기부진아동은 초등중학년과 초등고학년 사이에 낱말해독력의 증진을 보이는 반면, 일반아동은 초등저학년에서 초등중학년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해독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읽기집단 모두 의미낱말보다 무의미낱말에서, 자소-음소 일치형 낱말보다 자소-음소 불일치형 낱말에서, 자소-음소 일치형과 자소-음소 불일치형의 의미낱말보다 무의미낱말에서 더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읽기부진아동은 의미 유무와 자소-음소 일치 여부에 더 영향을 받으며, 무의미낱말과 자소-음소 불일치형 낱말에서 더 어려움을 보였다. 음운규칙별로 살펴보았을 때 두 읽기집단 모두 비슷한 발달패턴을 보였다. 된소리와 비음화 음운규칙에서 낮은 오류율을 보이며 일찍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개음화와 설측음화 음운규칙은 고학년에서도 높은 오류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일반아동은 초등중학년에서 해독능력이 자동화되는 반면, 읽기부진아동은 초등중학년까지 어려움을 보이다가 초등고학년에서 해독능력이 자동화되는 것으로 나타나 해독기술이 완성되는 시기가 다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읽기부진아동은 무의미낱말, 자소-음소 불일치형 낱말 해독과제에서 더 어려움을 보였으며, 이는 읽기부진아동이 자소와 음소의 대응 규칙을 빠르고 적절하게 대응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읽기부진아동은 음운규칙을 적절하게 적용시키는데 어려움을 보이며, 음운규칙의 발달시기도 늦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발달양상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and Object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decoding skills of school-aged poor readers. The study examined whether decoding skills differ between children who were poor read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cross grades in: (a) word and non-word reading (b)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words and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c) word and non-word decoding in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words (d) word and non-word decoding in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and (e) words that adhere to six phonological rul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89 poor readers and 89 aged-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rom grades 1 to 6.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1) poor readers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in all decoding task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2) the decoding skills of the poor readers did differ between grades 3 to 4 and grades 5 to 6, while decoding skills of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iffered between grades 1 to 2 and grades 3 to 4, (3) both reading group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on the word than non-word decoding tasks, the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words than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tasks,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words than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non-word tasks, and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than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non-word tasks, and (4) the children showed similar developmental patterns on the acquisition of phonological rules, demonstrating that both groups acquired the rules of tensification and nasalization early in development, while they had not fully acquired palatalization or lateralization rules and illustrated high rates of errors. Discussion & Conclusion: Poor readers tend to acquire automaticity of word decoding during grades 5 to 6, whil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cquire accurate and fluent word reading skills during grades 3 to 4. Poor readers experience difficulty with decoding of nonsense words and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Even though poor readers acquired phonological rules slower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reading groups did not differ qualitatively in terms of developmental patterns of acquisition of phonological rules.

      • KCI등재

        음운 인식 특성 연구: 음운 인식 단위, 과제 유형, 음절 및 음소 위치 효과를 중심으로

        김애화 한국학습장애학회 2012 학습장애연구 Vol.9 No.2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vide more insight in the relative difficulty of subtests of phonological awareness distinguished by phonological units(i.e., syllable, onset-rime, body-coda, phoneme), phonological awareness tasks(i.e., isolation, blending, segmenting, deletion, substitution), and syllable or phoneme position(i.e., initial, middle, end). To this purpose, 183 children in ages from 4-to 6-year-old were presented with ten subtests of phonological awareness. To test effects of type of task and syllable or phoneme position on task performance, a repeated 2-way MANOVA was conducted. Major result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children performed worse on syllable substitution in all syllable positions compared to other tasks. Children made more errors in isolating, deleting, and substituting the middle syllable than the intial and final syllables. Second, children peformed worse on phoneme substitution in the intial position compared to other tasks. Children made more errors in isolating the middle phoneme than the intial phoneme. Third, children performed worse on onset-rime blending and segmenting compared to body-coda blending and segmenting. Children made more errors in segmenting onset-rime and body-coda than in blending onset-rime and body-coda.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음운 인식 단위(음절, 초성-각운, 음절체-종성, 음소), 과제 유형(분리, 탈락, 대치, 합성, 분절), 음절 또는 음소 위치(첫 음절 또는 첫 음소, 가운데 음절 또는 가운데 음소, 끝 음절 또는 끝 음소)를 고려하여 음운 인식 검사를 구성하고, 이들 하위 검사들 간의 상대적 난이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0개의 음운 인식 하위 검사를 만 4세, 5세, 6세 아동 총 18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반복측정 이원 다변량 분산분석(2-way MANOVA)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위 검사 단위(음절 인식)에서의 과제 유형(음절 분리, 음절 탈락, 음절 대치)과 음절 위치(첫 음절, 가운데 음절, 끝 음절)에 따른 정답률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음절 위치(첫 음절, 가운데 음절, 끝 음절)에서 음절 대치가 다른 과제들보다 정답률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과제에서 가운데 음절이 다른 음절보다 정답률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운 인식 단위(음소 인식)에서의 과제 유형(음소 분리, 음소 탈락, 음소 대치)과 음소 위치(첫 음소, 가운데 음소, 끝 음소)에 따른 정답률 차이를 살펴본 결과, 첫 음소에서만 음소 대치가 음소 탈락보다 정답률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음소 분리에서만 가운데 음소가 첫 음소에 비해 정답률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제 유형(합성, 분절)에 따른 초성-각운 인식과 음절체-종성 인식의 정답률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과제에서 초성-각운이 음절체-종성 보다 정답률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성-각운과 음절체-종성 모두에서 분절 과제가 합성 과제 보다 정답률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음운론적 표상들의 추상성에 관하여 : 러시아어 음소 shch를 중심으로

        추석훈(Suk hoon Choo)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1

        러시아어 음소 중 하나인 /sh´:/는 러시아어 음소체계에서 독특한 음소로 간주된다. /sh´:/는 다른 러시아어 음소와 비교할 때 소리의 길이에서 현저하게 길 뿐만 아니라, 단음소인 /sh/의 단순한 결합의 결과도 아니다. 이 논문에서는 필자는 /sh´:/가 러시아어 음소체계에서 하나의 음소로 분리되어 간주될 필요가 없음을 논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통합론적(syntagmatic) 논리를 유지하면서도, 계열론적(paradigmatics) 영역에서 논리의 파괴 없이 언어학적 경제성을 획득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현대 표준 러시아어에서 음소 /sh´:/의 형태음소론적 특징을 먼저 살펴보고, 3장에서는 현대 표준 러시아어에서 /sh´:/의 음소적 지위를 살펴보면서 결론으로 이어진다. A phoneme /s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unusual phonemes in Russian phoneme inventory. Compared to other Russian phonemes, it is significantly long in length, and it is not the result of doubling of short phoneme /s/. In this paper, I propose that /sh´:/ does not need to be counted as a separate phoneme in Russian phoneme inventory. Certainly, the surface phone [s´:] does exist, but instead of occurring as a separate phoneme, it should instead be deriv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several syntagmatic factors. Not only can we achieve a significant economy in the area of paradigmatics, but we can do so without any complication of the syntagmatics whatsoever. In chapter 2, I try to analyze /sh´:/ in contemporary standard Russian. In chapter 3, I suggest different approaches to analysis of the phonemic status of /sh´:/ in contemporary standard Russian, then conclusion is followed.

      • KCI등재

        유아의 음소인식과 읽기 능력

        조문현(Cho Moon Hy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 No.-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음소인식의 개념과 음소인식과 읽기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음소인식 발달의 교수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문헌 연구 결과 음소인식은 의미를 구별할 수 있게 하는 음의 최소 단위가 있음을 이해하는 것이며, 읽기의 선행요소이며 결과로 상호인과성의 관계가 있으며 초기 및 후기 읽기와도 관련되고 철자와 이해에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음소인식은 유아기부터 발달되어야 하며 이것은 훈련을 통해 가능하다. 음소인식 교수전략으로는 정해진 시간에 직접 지도를 하는 것보다 의도적으로하되 통합적인 문식성 활동 맥락에서 지원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며, 어린 유아에게는 순수한 구어 언어적 방법이, 좀더 나이든 아동에게는 인쇄물과의 상호작용을 결합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음소인식의 교수책략에 따른 음소인식 발달 차이에 대한 연구와 음소인식을 위한 구체적 자료개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amine the concept of awareness of phoneme as well as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of phoneme and reading by reviewing literatures, and to find supporting strategies to develop the awareness of phoneme. As a result of review of literatures, the awareness of phoneme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minimum unit of a sound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 meaning. The awareness of phoneme and reading have a reciprocal causation. The awareness of phoneme also affects the other areas of literacy such as spell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s supporting strategies to develop the awareness of phoneme, supports under the connection of integrated literacy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studies on difference in developing the awareness of phoneme by instructional methods well as studies on detailed data for the awareness of phoneme should be required.

      • KCI등재

        진주 지역어의 홀소리 체계와 경남 중방언권 경계에 대한 논의

        박정수(Park, Jungsoo) 국제언어문학회 2016 國際言語文學 Vol.- No.33

        이 연구는 진주 지역어의 음소 체계를 파악해 보고, 진주에 작은(소)방언권이 형성되어 있는가를 밝혔다. 이 연구에서 방언 구획을 설정하는 방법은 음소 체계에 의해 파악하는 것이다. 진주 지역어에서는 /ə/ 음소와 /ɨ/ 음소 두 음소를 대립(변별)하지 못 하고 있으며, /ə/음소와 /ɨ/ 두 음소가 하나의 소리로 중화해 /ɜ/ 음소로 실현되고 있다. 진주 지역어 /ɛ/는 진주 하위 지역에 따라 /ɛ/ 음소 또는 /ɛ/와 /e/ 두 음소가 합류해 /E/ 음소로 실현되고 있다. 곧 진주 지역에서는 /ɛ/ 음소가 실현되고 있는 하위 지역과 /E/ 음소가 실현되는 진주 하위 지역으로 분화 된다. 진주의 등어선은 남강을 중심으로 흐르고, 곧 남강은 방언의 경계선이 되고, 남강의 주변은 방언 접경지역이다. 진주의 동남부 지역과 서북부 지역에서 체계가 다른 작은 방언권이 형성되어 있다. 진주의 동부 쪽에서 먼저 방언의 분화가 일어난 것 같다. By analyzing Jinju dialect phoneme syste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rarify whether small dilect areas are exist in Jinju or not. In Jinju dialect, the phoneme /ə/ and /ɨ/ are not in confrontation. As a result of neutralization, these phonemes are merged into /ɜ/. According to the sub-regions, the differentiations of Jinju dialect are shown by revealing the phoneme /ɛ/ and /E/. In terms of phoneme system, there are differences among sub-regions in Jinju. For example, seven phonemes /a, i, u, o, e, ɛ, ɜ/ are spoken in the west northern region, while six phonemes /a, i, u, o, E, ɜ/ are discovered in the east-southern region There are two types of diphthong of Jinju dialect. First one is /j-/ type which is consisted of phonemes such as /ja/, /jɜ/, /jo/ and /ju/. Although /w-/ type of diphthong is appeared in this region, phonemes are differently used for sub-regions. For example, /wa/ and /wɜ/ are apparently found in the west-northern region. However, there is only /wa/ in the east-southern region. We can divide Jinju into two sub-dialects areas by isogloss. Nam river can be a boundary line for differentiation of Jinju dialect. On the basis of this, there is separation between east-southern area and the west-northern area which contributes to form small dialect areas in Jinju.

      • KCI등재

        제2 언어가 한국어인 베트남 성인의 한글 해호화 초기과정에서의 자소-음소 대응

        윤혜경,박혜원,권오식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5 No.4

        본 연구는 제2 언어로 한국어를 배우면서 한국어의 문자체계인 한글을 학습하는 외국인 성인의 한글 해호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울산 지역에 거주하는 베트남 이주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한국에서 생활한 기간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글 자소-음소 대응과정에 영향을 주는 음운인식 수준을 평가하고 이로부터 한글 자소-음소 대응과정 즉 음소인식과 자소와의 대응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음운인식과제와 자소대치/탈락과제를 사용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성인 베트남 피험자들은 비록 한국어를 사용한 음운지각과제이지만 음절인식은 물론 음소인식(68%)에서도 비교적 높은 정반응을 보였다. 둘째, 한국 거주기간에 따라 음절인식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음소인식에서는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초성인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자소대치과제에서는 전체적으로 77%-82%의 수행을 보였는데, 받친글자에서는 자소위치에 따른 자소-음소 대응 차이가 없었으나(74%-79%) 민글자에서는 종성대치(89%)가 초성과 중성에서의 수행(78-80% )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이 외국인 성인의 음운인식능력과 한글 해호화 과정에서의 자소-음소대응과정과 연관 지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level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the acquisition process of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relations in Hangul phonics as used by Vietnamese adults who speak Korean as a second language.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and grapheme substitution/addition tasks were administered to 20 Vietnamese women who had been married to Korean men in Ulsan for 1 to 6 years. Analyses revealed that these Vietnamese-Korean bilinguals showed a 75% correct rate of syllable awareness regardless of the place of the syllable and a 68% correct rate of phoneme awareness, regardless of the placement of phoneme. However, phonemic awareness for syllables in different places was vari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The performance with regard to the first phoneme awareness was lower than that for the middle or final phoneme awareness in the subjects who had lived less than 5 years in Korea. Finally, the performance rate for the grapheme substitution/addition task was 77% to 82%; the performance for the final grapheme was likewise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or middle grapheme.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Hangul phonics and the acquisition process of Hangul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relations.

      • KCI등재

        음소 유사율 오류 보정을 이용한 어휘 인식 후처리 시스템

        안찬식(Chan-Shik Ahn),오상엽(Sang-Yeob Oh)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5 No.7

        어휘 인식 시스템에서 인식률 저하의 요인으로는 유사한 음소 인식과 부정확한 어휘 제공으로 인해 오인식 오류가 존재한다. 부정확한 어휘의 입력으로 특징을 추출하여 인식할 경우 오인식의 결과가 나타나거나 유사한 음소로 인식되며 특징 추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음소 인식 시 유사한 음소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음소가 갖는 특징을 기반으로 음소 유사율을 이용한 어휘 인식 후처리에서의 오류 보정 후처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음소 유사율은 모노폰으로 훈련시킨 훈련 데이터를 각각의 음소에 MFCC와 LPC 특징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유사한 음소는 정확한 음소로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부정확한 어휘 제공으로 인하여 오인식되는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음소 유사율과 신뢰도를 이용하여 오류 보정율을 구하였으며, 어휘 인식 과정에서 오류로 판명된 어휘에 대하여 오류 보정을 수행하였다. 에러패턴 학습을 이용한 시스템과 의미기반을 이용한 시스템에 비해 시스템 성능 평가 결과 MFCC와 LPC는 각각 7.5%와 5.3%의 인식 향상률을 보였다. In vocabulary recognition system has reduce recognition rate unrecognized error cause of similar phoneme recognition and due to provided inaccurate vocabulary. Input of inaccurate vocabulary by feature extraction case of recognition by appear result of unrecognized or similar phoneme recognized. Also can't feature extraction properly when phoneme recognition is similar phoneme recognition. In this paper propose vocabulary recognition post-process error correction system using phoneme likelihood based on phoneme feature. Phoneme likelihood is monophone training phoneme data by find out using MFCC and LPC feature extraction method. Similar phoneme is induced able to recognition of accurate phoneme due to inaccurate vocabulary provided unrecognized reduced error rate. Find out error correction using phoneme likelihood and confidence when vocabulary recognition perform error correction for error proved vocabulary. System performance comparison as a result of recognition improve represent MFCC 7.5%, LPC 5.3% by system using error pattern and system using seman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