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보영재아동의 예술영재성 분석연구

        전우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giftedness in IT and artistic giftedness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Currently gifted education is going on as a form of convergent education according to government policy since 2013. Therefore, in current gif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various convergent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science, arts, and technology are included as well as information subject. In this paper, correlation between giftedness in IT and giftedness in convergent subjects especially artistic giftedness is analyzed.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gifted children in IT who have attended a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at Seoul are selected. Their scores are gathered and analysed. The thorough statistical results indicates that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subject and artistic subject. It means that the higher scores information subject is, the lower scores artistic subject is. The statistical results can be used as important baseline data on gif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현재 영재교육은 2013년 이후 정부의 시책에 따라 융합영재교육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영재교육과정에 있어서 정보영재아동은 정보과목 뿐만 아니라 수학, 과학, 예술, 기술 등 다양한 융합과목을 포함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아동의 융합과목에 있어서 특히 예술영재성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시내 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재학기간의 성적을 기초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및 분석 결과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정보과목 점수가 높으면, 예술과목 성적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영재교육과정 구성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현재 영재교육은 2013년 이후 정부의 시책에 따라 융합영재교육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영재교육과정에 있어서 정보영재아동은 정보과목 뿐만 아니라 수학, 과학, 예술, 기술 등 다양한 융합과목을 포함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아동의 융합과목에 있어서 특히 예술영재성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시내 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재학기간의 성적을 기초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및 분석 결과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정보과목 점수가 높으면, 예술과목 성적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영재교육과정 구성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현재 영재교육은 2013년 이후 정부의 시책에 따라 융합영재교육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영재교육과정에 있어서 정보영재아동은 정보과목 뿐만 아니라 수학, 과학, 예술, 기술 등 다양한 융합과목을 포함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아동의 융합과목에 있어서 특히 예술영재성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시내 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재학기간의 성적을 기초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및 분석 결과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정보과목 점수가 높으면, 예술과목 성적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영재교육과정 구성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고등학교급 영재교육기관의 융합 교육과정의 분석연구

        이정규(Jeong-kyu Lee),성은현(Eun-Hyun Sung),김주아(Juah Kim) 한국영재교육학회 2022 영재와 영재교육 Vol.21 No.2

        영재교육을 잘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지능정보화사회의 변화 트렌드를 인식하고 예측하여야 하며, 미래를 살아갈 영재들이 갖추어야 할 혁신역량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를 탐색하여 영재교육에 반영해야 한다. 세계경제포럼(WEF), OECD 등의 교육보고서들은 미래 인재들이 갖추어야 할 혁신역량으로, ‘융합력’을 공통으로 꼽고 있다. 이에 고등학교급 영재교육기관들의 융합교육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최근 융합교과를 새로이 신설하여 비록 적은 비율(2.20~11.49%)이기는 하지만 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음을 이번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융합교과의 내용은 ① 실제 사회 문제해결에 기반한 융합교과, ② 기존의 융합학문으로 확립된 분야에 기반한 융합교과, ③ 교과의 핵심개념 및 원리에 기반한 융합교과, ④ 이론의 실체화 및 실제 세계에서의 활용을 매개로 한 융합교과, ⑤ 사고력 향상에 중점을 둔 융합교과, ⑥ 특강 및 체험활동 형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융합교과의 운영은 학교별로 차이가 있으나 융합교과의 학습 선택권을 다양화하기 위하여 다시 융합필수·융합선택과목으로 세분하여 운영하고 있다. 융합교과구성도 융합교과와 별도로 융합교과활동으로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2020 교육부도 융합교육종합계획을 발표한 만큼 영재교육에서도 융합교육이 더욱 내실있게 확대되어야 한다. In order to teach the gifted education well, we need to recognize and predict the change trends of the highly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we need to explore how to educate the gifted people who will live in the future and reflect them in education for the gifted. Education reports such as the WEF, OECD commonly point to 'convergence' as the innovation competency that future talents should hav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 school-level gifted education academy, this study confirms that convergence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and is gradually expanding, although a small percentage (2.20~11.49%) of newly newly established convergence subjects are being established. could The contents of the convergence curriculum are ① convergence curriculum based on real social problem solving, ② convergence curriculum based on fields established as existing convergence studies, ③ convergence curriculum based on core concepts and principles of the subject, ④ realization of theory and real world It can be classified into convergence subjects based on utilization, ⑤ convergence subjects focusing on improving thinking ability, and ⑥ special lectures and experiential activities. As the 2020 Ministry of Education also announced the Comprehensive Plan for Convergence Education,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more substantively in gifted education.

      • KCI등재

        융합영재교육의 발전 과제와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

        맹희주 韓國英才學會 2013 영재교육연구 Vol.23 No.6

        융합형 인재 육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영재교육에서도 융합교육을 위한 노력들이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노력은 양적으로 매우 부족한 편이며, 과학과 예술에 편중되게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융합교육과 관련된 영재교육의 연구 현황들을 통해 우리나라 융합영재교육의 실현과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를 논의하고, 향후 융합영재교육의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논의결과 융합영재와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명확한 정의의 확립이 필요하며, 영재교육의 수혜영역별 융합적 사고력에 대한 정의와 개념적 틀 마련을 위한 연구들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또한 영재의 특성을 고려한 융합영재교육의 콘텐츠 개발과 융합이론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융합형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사되어졌다. 더불어 영재교사들의 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들 또한 필요한 것으로 논의되었다. Many studies on convergence education have been done in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to meet the social needs for people of convergence talent and to adjust our education system to the paradigm shift. However, the number of studies on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not sufficient enough and most of them are mainly on science and art. So, this study reviews the previous studies on gifted education involving convergence, and discusses the pressing issues to address for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n korea. Also, the direction of the further research is introduced. There is an agreement that the definition of the convergence gifted and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needs to be clarified, and further researches have to be conducted to establish a basis for defining integrated thinking ability.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the contents for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ccommodating individual differences, and a theory-based approach to creat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is proposed. On top of that, the needs for the studies on how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capability of the teachers are discussed.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수・과학영재와 발명영재의 인식 차이

        김성애(Kim Sung Ae),이상봉(Yi Sang B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수・과학영재와 발명영재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 식을 비교 분석하고, 영재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다. 이를 위해 경기도 수․과학영재 및 발명영재 총 6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과학영재와 발명영재는 모두 인식과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다. 필요성에 대한 이유로는 수․과학영재들은 기존 의 내용이 아닌 새로운 과제를 통한 학습 동기 유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으며, 발명 영재들은 다양한 과목의 융합으로 다양한 사고와 상상력 계발과 기존의 내용이 아 닌 신선하고 흥미로운 과제를 통해 학습 동기를 유발하기를 원하고, 미래 사회의 리 더가 될 수 있는 자질을 기르기 위해서라고 응답했다. 둘째, 현재 영재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 실시 여부에 대해서는 발명영재는 실시하고 있다는 응답이 많았으나 수․과학영재는 받지 않는다고 응답하거나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 융합되고 있는 교과를 묻는 질문에는 발 명영재학급의 학생들과 수․과학영재는 모두 과학, 수학, 기술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발명영재는 과학, 수학, 기술 또는 과학, 수학, 기술, 예술로 양분된 반면 수학・과학 영재는 다른 과목을 제외하고 과학과 수학교과만이 융합되고 있다는 응 답도 존재했다. 넷째, 영재교육의 융합교육화(化)에 대해서는 수․과학영재와 발명 영재는 모두 한꺼번에 여러 가지를 융합하는 것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우려를 나타 내었다. 다섯째, 융합교육에 가장 적합한 주제는 수・과학영재와 발명영재들은 대부 분 로봇 등의 첨단기술을 꼽았으나, 수・과학영재는 자연재해, 식량문제, 윤리 및 도 덕성 등 다양한 분야에 응답했다. 여섯째, 융합교육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에 대 해서는 수학․과학 영재들은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발명영재는 다양한 도서 및 자료, 교구구비가 가장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o the perception towards the STEAM education for mathematics/science-gifted students and invention-gifted student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STEAM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For that, 60 students of mathematics/science-gifted class and invention-gifted class at schools in Gyeonggi-do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all students of mathematics/science-gifted class or invention-gifted class showed common perception and recognition. Particularly, the students of invention-gifted class showed higher rate of response to the need for STEAM education, compared to the students of mathematics/science-gifted class. In relation to the need for STEAM education, the students of mathematics/science-gifted class perceived the need for learning motivation through new tasks, not the conventional learning contents. Meanwhile, the students of invention-gifted class exhibited the desire to have the learning motivation stimulated through novel and interesting tasks, rather than conventional learning content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thinking perspectives and imagination based on the convergence of many different subjects, and answered that they pursued such direction to build up capabilities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the leaders of future society. Second, a large proportion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STEAM education was provided in the invention-gifted class under the current gifted education. However, the students who indicated that STEAM education was implemented turned out to be outnumbered by the students who answered that STEAM education was not provided in invention-gifted class or the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ere not sure. Third, students of both invention-gifted class and mathematics/science-gifted class answered that the subjects of science, mathematics, and engineering were the primary targets of convergence when they were asked to indicate the subjects that were converged in STEAM education. The students of invention-gifted class were split into one group that answered that the science, mathematics, and engineering were the major subjects of convergence and the other group that answered that the science, mathematics, engineering, and art were the primary subjects of convergence. By contrast, some students of mathematics/science gifted class indicated that only the science and mathematics were converged in STEAM education. Fourth, some students expressed concern, along with the anticipation, in relation to the convergence of many things altogether at a time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students. Fifth, most students of mathematics/science-gifted class and invention-gifted class singled out the state-of-art or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robotics, etc., as the subject most ideal for the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the students of mathematics/science-gifted class pointed to various fields such as natural disasters, food crisis, ethics and morality, etc. Six, in relation to what were needed to spur the development the convergence education, the students of mathematics/science gifted class indicated that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was the most urgently required while the students of invention-gifted students answered that various books, materials, and education tools were the most urgent requirements.

      • KCI등재

        중등 영재 지도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서보경,맹희주 韓國英才學會 2016 영재교육연구 Vol.26 No.1

        This research studies the perception to gifted education teachers between the middle school gifted education for STEAM and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for revitaliz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shows that the awareness of gifted education teachers for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lower than the level of the awareness for STEAM, and it appears that the Gifted education teachers especially has the experience adapt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who awareness for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not only teachers has the experience adapt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and the very poorly recognition for the task of Comprehensive Plan for Gifted Education promotion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an creative and convergence content, a they has the very low experience for the development. And it analyzes that althoug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s, teachers who are in science gifted teachers and the mature experienced man realizes very optimistically the necessity need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Therefore, it analyzes that recognition to the necessity need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reinforced through the training for the gifted teachers in the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and in less teaching experience. But it points out that answers over the majority cognized to resemble the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and STEAM, though the object is only different.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the differentiated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curriculum providing the suitableness for the characteristic and level is needed for the desirable fixedness. 본 연구는 융합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중등 영재 지도교사들을 대상으로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지도교사들의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지도는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지도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교사들은 현장 적용 경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추진과제로서 창의․융합형 콘텐츠 개발이 포함되어 있음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았으며, 콘텐츠 개발 경험 또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지만 과학영재 지도교사와 영재 지도 경력이 높을수록 융합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재교육 교원 연수를 통해 수학영재 지도교사와 저경력의 영재 지도교사들에게 융합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과반 수 이상의 응답자들이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이 대상만 다를 뿐 유사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융합영재교육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영역별 영재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차별화된 융합영재교육이 필요함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 KCI등재

        융합형 영재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이재호 한국정보교육학회 201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6 No.1

        2000년 1월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된 후 2002년 4월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이 공포됨으로써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이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2007년 12월 발표한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안’에서는 전체 학생의 0.59%정도에게 제공되던 영재교육을 2012년까지 초․중등학생의 1%까지 확대 실시하는 계획을 수립한 후 시행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이 양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최근까지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은 학문영역별 중심으로 시행되었으며, 특히 수․과학 분야의 영재교육에 편중되어 시행되었다. 이와 같은 우리나라의 영재교육 상황에서 질적 성장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21세기 창의적인 융합인재 육성을 위하여 과학과 예술영재교육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교육기관의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융합형 영재교육기관에서 적용 가능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영재교육기관인 한국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과 해외 융합형 교과 운영 사례를 분석한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융합형 영재교육기관인 과학예술영재학교의 교육과정 편제를 제안하고 과학예술영재학교의 핵심 교과인 융합교과에 대한 세부 내용을 제안하였다. As a sequel of “special improvement act for gifted student education” legislated on January 2000, “regulation act for gifted student education” was published on April 2002 which is the time Korea has settled down its education for the gifted. Announced in the December 2007 “general plan for development of gifted student education” provided a platform for the gifted student education in Korea of growth in quantity, in which a plan of providing gifted student education up to 1 percent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students (approximately 70 thousands) has been established while the education currently provides to 0.59 percent (40 thousands) of all students. Until recently, however,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has been performed based on the way of concentrating on academic domains. and it has put more weights on mathematics and english domains. In order to overcome this drawbacks,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for growth in quality of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one of them is the our proposal of convergence of science and art education for cultivating 21 century creative humans through establishment of new type of institution. In this paper, education curriculum and management strategies appliable to the proposed convergence education institutions for 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derived the implication points through analysis on education processes used in korea science school for the gifted students, a representative institution for the gifted students in Korea, and we suggested educational process curriculums for the science and art institute for gifted students along with the detailed contents of convergence subject which is an essential subject to the institute.

      • KCI등재

        융합형 영재교육기관 설립에 관한 연구

        이재호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5 No.3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시대는 지식기반사회를 지나 창조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창조사회에서 중요시 되는 키워드들은 지식, 창의성, 융합 등일 것이다. 21세기 창조사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창의적인 융합형 인재를 양성해야 하는 당위성을 찾을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는 2010년 6월 과학과 예술의 통합 교육 실시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초․중등 예술교육활성화 기본방안 을 발표하였으며, 2011년 1월에는 초․중등 STEAM 교육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 제2차 과학기술인력육성지원 기본계획(안) 을 발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창의적인 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영재교육기관 설립 시에 적용 가능한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융합형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하여 융합형 영재교육기관 설립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였다. In these days it can be said that knowledge based society has been passed through and creative society is approaching, and the important keywords to the coming creative society should be the knowledge, the creativity, and the convergence. In order to make preemptive responses to this 21 century’s new creative society, cultivation of gifted students with integrated prototype is also an imperative reason to prepare. With this historical background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nounced “a general plan on invigor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art education for cultivation of creativeness and humanity” containing the acting curriculums of science and art integrated on June 2010, and also announced “the second general plan for support on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professionals” including STEAM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at January 2011.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strategy appliable to establish an education institution for gifted students specialized on promoting the students to the convergence type gifted students. For the purpose, we derived the necessity for converg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he implication points through analysis on the examples, and developed a strategy to establish an education institution for gifted students.

      • KCI등재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비교

        김윤나(Kim Yun na),이경화(Lee Kyung hwa)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4 Global Creative Leader Vol.4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초등교사들이 융합영재교육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각 150명을 편의 표집하여 선정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2014년 11월부터 2주간 실시하였으며, 최종 수집된 설문지는 총 244부(유아교사 120부, 초등교사 124부)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교육, 영재교육,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유아교사보다 초등교사의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둘째, 두 집단 모두 융합교육, 영재교육, 융합영재교육에 대해 전반적으로 경험이 적었으며, 유아교사는 초등교사에 비해 더욱 경험이 부족했다. 셋째, 융합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초등교사가 유아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두 집단 모두 융합영재교육에 대해서 정확한 인식은 가지고 있지 않지만 융합영재교육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 했고, 각 질문에 있어서 비슷한 응답양상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cognition of pre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about fusion gifted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irst, what pre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think about fusion education, gifted education and fusion gifted education. Second, how much experience do pre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have about fusion education, gifted education, and fusion gifted education. Third, how much do teachers think about the needs of convergent gifted education. To summarize the results, elementary teachers were higher than preschool teachers in both awareness and experiences. And both pre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did not recognize well about the necessity of fusion gifted education, but elementary teachers thought more about the necessity of fusion gifted education than preschool teachers. Meanwhile, both group had many agreements in views of curriculum of fusion gifted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lass organization, and the prime task and vision.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 영재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이주영(Juyo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7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에 초점을 두고 연구된 초⋅중등 인공지능 융합 영재교육의 동향을 분석하고, 관련 연구의 중요한 이슈와 주제, 흐름과 경향성 등을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인공지능 융합 영재교육 연구 동향 분석은 인공지능과 연계한 영재교육 연구 문헌, 인공지능 융합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설계’, ‘적용’한 문헌 75편을 대상으로 하였고,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하여 분석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엑셀과 텍스톰을 활용하여 정제작업을 수행하고 빈도 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주요 키워드를 파악하여 분석하고 시각화하였다. CONCOR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키워드의 연결 중심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2017년 이후 인공지능 융합 영재교육 관련 연구는 내용과 방법 측면에서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둘째, 인공지능 융합 영재교육 관련 연구의 주요 키워드의 빈도 분석 결과, ‘인공지능’, ‘인공지능교육’, ‘영재교육’, ‘컴퓨팅사고력’, ‘머신러닝’, ‘정보영재’, ‘인공지능교육프로그램’, ‘과학영재’, ‘영재’, ‘창의적문제해결력’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TF-IDF 가중치 분석 결과 ‘인공지능’, ‘인공지능교육’, ‘영재교육’, ‘컴퓨팅사고력’, ‘과학영재’, ‘인공지능교육프로그램’, ‘정보영재’, ‘머신러닝’, ‘창의성’, ‘인공지능스토리텔링학습법’ 순으로 출현 빈도 분석 결과와 유사하게 도출되었으나 순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출현 빈도에 비해 비교적 가중치가 높은 키워드는 ‘과학영재’, ‘인공지능교육프로그램’. ‘창의성’ 등으로 확인되었다..넷째, 네트워크로 표현한 연결 중심성 분석과 CONCOR 군집분석을 통해 인공지능 융합 영재교육 연구는 ‘인공지능교육프로그램’, ‘컴퓨팅사고력’, ‘융합교육’, ‘소프트웨어영재’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 ‘교육 콘텐츠’, ‘교육적 효과’, ‘교수 방법’, ‘교육 대상’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융합 영재교육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인공지능 융합 영재교육 관련 연구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주요 주제 및 흐름에 대해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i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at have been studied with a focu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o derive important issues, topics, trends, and trends in related research. Methods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for 75 literature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s. Analysi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The collected data was refined using Excel and text, and major keywords were identified, analyzed, and visuali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CONCOR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centrality of keywords. Results First, since 2017,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has been steadily expanding in terms of content and methods. Second,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of the main keywords in research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showed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gifted education’,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and ‘machine learning’.Third, as a result of TF-IDF weight analysis,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gifted education’,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science gift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and ‘information gifted’ were found. In general, it was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analysis of major keywords,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ankings. Keywords with relatively high weight compared to their frequency of occurrence are ‘science gifted’, ‘creativ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Fourth, through semantic network and CONCOR analysis, it can be confirm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research is being conducted focusing on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effect’, ‘teaching method’, and ‘educational target’. Conclusions This study derived the main topics and flows of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keyword network analysis of domestic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gifted education-related research.

      • KCI등재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학교 영재 학생들의 과학, 수학, 기술 및 공학에 대한 인식 조사

        전재돈,박경숙,이효녕 韓國英才學會 2015 영재교육연구 Vol.25 No.3

        The convergent education such as STEAM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in the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resolve the crisis of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caused by the science and engineering avoidance of excellent tal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wareness about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ngineering fields of science gifted students. The subjects were 86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at the Science Institute for Gifted Students of a university located in metropolitan city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that consists of 97 questions in 3 categories. The results were follows: First, the gifted students were aware that science was more interesting than mathematics or technology/engineering. Second, science rated highest in career choice. Third, they were aware that the scientists were more interesting, more imagination, less accuracy and less considering than the mathematicians and the engineers.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at the mathematicians were smarter than the scientists and the engineers, and the engineers were more diligent than the scientists and the mathematicians. Finally,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al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er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science and mathematics, and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engineering. It was recommended that the consolidation of th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the necessity of systemic career education, and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s and technology/engineering. 우리나라의 영재 교육 기관에서는 우수한 인재 양성과 이공 계열 기피로 인해 발생한 이공계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융합인재교육(STEAM)을 포함하여 다양한 융합형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융합형 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영재 학생들의 과학, 수학 및 기술/공학 영역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영재교육원 소속 중학교 영재 학생 86명이며, 3개 영역의 97문항으로 구성된 검사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영재 학생들은 수학이나 기술/공학보다 과학을 흥미롭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둘째, 진로 선택에서도 과학 영역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과학자는 상상력이 풍부하고 재미있지만, 정확하지 않고 배려심이 부족한 직업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수학자는 다른 직업에 비해서 영리하다고 생각하였으며, 공학자는 부지런한 직업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흥미와 진로 선택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과학과 수학 및 기술/공학은 서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재 교육에서 융합형 영재 교육의 강화 및 체계적인 진로 교육 확립의 필요성과 수학 및 기술/공학의 상관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