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비상설화에 대한 비판

        김종세(Kim, Jong-Se) 한국법학회 2020 법학연구 Vol.79 No.-

        외부인사로 구성된 윤리심사자문위원회는 국회 윤리특별위원회가 운영되기 전의 사전 심사자문기구이다. 이런 윤리심사자문위원회가 2019년 3월 7일 국회 윤리특별위원회로부터 사전자문의뢰를 회부받은 18건의 의원 징계안을 2019년 4월 5일 자문위원회를 개회하여 심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자유한국당의 추천 위원 3명과 바른미래당의 추천 위원 1명이 참석하지 않음으로써 개회 정족수 미달로 심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윤리심사자문위원회는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었던 518 광주 민주화운동에 대한 모욕적 발언과 관련한 3건의 징계안, 의원의 내부정보 악용으로 부동산 투기 관련 1건의 징계안, 직위남용으로 피감기관인 법원에 영향력을 행사한 1건의 징계안을 포함하여 18건의 징계안을 심사할 계획이었다. 앞서 지난 3월 21일 자유한국당 정당이 추천한 자문위원 사퇴하는가 하면 28일 한 차례 정족수 미달로 회의가 무산되었고, 4월 8일 심사자문 회의도 동일한 이유로 무산됨에 따라 윤리심사자문위원회가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서 의견 제출기간으로 요구한 4월 9일까지 의견서를 제출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심사자문위원장은 국회 윤리특별위원장에게 추가적으로 1개월 간의 기한연장을 요구하였고, 기한연장이 있는 경우 4월 17일 자문위원회를 소집하여 개회할 계획이었다. 윤리심사자문위원회는 현행 국회법 제29조 및 제29조의2에 규정된 의원의 겸직 및 영리업무 종사와 관련된 의장의 자문과 동법 제46조 제3항의 의원의 징계에 관한 사항을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의 사전 자문에 응하기 위하여 설치된 기구로서 현재 위원장 1명을 포함한 8명의 자문위원으로 구성되며, 국회의장과 국회 윤리특별위원회는 동 자문위원회의 의견을 존중하도록 동법에 규정되어 있다. 1991년 이래로 국회의원의 윤리심사를 담당해왔던 상설특별위원회인 윤리특별위원회는 제20대 국회 후반기 원(院)구성 과정에서 비상설 특별위원회로 전환되었다. 2019년 6월에 비상설 윤리특별위원회의 임기종료 이후 2020년 6월 현재까지 국회는 의원윤리 심사기구의 공백상태에 놓여 있다. 국회의원 윤리심사기구의 상설화는 국회의원이 의정활동에서 윤리규범을 준수하도록 하고, 국회에 대한 국민의 신뢰성 회복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논문은 국회 윤리특별위원회가 갖는 의미를 재확인하기 위하여 그 연혁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고찰하였다. An ethics review advisory committee composed of outside figures is a pre-examination advisory body before the National Assembly’s special ethics committee is operated. The ethics review advisory committee was scheduled to open an advisory committee on April 5, 2019 to review 18 disciplinary measures for lawmakers who were asked to ask for advice from the ethics committee on March 7, but failed to open due to the lack of a quorum due to the absence of three recommended members of the Liberty Korea Party and one recommended member of the Bareunmirae Party. On the same day, the advisory committee was scheduled to review 18 disciplinary measures, including three recent socially controversial disciplinary measures against the Gwangju pro-democracy movement, one for real estate speculation using internal information, and one for influence peddling, to the court, which is an inspection agency, using its position. It has become difficult for the advisory committee to submit its opinion by April 9, which was designated by the Special Committee on Ethics by the Special Committee on Ethics, as the meeting on March 21 was canceled due to a lack of a quorum on March 28, and the meeting on April 8 for the same reason. In response, the advisory committee chairman asked the chairman of the Special Committee on Ethics to extend the one-month deadline, and was scheduled to convene an advisory committee on April 17 if there was an extension of the deadline. The Ethics Review Advisory Committee shall be comprised of eight advisory members, including one chairperson, who shall respect the opin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Ethics, as an organization established to provide advice on the matters concerning the concurrent positions of members and for-profit employees prescribed in Articles 29 and 29-2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and the disciplinary action of members under Article 46 (3)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The Special Committee on Ethics, a standing special committee that has been in charge of the ethics review of lawmakers since 1991, was transformed into a special committee on non-permanent affairs during the formation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s second half. Since the end of the term of the extraordinary ethics committee in June 2019, the National Assembly has been left vacant by the parliamentary ethics review body as of June 2020. The standing of the parliamentary ethics review body is also important to ensure that lawmakers abide by ethical standards in parliamentary activities and to restore public confidence in the National Assembly. At this point, this research paper considered the history,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o reaffirm the meaning of the Special Committee on Ethics of the National Assembly.

      • KCI등재

        국회의원 윤리심사와 겸직제한의 제도적 한계와 개선방안: 윤리심사자문위원회 활동을 중심으로

        홍성걸 국회입법조사처 2018 입법과 정책 Vol.10 No.1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institutional alternatives to improve the ethical level of the National Assemblymen in Korea. Although the National Assembly had created a Special Committee on Ethics in 1991 and an Advisory Committee within in 2010, the ethical level has not been improved much. This paper proposes seven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make the Advisory Committee effective through the author’s actual experiences of being a member of the Advisory Committee for more than three years. Seven improvements include following: expansion of the scope and time limits of those who can demand disciplinary measures; list up detailed actions that may incur disciplinary actions; institutionalize automatic procedures by opening the due process and measures; apply time limits to be processed by the Special Committee on Ethics; diversify disciplinary measures and expand disadvantages; level up the quality and eligibility for the membership of the Special Committee on Ethics; and clarify meaning and scope of the term ‘honorary position and the purpose of public interests. 이 논문은 국회의원 윤리심사와 겸직제한 등의 자문을 위해 외부 인사들로 구성되어 설치된 윤리심사자문위원회의 제도적 한계와 행태적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본 연구는 자문위의 기능 확대 개편을 비롯하여 다음과 같은 윤리특위 관련 제도개선방안을 제안 한다: 징계요구권자의 범위 및 징계요구 시한 확대; 징계대상 행위의 구체화 및 공개로 위반 시 자동징계절차 개시; 자문의견에 대한 윤리특위의 징계의결 시한 도입 및 기간 도래 시 본회의 자동 상정 조항 신설; 윤리특위 위원장 및 위원의 지위 격상; 징계종류의 다양화 및 징계 시 불이익 확대; 공익목적의 명예직의 구체적 내용을 규칙에 규정; 겸직 신고 의무화 및 불성실 신고에 대한 대응방안 강구; 겸직불가 통보 시 사직 후 의장에 보고 의무화; 구체적이고 상세한 의원윤리매뉴얼 발간.

      • KCI등재

        국회의원 윤리제도의 쟁점과 과제

        박석희(Park Seok Hee) 한국부패학회 2006 한국부패학회보 Vol.11 No.4

        It seems that ethics on assembly members is problem of practice, not of solution. However, it, as showed in all the rules for ethics on assembly members including law of national assembly, could be substantially improved through establishing the more stringent rules because the existing principles related to it are too abstract and ambiguous to adopt. Thus, it is necessary to arrange more reasonable and systematic criteria for ethics on assembly members within the framework on innovation of national assembly and to reestablish the roles of special committee on ethics of national assembly. Accordingly, this research aims to derive the significant issues in the ethical institutions on assembly members in Korea, and to provide the principal solutions for each issue through comparing the cases of foreign countries. A lot of precedent researches have argued ethics on assembly members only in the superficial aspects, yet this research intends to indicate the fundamental rules for it as a premise for building more productive national assembly

      • 국회의원의 면책특권에 관한 비판적 고찰

        김경미 ( Gyeong Mi Kim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4 국제법무 Vol.6 No.2

        본고는 최근 19대 국회에서 ‘국회의원 특권내려놓기’가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국회의원의 대표적 특권인 면책특권에 관한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논의를 중심으로 하였다. 국회는 입법기관임과 동시에 국정통제기관으로서 대의제 민주주의 하에서 국민을 대표하는 헌법기관이다. 따라서 이를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는 국회의원의 자유로운 의회활동을 보장히기 위한 제도적장치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며. 우리 헌법에서 국회의원의 자유로운 발언·표결을 보장하기 위한 면책 특권과 신체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불체포특권을 인정하고 있다. 이 가운데 면책특권은 국회에서 직무상 행한 발언과 표결에 대해 국회외에서 책임을 면하게 해줌으로써 국민의 대표자로서 자유롭고 소신힜는 의학활동을 보장하고 있는 것으로, 불체포특권에 비해 절대적·영구적 권리이며, 인적처벌조각사유로서 실체법적 권리로서 막강한 권한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면책특권의 오·남용으로 국회에서 무책임한 허위·비방성 폭로 및 인격 모독의 발언으로 물의를 빚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실질적인 제재를 가할 방법이 없고, 그로인해 국민의 적익이 침해되고 있음에도 그에 대한 법적 제재를 가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면책특권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던 논의 초반과는 달리 면책특권의 범위가 지나치게 광법위하지 않은가 하는 의구심에서 면책특권을 제한하려는 방향으로 논의가 전개 되고 있는 것이다. 현행 법 체계에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국회법의 규정이 존재한다고는 하지만 실질적인 제재수단이 되지 못하고있어, 이를 보완하고 국회의원 면책특권의 오·남용에 대한 실질적이고 실효적인 재제수단이 필요한 것이다. This report focuses on the discussion of finding improvement measures regarding the privilege of speech which is a legal immunity enjoyed by The National Asembly Members while “giving up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immunity” is emerging as a big issue of the 19th National Assembly. As a legislature and a government control institution, the National Assembly is a constitutional institution that represents citizens under the representative democtacy. In order to make the most of its function, members of Parliament should be supported by and institutional framework to ensure their free parliamentary activities. Accordingly,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cluded the privilege of speech for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as representatives of citizens.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as representatives of citizens.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are granted protection against any liability for statements made or voting in the course of their legislative duties. Compared to the privilege of freedom from arrest, the privilege of speech is an absolute, permanent right, and it has a strong authority as a substantive legal right. However, some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abuse this privilege of speech and cause troubles by making false revelations and blunt remarks, and thus rights and interests of citizens are in fringed. Yet,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no was to impose legal sanctions against it. Thus, unlike an early stage of the discussion when importance of the privilege of speech was emerging, the discussion is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restricting the privilege of speech in the doubt that the scope of the privilege is excessively wide. Even though there is currently an article of National Assembly Regulation to compensate this, the article is not playing a role as a substantive sanction. Therefore, substantive and effective sanctions against the abuse of parliamentary privilege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