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음파검사의 수치적 모델링 기법 : 유한차분법 및 유한요소법

        임현준,유승현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00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20 No.2

        초음파검사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현상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이를 이론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해 수치적인 기법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검사를 수치적으로 모델링하는 기법들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특히 유한차분법과 유한요소법에 대하여 상세히 알아본다. 즉, 유한차분법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해석의 개요를 설명하고, 이들의 적용시 고려사항 및 문제점에 대해 알아 본 후, 기존의 연구결과 중 중요한 것들을 참고문헌으로 열거하고 몇 가지 예를 소개한다. 계속되는 컴퓨터의 기술적 발전으로 인하여 초음파검사에 대한 수치적 모델링 기법의 신뢰성과 편의성이 지속적으로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Due to the great complexity of the physical phenomena involved in most ultrasonic nondestructive testing, the numerical method is effective in many cases of their theoretical modeling. A brief overview is provided in this paper of the numerical methods used in modeling ultrasonic nondestructive testing, with an emphasis on the finite difference and the finite element methods. The procedures of execution, special considerations required, and some previous research results of the finite difference and the finite element methods are presented, with a rather extensive list of work reported in the literature. These numerical modeling techniques for ultrasonic nondestructive testing are expected to be more reliable and more convenient, as a result of the continuing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computers

      • KCI등재

        유한요소법의 컴퓨터 기반 교육시스템 개발

        이재영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9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12 No.4

        유한요소법의 강의와 학습을 지원하는 컴퓨터 기반 교육시스템(computer-based training system)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유한요소해석을 요소 모델링에서부터, 최종결과의 계산에 이르기까지 여러 개념과 과정을 가시화하고, 사용자가 직접 상호작용 적으로 실습하고, 해석과정에 개입하여 모의 조작(simulation)하며, 그 반응을 관찰할 수 있는 여러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제적인 유한요소해석을 실행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을 유한요소법의 보조 교육 재료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유한요소해석 소프트웨어로 병용함으로써 유한요소법의 교육과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 KCI등재

        유한요소-전달강성계수법에 의한 2차원 곡선 보 구조물의 정적해석

        최명수 한국동력기계공학회 2017 동력시스템공학회지 Vol.21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유한요소법의 모델링 기법과 전달강성계수법의 전달 기법의 조합인 유한요소-전달강성계수법을 2차원 곡선 보 구조물의 정적해석에 적용하는 것이다. 적용된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2개의 계산 모델을 선택하여 유한요소법과 유한요소-전달강성계수법 그리고 엄밀해로 해석한다. 2개의 계산 모델에 대한 유한요소-전달강성계수법의 정적해석 계산결과는 유한요소법의 결과와 동일하다. 곡선 보 요소의 요소 분할 수가 증가될 때, 양 방법에 의한 정적해석 계산 결과들은 엄밀해에 접근한다. 곡선 보 요소의 수가 증가할 때 계산 속도나 계산 메모리의 이용 측면에서 유한요소법보다 유한요소-전달강성계수법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유한 길이 구조물과 무한 길이 도파관 구조물의 임피던스 연성을 이용한 진동 해석

        유정수,이재홍,홍진숙,신구균,Ryue, Jungsoo,Lee, Jaehong,Hong, Chinsuk,Shin, Ku-Kyun 한국음향학회 2015 韓國音響學會誌 Vol.34 No.5

        In case that an infinite length waveguide structure is connected with a finite length structure, it is required to combine a wave approach for the waveguide structure and a modal approach for the finite length structure to investigate the dynamic response of the connected target structure. In this study, the wavenumber finite element (WFE) analysis is adopted for the infinite length waveguide substructure and a finite element (FE) method is applied for the finite length substructure and then their results are coupled in terms of the impedance or mobility at the connected points between the substructures. As a structural model, an infinite length cylindrical shell with a rectangular plate inside is regarded. These two substructures are connected at the four corner points of the plate, rigidly or resiliently. From this investig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wave approach (WFE method) and modal approach (FE method) can be combined by the impedance coupling. 무한 길이를 가진 도파관 구조물에 유한 길이를 가진 구조물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 결합된 구조물의 응답을 수치해석으로 구하기 위해서는 파동 방법과 모드 방법을 함께 적용하여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무한 길이 도파관구조물에 대해서는 파수유한요소법을, 유한 길이 구조물에 대해서는 유한요소법을 적용하여 결합 지점에서의 각 하부 구조물 임피던스 또는 모빌리티를 구하고 이를 연성하여 전체 구조물의 응답을 해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루었다. 해석 대상 구조물로는 내부에 사각 평판 구조물이 네 꼭지점에서 결합되어 있는 무한 길이 원통형 실린더를 선정하였으며, 네 결합지점이 강결합 또는 탄성마운트로 결합된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임피던스 연성을 통한 파동 방법(파수유한요소법)과 모드 방법(유한요소법)의 결합이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SCOPUSSCIEKCI등재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환자별 교정시스템 구축의 기초 알고리즘 개발과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Basic Algorithm

        신정욱,남동석,김태우,이성재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5

        본 연구는 최근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 유한요소를 이용한 교정시스템구축에 있어서 정상교합자가 아닌 부정교합 환자별 유한요소 모델구출을 위한 기초 알고리즘 개발에 그 목표가 있다. 기존에는 유한요소 분석을 위해서 한 환자의 치열을 유한요소 모델로 재현하고자 할때, 전처리 과정에 대부분의 시간을 소요해야만 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전처리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기초 알고리즘을 마련하여, 향후 이 방면의 연구를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임의로 선택된 부정교합 환자의 상하악 모형을 이용하여 치아의 삼차원적인 위치를 계측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한요소의 전처리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기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쳐 수행하였다. 1. 상, 하악 중절치에서 제2대구치까지 14개의 치아 형상을 상, 하악 각각 구축하여 개별 화일로 저장한다. 2. 이 치아에 standard bracket을 치관의 FA point와 bracket slot의 중앙이 일치되도록 부착한다. 3. 대상 환자의 석고 모형을 제작한다. 4. 석고 모형에서 본 연구를 위해 제작된 기구들로 치아의 crown inclination, angulation, 그리고 교합면에서 치관첨까지의 수직거리를 계측한다. 5. 표준화하여 촬영한 석고모형의 사진을 이용하여 화상처리기법으로 치아의 치열궁 형태를 파악한다. 또한 사진상에서 치아의 수평적 위치 및 회전량을 측정한다. 6. 계측된 crown inclination, angulation, 수직거리, 그리고 치열궁의 형태 미 치아의 회전정도 등을 회전행열을 이용하여 만든 프로그램에 입력한다. 이 프로그램은 유한요소 전처리 과정에 필요한 치아의 배열상태를 담고 있는 데이터를 결과파일로 제공하는데, 이 결과 파일은 일반적인 상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7. 개개의 치아파일은 이 결과 파일에 따라 삼차원적인 위치로 배열되어 선택한 특정환자의 유한요소 모델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여러 단계를 거친 후 임의로 선택한 부정교합자의 상, 하악 유한요소 모델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구출할 수가 있었으며, 개개인 환자의 모형에서 얻은 정보로 유한요소 모델로 재현하기 위한 전처리과정의 기초 알고리즘을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basic algorithm for the finite element method modeling of individual malocclusions. Usually, a great deal of time is spent in preprocessing. To reduce the time required, we developed a standardized procedure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each tooth and a program to automatically preprocess.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carried to complete this study. 1. Twenty-eight teeth morphologies were constructed three-dimensionally for the finite element analysis and saved as separate files. 2. Standard brackets were attached so that the FA points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brackets. 3. The study model of a patient was made. 4. Using the study model, the crown inclination, angulation, and the vertical from the tip of a tooth was measured by using specially designed tools. 5. The arch form was determined from a picture of the model with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6. The measured data were input as a rotational matrix. 7. The program provides an output file contain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about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eeth, which is applicable to several finite element programs commonly used. The program for a basic algorithm was made with Turbo-C and the subsequent outfile was applied to ANSYS. This standardized model measuring procedure and the program reduce the time required, especially for preprocessing and can be applied to other malocclusions easily.

      • KCI등재

        파워흐름유한요소법에 의한 중고주파수 영역에서 단순 평판의 진동 해석

        서성훈,홍석윤,길현권,허영,Seo, Seong-Hoon,Hong, Suk-Yoon,Kil, Hyun-Gwon,Huh, Young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3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16 No.2

        본 논문에서는 중고주파수 영역에서 진동하는 단순평판의 진동을 해석하기 위하여 파워흐름유한요소법을 적용하였다. 파워흐름해석법에서 주어지는 진동 에너지지배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한 수치해석 도구로써 유한요소법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파워흐름유한요소법을 적용하여 중고주파수 영역에서 진동하는 단순평판의 진동 변위와 진동인텐시티 분포를 구하였다. 또한 수치해 결과를 엄밀해와 유한요소법에 의한 근사해와 비교함으로써, 파워흐름유한요소법은 중고주파수 영역에서 진동 변위 및 진동 인텐시티를 예측하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In this paper Power Flow Finite Element Method(PFFEM) has been implemented to analyze the vibration of a plate in mid and high frequency ranges. In order to solve the vibration energy governing equation in Power Flow Analysis(PFA), The Finite Element Method(FEM) was used as a numerical tool. It allowed one to predict the distribution of displacement and Intensity in the plate vibrating at mid and high frequencie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analytical solutions and the approximate FEM solutions. The comparison showed that PFFEM can be an effective tool to analyze the structural vibration in mid and high frequency ranges.

      • SCOPUSSCIEKCI등재

        상악 6전치부의 후방견인시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이혜경,정규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4

        이 연구는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상악 6전치부에 피질골 절단술을 시행한 경우와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서 상악 6전치부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다양한 후방견인력을 가하였을 때 상악 6전치의 초기 치아이동을 통하여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를 계측, 비교하고 저항중심의 변화양상을 관찰하며, 힘의 크기변화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변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상악 6전치와 치주인대 및 치조골의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한 후, 상악 6전치부에 부착된 설측장치와 이 장치가 부착된 치아군을 한 개의 견고한 연결체로 가정하였다. 유한요소모델에서 사용된 전체요소의 수는 14,584개, 전체 절점의 수는 17,292 개였고, 힘 체계의 분석을 위해 미국 Swanson Analysis System사의 범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N-SYS(Ver. 5.5A)를 사용하였다 저항중심은 힘이 가해질 때 치아가 평행 이동될 수 있는 힘의 적용부위라 정의하고, 설측 장치에서 연장된 Extension arm의 7개의 Level에 편측당 각각 200 gm, 250 gm, 300 gm, 350 gm의 설측 후방견인력을 가하였을 때 치아의 절단연과 치근첨에서의 변위를 읽어 평행이동이 일어나는 위치를 복원법으로 계산하여 저항중심의 위치를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상악 6전치부의 초기치아이동에서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Level 4와 Level 5사이, 즉 치경부에서 치근단 쪽으로 6.76 mm, 44.32%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였다. 2.피질골 절단술 시행후, 상악 6전치부의 후방 견인시 저항중심의 수직적위치는 Level 4와 Level 5사이, 즉 치경부에서 치근단 쪽으로 7.09 mm, 46.38%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였다. 3.후방견인력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치아의 변위량은 커졌으나, 피질골 절단술 시행 유무에 관계없이 후방견인력의 크기변화는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피질골 절단술 시행시에 저항 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치근단 쪽으로 이동하였고, 그 변위량은 피질골 절단술 시행시가 컸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상악 6전치부 후방견인시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치경부에서 치근단 쪽으로 치근길이의 44.32%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였고, 피질골 절단술 시행시에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치경부에서 치근단 쪽으로 치근길이의 46.38%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여 피질골 절단술 시행하지 않은 경우보다 치근단 쪽으로 이동되었으며, 후방견인력의 크기 변화에 따라 저항 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변하지 않았다. (주요 단어 : 저항 중심, 상악 6전치부 후방견인, 3차원 유한요소법, 피질골 절단술) The delivery of optimal orthodontic treatment is greatly influenced by clinician's ability to predict and control tooth movement by applying well-known force system to dentition. It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enters of resistance of a tooth or teeth in order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displacement characteristics under various force levels. In this study,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was used to measure the initial displacement of the consolidated teeth under loa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location of the centers of resistance at the upper six anterior segment. To observe the changes of six anterior segment, 200gm, 250gm, 300gm, and 350gm forces at right and left hand side each were imposed toward lingual direction. For this study, two cases, six anterior teeth and six anterior teeth after corticotomy, were reviewed. In addition, it was reviewed the effects of changes on the location of the center of resistance in both cases based on different degree of forces aforementioned. The results were that : 1.The Instantaneous center of resistance for the six anterior teeth was vertically located between level 4 and level 5, which is, at 6.76mm, 44.32 % apical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 revel. 2.The instantaneous center of resistance for the six anterior teeth after corticotomy was located vertically between level 4 and level 5, that is, at 7.09mm, 46.38% apical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 level. 3.Changes of force showed little effect on the location of the center of resistance in each case. 4.It was observed that the location of the instantaneous center of resistance for the six anterior teeth after corticotomy was changed more than the six anterior teeth without corticotomy to the apical part, and the displacement of the consolidated anterior teeth moved further in case of the consolidated teeth after corticotomy. ※Key words : Center of resistance, Maxillary six anterior teeth retraction,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Corticotomy.

      • KCI등재

        내부 및 외부 유체와 연성된 파이프의 진동 해석

        유정수,Ryue, Jung-Soo 한국음향학회 2012 韓國音響學會誌 Vol.31 No.3

        도파관유한요소법 (waveguide finite element method, WFEM)은 단면의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도파관 구조물의 진동을 해석하기 위한 수치해석 기법이다. 도파관유한요소법은 2차원 단면만을 FE 모델링하여 길이방향 파동 전파를 해석하므로 기존의 유한요소법에 비해 해석 모델의 크기가 작고 연산 시간이 짧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도파관유한요소법을 확장하여 내부 및 외부에 유체가 채워진 도파관 구조물에 대한 진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내부 유체와 도파관 구조물은 WFE로, 외부 유체는 파수경계요소 (waveguide boudnary element, WBE)로 모델링하고 이들을 연성시킨 운동방정식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의 적용 예로써 내부에 물이 채워진 몰수된 파이프의 진동 및 방사 음향 파워를 해석하였다. 내부 및 외부 유체의 유/무에 따른 분산 선도와 가진점 모빌리티 (point mobility)를 구하고 유체 연성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The waveguide finite element (WFE) method is a useful numerical technique to investigate wave propagation along waveguide structures which have uniform cross-sections along the length direction ('x' direction). In the present paper, the vibration and radiated noise of the submerged pipe with fluid is investigated numerically by coupling waveguide finite elements and wavenumber boundary elements. The pipe and internal fluid are modelled with waveguide finite elements and the external fluid with wavenumber boundary elements which are fully coupled. In order to examine this model, the point mobility, dispersion curves and radiated power are calculated and compared for several different coupling conditions between the pipe and internal/external fluids.

      • KCI등재

        유한요소해석을 활용한 장신구디자인 사례연구 - 예술장신구 사례를 중심으로 -

        민복기 ( Min Bog K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응용수학분야에서 연구되어 토목, 건축 등의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유한요소해석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장신구 분야에 적용할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FEM)은 미분방정식 문제를 다른 형태로 바꾸고 이 해(解)를 어떤 함수의 일차결합으로 나타내는 수치적인 근사해법(approximation method)의 하나이다. 이러한 수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재료역학 등의 공학분야에서 물성과 하중 등 외부적 요인을 설정하고 대상물의 물리적 변위의 근사값을 도출하여 구조를 해석하는 것이 유한요소해석(Finite Element Analysis; FEA)이다. FEA는 컴퓨터의 계산을 통한 시뮬레이션 기술로 빠르게 정립되었고, 이후 CAD의 모델링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통합되어 강도, 열, 유동, 진동 등 다양한 물리적 환경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효율적 설계를 도출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장신구는 매우 작은 사물이지만 신체 위에 착용되는 필연적 조건을 가지므로 안정적 구조로 제작되어야 하지만 이를 위해 FEA를 활용한 사례는 없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장신구의 요구조건을 충족하는 새로운 난발(Prong)의 구조연구를 위해 FEA를 활용한 난발구조를 연구하였고 4개 혹은 6개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난발구조에서 난발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2개의 난발구조를 가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빛의 유입을 위해 오브제를 기저부에서 2mm 위로 띄워 고정할 수 있는 난발구조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사례에서와 같이 FEA는 주얼리의 구조안정성 검증 뿐 아니라 새로운 컨셉의 디자인탐색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주얼리산업의 생산과정에서도 열과 유동의 해석을 통해 주조생산성과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공예의 대공분야에서도 하중이나 낙하, 바람 등 다양한 물리적 외력을 시뮬레이션 하여 좀 더 안정적인 구조를 도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inite Element Analysis, studied in Applied Mathematics and used in the fields of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e,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applying it to the field of jewelry. Finite Element Method changes differential equations into different forms and appears as one of the numerical approximation methods. With this mathematical principle background, the linear combination of the certain function’s value sets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property and weight in the engineering field, material mechanic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is the evaluation of the structure by approximating the physical displacement of the object. FEA quickly became a computerized simulation technology, and later integrated to utilize CAD modeling data to simulate various physical environments such as strength, heat, flow, and vibration, etc. for effective design. A jewelry is a very small object it has an inevitable condition to be worn on top of the body; therefore, needs to be made with a secure structure but, there has been no case for it with FEA. This research studies the required conditions of this kind of jewelry with new prong structure research that uses FEA and minimizes the number of prongs in the prongs’ structure to two from four or six, and developed new prong structures for the object to float 2mm above the basis for light to pass. In such a case, FEA not only verifies the structural stability but make new concept design exploration possible and can improve productivity and quality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heat and flow in the casting process of the jewelry industry’s production process. Moreover, various physical external forces such as weight, fall or wind can be simulated to construct safer structures for vessel making in the field of Metal Craft as well.

      •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선박용 유압식 커플링 볼트 설계에 관한 연구

        이창희(Chang-Hee Lee),염정국(Jeong-Kuk Yeom)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기존 유압식 커플링 볼트와 슬리브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볼트 및 슬리브의 구조적 안전성을 평가하고, 나아가 볼트 나사산의 건전성 확보를 위해 절삭가공 나사를 대체하는 전조가공 공정 설계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Background: 유압식 커플링 볼트는 선박의 엔진 및 추진축 등의 플랜지 결합에 중요한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체결 및 분해 과정에서 볼트 고착 및 부품 파손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볼트 및 슬리브의 구조적 안전성에 관한 연구와 볼트 나사부의 전조가공 공정 설계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Method: 먼저 커플링 볼트 체결 시 가장 큰 하중이 걸리는 2차 체결하중 계산을 위해 최대 허용하중, 응력집중계수 및 안전율을 고려하였고, 1차 체결하중은 후벽 실린더 이론을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그리고 볼트 및 슬리브의 구조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체결공정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전조가공 공정 설계를 위해 금형의 압입량을 주요 변수로 설정하고 압입량에 따른 나사산 형상 충진율 및 전조성형 하중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Results: 해석을 수행하여 1차 체결하중이 증가할수록 접촉압력과 응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2차 체결 시 볼트가 축 방향으로 신장되어 직경이 감소함으로써 1차 체결보다 접촉압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슬리브에 접촉압력을 발생시키면서 허용응력을 초과하지 않는 하중을 1차 체결하중으로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1차 및 2차 체결하중을 토대로 체결공정이 완료 되었을 때, 슬리브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접촉압력은 감소하였다. 또한 금형의 압입량에 따른 해석을 수행하였고, 압입량이 증가할수록 나사산 형상 충진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전조성형하중 역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Conclusion: 기계설계이론과 유한요소법을 바탕으로 적정 체결하중을 도출하였고, 체결공정 후 슬리브의 구조적 안전성이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금형의 압입량이 증가할수록 전조성형 하중이 증가하게 되어 나사산 표면에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전조가공 시 나사산 형상을 만족시키면서 최소의 압입량을 갖도록 전조가공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Application: 국내 조선해양업계에서 요구하는 슬리브 테이퍼 각도에서 최적의 작동성을 만족하는 볼트의 형상 설계가 가능해졌으며, 볼트 나사부의 제조 공정을 소성가공 방식인 전조가공으로 대체하여 기존의 절삭가공 방식에 비해 생산 사이클을 크게 단축하여 고품질·저원가의 유압식 커플링 볼트 제조기술을 확보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고가의 수입산 유압식 커플링 볼트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