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위한 유용성 기반 디자인 프레임워크 제안

        박성주,반영환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7 No.1

        Background: To create optimal user experience, designer should look for ways to increase usefulness, usability, and pleasurebility of product or service focusing on user. Above all, usefulness is a necessary condition that must be fulfilled for user experience. However, the complexity of the user’s characteristics and usage environments make it difficult designing useful product or service. Therefore, a systematic approach to determining and designing usefulness is required. Methods: In this study, a huerarchical interaction structure of user-system was builded. Based on this, a usefulness design framework and a usefulness design methodology were developed. Evaluation techniques were used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design results including AHP, Kano’s model evaluation. Result: As a results, the structure for systematicunderstanding of usefulness was made and a methodology of decision making on design are suggested. Conclus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suggesting that the design methodology can be used in the actual design process that the existing usefulness research did not provide. 연구배경: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디자이너는 사용자를 중심에 두고 제품 또는 서비스의 유용성, 사용성, 감성을 높이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 중 제품이나 서비스의 유용성은 반드시 충족되어야 할 사용자 경험의 요건이다. 그러나 유용성은 복합적인 요인이 사용자의 특성이나 환경적 특성과 맞물려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유용하게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유용성에 대한 체계적인 디자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연구방법: 사용자-시스템의 상호작용 구조를 계층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용성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고 유용성 디자인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유용성 디자인 결과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검증된 우선순위 결정 및 품질 평가 기법인 AHP, 카노모델 평가 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 시 제품이나 서비스의 유용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유용성을 판단하여 디자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기존 유용성 관련 연구가 제공하지 못했던 실제 디자인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론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미국 특허법상 유용성(utility) 개념의 국내법적 수용

        나종갑(Na, Jong-Khab) 한국정보법학회 2013 정보법학 Vol.17 No.1

        미국 특허법은 유용성을 특허요건으로 요구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특허법은 유용성 대신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특허요건으로 요구하고 있다. 한미 FTA와 TRIPs 협정은 유용성과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동일한 개념으로 인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유용성과 산업상 이용가능성은 유사한 개념일 뿐 동일한 개념은 아니다. 두개념은 많은 부분에 있어서 공통적인 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결론적으로 두 요건이 결여된 경우에 있어서 특허를 받지 못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유용성 개념은 특허를 계약으로 이해하는 개념에서 발전해 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커먼로상 계약의 성립에 있어서 consideration이 필요하듯 사회가 발명으로부터 얻는 이익이 없으면 사회계약으로서 특허라는 독점을 부여할 원인이 없고 따라서 특허라는 계약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허는 사회에 이익이 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특허법상 산업상 이용가능성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찾아 볼 수 없다. 오히려 특허의 산업발전에 이바지하여야 한다는 특허법의 목적에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의 근거를 찾아 볼 수 있다. 따라서 양 개념은 기원에서 차이가 존재한다고 보인다. 또한 우리 특허법상 발명의 개념으로 설명되는 것의 일부가 미국 특허법의 유용성 으로 설명된다. 그리하여 현재 발명의 개념을 산업상 이용가능성으로 수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지만 유용성은 개념을 산업상 이용가능성의 개념으로 수용 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판단 된다.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Article18.8.1. note 19 states “a Party may treat the terms “inventive step” and “capable of industrial application” as synonymous with the terms “non-obvious” and “useful” respectively.” Also TRIPs Agreement note 5 is the same meaning. However, utility requirement in the US. patent law, which provides that an invention is “useful” if an invention has some identifiable benefit and is capable of use, is somewhat different from industrial application in Korean patent law. Historically, the U.S requirement of utility is a contractual consid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Thus, the utility requirement is necessary to enforce the patent rights. However, the majority of inventions are usually not challenged as lack of the utility requirement, but the patenting of hypothetical or fantastic instruments such as perpetual motion machines doest not pass the requirement.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court made law, a general, practical and beneficial utility are expressed in a patent application. The requirement of “capable of industrial application” in Korean Patent Law does not have the same background as the utility requirement of the U.S. Patent Law. The definition of the utility is partly reflected in the definition of invention in Korean law. The patenting of hypothetical or fantastic instruments such as perpetual motion machines is not an invention, then the devices is not patentable in Korea also. Although the result is almost is same in both countries, the rational of the unpatentable is not same. The provision of the TRIPs Agreement and Korea-U.S. FTA is not a mandatory. A careful consideration of interpretation of “capable of industrial application” and usefulness is required.

      • KCI등재

        금융상품의 온라인 정보원에 대한 유용성 평가

        양덕순(Yang, Deok Soo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9 소비문화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정기 예․적금상품, 펀드상품,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금융회사의 정보제공 PC사이트와 스마트폰 앱두 종류의 정보원에 대한 유용성 수준 및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과 설문조사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기 예․적금상품, 펀드상품, 보험상품에 대한 PC사이트와 스마트폰 앱 정보원의 유용성 평가 결과 전반적인 유용성 수준은 중간점을 약간 상회하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기 예․적금상품과 펀드상품의 경우 PC사이트 정보원의 유용성이 가장 낮았으며, 보험상품의 경우 정보원에 따른 유용성 평가에서 차이는 없었 다. 정기 예․적금상품의 경우 PC사이트 유용성이 직원상담 유용성 보다 낮았으며, 펀드상품의 경우 PC사이트와 스마트폰 앱 간 유용성 평가는 차이가 없었으며, PC사이트와 스마트폰 앱의 두 정보원 모두 직원상담 정보원의 유용성 보다는 낮았다. 셋째, 정기 예․적금상품, 펀드상품, 보험상품 모두에서 직원상담 보다 PC사이트와 스마트폰 앱에 대한 유용성 평가 점수가 ‘정보의 접근성’, ‘정보의 선별성’, ‘정보의 충분성’ 항목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넷째, 사회인구학적 및 사회경제적 변수는 정보원에 따른 유용성 평가 점수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금융상품 관련 몇몇 변수는 정보원에 따른 유용성 평가 점수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예를 들어 정기 예․적금상품의세 정보원에서 공통되게 유용성 평가에서 차이를 보이는 변수는 정기 예․적금상품에 대한 지식수준, 보유 정기 예․적금상품 만족도, 정기 예․적금상품 가입시 자율결정정도, 정기 예․적금상품 소비에 대한 자신감, 금융상 품전반에 대한 주관적 지식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금융소비자들이 금융회사의 PC사이트나 스마트폰 앱 정보원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직접적인 소비자교육을 실시하거나 교육자료를 개발하여 인터넷 사이트에 게재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어떤 평범한 소비자가 이용하더라도 쉽게 접근하고 이해하며 알고 싶은 정보를 충분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소비자 눈높이에 맞는 정보원의 유용성 제고를 위한 기업의 노력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tility of financial company online information sources. In other words, the study evaluates at consumers level if the representative information source internet sites provide information in plain forms or words and if the information is reliable and accessible, and consumer-oriented. And the study identifies the influence factors that affect these evaluations. Research methods included surveys. The financial products subject to the survey are mainly savings accounts, fund products, and insurance products. it investigated internet sites in two categories, namely, a PC site and a smartphone application. First, consumers evaluation scores on the usefulness of nine information sources, namely three fixed deposits or fixed installment savings accounts, fund products and insurance products each, were 3.19 〜 3.51 out of 5 points, relatively low level. The usefulness of the online(PC site, smartphone application) was lower than the staff counseling and received relatively high scores in the reliable and updated informations. All of the three financial products received the lowest rating in easiness of terms and reflecting consumers information needs. Therefore, th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sites needs to be presented in easy terms and structured in the way that consumers can find all the information they want. And this should be reflected in the information policy and consumer education plans for financial products. Second, the socio-demographic and economic variables of financial consume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usefulness. This suggests that the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seek innovative plan of providing informations that provide informations in simple terms and based on information that consumers want. In a society where computer use is commonplace, the internet sites of financial companies must fulfill their role as important information sources.

      • KCI등재

        흄의 정의론에서 유용성의 문제

        김다솜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4 철학탐구 Vol.73 No.-

        흄의 윤리이론에서 도덕성의 원리는 사회적 유용성의 원리이다. 유용성을 도덕적 행위의 척도로 삼는다는 점에서 흄을 공리주의의 선구자로, 혹은 흄의 윤리이론을 공리주의로 해석하기도 한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흄은 벤담이나 밀과 같은 공리주의자는 아니다. 그런데 이에 동의하는 사람들도 왜 흄이 공리주의자가 아닌지에 대해서는 명료한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흄은 발생적 관점에서 사람은 개인의 이익이나 선호를 넘어서 사회의 이익 즉 공공의 이익으로서 사회 전체의 선을 증진시키는 행위를 하려는 경향성을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흄은 이에 기초해서 정의를 공적 유용성의 규칙으로 이해한다. 흄의 정의론에서 유용성의 원리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사적 유용성이며, 다른 하나는 공적 유용성이다. 흄에게 전자는 자기애에 기초한 자기이익의 원리이며, 후자는 사회적 이익에 기초한 도덕성의 원리이다. 그런데 도덕성의 원리로서 사회적 유용성 또는 공적 유용성을 최대 다수를 위한 합리적 계산이 아니라 공감에 기초한 도덕적 시인의 산물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흄은 기본적으로 공리주의가 아니다. 흄은 사회적 이익과 사회적 규범의 기초를 도덕적 시인의 감정을 일으키는 공감적 유용성에 두기 때문이다. 그러나 흄은 공적 유용성에 대한 공감적 시인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서는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흄의 정의론에서 별로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문제, 즉 공적 유용성과 도덕적 시인의 관계가 명료하게 규명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이 점을 분명히 하려고 시도한다. In Hume’s ethics, the principle of morality is the principle of social utility. In that he takes utility as a measure of moral behavior, Hume is interpreted as a pioneer of utilitarianism, or Hume’s ethical theory as utilitarianism. But it is clear that Hume is not a utilitarian like Bentham or Mill. However, even those who agree to this generally do not provide a clear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see Hume as a utilitarian. Hume argues that justice as social morality is understood as a rule of public utility from a generational point of view, and that people tend to enjoy activities that promote social interests beyond individual interests or preferences. And Hume answers based on utility as to why he is pleased with the promotion of good in society as a whole as a public interest. For Hume, there are two types of principles of utility as a principle of action, the principle of self-interest and the principle of public utility. Hume understands the former as the principle of private utility, that is, self-interest, and the latter as a feeling of sympathy for human welfare, that is, the principle of morality as universal humanity. However, Hume is not fundamentally utilitarian in that it regards social interests or public utility as a principle of morality as the product of moral approval based on sympathy rather than rational calculations for the largest majority. In Hume’s theory of justice, there are two kinds of principles of utility : private utility and public utility. The former is the principle of self-interest based on self-love, and the latter is the principle of morality based on social interests. However, Hume is not fundamentally utilitarian in that social or public utility as a principle of morality is regarded as the product of a moral approval based on sympathy rather than a rational calculation for the greatest benefit of the greatest number. This is because, for Hume, social interests and social norms are based on the sympathetic utility and moral feelings that sympathize with them. However, a problem of the relation between public utility and moral approval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Hume’s theory of justice.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is point.

      • KCI등재

        비공식조직 참여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비공식조직의 순기능적 유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민지,이계훈,문광수,오세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5 No.4

        근로자들의 조직 내 비공식조직 참여도가 높아지면 직무만족이 향상될 수 있는데 이것은 비공식조직에 참여하는 것이 근로자와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게 하는 유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공식조직 참여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비공식조직의 유용성이 매개변인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비공식조직의 유용성을 크게 정서적 유용성, 의사소통적 유용성, 학습적 유용성으로 구분하였다. 다양한 직종의 근로자 206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공식조직 참여도는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공식조직 참여도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비공식조직의 세 가지 유용성을 구분하여 검증한 결과, 정서적 유용성과 의사소통적 유용성은 완전매개, 학습적 유용성은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전체적인 유용성의 경우 비공식조직 참여도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들은 근로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비공식조직에 참여하는 것을 장려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직 내의 비공식조직이 긍정적인 유용성을 가질 수 있도록 많은 지원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전공직무 유용성이 직장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경영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최정미,백상미 한국상업교육학회 2022 상업교육연구 Vol.36 No.3

        잡코리아의 설문조사(2017)에 따르면 전공의 직무유용성이 높고, 전공의 직무기여도가 높을수록 직장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영학 전공자를 대상 으로 직장 만족도의 결정요인을 알아보고자, 경영학 전공자의 전공직무 유용성이 직장 만족도에 영 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학교육에 있어 경영학 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경 영학 교육과정 설계 및 진로 지도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경영학 전공자 의 전공직무 유용성은 타 전공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경영학 교육이 타 전공에 비해 실무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을 교육하고 있으며, 취업에도 유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전 공직무 유용성은 직장 만족도와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여 전공직무 유용성이 높을수록 직장 만족도 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냈다. 특히 경영학 졸업자의 경우 전공직무 유용성이 증가할수록 전반적인 만족도, 평판 만족도, 복리후생 만족도가 모두 증가하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영학 전공자의 경우 전공직무 유용성이 증가함에 따라 더 나은 직장에 취업하거나 이직할 가능성이 높아 지고, 좋은 대우를 받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 해석된다. 경영학 전공자의 전공직무 유용성이 타 전공자에 비해 높고, 전공직무 유용성이 높을수록 직장 만족도가 증가한다는 결과를 보고함으로써 본 연구가 갖는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쨰, 대학에서 전공직무 유용성을 높이기 위한 실무중심적 교육은 직장 만족도를 증가시켜 취업가능성을 높이고 이직희망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종업원의 직장 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을 파악함으로써 채용시 지원자의 전공에 따라 직무배치를 하는데 보탬이 될 것이다. 둘째, 졸업 후 취업을 희망하는 대학생들은 전공선택과 수강과목을 결정함에 있어 직무유용성이 높은 전공 또 는 과목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고등교육의 방향과 청년 취업률을 높이기 위 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된다. According to a survey by Job Korea (2017),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job usefulness of the major and the higher the job contribution of the major, the more positive the job satisfaction wa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for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job usefulness of business majors affects job satisfaction. It will be helpful to design curriculums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 university, and and career guid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s had higher job usefulness compared to other majors. This suggests that the current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provides the knowledge required in practice compared to other majors, and can be advantageous for employment. In addition, major job useful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 major job usefulnes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usiness graduates, overall satisfaction, reputation satisfaction, and welfare benefit satisfaction all increased as the usefulness of the major increased.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business majors being treated favorably and are more likely to get a better job or change job as their major job usefulness increase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y reporting the results that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s have higher job usefulness than other majors, and that job satisfaction increases with higher major job usefulness. First, practice-oriented education to increase the usefulness of major jobs in colleges can help increase job satisfaction, increase job prospects, and reduce job turnover. From the company's point of view, it will be helpful in assigning jobs according to the applicant's major at the time of recruitment by understanding th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Second, college students who wish to find a job after graduation will be helpful in selecting a major or subject with high job usefulness in choosing majors and taking courses. Finally, it is helpful in establishing policies to increase the direction of higher education and increase the youth employment rate.

      • 지각된 모바일유용성과 스마트 배송서비스 사용의도와의 관계에서 배송 빅데이터 서비스기대의 매개효과

        ( Hong Mal Chun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3 유통정보학회지 Vol.16 No.5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지각된 모바일 유용성이 스마트 배송서비스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그 과정에서 배송 빅데이터 서비스 기대 즉,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편의성을 높이는 스마트 배송서비스에 대한 기대의 매개역할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각된 모바일 유용성을 스마트폰 유용성, SNS 유용성, 모바일 쇼핑 유용성의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발견점은 크게 4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SNS 유용성은 스마트 배송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SNS 기능을 활용하여 스마트 배송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함으로써 소비자의 사용의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둘째, 모바일 쇼핑 유용성은 스마트 배송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소비자들의 스마트 배송 사용의도를 유도할 수 있도록 배송서비스를 개선함으로써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셋째, 배송 빅데이터 서비스 기대는 스마트 배송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스마트 배송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사용의도를 강화하는데 배송 빅데이터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넷째, 모바일 쇼핑 유용성과 스마트 배송 사용의도 간의 관계에 대하여 배송 빅데이터 서비스 기대가 유의한 매개작용을 한다. 즉, 배송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스마트 배송에 대한 소비자 기대수준을 충족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모바일 쇼핑 서비스의 품질을 제고시킬 수 있다. 이와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 배송서비스와 관련한 초기 연구로서 그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mobile usability, delivery Big Data service expectations and smart delivery use intention. In the process, the major concern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delivery Big Data service expectations. For this purpose, the perceived mobile usability were divided three variables into smartphone usability, SNS usability and mobile shopping usability. The main findings can be explained in four viewpoints. First, the SNS usability affects on the smart delivery use intention. This means that if the SNS usability is reinforced, the consumers use intention to smart delivery are strengthened. Second, the mobile shopping usability affects on the smart delivery use intention. This suggests the smart delivery services can be used to increase the mobile shopping services quality. Third, the delivery Big Data service expectations affects on the smart delivery use intention. This means the firms can increase the level of smart delivery services quality by leveraging Big Data technologies. Fourth, when the mobile shopping usability affects on the smart delivery use intention, the delivery Big Data service expectations has a medi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The mean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firms can enhance ultimately the usability of mobile shopping services quality by using Big Data technolo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n initial research related to smart delivery can be applied to practical implications and there are important at that point.

      • KCI등재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이 기업 이러닝 교육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대범,구자원 대한경영정보학회 2018 경영과 정보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 경험이 있는 국내외 기업 종업원 390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 자기효능감 및 업무환경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각 요인의 학습전이에 대한직접효과와 더불어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러닝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효능감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도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 또한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매개효과 분석결과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은 각각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학습전이에 대해 모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사점은 첫째, 기업교육에서 보편화된 이러닝에 대해 기술수용 단계를 벗어나 수용 후 실질적인 학습전이 효과에 대한 영향요인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기술수용모델에서 외부 특성요인에 대한 매개변수로 사용되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을 독립변수로, 외부특성요인으로 연구되었던 자기효능감과 조직 환경을 매개변수로 사용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술수용과 학습전이에 관한 연구는 단일국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26개 국가의 표본을 대상으로 다양한 샘플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검증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였다. 셋째, 기존의 연구에서 지각된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을 수용의향 및 학습전이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수용된 정보기술에 대해 학습자 및 환경 요인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여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의 학습전이에 대한 경로를 강화하고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다양한 국가의 표본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국제비교연구도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performed the empirical test for the effects of learning transfer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using 390 employees who have experienced e-learning in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to direct effect of each factor on learning transfer.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of-use of e-learning learner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a positive influence on supervisor and peer support and organizational climate. Self-efficac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and supervisor support, peer support and organizational climat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transfer as well. Perceived usefulness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However, perceived ease-of-us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transfer.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were analyzed to have mediating effects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learning transfe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signed a new research model that reflects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 of learning transfer on acceptance of e-learning that is common in corporate education. It has derived a research model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of-use, which were used as mediating variables for external characteristics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using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as mediating variables, which were studied as external factors. Second, most of the studies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learning transfer are conducted in a single country. The reliability was enhanced by testing the study models using different samples from 26 countries. Third,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of-use in existing studies have been considered as key determinants of acceptance intention and learning transfer.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er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accept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strengthened and supplemented the path of learning transfer of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of-use. In addition, based on the sample analysis of various countries us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tur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will be possible.

      • KCI등재

        금융기관 보고이익의 정보유용성에 대한 연구 : K-IFRS 1109를 중심으로

        김효진 ( Kim Hyo-jin ) 한국세무회계학회 2020 세무회계연구 Vol.0 No.65

        [연구목적] IFRS 도입 이후 금융규제상 의무공시대상인 금융기관의 대손준비금조정후순이익이 회계기준상 당기순이익과 함께 재무제표에 공시된다. 정보이용자가 두 개의 정보에 대한 혼란 없이 정보를 획득한다면 표현충실성 관점에서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이익이 동시에 보고되는 경우 정보이용자는 오히려 혼란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이익정보가 정보이용자에게 증분적인 유용성을 제공하는지 정보유용성 시각에서 검증한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K-IFRS 도입 후 2011년부터 K-IFRS 제1109호 적용 두 번째 해인 2019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하고, 정보유용성의 측정치로 가치 관련성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연구결과] 실증분석결과, 당기순이익을 설명변수로 하는 모형의 설명력과 조정후순이익을 독립변수로 하는 모형의 설명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보고이익 변수 와 그 변화분을 설명변수로 하여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상대적 정보유용성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간을 구분하여 K-IFRS 제1109호 적용 전인 2011년~2017년까지 기간을 대상으로 상대 적 정보유용성을 분석한 결과, 회계기준상당기순이익에 비해 조정후순이익의 정보유용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1109호 적용에 따라 기대손실모형으로 회귀한 2018년~2019년 기간에는 여전히 회계기준상 당기순이익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조정후순 이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간별로 두 보고이익의 상대적 정보유 용성이 일관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당기순이익 및 조정후순이익을 함께 공시하면 시장에 혼란을 야기하여, 장부금액 등 정보유용성이 함께 감소함으로써 회계 정보의 가치관련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는 선행연구(김효진과 이기훈, 2016)의 주장과 일관된다. 서로 다른 이익정보의 공시 형태가 정보이용자에게 오히려 혼란을 야기하여 유용성을 증가시키지 못한다면, 회계기준과 금융규제상의 보고이익은 통일되어야 함을 시사함으로 써 K-IFRS 제1109호에 의한 기대손실모형으로의 회귀를 지지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IFRS 도입 후 당기순이익과 조정후순이익이라는 두 가지 이익 의 정보유용성을 비교함으로써 회계이익과 비회계이익의 동시 공시가 시장에서 유용성을 제 고하는지 검증하고, 이를 통해 K-IFRS 제1109호의 타당성을 검토함으로써 회계기준 입안 자 및 금융감독기구와 투자자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라 기대한다. [Purpose] The adoption of IFRS by Korean banks resulted in the reporting of non-GAAP adjustments to IFRS net income and book values of equity because of two different regulations-accounting standards and supervisory regulations. The banks are required to apply IFRS when they prepare financial statements, yet they also must comply with the supervisory regulations. The non-GAAP adjustments to IFRS income and book values must be reported on the financial statements simultaneously. Consequently, a conflict may be emerged because the market participants could be confused with different two incomes. This study examines the incremental information-usefulness of these simultaneous disclosure of two different reported earnings and adjustments to equity market participants over IFRSbased net income and book values of equity. [Methodology] This study directly measure the incremental information-usefulness of the non-GAAP adjustments over IFRS-based income and book values by including the non- GAAP adjustments as additional, independent variables in a single model. I measure the net income adjustment as the provision of regulatory reserve for additional loan losses for the current year and the book value adjustment as the regulatory reserve for additional loan losses at the end of the current year. The IASB pronounced IFRS 9 which supersedes IAS 39 and replaces the incurred-loss model with the expected credit loss model. The expected credit loss model becomes effective beginning in 2018 again. Therefore, I examine the relative information-usefulness between Ex-ante and Ex-post of IFRS 9. [Findings] This study shows that the non-GAAP adjustments to IFRS net income do not have incremental information-usefulness over IFRS-based net income. I document that the disclosure period lacks consistent information-usefulness. My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Kim and Lee (2016) which shows that non-GAAP book value has lower value-relevance than IFRS-based book value. I fail to support the hypothesis which states that a simultaneous disclosure of two reported earnings has incremental information-usefulness relatively. [Implications] My findings have policy implications as well. Even though the non-GAAP adjustments contribute to making banks’ IFRS-based financial statements compliant with the banking supervisory regulations, their impact on the capital markets is trivial without significant incremental information-usefulness. My findings raise a cost-effectiveness issue from a policy point of view, specifically based on IFRS 9 and empirically support the transition to expected credit loss model.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Korean banks and may not be generalizable to other jurisdictions.

      • KCI등재

        회계투명성 제도와 회계정보 유용성 연구

        권해숙 한국기업경영학회 2010 기업경영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정부에 의해 추진된 감사위원회 제도와 같은 회계제도의 개선으로 회계정보의 투명성이 향상되고 그 결과 회계정보의 유용성이 증가되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08년까지의 재무제표의 유용성 변화 문제를 실증분석하였다. Ohlson(1995)의 가치평가모형에 의하면 회계이익과 순자산은 주식가치를 결정하는 핵심적 회계변수들이며 또한 주식가치에 대한 영향에 있어 한 변수의 비중이 작아지면 다른 변수의 비중이 커지는 관계에 있다. 즉,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value relevance)이 감소하더라도 순자산의 가치 관련성이 증가함으로써 회계정보의 전체적인 유용성은 유지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회계이익과 순자산의 유용성 문제를 함께 고려하여 재무제표의 유용성에 대한 기간적 변화 여부를 분석한다. 또한 거래소 상장기업들에 비해 코스닥 상장기업들의 감사의견, 또는 경영투명성관련제도의 도입 및 운영에 차이가 있다는 판단 하에 주식시장을 거래소와 코스닥으로 구분하여 각 시장별로 회계정보의 가치 관련성의 추세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주당순자산과 주당순이익을 함께 고려하여 기간에 따른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검증한 결과 전체표본과 거래소 상장기업의 경우 TIME 계수의 부호가 모두 양(+)이며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코스닥 상장기업의 경우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TIME 계수가 양(+)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연구들과 마찬가지로 2000년 이후 주식시장 특히 거래소 시장에서 회계정보의 유용성(R2)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개혁적 조치 중 특히 감사위원회 제도는 경영자에 대한 내부 감시 및 통제 그리고 내부통제구조에 대한 감시를 통해 재무제표의 투명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 하에, 감사위원회 설치 여부에 따른 차이 및 더 나아가 설치한 경우 사외이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수가 많을수록 회계정보의 가치 관련성 증가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감사위원회 설치 기업의 회계정보의 유용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감사위원회 설치기업 중에서도 사외이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경우 회계정보의 유용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회계제도의 보완을 통해 주식시장에서 회계정보의 유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연구가설을 증명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ether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as the result of elevation of transparency in accounting information due to various accounting system improvements(ex: The Audit Committee System) promoted by the government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For this we have empirically analyzed the financial statement's change in usefulness issue from the year 2000 until 2008. According to Ohlson(1995)’s, accounting earinings and net assets are the core accounting variables that decide the value of shares. Also, they are in a relation that if one variable's weight decreases in the effect it has on the value of shares the other variable's weight increases. In other words, even thought the value relevance of the accounting returns decrease, as the value relevance of the net assets increase there is a possibility to maintain the overall usefulness of the accounting inform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wether there is a periodical change in the financial statement’s usefulness, considering the usefulness of the accounting returns and the net assets together. Also, under the judgement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udit comments or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management transparency related system of the KOSDAQ companies compared to the companies in the stock exchange, we have separated the stock market into the stock exchange and the KOSDAQ. Also, we have verified the tendency in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each market. As we verified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by period, considering both book value and net profit per share, in case of all the specimens and stock exchange companies, their TIME coefficient’s sign were all positive(+) and at the 1% level were statistically n the KOSDAQ companies’ case their TIME coefficient’s signs were positive(+) but we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These results, same as the previous studies, mean that since 2000, in the stock market-especially the stock exchange-the usefulness(R2) of accounting information has improved. Also, under the judgement that among the many reformist measures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the audit committee system especially, can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he transparency in financial statements by internal observation and control of the manager and observation of the internal control structure, we have verified the difference from wether an audit committee was installed and by extension, when the audit committee is installed wether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ncreases as the importance and number of outside directors increase.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was shown high in companies that have installed an audit committee and among the companies that have installed an audit committee, the companies that had more weight in outside directors, relatively had higher usefulness in accounting information. This kind of result proves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through supplementation of the accounting system the usefulness in accounting information in the stock market can be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