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정서지능이 영성지능에 미치는 영향

        김용구(Kim, Yong goo),김희정(Kim, Hee Jung)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지능이 영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G광역시 소재 유아교육기관에서 만3-5세 유아를 담당하는 교사 30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배경변인에 따른 정서지능과 영성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성별에서는 남아보다 여아가, 종교유무에서는 종교를 갖지 않은 유아보다 종교를 가진 유아가 전체 정서지능과 영성지능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연령에서는 정서지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영성지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영성지능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전체 정서지능과 전체 영성지능 간에 높은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지능과 영성지능의 모든 하위변인들 간에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유아의 정서지능의 하위변인이 영성지능의 하위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성지능의 하위변인에서는 삶의 에너지에 자기정서인식과 타인정서조절이, 타인과 사물과의 관계성 및 긍정적 미래관에는 자기정서조절과 타인정서인식, 타인정서조절이, 통합적 에너지는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on spiritual intelligence. Early childhood teachers aged 3 to 5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G City were randomly sampled, and finally 304 teachers was select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piritual intelligence in young children s gender and presence or absence religion. Both the emotional and spiritual intelligence were higher in boys than in girls and in children with religion than children without religion. And in the age of young children, spiritual intelligenc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overall spiritu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piritual intelligenc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overall spiritu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piritual intellig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b-factors of spiritual intelligence. In the sub-variables of spiritual intelligence, oneself emotional awareness and another emotional regulation had an influence on life energy, and oneself emotional regulation, another emotional awareness, and another emotional regulation had an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of people and things and positive perspective of future. And Integrative energy was found to influence all sub-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영ㆍ유아 정서지능 관련 변인 메타분석

        정혜욱,한은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4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variables related to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through meta-analysis. The variables were divided into strengthening and weakening variables, and each variable was used to categorize childre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stitu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and famil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ability” and “institutional adaptation” were found to be the variables that strengthen emotional intelligence. Meanwhile,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related to parents and families wa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variables. This results implies the necessity of reconsidering the viewpoint of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anti-social behavior”, “aggressiveness” and “maladjustment behavior” were found to weak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were correlated. This suggests that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 factors that hinder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the path of influence.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stitutions. 본 연구에서는 영ㆍ유아 정서지능 관련 변인에 대한 효과크기를 분석하여 각 변인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추후 연구에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영ㆍ유아정서지능 관련 연구를 강화변인과 약화변인으로 나누고, 영ㆍ유아 개인 특성, 교사 및 기관특성, 부모 및 가정 특성으로 범주화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ㆍ유아 정서지능 관련 강화변인 중 영ㆍ유아 개인 특성의 ‘사회적 능력’과 교사 및기관 특성의 ‘기관 적응’은 영ㆍ유아 정서지능을 가장 강화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ㆍ유아 정서지능 관련 강화변인 중 부모 및 환경 변인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은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위 범주별 영ㆍ유아 정서지능에 대한 관점의 차이에서 비롯된것으로, 영ㆍ유아 정서지능에 대한 관점을 재고찰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영ㆍ유아 정서지능 관련 약화변인 중 ‘반사회적 행동’, ‘공격성’, ‘부적응 행동’ 등의 비율이 높을수록 영ㆍ유아 정서지능은 낮으며, 각각의 변인 간에도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ㆍ유아정서지능 발달을 저해하는 변인들에 대해서도 그 원인이나 각 변인 간 관계 및 영향력의 경로 등을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불어 교사 및 기관 특성 변인의 사례수가 미비했던 점은 교사 및 기관 특성 변인과 영ㆍ유아 정서지능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성을 드러낸다.

      • KCI등재

        유아 정서지능과 우울 증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배율미,임성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정서지능과 우울 증후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 지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L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 그리고 5세 유아들 66명이었다.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교사 보고식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우울 증후를 측정하기 위해 부모 보고식 유아 감정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였다.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한 자료 수집은 3월 29일에서 4월 5일 그리고 이들의 우울 증후를 측정하기 위한 자료수집은 6월 20일에서 7월 1일 사이에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Scheffé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정서지능과 우울 증후는 전체적으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 하위영역과 우울 증후 하위영역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정서인식표현, 감정이입, 대인관계기술은 외현적 우울 증후와 부적 상관관계가, 감정이입과 대인관계기술은 내재적 우울 증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 연령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는 만 4세 유아들의 정서지능이 만 3세와 만 5세 유아들의 정서지능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 증후의 차이는 만 3세 유아들이 만 5세 유아들 보다 외현적 우울 증후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정서지능과 우울 증후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유아의 정서지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정서지능 함양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내재적·외현적 문제행동을 포함하는 우울 증후와 같은 부정적 정서를 소거/감소하고 긍정적 정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EI) and their depressive symptoms. The participants were 66 children, who were 3-, 4-, and 5-year-olds at L preschool in Seoul. A teacher-report EI rating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children's EI and a parent-report Preschool Feelings Checklist was utilized to measure their depressive symptom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rch 29 to April 5 for measuring the children' EI and from June 20 to July 1 for measuring their depressive symptom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 post-hoc comparison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EI and their depressive symptoms. Also,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ome subdomains of EI and depressive symptom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 of emotional awareness, empathy, and skills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external depressive symptom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pathy and skills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internalizing depressive symptoms. Related to age, the scores of EI for 4-year-olds were lower than the scores of EI for 3- and 5-year-olds and 3-year-olds showed more externalizing depressive symptoms than did 5-year-olds. This study suggests that an educational plan needs to be explored to improve children's EI for decreasing negative emotions including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depressive symptoms.

      • KCI등재

        어머니-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및 정서지능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화(Kim, Jeong-Hwa),김영미(Kim, Yeoung-Mi),이경님(Lee, Kyung-Nim)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negative emotionality, emotion intelligence and mother-child interaction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405 mothers of young children using instruments such as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negative emotionality, emotion intelligence and mother-child interaction, and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al model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emotion intelligence and mother-child interaction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Second,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rough emotion intelligence and mother-child interaction. Additionally, young children’s emotion intelligenc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creative personality. The results suggested that improving young children’s emotion intelligence and positive mother-child interaction and minimalizing negative emotionality could help facilitate creative personality.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대한 부정적 정서성과 정서지능 및 어머니 유아 상호작용의 직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세에서 세 유아 명과 그들의 어머니 이며 수집된 자료는 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대하여 어머니 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정서지능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대하여 부정적 정서성은 어머니 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정서지능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정서지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어머니 유아의 긍정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정서지능은 창의적 인성을 직접적으로 증진하게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은 어머니 유아 상호작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정서지능을 저하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창의적 인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유아의 정서지능이 창의적 인성을 증진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창의적 인성 증진을 위하여 정서지능의 발달이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긍정적인 어머니 유아 상호작용의 증진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의 최소 화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있다

      • KCI등재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리더십의 관계

        장영숙,황윤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leadership in a half-day program and full-day program. Subjects were 279 preschool children who were composed of 138 half-day program children and 141 full-day program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alf-day program children showed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than full-day program children. Second, half-day program children showed higher leadership than full-day program childre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in both the half-day program and the full-day program. In the half-day program, utilization of emotion, relationship with peers, appraisal and expression of self emotion, and empathy were predictable variables of children’s leadership. In the full-day program, utilization of emotion, appraisal and expression of self emotion, and relationship with peers were predictors of children’s leadership. 본 연구의 목적은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리더십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유아 27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중 반일제 유아는 138명, 종일제 유아는 141명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정서지능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반일제 유아의 정서지능의 평균이 종일제 유아의 정서지능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일제 유아의 리더십 평균이 종일제 유아의 리더십 평균보다 높았고 이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반일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리더십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리더십 전체에 대해 정서지능의 하위변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 또래와의 관계, 자기정서의 인식과 표현, 그리고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가 리더십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종일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리더십 역시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유아 정서지능의 하위변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또래관계는 유아의 리더십 전체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 유아의 정서지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예숙 인지발달중재학회 201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3 No.1

        본 연구는 만 3, 4, 5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성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고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아의 정서지능,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사-유아 관계의 관계 및 이들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을 성에 따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6개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 410명과 그들의 어머니 및 교사 32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교사용 친사 회적 행동 검사(Doescher, 1986), 유아용 정서지능 척도(이병래, 1997),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박주희, 2007) 및 교사-유아관계 척도(Pianta, 1991)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 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만 3세에서 만 5세 간에 차이가 없으며,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아와 여아의 친 사회적 행동은 자기정서인식, 자기정서조절, 타인정서인식과 타인정서조절의 정서지능 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여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어머니가 온정적인 양육행동 을 많이 보이고 통제적인 양육행동을 적게 보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그런데 남아는 어머 니의 온정적, 통제적 양육행동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아와 여아의 친 사회적 행동은 교사-유아의 관계가 친밀하고 갈등이 적으며 덜 의존적일수록 높게 나타 났다. 다섯째, 남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예측 변인은 타인정 서조절의 정서지능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정서조절의 정서지능, 교사-유아의 갈등과 친밀 관계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예측 변인은 자기정서조절의 정서지능으로 나타났으며, 타인정서조절의 정 서지능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만 3세와 5세간에 안정되며, 이 시기동안 여아가 남아보다 높다. 또한 남아와 여 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정서지능이 중요한 예측변인이며, 특히 남아의 경우 타인정서조 절의 정서지능이, 여아의 경우 자기정서조절의 정서지능이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남아의 경우 친사회적 행동에 교사-유아의 친밀관계는 긍정적 영향 을, 교사-유아의 갈등관계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여아의 경우 친사회적 행동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권정윤 한국유아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연구 Vol.30 No.6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정서노동과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의 민간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은 정서노동의 수행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지능이 정서노동의 하위요인인 자연적 행동 및 내면적 행동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은 유아교사의 정서노동 수행에 대해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은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개인관련 직무스트레스와는 유의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자기정서파악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은 유아교사의 근무기관 유형, 담임 유아의 연령, 유아교사의 학력, 연령 및 교사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아교사의 학력과 경력 변인이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에 차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정서를 측정하는 변인과 교사의 교수행위 및 직무수행과 관련된 변인간의 관계 및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work and working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working stress. A total of 152 child-care teachers who work in Seoul and Gyongki area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ir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care teacher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emotional work. In specific,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was highly related to the subcategory of emotional labor, which is,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work. Also,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care teachers was the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on their emotional labor. Seco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care teacher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subcategory of working stress, the personal working stress. Moreover, the identification of self emotions which is the subcategory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the effective factor to influence on child-care teachers' working stress. Third, the emotional labor was not different by the teachers' personal factors such as the type of child care center, children's age, teachers' educational level, age, the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s; however, the educational level and teaching experiences were the factors to make differences i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working stress. Therefore, this study recommended the needs of study to examine the measuring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s, teaching, and teaching related work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s and effects among these variables.

      • KCI등재

        유아의 정서지능과 영재성의 성별 차이 및 관계 분석

        장영숙 韓國英才學會 2010 영재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영재성이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 유아의 정서지능이 유아의 영재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유치원에 재원중인 5세 유아 26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정서지능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여아의 정서지능은 남아의 정서지능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났다. 둘째, 유아의 영재성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영재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아의 영재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IQ뿐 아니라 유아의 정서지능의 하위변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또래와의 관계가 유아의 영재성을 예언하는 변인들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의 자기정서의 이용은 유아의 영재성을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이었다. 이는 유아의 영재성은 유아가 높은 성취를 위해서 스스로를 동기화하고 인내심을 가지며 노력하는 것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s i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or their giftednes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giftedness. Subjects were 268 5-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who were composed of 131 male children and 137 female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emale children showed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than male children. Second, there was no signifiant difference between male children and female children in their giftedness. Third, controlling for children's IQ, utilization of emotion, appraisal and expression of self-emotion, and relationship with peers were predictable variables of children’s giftedness. Among the subareas of emotional intellignece, utilization of emotion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in explaining children's giftedness. The reslut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giftedness.

      • KCI등재

        어머니 역할지능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유아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김경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impact of parental intelligence on early childhood leadership.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impact of parental intelligence and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on early childhood leadership? Second, how is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a child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intelligence and early childhood leadership? To solve the problem, each of 270 mothers and children under 5 years of age were selected to answer the survey question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reliabilit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a SPSS program an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of the parental intelligence factors, a mother’s developmental stimulation, nursing and management had, in this order, a positive impact on the early childhood leadership, and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factors of a child, the ability to control others’ emotion, the ability to recognize others’ emotion and the ability to self-control emotion had, in this order, positive impact on the early childhood leadership. Second,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intelligence and early childhood leadership, a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functioned as a complete parameter. Also,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intelligence and the subfactors of early childhood leadership, the mediating effect of a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cause a mother’s parental intelligence improves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reby exhibits leadership in kindergarten,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mother’s parental intelligence and continue to operate correlated programs developed based on the reliance between the homes and child education centers to help children to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본 연구는 어머니의 역할지능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와 유아의 어머니 각각 27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역할지능 및 유아 정서지능은 유아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역할지능과 유아 리더십 간의 관계에서 유아 정서지능은 완전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어머니의 역할지능과 유아 리더십 하위요인 간의 관계에서도 유아 정서지능은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은 유아의 정서지능을 높이고 이로 인해 유아는 원내에서 바람직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어머니의 역할지능을 높이고 유아의 리더십과 정서지능을 함양 및 개발할 수 있도록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이 신뢰에 바탕을 둔 상호연계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인·적성의 관계 연구

        한희경,성원경,김진영 한국직업교육학회 2014 職業 敎育 硏究 Vol.33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s a preliminary data to determine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development. Two hundred eighty on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university at D city responded to an emotional intelligence test and a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test. In order to seek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and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score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scores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The group with the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score tended to show a higher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score. The predictive power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total of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was 44.1%, and the most powerful predictor among sub-components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was the promoting thought variable(34.5%). The most powerful predictor among sub-components in the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was the problem solving and inquiry skills(25.0%). The sub-components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at predicted the problem solving and inquiry skills were thought promotion, emotional utiliz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ideas for the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as a job competence were discussed and recommended to promote the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in the teacher preparation course.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인·적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인·적성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D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학생 281명이 정서지능과 교직인·적성 검사에 응답하였으며, 정서지능과 교직인·적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21.0에 의한 자료 분석 결과, 정서지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교직인·적성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정서지능이 높은 집단의 교직인·적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인·적성에 대한 정서지능의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직인·적성을 강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이 교직인·적성 전체를 예측하는 설명력은 44.1%이고, 정서지능 중 교직인․적성을 가장 높게 예측할 수 있는 하위 변인은 사고촉진(34.5%)이었다. 정서지능이 교직인·적성 하위변인 중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낸 것은 문제해결력·탐구력(25.0%)이었고, 문제해결력․탐구력을 설명하는 정서지능의 하위변인은 사고촉진, 정서활용, 정서조절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인․적성을 높이기 위하여 교사양성과정에서 정서지능을 유아교사의 직무역량으로 인식하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