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여성 유서 연구 ― 순절 열녀 신씨부(申氏婦)의 한글 유서를 중심으로 ―

        홍인숙 ( Hong Insook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6

        이 연구는 조선후기 여성이 남긴 한 편의 한글 유서 자료를 소개하고 그 기본 정보와 내용을 파악하고 유서 작성의 상황과 맥락을 면밀하게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서의 작자는 자신이 남편의 죽음 이후 따라 죽음을 밝히고 있으므로 이 유서는 기본적으로 조선후기 열녀 관습 안 에 있는 텍스트라고 볼 수 있다. 학계에 처음 소개되는 이 유서의 원 텍스트는 한 장으로 이어져 있는 1.5미터 정도의 종이 두루마리이며 유서 작자가 직접 쓴 것으로 보이는 한글 친필본이다. 유서는 총 네 명의 수신자를 대상으로 쓰여 있으며 수신자는 친척 동생, 딸 내외, 친정 오빠 내외, 시부모님이다. 전체 분량은 원고지 23매 분량으로, 동생과 딸과 친정 오빠에게 쓴 유서는 각각 원고지 3~5매, 시부모에게 쓴 유서는 원고지 약 11매 정도의 분량이다. 유서를 통해 알 수 있는 기본 정보는 이러하다. 첫째, 유서 속에 남편이 죽은 해로 언급된 ‘병인년(丙寅年)’이라는 연대는 조선후기 ‘1746년, 1806년, 1866년’ 중 하나일 가능성이 높다. 둘째, 남편을 ‘신 서방님’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보아 유서 작자의 시댁은 신씨 가문이다. 셋째, 작자는 남편의 죽음 당시 임신 중이었던 외동딸 ‘은슌’을 키워내고 ‘지난 해’ 혼인시킨 후 자결함을 밝히고 있다. 넷째, 작자는 남편의 뒤를 이을 양자를 들이고 혼인까지 시켰으나 정식으로 입양을 하지 못해 시댁과 갈등을 겪었다. 다섯째, 이 여성의 자결 당시 나이는 조선후기 여성의 일반적인 초혼 연령과 딸의 혼인 사실을 고려할 때 대략 30대 후반이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유서 네 통 중 친척 동생, 딸 내외, 오빠 내외 등 친정 식구들에게 남긴 세 통의 유서에서는 애정과 그리움을 주로 표현하고 있다. 이 세 통의 유서는 자신의 죽음이 ‘아무런 한도 미련도 없다’고 하면서 자기 죽음을 슬퍼할 식구들을 오히려 위로하는 다정한 어조를 담고 있다. 반면 시부모님에게 남긴 유서는 이와 전혀 다른 감정 표현과 문체를 보여주는데, 이 네 번째 유서는 친정 쪽 유서의 두 배가 넘는 장문의 글이며 시댁에 오랫동안 품어온 서러움과 원통함을 호소하고 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특히 작자는 시부모에게 자신이 남편의 죽음 직후 따라 죽지 못한 이유를 매우 길게 해명하듯이 서술하고 있다. 이 시부모 대상 유서는 작자가 가부장인 시아버지와의 관계에서 ‘딸의 출산, 양자 결정, 자결 지연’ 등의 일에 있어서 오랜 세월 모종의 깊은 갈등이 있어 왔음을 함 축적으로 보여준다고 분석하였다. 조선후기 남편을 따라 죽은 여성의 유서는 열녀 담론을 받아들이면서 살아야 했던 조선시대 여성의 내면이 단순하게 통제되고 조율되는 것만이 아니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조선후기 여성 유서는 이 시기 점차 강화되고 있었던 가부장적 질서와 열녀 이데올로기 속에서 여성 스스로 남긴 언어와 인식, 경험과 감정, 판단과 선택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으며, 자결이라는 참혹한 선택 앞에서 여성이 남긴 복잡한 자기 내면에 대한 최후의 진술이라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a Korean testament written by a woman of the late Joseon and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ignificance therein. The writer of the testament decided to follow her husband after he died, accordingly, this testament could be included in the custom of exemplary women of the late Joseon. The number of testaments is 4, and the recipients were cousin, daughter and her husband, brother and his wife, and parents-in-law. Basic information that were informed through the testaments are as below. First, the year, ‘Byeong-in year(丙寅年)’, mentioned in the testament as the year when her husband died, might be one of ‘1746, 1806, 1866’ during the late Joseon. Second, considering that the writer called her husband ‘My husband Shin’, her husband’s family name was Shin. Third, the writer informed that she nurtured her only daughter ‘Eunsoon’, who was a fetus when her husband died, and the writer finally killed herself after having her daughter get married in the ‘last year’. Fourth, she adopted a son to carry on a family line after her husband and had him get married, however she had conflict with her husband’s family, since she couldn’t duly adopt the son. Fifth, her age when she killed herself could be guessed around her late thirties, considering general age of first marriage during the late Joseon and the point of daughter’s marriage. Three testaments left onto her parents’ family, her cousin, daughter and daughter’s husband, and brother and brother’s wife mainly expressed love for them and longing. These three testaments mentioned that she had no regret for her death, instead, she consoled her family who would feel sorry for her death. On the contrary, she showed completely different emotional expressions and writing style. Fourth testament was a long writing, which was over two times longer than the testaments to her parents’ family, which expressed her long sorrow and resentment. Particularly, the writer narrated the reason why she couldn’t die immediately after her husband’s death, just like she explained it lengthily to her parents-in-law. Also, this testament implies a serious conflict with the father-in-law, head of household, in respect of ‘birth of daughter, decision of adoption, delay of suicide’. Testaments of the women who killed themselves after their husband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re significant in respect that they directly showed the inner side of Joseon women, who had to live within the custom of exemplary wome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ecause they fully display the women’s own language, awareness, experience, and emotion in the patriarchal order and exemplary women ideology, which were gradually reinforc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明代 ‘故事’ 命名 類書 연구

        崔桓(Choi, Hwan) 동아인문학회 2013 동아인문학 Vol.24 No.-

        명대에 출현하였거나 또는 이전에 출간되어 명대에 유행했던 ‘故事’ 명명 유서의 한 가지 큰 특징은, 대부분 초학자 학습 및 동몽 교육을위한 교재로 편찬되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들 유서는 어휘 및 성어사전 형식(≪書言故事大全≫?≪藝林伐山故事≫), 故事 輯錄 형식(≪君臣故事≫?≪日記故事大全≫?≪勸懲故事≫?≪金璧故事≫), 작문학습용 문장 輯錄 형식(≪雅俗故事讀本≫?≪故事雕龍≫?≪故事必讀成語考≫)의 세 가지 유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유형의 유서는 또한 그 정도는 다르지만 유가의 윤리도덕교육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 고사 집록 형식의 유서가 그 정도가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순수한 이야기나 서사성이 비교적 강한 옛일을 가지고 도덕교육의 교재로 삼아 교육 효과의 극대화를 기했다고 할 수 있다. 심지어 어휘 및 성어사전 형식의 유서와 작문학습용 문장 집록 형식의 유서 중에서도 도덕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비교적 집중적으로 다룬 유서가 있었는데, 그러한 유서로는 ≪서언고사대전≫과 ≪고사조룡≫이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고사조룡≫은 治學 및 유가와 관련된 도덕수양 등을 중심으로 類目을 설정함으로써 詩作 및 작문 학습의 목적 외에도 윤리도덕 교육의 목적을 분명하게 상정하고 편찬되었다. 또한 명대 ‘故事’ 명명 유서는 대부분 사찬유서(또는 통속유서)로서 당시 민간의 초학자 및 동몽을 대상으로 도덕교육뿐만 아니라 어휘 검색, 詩作이나 작문 교육에 적지 않은 역할을 담당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 유서를 통해 당시의 민간 동몽교재의 형식과 내용 등에 대해서도 비교적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 KCI등재

        조선시대 사대부 남성 유서(遺書)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의미 탐색

        이홍식 ( Lee Hongshik ) 근역한문학회 2017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7 No.-

        본고는 조선시대 사대부 남성 유서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그 의미를 밝히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유서의 사회문화적 속성을 점검하여 조선시대 사대부 남성 유서가 당대의 사회문화와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었던 내적 근거를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가(家)를 너머 당대의 사회문화에 끼친 유서의 영향을 살펴 유서의 사화문화적 기능과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현재 확인 가능한 대부분의 유서는 죽음을 매개로 망자의 거부할 수 없는 강력한 메시지로 이해되어 한 집안에서 대를 이어 전해지고 실천되었으며, 그 대상뿐 아니라 다른 여러 사람에게도 읽히어 개인을 넘어 가(家)로, 가를 넘어 사회 전반으로 그 영향력을 확대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유교적 실천 덕목을 가르친 유훈형(遺訓形) 유서의 경우 가문의 전통성을 확립하고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영향을 주었고, 상장례와 제례 등과 관련된 망자의 사후 문제를 주로 다룬 유명형(遺命形) 유서의 경우 의례(儀禮)의 실천과 예학(禮學)의 전수와 연결되어 유교의 이념과 가치의 사회적 구축과 확장에도 기여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유서는 사대부들이 지향했던 유교의 실천 덕목과 예학을 삶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데 있어서 매우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했음이 분명하다. 비록 유서마다 같고 다름의 차이가 있고 그 차이만큼 사회문화적 의미 또한 달라지지만, 그 전체를 조망해보면 유서가 당대의 사회문화에서 유의미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서를 문학뿐 아니라 사회학과 교육학 등 여타 인문학의 시선으로 읽어낼 수 있는 것도 여기에 기인한다. This paper aims at revealing sociocultural function and meaning of Sadeabu men(scholar-gentry class)`s Wills in the Joseon Dynasty. For this aim, through inspecting firstly sociocultural features of wills this paper tried to seek internal evidences that Sadeabu men`s wills were closely connected with society and culture in those days. Then, with studying wills this paper would draw sociocultural function and meaning of wills which affected to society and culture in those days beyond noble family. Most of wills now checked were understood as irresistible and strong messages from the dead, they were conveyed and practiced in a certain family line. Also they were read by not only the dead`s family but also other people, their influences were spreaded to whole society, beyond individuals and family. Especially, the kind of Yuhunhyeong(wills containing Confucian fulfill virtues: 遺訓形) affected to establish traditionality and construct identity of family. The kind of Yumyeonghyeong(wills containing orders dealing with problems of after death of people related bier funeral: 遺命形) contributed to social construction and extension of Confucian ideology and values connected to fulfill rituals and initiate courtesy. This paper confirmed these wills. In final analysis, wills served as significant role in concretely performing manners and fulfill virtues of Confucianism supported by Sadaebu in real life. Although each will had different and common features, and meaning of society varied by differences, prospecting whole aspects of wills, this paper confirmed that wills apparently had meaningful values of society and culture in those days. It is came from that wills are read by view of not only literature but also view of other humanities such as sociology, pedagogy and so on.

      • KCI등재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민속종교 자료

        서영대(Suh, Young-Dae) 한국역사민속학회 2010 역사민속학 Vol.- No.33

        이 글은 조선후기의 대표적 유서인 李?光의 『芝峯類說』?洪萬選의 『山林經濟』? 李瀷의 『星湖僿說』?李圭景『五洲衍文長箋散稿』에 수록된 민속종교 관련 자료들을 살펴본 살펴본 것으로, 먼저 4종의 유서에서 민속종교 관련 항목들을 추출하여, 그 내용을 표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유서류에서 언급된 민속종교 관현 자료들의 성격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① 이들 유서들은 전대의 것이 후대의 것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면서 많은 공통점을 가지게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저술 목적에 띠라 차이가 있다. 즉 『지봉유설』?『성호사설』『?오주연문장전산고』는 백과전서식 저술답게 민속종교의 다양한 측면을 전하는데 비해 『山林經濟』는 실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그 해결이란 실천적 내용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② 이들 유서는 민속종교를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했다. 그것은 이들 유서가 기본적으로 유교적 관념에 기초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완전한 부정에는 이르지 못하고, 영험성의 일부를 인정해기도 했다. ③ 조선시대 민속종교의 신앙대상들, 즉 성황신?업신?질병신?金傳大王神?鄭得揚?關王神? 付根神등에 대한 유서류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④ 이들 유서류들은 귀신에 대해서도 공통적으로 관심을 보였는데, 그들의 귀신론은 기본적으로 성리학에 기초한 것이면서도 그 영험성으로 말미암아 민속종교의 귀신론을 일부 수용하고 있다. ⑤ 이들 유서류에서는 공동적으로 점복에 대해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개인의 운명에 관한 점복은 부정적으로 인식했고, 농사의 풍흉점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이해하려 했다. ⑥ 이들 유서류에는 저주와 벽사에 관한 항목들도 상당수 있어, 이를 살펴보았다. ⑦ 무격은 민속종교의 성직자로서 민속종교의 핵심에 서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이들 유서류에서 공통의 관심사가 되었다. 이들 유서에서 무격은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지만, 그 영험성의 일부는 인정하고 있었다. 그렇다고 한다면 이들 유서류들은 비록 민속종교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고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조선후기 민속종교의 다양한 사실들을 전한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를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이들 유서류들은 향후 민속종교 연구에서 반드시 심도 있게 검토되어야 할 자료라 하겠다. At first, I extract materials on folk religion from four encyclopedic literatures of late Chosun dynasty-Lee, Ji-Bong-Ryu-Seol(『芝峯類說』) by soo-Kwang(李?光), San-Lim-kyung-Jae(『山林經濟』) by Hong, Man-Sun(洪萬選), Sung-Ho-Sa-Seol(『星湖僿說』) by Lee-Ik(李瀷), O-Ju-Yeon-Moon-Jang-Jun-San-Go(『五洲衍文長箋散稿』) by Lee, Kyu-Kyung(李圭景), and present these materials by tables. Second, I examined the contents and characters of these materials on folk religion. The conclusion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① There are common features and points of difference between these four encyclopedic literatures. One of common features are that all these four are encyclopedic works, but San-Lim-Kyung-Jae is more practical than another three. ②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regard folk religion as a negative culture, because these literatures based on Confucianism. But they did not deny miraculous virtues of folk religion. ③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give us many informations on gods and spitits of Korean folk religion, i.e, city gods(城隍神)?Yup-Sin(업신)?spirits of discase, god Kim-Bu(金傅大王神)?god Jung-Duk-Yang(鄭得陽)?god of King Kuan-u(關王神)?god Bu-keun(付根神) etc. So I review these gods and spirits referenced in encyclopedic literatures. ④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show much interest in ghost in common. The reason of interest is that authors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are all scholars of Sung Confucianism and Sung Confucian was concern about ghost. The Sung Confucianism denied the ghost as personal being whom Korean folk religion regards to a kind of spirits. Instead of beliefs in ghost of folk religion, they insist on the ghost as Ki(氣), a kind of cosmic principle. But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acknowledge some parts of folk religion"s beliefs in ghost, because they admit the miraculous virtues of these parts. ⑤ There are many items on divination in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But they show dual attitude on divinations. The one is negative attitude to divinations on individual destiny and the other one is positive attitude to divinations on agriculture. ⑥ There are also many items on witchcrafts in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Through these items, I assumed pervasiveness of beliefs on witchcraft at that time. ⑦ Shamans, as religious specialist, are stand on a central position of Korean folk religion. So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concerned on Korean shaman. As Confucians, authors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did not regards shamans as positive one. But they did not deny miraculous virtues of shamans. In spite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have negative view points to, and include false informations Korean folk religion, I would like to emphasis on importance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to understand Korean folk religions, especially Korean folk religions of late Yi Dynasty.

      • KCI등재

        類書類 古典籍의 綜合的 檢討

        부유섭(Bu, Yu-sub) 한국고전번역원 2019 民族文化 Vol.54 No.-

        이 논문은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중점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한국고전총간 간행에 앞서 종합편-類書類에 해당하는 고전적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검토한 것이다. 목록학사 관점에서 한중 유서와 총서를 중심으로 유서류와 총서류의 전통을 개관하고 이에 따라 유서류 분류 시안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한국고전번역원이 마련한 고전적 분류체계(안)의 종합편-유서류는 형식 분류인 만큼 그 분류 문제와 서종의 귀속 문제로 역사적으로 오랜 논의가 있어왔던 부류다. 중국 목록학사를 보더라도 유서의 분류와 서종의 귀속 문제는 그 함의가 커서 이른바 유서의 자의 그대로 ‘분류된 책(classified books)’을 유서로 보는가 하면, 분류 항목 간의 조정에 따라 유서류 내로 귀속되는 서종이 다양하다. 한국의 경우도 전통서목에서 유서류에 해당하는 항목을 설정하고 있음에도 다른 분류 항목과의 이동이 많고, 특히 개인의 공부 방법으로 초서 문화가 발달하면서 유서가 조선 후기에 양적으로 증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한국고전번역원에서는 종합편-유서류를 通考, 類說, 類聚로 나눠 정리하고, 叢書를 추가적으로 유서류 분류에 넣어 정리하였다. 통고는 국가의 전장제도 관련 내용을 다룬 유서, 유설은 類目을 두고 저자의 고증적 성향이 강한 유서, 유취는 분류와 載文의 형식이 갖추어진 유서로 하되, 번역원의 고전총간 편찬대상 선정안에 따라 우선 편찬 대상을 정리하였다. 특히 문제가 되는 유취에 귀속되면서 광의의 유서로 분류되는 서종의 경우는 편찬 사업의 대상 목록으로써 검토 대상으로 두되, 학계의 논의를 거쳐 유서류로 편입할 필요가 있다. 대표적으로 類目이 없이 유서로 편입되어 있는 경우와 서식집, 물명고 등은 앞으로 논의의 대상으로 삼아 대상 선정과 편찬에 참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총서의 경우는 18세기 이후에 문화적 현상으로써 총서 기획과 간행을 중심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reviews the overall content of classical works of Yuseo in the general volume before the publication of a collection of Korean classics as part of the major projects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Yuseo in the general volume under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lassical works developed by the institute, presents many problems since there is a classification by the form before it. In an effort to solve the problems,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classification and attribution of book type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books for Yuseo in China and Korea. In China, the scope of Yuseo dealt in the Mokrokhaksa is so broad that the classification and attribution of books types are too diverse to be analyzed uniformly. This is a characteristic of Yuseo that makes it different from other categories. In Korea, the Choseo culture developed as a method of individual learning based on manuscripts, which led to a trend of Yuseo growing in quantity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The number of book types is not big since the traditional catalogue contains mainly a printed book, but the current state of Yuseo books at public and private Library indicates that there was a considerable increase in quantity.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divided and arranged the Yuseo in the general volume into Tonggo(通考), Yuseol(類說), and Yuchui(類聚) and included Chongseo in the category of Yuseo. Tonggo aimed to arrange Yuseo in terms of the content of a state’s culture and system. Yuseol aimed to arrange Yuseo with a strong tendency of utilizing authors’ historical research based on Yumok. Yuchui on the other hand aimed to arrange Yuseo by an abstract form of classification and sentences. Yuseo in the general volume includes Chongseo(叢書) for the purpose of arrangement. Chongseo was a cultural phenomenon since the 18th century and needs a review based on its planning and publication.

      • KCI등재

        왕명 전달 문서 諭書의 용도 및 분화

        이강욱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장서각 Vol.0 No.44

        諭書는 세종 25년(1443)부터 內傳消息을 대신하여 지방에 있는 관원에게 왕명을 전달할 때 사용하기 시작한 문서였다. 諭書가 內傳消息을 대신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는 것은 諭書가 왕명 전달 문서로서 성립되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처럼 지 방에 있는 관원에게 왕명을 내리는 것을 下諭라고 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용도로 발 급하는 유서를 下諭諭書라고 분류할 수 있다. 諭書를 사용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 점에서 지방에 있는 관원에게 왕명을 전달하는 문서로 승정원이 발급하는 有旨도 함 께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때의 有旨는 諭書와 함께 내려보내던 승정원의 別紙가 독 립적인 문서로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국왕문서인 諭書를 작성하고 전달하는 절차 및 유서를 받는 관원의 접수 절차 등이 번거로웠기 때문에 이전에 관부문서로 발급하던 內傳消息과 유사한 문서를 有旨라는 이름의 문서로 부활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광해군이 즉위한 이후로 諭書는 傳諭할 때에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傳諭란 국왕 이 議政과 山林 등에게 史官과 承旨 등을 별도로 파견하여 諭書, 諭旨, 批答 등의 국 왕문서를 전달하는 것을 가리켰다. 그러한 용도로 발급하는 諭書를 傳諭諭書라고 분 류할 수 있다. 그런데 『승정원일기』에는 傳諭할 때 파견되는 관원이 가지고 가는 국왕 문서를 諭書라고 하지 않고 敦諭, 別諭, 聖諭, 諭旨 등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문서들 을 통틀어 부를 수 있는 어휘로는 諭旨가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諭旨는 서두와 말 미 없이 국왕이 당사자에게 전달할 내용만 본론으로 작성하였고 御寶도 찍지 않았다. 諭旨의 이러한 특징은 그 용도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국왕이 진솔한 마음을 표현하여 신속히 의정과 산림에게 전달할 문서가 필요하였으므로 諭書와 달리 문서의 형식이 간단한 諭旨를 사용하게 되었던 것이다. 訓諭諭書는 多衆에게 훈계하고 당부하는 내용으로 발급하던 諭書로, 개인에게 발 급하던 다른 諭書와는 차이가 있었다. 多衆에게 발급하는 국왕문서로는 敎書가 있었 으나, 敎書는 대부분 知製敎가 대신 지었고 그 형식과 내용이 엄격하였다. 따라서 국 왕이 직접 짓거나 신하가 대신 짓더라도 형식과 내용이 좀 더 자유로운 문서가 필요 함에 따라 訓諭諭書가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訓諭諭書는 多衆에게 반포한다 는 점에서 개인에게 발급하던 다른 諭書들의 용도와는 맞지 않는 특이한 면이 있었다. 그에 따라 훈유유서를 대체할 문서로 성립된 것이 綸音이었다. 綸音은 영조 때부 터 사용되기 시작한 문서로, 처음에는 綸音에도 諭書之寶를 찍었다. 그러다가 정조가 奎章閣을 설치한 이후로는 綸音에 奎章之寶를 찍도록 하여 諭書와 구별되는 완전히 독립된 문서가 되었다. Yuseo was a document used to deliver royal command to the local officials in place of naejeonsosik starting from the 25th year of King Sejong (1443). The fact that yuseo began to be used instead of naejeonsosik indicates that yuseowas established as a royal command delivery document. The act of giving a royal order to local officials was called hayu , and yuseo that was issued for that purpose could be classified as hayuyuseo . Not long after yuseo was used, another document that delivered royal command to local officials issued by the Office of Royal Secretariat named yuji also began to be used. It seems that yujioriginated from byeolji which was attached to yuseo by the Office of Royal Secretariat, and developed as an independent document. Due to the inconvenience of all the process ranging from the writing and delivery of yuseoto the reception of it, there was a need to revive a similar document to naejeonsosik that was once issued as an official document, and that occurred in the name of yuji . Since King Gwanghaegun’s accession to the throne, yuseo also began to be used when there was an act of jeonyu . Jeonyu referred to an act of delivering royal documents such as yuseo , yuji , bidap to officials of Supreme Council or reclusive scholars by dispatching royal historians and royal secretaries. A particular yuseo issued in this case could be classified as jeonyuyuseo . In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 however, the royal document carried by the dispatched official for jeonyu is described as donyu , byeoryu , seongyu , andyuji instead of yuseo . A collective term for these documents could be yuji . Yujiwas a document which only contained the king’s order with no introductory and concluding parts as well as no royal seal stamped. This form of yuji reflects its purpose. Since the king needed to quickly deliver his earnest intentions to officials of Supreme Council or reclusive scholars, more simplified document than yuseo such as yuji was preferred. Hunyuyuseo was a document issued for disciplining and admonishing multiple people and thus it was different from other yuseo issued to an individual. There existed a royal document for the people called gyoseo , but most gyoseo were written by jijegyo instead of the king and adhered to strictness in its format and contents. Therefore, a more liberal document was needed in terms of format and contents whether it was written by the king himself or by an official, which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hunyuyuseo . Given that hunyuyuseo was issued for multiple people, it did not fit into the usage of other yuseo that aimed for an individual. That is why yuneum was created to replace hunyuyuseo . Yuneum began to be used since the reign of King Yeongjo. Yuseojibo was used in yuneum until it was replaced by gyujangjibo along with the foundation of Gyujanggak Royal Library by King Jeongjo, allowing yuneum to become an entirely independent document in distinction from yuseo.

      • KCI등재

        중국 근・현대 類書의 종합적 연구

        최환(Choi, Huan) 동아인문학회 2019 동아인문학 Vol.49 No.-

        지금까지 中國類書史는 주로 유서의 기원인 ≪皇覽≫(魏代)이라는 책부터 淸代까지의 유서를 대상으로 記述되었다. 그것은 물론 唐・宋代의 유서 발전을 거쳐 明・淸代에 유서 출현이 많았던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그것에 비해 근대 이후는 상대적으로 유서의 생산이 많지 않았던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청말민초를 거쳐 현대에도 유서는 중단되지 않고 계속 출현하였다. 본고는 이렇듯 중국 유서사의 記述上에서 비교적 소홀히 다루었던 근・현대 유서의 내용 및 형식상에서의 특질에 관한 연구이다. 근대라는 과도기적 특정 시기에 출현한 유서의 형식 변화는 당시에 출현한 서구의 서적 형식인 ‘百科全書’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당시 시대적 상황 및 요구로 유서의 내용 또한 새로운 면모를 띠게 된다. 본고는 근대 시기의 유서 특질을 전통 일용유서의 발간과 확대, 어린이 교육용 유서의 발간, 시사 및 정치 관련 유서의 발간, 유서 형식을 援用한 사전 발간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당시의 과도기적 사회구조나 정치・시사 및 서구의 신지식과 신학문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관심과 같은 사회배경 등이 당시 유서 편찬 상에서 유서의 내용 및 類目 결정, 유서 체제의 변화와 발전, 서구식 백과전서의 발간, 새로운 辭書의 출간 등에 많은 영향을 미쳤음을 파악하였다. 근대 시기는 사회구조가 당시 유서 및 사서의 구조를 결정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전통 유서의 분류체계나 분류 의식은 당시 유행했던 백과전서나 일반 사전 편찬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현대에 들어와서도 유서의 편찬은 계속되었는데, 주요 전통 유서 및 관찬유서를 재출간하면서 현대 사회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유서도 적지 않게 간행하였다. 그 중에서 역대 가장 대형 유서인 ≪中華大典≫의 출간은 하나의 큰 성과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일반 사전 편찬상에서 유서 형식의 주요 속성인 분류를 이용하여 간행한 사전도 그렇게 많지는 않지만 간헐적으로 출간되었다. This study shows characteristics of contents and forms of encyclopedia (Leishu) of Late Qing Dynasty and Early Republic of China relatively and roughly dealt with in the description of chinese encyclopedia. A content change of encyclopedia(Leishu) that appeared in the transition period of Late Qing Dynasty and Early Republic of China is closely connected with western form of encyclopedia. Also the contents of the encyclopedia(Leishu) have a new aspect to the situation and needs of the times. With these two perspectives, this study covers publication and expansion of traditional encyclopedias for daily use (encyclopedia that have a characteristic in the transition period), publication of educational encyclopedia for children, publication of encyclopedia for current affairs and politics, and publication of dictionary borrowing a form of encyclopedia. This study shows that social backgrounds of people"s interest in Late Qing Dynasty and Early Republic of China, such as social structures in the transition period, current affairs, politics, and new knowledge, new learning of western society, had a lot of influence over contents of the encyclopedia(Leishu), decision of the titles,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system of the encyclopedia(Leishu), and encyclopedia of western pattern, publication of new dictionary.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a social structure of those days determined a structure of the encyclopedia (Leishu) and the dictionary. Especially classification system and classification consciousness of the encyclopedia(Leishu) continuously influenced publication of th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in fashion in those days. Even coming into today, compilation of the encyclopedias(Leishu) has continued. New encyclopedias being utilized in modern society were considerably published, mainly reprinting traditional and public encyclopedias. Among them, publication of “Zhonghua Dadian”, the biggest encyclopedia of all time, is definitely a great result. And some encyclopedias utilizing a classified catalogue, a main attribute of encyclopedias in publishing a general-purpose dictionary, were published intermittently.

      • KCI등재

        서녕 유씨 유서 연구-열녀 유서에 나타난 자기 진술의 의미를 중심으로

        홍인숙 한국고전연구학회 2024 한국고전연구 Vol.- No.64

        열녀 유서는 죽음을 결심한 여성이 자신의 소회를 남기고 남아 있는 자들에 대한 당부 등을 전하는 글로, 원래 생애를 서술하는 성격의 글은 아니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열녀 유서에 의도하지 않게 그 유서 작성자의 삶의 흔적과 관계성이 드러나게 되는 측면이 있음을 주목했다. 따라서 이 글은 유서가 자신의 존재와 생애에 대해 남긴 흔적으로서의 언어이자 자기 생애기록으로서의 의미가 있다는 관점을 취하며, 열녀 유서에 나타난 ‘자기 진술’의 양상과 특징을 밝혀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단독으로 조명된 적 없는 19세기 열녀인 서녕 유씨(1807〜1831)의 유서에서 이 여성이 자신의 삶을 진술하는 텍스트로서 어떤 내용을 유서에서 강조하고 있는지 집중적으로 조명하고자 했다. 현전하는 다른 열녀 유서들의 자기 진술의 양상을 서녕 유씨의 유서와 비교 검토하고, 이들과 달리 서녕 유씨 유서에서 강조되고 있는 측면이 ‘딸을 위한 부모의 생애 전달’, 딸에 대한 음우 의식’이라는 점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 글은 열녀의 유서가 죽음 앞에서 회한의 감정을 토로하고 남은 이들에게 소회와 당부를 남기는 글만이 아님을 지적하려 했다. 열녀 유서는 유서 작성자의 개별적 인간성과 생애의 단편들을 재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존재 증명의 언어이자 생애 기록으로서의 의미를 갖는 텍스트로 재조명될 필요가 있음을 말하고자 했다. As a writing of leaving one’s own feelings and requests after a woman decides to put herself to death, a virtuous woman’s will does not originally describe her lifetime. However,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the aspect in which such virtuous women’s wills unintentionally reveal the life traces and relationship of the will writer. Thus, this thesis takes a perspective in which a will has meanings as language and self-lifetime record in the traces of her own existence and lifetime. Especially, it aimed to examine that such ‘self-descriptive elements’ were significantly revealed in virtuous women’s wills. For this, this thesis intensivel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a will by Ms. Seonyeong You Family(1807〜1831) who was a virtuous woman of the 19th century that has never been solely examined, as the text describing her own life. For this, this study comparatively reviewed the self-descriptive elements shown in other virtuous women’a wills that were passed down, and then pointed out that the ‘delivery of parents’ lifetime for her daughter’ and ‘emphasis of relationship with husband’s family and consciousness of secret assistance toward her daughter’ were highlighted in Seonyeong You’s will, unlike them. This thesis aimed to point out that virtuous women’s wills are not just writings that express their remorse and leave their feelings and requests when facing death. The virtuous women’s wills would need to re-examined as the meaningful text as lifetime record and language for the important verification of existence, which enables us to recompose individual humanity and lifetime fragments of will writers.

      • KCI등재

        臺灣 公藏 類書 목록과 판본 연구

        최환 동아인문학회 2017 동아인문학 Vol.41 No.-

        This paper aims to reorganize the catalogues of leishu in Taiwan more clearly and provide the researchers with the convenience of searching block printed leishu in the major public libraries which own abundant reliable block printed books and ordinary block printed books. So far there has not been any comprehensive catalogue of block printed leishu in Taiwa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atalogues of leishu was reviewed to make a more comprehensive catalogue of leishu. Furthermor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ishu itself in Taiwan were examined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catalogues of leishu by reviewing the 25 catalogues in Taiwan. A number of leishu, which were not listed in the major existing catalogues of leishu, as well as the varieties of one block printed leishu were found in the catalogues at the major public libraries in Taiwan. This is part of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to supplement the existing catalogues. In addition, several volumes of leishu were found in the library catalogues in Taiwan, which were considered to have been lost. A number of Japanese block printed Japanese leishu and Japanese block printed Chinese leishu are owned by the Taiwanese libraries due to i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Japan. The catalogues of these leishu's were also examined and reorganized along with the catalogues of Korean block printed leishu in Taiwan. 본고는 대만 지역 소장 유서 목록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함으로써 연구자들에게 古籍 善本이나 普通線裝書를 풍부하게 소장하고 있는 대만지역의 유서 판본을 좀 더 수월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연구에 편리함을 제공하려고 하였다. 지금까지 대만 소장 유서 판본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목록은 없었다. 이 목록을 정리하기 전에 먼저 旣存의 유서 목록 정리 상황에 대해서도 파악해 보았다. 아울러 대만의 25종 書目을 조사하여 대만 소장 유서의 목록을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대만 소장 유서의 지역적 특징 및 그 자체의 특질에 대해서도 탐구하였다. 유서 한 部의 판본의 다양성은 물론, 기존의 주요 유서 목록에는 저록되지 않은 많은 유서들을 대만 주요 도서관 서목에서 발견하였는데, 이는 기존 목록서의 補遺 작업의 일환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기존 목록에서 逸失되었다고 한 몇 부의 유서도 대만 소장 유서 중에서 찾아내었다. 아울러 대만이라는 지역적 특성 내지 일본과의 외교적 관계로 인해 대만에서 비교적 많이 소장하고 있는 和刻本 중국유서 및 일본유서 목록도 정리하였으며, 그와 더불어 대만 소장 한국유서 목록도 정리하였다.

      • KCI등재

        물명(物名)류 자료의 종합적 고찰

        정승혜 국어사학회 2014 국어사연구 Vol.0 No.18

        본고에서는 ‘물명(物名)’에 대한 유서(類書)들의 기초적인 서지사항과 시대적 배경, 그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물명류 유서들은 주로 필사본으로 전하며, 18세기 중반부터 20세기초까지 분포한다. 표제어는 한자어로 되어 있으며, 주석은 한글과 한문으로 되어있다. 중국으로부터 시작된 ‘명물고증학(名物考證學)’의 영향을 받아 시작된 유서(類書)의 편찬은 세계적으로 유행한 『백과전서』류의 편찬과 더불어 대규모 유서의 일부를 구성하기도 하였다. 19세기 이후 한글로 주석을 한 유서들이 전성기를 이루면서 실용성을 갖춘 유서들이 근대적 어휘사전의 형태로 변화한다. 국어사에서 물명류 유서는 어휘사적, 문자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문화사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This study examined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epoch background, and each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類書) on ‘name of a things(物名)’. The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with a name of a thing are usually transferred with manuscripts, and distributed from mid 18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title is written in Chinese and the annotation is written in both Chinese and Korean. The establishment of the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started which effected by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natural objects(名物考證學)' that is started from China partially structured the massive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together with the establishment of Encyclopédie which was popular around the globe. Late 19th century, the name of things with Korean annotation become a boom, those with practicality changed into modern dictionary vocabulary types. The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on name of things in The Korean history has an important value in vocabulary and character history-wises, plus, in cultural history-w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