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사언어가 공신력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성우의 유사언어 표현을 중심으로-

        성선녀 ( Soung Neao Soung ) 한국화법학회 2009 화법연구 Vol.0 No.15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매체 미디어 속에서 새롭게 정의되어 가고 있는 성우들의 위상과 역할 변화에 대한 총체적인 논의로 시작해, 유사언어의 개념 정립과 나아갈 방향을 정리하고자 하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의식과 함께 유사언어가 수용자들의 공신력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수치적인 정의와 상관관계를 밝히려고 노력했다. 즉, 방송에서 성우들이 사용하는 언어전달 기법 중 유사언어의 중요한 요소인 발음, 음정, 속도, 휴지, 감정표현을 중심으로 유사언어 요소들이 공신력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도출했다. 연구문제 1 유사언어가 전달자의 공신력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사용된 통계 방법은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상관분석이었다. 연구문제 1의 연구결과 공신력은 전문성, 신뢰성, 역동성의 세 차원으로 요인 구조를 형성했다. 다섯 가지 유사언어(발음, 음정, 속도, 휴지, 감정표현) 모두 전문성과 신뢰도, 역동성 평가에 영향을 미쳤고, 특히 감정표현은 공신력 평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공신력의 세 차원 중에서 유사언어는 전문성이나 역동성에 비해서 신뢰도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섯 가지 유사언어들이 전달자의 전문성과 신뢰도, 역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정표현이 전문성, 신뢰도, 역동성 평가에 가장 큰 영향을 행사하는 유사언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유사언어 중에서 감정표현은 전문성, 신뢰도, 역동성에 모두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속도와 휴지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작았다. 이는 다른 직종의 방송인들과 달리 감정표현이 유연한 성우의 고유 영역이 두드러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정보전달자는 정확한 발음, 속도, 음정, 휴지 등을 추구해야 하지만 이외에도 희, 노, 애, 락의 적절한 감정표현이 수반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오늘날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점점 더 확대되고 새롭게 정의되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유교적 영향이 아직 많이 남아있는 한국의 커뮤니케이션 문화에서 본 연구는 유사언어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Starting with a discussion of status and roles of voice performers, this study continues elaborating on paralanguage. With such conception in mind, this study purports to delineate the relationship among paralanguage, the perception of source credibility. The focus was given on the effects of accuracy of pronunciation, intonation, speech rate, pause, and expression of emotion. As such, the following one research question was formulated: 1. How does the usage of paralanguage affect the perception of source credibility?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repeated-treatment design quasi-experiments were administered. Additionally; interviews with highly experienced voice performers in the field were carried out. Such statistical methods as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employed. As to Research Question 1, factor analysis revealed the three-factor(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dynamism) solution of the source credibility, conforming to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Five components of paralanguage(accuracy of pronunciation, intonation, speech rate, pause, and expression of emotion) all affected the perception of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dynamism. Among the three dimensions of source credibility, trustworthiness was the most affected by paralanguistic variables. Among the 5 components of paralanguage, expression of emotion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source credibility. In sum, expression of emotion was by far the strongest in terms of affecting the perception of source credibility, while the effects of speech rate and pause were minimal. These results emphasize the unique contribution of voice performers who are proficient in the expression of emotion compared to the broadcasting performers in other career tracks. Also, professional broadcasting communicators need to pursue perfection in expressing a variety of emotional states in addition to commanding the most proper levels of the accuracy of pronunciation, speech rate, intonation, and pause.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trend of emphasizing one`s communication competence, this study has its own value. This study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the proper usage of paralanguage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Korean communication culture where the Confucius influences still occupy a larger portion.

      • KCI등재후보

        유사언어가 공신력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성우의 유사언어 표현을 중심으로-

        성선녀 한국화법학회 2009 화법연구 Vol.0 No.15

        Starting with a discussion of status and roles of voice performers, this study continues elaborating on paralanguage. With such conception in mind, this study purports to delineate the relationship among paralanguage, the perception of source credibility. The focus was given on the effects of accuracy of pronunciation, intonation, speech rate, pause, and expression of emotion. As such, the following one research question was formulated: 1. How does the usage of paralanguage affect the perception of source credibility?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repeated-treatment design quasi-experiments were administered. Additionally, interviews with highly experienced voice performers in the field were carried out. Such statistical methos as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employed. As to Research Question 1, factor analysis revealed the three-factor(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dynamism) solution of the source credibility, conforming to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Five components of paralanguage(accuracy of pronunciation, intonation, speech rate, pause, and expression of emotion) all affected the perception of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dynamism. Among the three dimensions of source credibility, trustworthiness was the most affected by paralanguistic variables. Among the 5 components of paralanguage, expression of emotion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source credibility. In sum, expression of emotion was by far the strongest in terms of affecting the perception of source credibility, while the effects of speech rate and pause were minimal. These results emphasize the unique contribution of voice performers who are proficient in the expression of emotion compared to the broadcasting performers in other career tracks. Also, professional broadcasting communicators need to pursue perfection in expressing a variety of emotional states in addition to commanding the most proper levels of the accuracy of pronunciation, speech rate, intonation, and pause.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trend of emphasizing one’s communication competence, this study has its own value. This study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the proper usage of paralanguage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Korean communication culture where the Confucius influences still occupy a larger portion.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매체 미디어 속에서 새롭게 정의되어 가고 있는 성우들의 위상과 역할 변화에 대한 총체적인 논의로 시작해, 유사언어의 개념 정립과 나아갈 방향을 정리하고자 하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의식과 함께 유사언어가 수용자들의 공신력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수치적인 정의와 상관관계를 밝히려고 노력했다. 즉, 방송에서 성우들이 사용하는 언어전달 기법 중 유사언어의 중요한 요소인 발음, 음정, 속도, 휴지, 감정표현을 중심으로 유사언어 요소들이 공신력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도출했다. 연구문제 1 유사언어가 전달자의 공신력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사용된 통계 방법은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상관분석이었다. 연구문제 1의 연구결과 공신력은 전문성, 신뢰성, 역동성의 세 차원으로 요인 구조를 형성했다. 다섯 가지 유사언어(발음, 음정, 속도, 휴지, 감정표현) 모두 전문성과 신뢰도, 역동성 평가에 영향을 미쳤고, 특히 감정표현은 공신력 평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공신력의 세 차원 중에서 유사언어는 전문성이나 역동성에 비해서 신뢰도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섯 가지 유사언어들이 전달자의 전문성과 신뢰도, 역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정표현이 전문성, 신뢰도, 역동성 평가에 가장 큰 영향을 행사하는 유사언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유사언어 중에서 감정표현은 전문성, 신뢰도, 역동성에 모두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속도와 휴지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작았다. 이는 다른 직종의 방송인들과 달리 감정표현이 유연한 성우의 고유 영역이 두드러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정보전달자는 정확한 발음, 속도, 음정, 휴지 등을 추구해야 하지만 이외에도 희, 노, 애, 락의 적절한 감정표현이 수반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오늘날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점점 더 확대되고 새롭게 정의되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유교적 영향이 아직 많이 남아있는 한국의 커뮤니케이션 문화에서 본 연구는 유사언어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후보

        플레이밍의 관점에서 본 온라인 유사언어: 유사언어 유형과 언어의 공공성의 관계

        박현구 한국소통학회 2008 한국소통학보 Vol.10 No.-

        최근 악의적 댓글 등 인터넷 게시판의 사회적 문제점이 대두되는 가운데 온라인에서 언어 사용의 규범성, 윤리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져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유사언어를 기존의 언어 규범의 관점에서 이른바 플레이밍(flaming)으로 간주했던 시각을 극복할 것을 이론적으로 논하고, 유사언어의 사용여부는 선행하는 메시지의 규범적 측면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문제의식을 증명하기 위해 실증적 자료를 수집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게시물을 악성 댓글이나 플레이밍으로 규정할 수 있는 근거로서 언어의 공공성 개념을 적용해 메시지를 이루는 어휘의 규범성을 판단했고, 후행하는 유사언어의 유무 및 유형을 분석했다.분석결과, 온라인 메시지에 유사언어가 사용되었는지의 여부는 순정성, 공식성, 공손성, 공정성, 소통성 등 다섯 가지의 공공성 범주에서의 위반 사례와 관련이 있었다. 이 중 순정성, 공식성, 공손성, 소통성의 항목에서 위반점수가 높은 메시지일수록 유사언어가 사용된 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의 새로운 표현 관행을 바라보는 시각이 긍정적이지 못한 세간의 이유를 부분적으로 설명해 주었다. 둘째로, 음성화기호, 구두점, 이모티콘등 유사언어의 종류에 따라 메시지의 공공성 위반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공식성, 공손성, 중용성의 항목에서 유사언어 유형 사이 위반 사례의 평균 차이가 있었다. 이는 유사언어가 얼마나 관행적으로 사용되는지의 여부 및 언어와의 관련 여부 등 음성화기호, 구두점, 이모티콘의 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결과라고 하겠다. Paralinguistic expressions of on-line messages are visual surrogates of facial, vocal and behavioral cues in real life communications. This paper tried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paralinguistic ex-pressions of Internet, such as emoticons, punctuations, and phonetic vo-calizations and six categories of publicness of on-line verbal messages. According to the results, authenticity, formality, politeness, im-partiality, communicabi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with presence of paralinguistic expressions. Those symbols were tended to be used when messages violated authenticity, formality, politeness, communicability. And the numbers of types of on-line paralinguistic ex-pressions(phonetic vocalizations, punctuations, emoticons) used were statistically related with formality, politeness, moderation of verbal messages. This fact might imply that traits such as the conventionality of use and the relationships with verbal languages of emoticons, punctua-tions, phonitic vocalizations were different.

      • KCI등재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와 효과 연구 : 홈쇼핑 진행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분석

        정은이,정의철 한국소통학회 2015 한국소통학보 Vol.26 No.-

        이 연구는 TV 홈쇼핑 진행자인 쇼호스트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였다.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유사언어, 신체언어, 신체적 외양으로 분류했고, 유사언어는 목소리의 음높 이, 전달 속도, 억양 변화, 발음의 정확성, 휴지(pause), 음색, 목소리의 크기로, 신체언어는 얼굴 표정, 고갯짓, 손짓, 몸짓을 다 포함한 제스처, 자세, 응시 행위로, 신체적 외양은 인상, 체격, 헤어스타일, 복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쇼호스트의 비언어적 요소 의 특징을 조사하기 위해 홈쇼핑 방송 전문가 12명과 아나운서 출신 전문 방송인 12명 등 총 24명의 인터뷰 조사하였다. 또한 CJ오쇼핑의 2012년 9월 10일부터 12일까지의 방송분을 1 차, 2014년 3월 2일부터 4일까지의 방송분을 2차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쇼호스트의 유사언어는 목소리의 다양한 활용을 보이며, 이는 언어적 메시지를 생동감 있게 전달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둘째, 쇼호스트의 신체언어인 표정, 제스처, 자세, 응시 행위 모두 자연스럽고 다양한데, 그 중 제스처는 상품 실연, 주문 유도, 감정 표현, 평가, 지시, 청취 등의 역할을 하 고 있었다. 셋째, 쇼호스트의 신체적 외양은 TV 홈쇼핑 초창기에 비해 더욱 화려하고 세련되 어졌는데, 신체적 외양의 가장 큰 특징은 복장을 상품 실연의 방법으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넷째, 쇼호스트는 유사언어, 신체 행위, 신체적 외양 등의 비언어적 요소를 고르게 강조, 설 명, 보완, 설득 등의 의도적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만 보더라도 쇼호스트는 적극적으 로 비언어를 설득 수단으로 활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쇼호스트 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시청자와 소통하도록 하는 데 유 익한 근거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V home shopping show hosts’ non-verbal communication. Non-verbal communication was categorized into paralanguage, body language, and physical appearance. Paralanguage included pitch of the voice, the transmission rate, intonation variation, accuracy of pronunciation, pause, tone, and the volume of the voice; body language included facial expression, gestures involving the head, hands, and the body, postures, and gazes; and physical appearance included impressions, constitution, hairstyles, and clothing. To scr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n-verbal factors for show hosts, a total of 24 persons-12 professional show hosts and 12 professional broadcasters-were interviewed. CJ Home Shopping shows broadcasted from September 10 to 12, 2012 were first analyzed; then, those broadcasted from March 2 to 4, 2014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how hosts' paralanguage is characterized by diverse uses of the voice, which may contribute to vivid description of verbal messages. Second, show hosts use all the factors of body language― facial expression, gestures, postures, and gazes―in natural and diverse ways. Of these, gestures can be divided into goods demonstration, order induction, emotional expression, assessment, direction, listening, and so on. Third, show hosts’ physical appearance has become more splendid and sophisticated than in the initial stage of TV home shopping. Show hosts’ physical appearance is most characterized by using their clothing as a way of good demonstration. Fourth, show hosts use such non-verbal factors as paralanguage, body language, and physical appearance evenly for those purposes of emphasis, explanation, supplementation, and persuasion. These characteristics demonstrate that show hosts positively use the non-verbal factors as a means of persua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reference data that can help systematize show hosts' non-verbal communication.

      • KCI등재

        유사언어 활용 훈련이 오디오북 텍스트 형상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교수자의 우호적 행동을 매개변수로 -

        조예신(Ye-Shin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발음, 강세, 목소리의 톤, 속도, 휴지(Pause), 감정표현 등 유사언어 활용 훈련이 오디오북 텍스트 형상화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교수자의 우호적 행동의 매개역할 관계를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결과는 오디오북 텍스트의 동적(動的)형상화를 위한 유사언어 활용 훈련과 매개변수인 교수자의 우호적 행동에 대한 필요성과 영향력을 인식하는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사언어 활용 훈련은 오디오북 텍스트 형상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텍스트 본래의 의미를 전달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따라 유사언어 활용 훈련의 의의와 내용을 살펴보고 유사언어 활용 훈련을 지속한다면 오디오북 텍스트 형상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교수자의 우호적 행동은 유사언어의 활용 훈련과 오디오북 텍스트 형상화 간에 부분 매개역할을 하였다. 교수자의 우호적 행동은 훈련생에게 호의와 신뢰를 갖게 하여 유사언어 활용 훈련에 도움을 주었으며 오디오북 텍스트 형상화에 대한 완성도를 높일 것이다. 따라서 유사언어 활용 훈련은 교수자의 우호적 행동과 함께 이루어질 때 오디오북 텍스트 형상화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the Professor’s friendly behavior as a parameters in the course of Paralanguage Utilization Training using pronunciation, stress, voice tone, speed, pause and expression of feelings affecting of Audiobook text sha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 reference to training on the use of Paralanguage for dynamic shaping of Audiobook text and recognizing the need and influence of professors’ friendly behavior as a paramet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raining in the use of Paralanguage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haping of Audiobook text and served as a key factor in conveying the original meaning of text. Therefore, if we look at the significance and content of training using Paralanguage and continue training using Paralanguage, it will actually help to shape Audiobook text. Second, the professor’s friendly behavior partially acted as a parameters role between training in the use of Paralanguage and shaping Audiobook text. The professor’s friendly behavior has helped form Audiobook text by providing a sense of trust and will increase the level of completion for training in the use of Paralanguage. Thus, training in the use of Paralanguage Utilization Training could result in more effective Audiobook text shaping when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the professors’ friendly actions. Therefore, it was shown that the ability to use Paralanguage and the professor’s caring and friendly behavior to help them perform better were more effective when they simultaneously affected Audiobook text shaping.

      • KCI등재

        The Effect of Linguistic Knowledge and Korean Phonotactic Probability on Nonword Repetition and Fast Mapping Ability

        Kyeongran Bae(배경란),Dongsun Yim(임동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언어 기저의 처리 과정에서 일반아동 및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단어유사성에 따른 수행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두 집단에서 음운단기기억과 어휘학습 능력이 연령, 어휘력과 같은 다양한 변인이나 비단어의 음소배열확률과 상관을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및 경기에 거주하는 만 4-6세의 일반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두음소배열확률을 조정함으로써 단어유사성에 따른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빠른의미연결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은 분산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모든 실험 과제에서 집단의 주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빠른의미연결의 이해에서 단어유사성의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모든 과제에서 이차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아동에 한해 비단어 따라말하기의 수행과 수용 및 표현어휘력, 연령 간의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비단어 따라말하기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수행이, 빠른의미연결의 이해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수행이 두음소배열확률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음운단기기억과 어휘학습 능력과 같은 언어 기저의 처리 과정이 한국어 음소배열확률의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또한, 높은 단어유사성에서 이점은 일반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이 모두 언어적 지식의 영향을 받았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어 비단어를 사용한 평가와 중재에 음소배열확률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discover whether specific variables correlated with performance of non-word repetition (NWR) and fast mapping (FM) in each group, and whether the mean score of correct response per non-word correlated with each biphone phonotactic probability (PP) in the NWR and FM comprehension task of each group. Methods: Fiftee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and 20 age-matched 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NL) from 4- to 6-year-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performed NWR and FM tasks according to wordlikeness by adjusting biphone PP. Two-way mixed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main effect of the group was significant in all tasks. In NWR and FM comprehension, the main effect of wordlikeness was significant. There was no interaction in any task. Also, the SLI group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WR, ag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he NL and SLI group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an score per non-word item and each non-word biphone PP in the NWR, and only the SLI group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an score per non-word item and non-word biphone PP in FM comprehensio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language is also affected by PP. In addition, an advantage of high wordlikeness is that the NWR and FM, which are known to tap underlying language processing, are affected by Korean PP, and that both NL and SLI are influenced by linguistic knowledge.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PP i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with Korean non-words

      • KCI등재

        낱말간 음운적 유사성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빠른 연결(fast-mapping) 수행 전략에 미치는 영향

        김성수(Sung Soo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언어연령 4;0 - 5;5세의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언어연령 및 생활연령으로 일치시킨 정상아동을 대상으로, 첫째,세 집단이 빠른 연결 수행시 동일한 전략을 적용할 것인가를,둘째,목표낱말이 가지는 기존의 낱말과의 음운적 유사성이 아동들의 빠른 연결 수행 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셋째,기존 낱말과 음운적으로 유사한 낱말들을 빠른 연결하는 능력은 기존의 수용어휘지식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아동들에게 실제낱말과의 음운적 유사성 정도를 달리하는 세가지 유형의 검사낱말들을 제시하고 낯선 사물과 친숙한 실제 사물 가운데서 참조물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과제 수행 결과에 대해 분산분석을 하고,수용어휘점수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세 집단은 빠른 연결 수행시에 새로운 이름은 새로운 사물에 연합하는 상호배제 전략을 적절히 활용하였으나 둘째, 목표낱말이 실제낱말과 음운적 유사성이 높아질수록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정상집단보다 상호배제 전략 적용에 결함을 보였으며,셋째,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언어연령일치 집단에서 기존의 낱말과 음운적으로 유사한 낱말의 빠른 연결 수행점수와 수용어휘점수 사이에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어휘 결함의 잠재적 변인에 대해 논의하였다. .

      • KCI등재

        ‘거절하기’에 나타난 중국인 학습자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전략 연구

        황정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3 한국언어문화학 Vol.1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상황과 맥락 안에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과정을 관찰하여 대화 참여자들이 어떤 비언어적 전략을 사용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한국 대학원에서 수학하고 있는 한국인 모어 화자 10명과 학부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거절하기에서 나타나는 비언어적 전략을 신체언어전략, 유사언어전략, 주변언어전략의 세 측면으로 나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담화분석에서 간과해 온 비언어적 의사소통 분야를 연구함으로써 구체적인 비언어적 전략의 사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거절하기에서 신체언어전략뿐 아니라 유사언어전략 및 주변언어전략을 균형있게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유학생이 차이점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화용적 능력과 함께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 및 학습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use of nonverbal strategy by conversation participants in the context and situation by observing the process of nonverbal communication. Participants were 10 native Korean speakers in master course and 10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The author analyzed their nonverbal strategy in refusal with three phase : Body language, Paralanguage, Contextual language. Through this study we could figure out the use of concrete nonverbal strategy which have been overlooked in discuss analysis by researching nonverbal communication field. Also we could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Native Korean Speakers and Chinese Students) that they have to use body language strategy, Paralanguage strategy, Contextual language strategy harmoniously in refusal. Therefore, we have to pay attention to not only pragmatics competence but also nonverbal conversation education and study for successful conversations.

      • KCI등재후보

        비감각적 유사성과 가족유사: 벤야민과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

        조효원 ( Hyo Won Ch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0 No.43

        발터 벤야민과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동시대인이다. 동일한 시대에 동일한 정치적 문화적 배경 하에서 살았다는 점에서 그러할 뿐 아니라, 똑같은 정신적분위기 안에서 호흡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그러나 이들의 형이상학적 동시대성을 가장 또렷이 확인할 수 있는 지점은 무엇보다 언어이다. 이 글의 목표는 벤야민의 비감각적 유사성 이론과 비트겐슈타인의 가족유사성 이론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연관성에 대해 해명하는 것이다. 이 글은 벤야민이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를 질투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독일의 벤야민 연구가 데틀레프 쇠트커의 가설에 의지하여 다음과 같은 확장적 가설을 내세우려 한다. ``후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을 대표하는 『철학적 탐구』는 마치 벤야민의 비판적 물음("무엇이 해결되었을까?")에 대해 진지하고 성실하게 답변하기 위해 쓰여진 듯 보인다.`` 베를린 출신의 비평가가 언어를 (아주 특수한) 공간으로 표상한다면, 캠브리지의 철학자 는 언어를 도시에 비유한다. 다시 말해, 두 사람의 언어이론은 마치 도시처럼 다양한 양태와 밀도로 이루어진 특수한 공간을 상정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것을 특유한 낱말-장소론이라 명명할 수 있다. 이들은 생활세계 속의 구름인 낱말이 모종의 공간, 특유한 장소를 창출해낸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은 죽음의 가능성에 직결되어 있는 사물 세계, 피조물의 세계를 직시하는 관점과 직결된다. 요한 페터 헤벨이라는 경건주의적 작가를 좋아했던 이들은 피조물의 관점을 세계의 내면으로 들어가는 입구라고 보았다. 그런데 모든 피조물은 예외 없이 일그러진 피조물이다. 즉 일그러짐이라는 특징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피조물을 묶어주는 비감각적/가족적 유사성인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사유의 중요한 과제는 사물의 말 없는 언어를 수용하여 이름으로 번역해 주는 것이 된다. 이것은 나 자신을 포함한 세상 만물을 오롯이 피조물로 바라본다는 뜻이다. 모든 인간과 사물은 일그러진 피조물이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이 세상의 모든 소리는 피조물의 (목)소리라는 점에서 비감각적/가족적으로 닮았다. 그리고 깨어진 파편들이 서로 닮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전체의 차원에서 바라볼 때이다. 다시 말해 그것들은 모두 파편이라는 점에서만 닮았을 뿐이다. 이처럼 특수하고 유일무이한 닮음을 포착했다는 사실은 바로 벤야민과 비트겐슈타인 언어철학의 핵심을 이루며 또한 그들의 사유가 초현실적으로 조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Walter Benjamin and Ludwig Wittgenstein are contemporaries. Not only because they lived in the same period and had the almost same cultural background, but also they breathed in the exactly identical intellectual atmosphere, But what constructs their metaphysical contemporariness is first and foremost the issue of language (Sprache). This article aims to account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eories of unsensuous similarity (Benjamin) and of family resemblance (Wittgenstein). Espousing Detlev Schottker`s hypothesis that Benjamin highly envy Wittgenstein`s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this essay suggests that we could read the masterpiece of Wittgenstein in the final years, Philosophical Investigation as if it were written earnestly to reciprocate Benjamin`s sacarstic question ("Was ist ``gelost``"?) which he inserted in his One-Way Street. This virtuoso of literature (Schrifttum) from Berlin regards the language as an idiosyncratic space, while the fastidious philosopher in Cambridge metaphorizes it as a kind of city (scape) that ist comprised of old and new streets, buildings, and many an alley. That is to say, the one who follows their theory of language could or should imagine a labyrinth like metropolis streets which have diverse intensity and modality. And we might name it word-place-model (Wortplatzlehre). Benjamin and Wittgenstein precisely figure force of words as peculiar clouds in lifeworld(Lebenswelt) out by presenting them as an agency producing the singular place or atmosphere. With reference to this conception, the creaturely perspective, with which many a jewish intellectual brings his unique thoughts out in fin de siecle and the Weimar period, emerges as very noteworthy. For it points the perishability of worldly things out, and, moreover, makes us see the arcane interior of them. All in favour of Johann Peter Hebel, the pietistical german author in 18th century, both of them credited the creaturely perspective with accessibility to the innermost secret of worldliness. And they found this secret at the disfigurement of all creatures. This specific mark constitutes the unsensuous similarity/family resemblance of all creatures including human beings. The mission of intellectuals of utmost importance, then, is to translate the silent language of things into names. It means that they consider all things in this world, even themselves too, fugacious creatures. All human beings and things resemble in terms of their distortedness. All sounds in this world echo each other, because they are voices of creature. And all things in this world are similar in aspect of their brokenness. But this brokenness can be perceived only in the dimension of the wholeness (das Ganze). That Benjamin and Wittgenstein together, but in each way, did grasp this idiosyncratic affinity(Verwandschaft) between human beings and things is the quintessence of their philosophy of language, and at this point we watch a kind of surreal correspondence between two different thinkers.

      • KCI등재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학생의 수업 참여도와 학업 성취도 도움에 미치는 영향

        조규락 ( Kyoo Lak Ch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수업상황에서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이 고등학생들의 수업 참여도 및 학업 성취도 도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독립변인으로 사용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은 신체언어(눈맞춤, 얼굴표정, 신체적 접촉, 제스처), 유사언어(어조, 말의 속도, 표준어/사투리), 공간적 행위(거리), 가공적 행위(의상, 화장)의 10개 요소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거의 모든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 안에서 교사의 긍정적인 비언어적 행동은 교사의 부정적인 비언어적 행동보다 더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와 학업성취도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예컨대, 눈 맞춤 유형에서 "따뜻한 눈 맞춤"이 "찡그린 눈 맞춤"보다, 얼굴 표정 유형에서 "웃는 얼굴"이 "화난 얼굴" 보다 유의하게 더 도움을 주고 있음). 둘째, 긍정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들 사이에서는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예컨대, 얼굴 표정 유형에서 "밝은 표정"과 "웃는 얼굴"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부정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예컨대, 얼굴 표정 유형에서 "화난 얼굴"이 "걱정스런 표정"보다 더 부정적인 결과를 보임). 셋째, 연구참여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결과가 상이할 수도 있는 연구결과도 있었다(예컨대, 지방에서는 사투리가, 수도권 지역은 표준어가 종속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연구대상의 연령대에 따라 의상유형도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의도적으로 긍정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사용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부득이하게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해야 할 경우에는 학생들이 납득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교수매체라는 시각에서 조망할 필요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nonverbal communication of teachers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instru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elp. Nonverbal communic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study included kinesics(eye contact, countenance, physical contact, gesture), paralanguage(tone, speed of talking, dialects), proxemics(distance/closeness), artifacts(clothes, make-up). Major findings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most all the positiv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teachers significantly affected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instru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elp more than the negative ones of teachers did. The positiv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nclude warm eye contact, bright and smiling countenance, patting one`s head, shoulder, and back, proper gestures, teaching at close, louder voice, proper speed of talking, and clean and neat clothes, while the negative ones included frowning, unsatisfied eye contact, angry and worried countenance, teaching without looking at students, teaching without moving, punching on the head, slow or fast speed of talking, and heavy perfume smell.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dependent variables among the positiv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teachers,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dependent variables among negative nonverbal ones of teachers. Finally, if subjects would be different from the study, the results could be different from in dialects teachers use and clothes teachers wear.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that teachers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that affect students` learning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need to be dealt with as instructional media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