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태보(朴泰輔) 문학(文學)에 나타난 현실(現實) 대응(對應) 양상(樣相)

        주영아 ( Young Ah Joo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2 東方學 Vol.23 No.-

        본고는 17세기 후반 신진지식인으로 유학의 실천적 삶에 궁진했던 박태보의 문학과 그의 문학을 통해 드러나는 현실 대응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그의 일생 중 자신감과 패기가 가장 충만했던 시기인 1675년 충청도 결성과 부여의 명승지를 유람한 시기의 작품과 정치적으로 첫 번째 좌절을 맞보았던 시기인 1677년 평안도 선천으로 유배갔던 시기의 작품을 중심으로 문학작품으로 표출되는 현실과 유람과 객지에서의 所懷, 역사해석의 이해를 탐색하였다. 박태보는 17세기 붕당정치가 극에 달했던 시기의 유학자로 인현왕후 폐출 사건을 반대하기 위한 상소를 했다가 극한의 고문을 받고 유배지로 향하던 도중 노량진에서 졸한 사람이다. 비록 36년의 짧은 생애를 살았지만 그의 정치적 소신은 매우 확고하였고, 정치적 행동 또한 주저함이 없었기에 당대 붕당의 축에 있던 남인과 서인, 노론과 소론의 갈등에서 주요 타깃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의 문학은 정치적 소신과 분리되어 나타난다. 그는 충청도 결성과 부여의 명승지를 유람했던 시기의 작품에서는 자연에 대한 흥취에 충만한 자신감을 숨기지 않았고, 유배시에서는 유배객으로서 자신의 처지를 완전히 받아들이지 못하고 끝없이 신음을 토해냈다. 그의 이러한 성향은 문학에 자신의 즐거움과 고통을 그대로 수용하는 경향으로 드러났고, 정치와 군사, 사회와 역사에 대한 견해의 피력에서는 현실을 직시하는 통찰력으로 나타났다. 본고에서 탐색한 유람시와 유배시에서는 박태보가 인간으로서 품을 수 있는 가장 원초적 감정의 표현이 분출되었으며, 그와 더불어 충청도와 평안도 지역에서 바라본 역사에 대해서는 백제의 멸망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노출시켰고, 군사적 요충지로서 築城과 백성의 관계를 좀더 현실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This study examined about the literature in Park Tae-bo, who had been exhausted by practical life in Confucianism as a new intellect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and about the aspect of coping with reality, which is revealed through his literature. Especially, it explored the understanding about the expressed reality & impression, and historical analysis with literary works centering on the works in the period that he had gone sightseeing in Gyeolseong and Buyeo in Chungcheong-do Province in 1675 when is the period that he had been full of self-confidence and ambition during his lifetime, and on the works in the period that he had been exiled to Seoncheon in Pyeongan-do Province in 1677 when is the period that he had experienced the first political setback. As Park Tae-bo is a Confucian scholar in the period that the Coterie Politics had gone to extremes in the 17th century, he is a person who had passed away in Noryangjin on the way to a place of exile after being extremely tortured in the wake of lodging an appeal for being opposed to a case of throwing away Inhyeonwanghu(仁顯王后). Even if having lived for short lifetime in 36 years, he was very firm in his political belief and had no hesitation even in political action, thereby having ever become the major target from a conflict between Namin(南人) and Seoin(西人) and between Noron(老論) and Soron(少論), which had been in the axis of Coterie at that time. Park Tae-bo`s literature is indicated through being separated from political belief. The political statement was thoroughly expressed with appeal or thesis such as Chaja(箚刺) and Gye(啓). In the literary expression, the emotion on the shape of object was revealed without adjustment. This characteristic wasn`t exceptional even in his excursion poem or banishment poem. In the works of the period that he had gone sightseeing in scenic spots of Gyeolseong and Buyeo in Chungcheong-do Province, full self-confidence in excitement about nature wasn`t hidden. In the banishment poem, he continued to moan with failing to completely accept his situation as an exile. His propensity in this way was revealed with tendency of literally accepting his joy and agony in literature. Expression of opinion about politics, military, society, and history was indicated with insight of facing up to reality. In the excursion poem and banishment poem that were explored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the most basic emotion that Park Tae-bo can embrace as a human being was erupted. In addition to it, as for history at which he looked in Chungcheong-do Province and Pyeongan-do Province, a critical sight on a downfall of Baekje was revealed. The opinion was clarified as saying of needing to approach the relationship between castle and people more realistically as a strategic location of the military.

      • KCI등재

        조선 지방관의 고단한 서북(西北) 체험 : 「북정고」를 중심으로

        박동욱 ( Dong Wuk Ba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3 嶺南學 Vol.0 No.23

        심언광(沈彦光, 1487~1540)은 조선 중종 때의 문신으로 본관은 삼척(三陟), 자는 사형(士炯), 호는 어촌(漁村)이다. 어린 나이에 과거에 급제한 재사(才士)였다. 최고의 감식안을 지녔던 허균(許筠)은 그를 당시 문단에서 정사룡(鄭士龍)에 버금간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것만으로도 그의 시가 범상한 수준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심언광의 생애에서 김안로(金安老)는 큰 부분을 차지하는 동시에 악연으로 얽힌 인물이다. 김안로는 기묘사화를 통해 정계에 급부상하였다가 곧 그 세력을 경계하는 인물들로 말미암아 조정을 떠났는데, 그를 다시 조정에 불러들인 장본인이 바로 심언광이다. 처음에는 그들의 사이가 돈독하였으나 끝내 사이가 틀어져 심언광이 1537년 함경도 관찰사로 쫓겨나기도 했다. 전통적으로 서북 지역은 그 지역민이 홀대 당한 것은 물론이고, 그곳에 부임되는 지방관 또한 좌천의 성격이 강했다. 「북정고」는 심언광이 함경도 관찰사로 있을 때의 체험을 담고 있다. 뒤에 아주 잠깐 중앙 관직으로 복귀하기는 했지만 그에게 있어서 함경도 관찰사는 실질적으로 마지막 관직이라 할 수 있다. 함경도 관찰사로 출사하기는 했지만 사실 좌천의 성격이 강했다. 자신의 잘못된 판단에 대한 자탄과 회한이 주를 이룬다. 이릉, 가의, 굴원, 소무 같은 이들에게 빗대어 자신의 심정을 표출했다. 여기에 보이는 시들은 거의 유배객의 심사와 다를 바 없다. 아무래도 낯선 풍속과 풍토는 중앙 정계에서 오래 활동한 노신(老臣)에게는 심신(心身) 모두에 있어서 견디기 힘든 문제였다. 여기에서 벌어지는 어떤 사안에 대해 자신이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해결하려 하기보다는 방관자의 시각을 벗어나지 못한다. 이러한 의식은 대부분의 소외된 지역에 파견된 관리에게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함경도는 국경과 인접해 있어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지이다. 지리적인 위치 탓으로 국경 문제로 인한 분쟁이 심심치 않게 벌어졌다. 공무에 대해서 커다란 의지를 표명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변방 영토의 수복이나 방어에 대한 의지만은 잊지 않았다. 그가 함경도에 부임하게 된 상황이나 시기를 볼 때 개인적으로 매우 모욕적으로 받아들일 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상황을 타개해 줄 사람은 역설적으로 이러한 상황에 놓이게 한 주체이기도한 임금밖에 없었다. 매우 간절하게 연군(戀君)을 외칠 수밖에 없는 아이러니한 상황이었다. 그의 정서는 유배객의 모습과 다를 바 없었다. 심언광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시작에 불과하다. 그의 생애 전체를 포섭하여 전망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와 함께 세밀하게 특정 시기의 시들을 분석하는 작업이 함께 이루어져 할 것이다. 이번 연구가 문학사에서 정당한 평가를 받고 있지 못하고 있었던 심언광 문학의 위상이 제자리를 찾는데 작은 단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Sim Eongwang(沈彦光, 1487~1540) was the civil officer during the King Jungjong`s reign during Joseon period. His family clan was Samcheok(三陟), his courtesy name was Sahyeong(士炯), and his pen name was Eochon(漁村). He was the man of talent passing the government examination when he was young. Heo Gyun who had the best discerning eye evaluated that he was second only to Jeong Saryong in the literary world at that time. While he started the government service as the provincial governor of Hamgyeong-do, it was a kind of demotion. His literature mainly comprised the self-complaint and regret caused by his own wrong judgment. It would be very difficult for an old retainer who worked in the central government for a long time to endure strange customs and environment in his body or mind. He couldn`t escape from the point of a bystander instead of the attempt to progressively interfere and solve any events occurring in such environment. Hamgyeong-do is the very critical fort in the military aspects because it is close to the border. Although he didn`t express any significant wills on the public affairs, he didn`t forget the wills to restore or protect the territory around the border. He could consider the appointment to Hamgyeong-do provincial governor was very insulting. Paradoxically, it was only the king, the principal agent putting him in that situation, who could resolve the situation. It was ironic situation which he couldn`t help pledging the loyalty to the king very eagerly.

      • KCI등재

        진도의 벽파정과 그 제영

        김신중 ( Shin Chung Kim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3

        진도의 벽파정은 많은 제영이 남아있는 매우 유서 깊은 누정이다. 그런 벽파정의 문화사적 의미와 벽파정제영의 존재 양상을 살핀 것이 이 글이다. 논의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벽파정의 모습을 개관하며 연구의 목적을 밝혔다. 이어 아직도 분명하지 않은 벽파정의 창건과 퇴락 시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폈다. 즉 고려 중기 또는 그 이전에 건립되어, 1924년 이전의 일제강점기에 없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또 무엇보다도 해상 교통의 요지에 세워진 공루로서, 벽파정의 건립 위치가 갖는 특수성에 주목하였다. 이런 특수성 때문에 벽파정에는 왕명을 띤 관료나 불우한 유배객들이 수시로 드나들었다. 그로 인해 벽파정은 이별의 누정이라는 매우 독특한 상징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 다음 문헌전승 내용을 통해 벽파정제영의 존재 양상을 살폈다. 그 결과 공공문헌과 개인문집을 통해 30여 명의 작자가 작품을 남기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신분별로는 벽파정의 승경을 찬탄한 관료들의 제영과, 불우한 처지를 한탄한 유배객의 제영이 주를 이루었다. 대표적인 작자로는 고조기, 채보문, 조희직, 홍적, 김정, 노수신이 지목되며, 특히 차운이 많은 홍적의 작품이 부각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별의 누정으로서 벽파정의 성격이 그 제영에 어떻게 표출되어 있는지 살피는 것이 남은 과제임을 지적하였다. Byeokpajeong in Jindo is Nujeong where lots of poetical compositions remain.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cultural historical meaning of Byeokpajeong and existence aspect of Byeokpajeong`s poetical composition. Major content discussed here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illuminate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by surveying the appearance of Byeokpajeong which does not exist at present. And concretely examined the period of foundation and ruin of Byeokpajeong, which is still not clear. That is, the researcher confirmed that it was founded in the middle of the Goryeo Dynasty or before then, and disappeared Japanese colonial era, which was before 1924. And above all,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the specialty that the foundation location of Byeokpajeong has, as the public Nujeong established in major marine transportation point. Due to this specialty, bureaucrats who followed the royal command or unlucky exiled persons often visited Byeokpajeong. Because of this, Byeokpajeong came to have a unique and symbolic meaning, i.e. Nujeong of farewell. Nex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appearance of the existence of Byeokpajeong`s poetic composition through the content of literature transmission. As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bout 30 writers left poetical works through public literature and private collection of works. According to status, they were mostly of bureaucrats` poetical composition, who admired Byeokpajeong`s fine view and exiled persons` poetical composition, who lamented over their unfortunate position. Representative writers were Go jo-gi, Chae bo-moon, Jo hee-jik, Hong jeok, Kim jeong, No soo-sin, particularly, Hong jeok`s works which had lots of Chawoon(using other poet`s phrases) stood out. Lastly, pointed out that a task is remaining to investigate how the characteristic of Byeokpajeong was expressed in the poetical composition as the Nujeong of fare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