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유망기술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인식 비교

        박순창 ( Soon Chang Park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3

        사람들은 누구나 미래의 성공을 꿈꾸고, 미래 사회의 모습을 궁금해 하지만, 불확실한 미래 사회를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미래 사회를 예측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현재를 살고 있는 사람들 머릿속에 있는 미래 이미지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역사 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 중의 하나는 기술이므로, 미래유망기술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수렴하면 미래 사회의 모습을 예측할 수 있다. 어떤 기술이 유망할지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의견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의 기대도 매우 중요 하다. 일반 대중들에게 수용되어 확산되지 않는 기술은 유망한 기술이라 할 수 없다. 유망기술에 대한 일반 대중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전문가와 관련 기관들의 자료를 통해 8개 분야에서 24개 미래유망기술들을 추출하였다. 일반 대중들의 인식 파악을 위해서는 한국과 중국의 경영대학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래유망기술의 기술적 가능성, 경제적 가능성, 인간 삶의 질적 공헌도라는 3가지 기준으로 미래유망기술에 대한 기대치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3가지 측면 모두에서 한·중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기술은 ① 그래핀(Graphene) 소재, ② 수술용 나노 로봇, ③ 수소 에너지 3가지였다. 또한 이 3가지 기술 모두에서 한국 학생이 중국 학생보다 3가지 측면 모두의 평균점수가 높았다. 그래핀 소재는 한국이 세계 1등인 반도체의 새로운 소재가 된다는 점에서 높은 기대치를 나타낸 것 같다. 또한 한국은 나노 기술이 앞서 있고, 의료 기술이 발달했으며, 경제적 여유와 고령화로 인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에, 나노 로봇을 이용한 의료분야에 대한 기대치가 높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연료전지에 우수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수소연료전지를 이용한 친환경 기술에 큰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높은 인식도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3가지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기술은 ① 고온초전도체, ② 동물 복제/장기 이식, ③ 태양에너지, ④ 하늘을 나는 자동차였다. 한·중 간 견해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것은 대체로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는 얘기이므로 평균점에서 의미를 해석하였다. 고온초전도체를 보면 기술적 측면과 경제성 측면에서 한·중 양쪽 다 평균점이 4점 이상으로 매우 높은 편이었다. 한·중은 고온초전도체가 기술적으로 충분히 가능하고 경제성도 높으며, 인간 삶에도 4점에 조금 못 미치는 비교적 높은 인식을 보여주었다. 동물복제/장기 이식 기술에 대해서는, 한·중 양쪽 다 기술적으로는 충분히 가능하겠지만, 경제성이나 인간 삶의 질에는 비교적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한국은 동물 복제 기술이 앞선 나라이지만, 아직까지 인간 신체에의 이식까지는 별다른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태양에너지는 한·중 양쪽 다 3가지 측면 모두에서 매우 높은 인식을 하고 있었다. 기술적으로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제성도 있고, 인간 삶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24개 기술 중 한·중의 견해가 일치되면서 매우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다는 것은, 태양에너지가 한·중 양국에 매우 중요하고 필요한 미래기술로 기대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는 한·중 양쪽 다 3가지 측면 모두에서 아주 큰 인식을 가지지는 못했다. 경제성과 인간 삶에는 비교적 높은 인식을 보여주었지만, 기술적 가능성은 보통 수준이었다. 사실 가격이 좀 비싸 기는 하지만, 기술적으로도 가능하고, 시장성도 있고, 교통의 편리로 이동시간의 축소와 생활공간의 확대로 인간 삶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예측이지만, 한·중 학생들은 하늘을 나는 자동차에 대해 아직 큰 기대를 하고 있지 않은 것 같다. 특히 기술적 가능성에 대한 중간적 인식은 이러한 기술을 개발할 동기를 약하게 할 것이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에 필요한 원천 기술들이 있고, 상용화된 제품도 개발되어 공개되는 마당에, 한·중 학생들의 이러한 낮은 인식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 기술에 대한현실적 지식과 동기 부여가 필요할 것 같다. 셋째, 한·중 양쪽 다 3가지 측면 모두에서 평균점 4점 이상의 높은 기대치를 보여준 기술은, ① 전자태그, ② 고성능 컴퓨팅, ③ 나노기술, ④ 태양에너지였다. 양 국가에서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기술이다. 먼 미래의 기술이라기보다는 대부분 기술 개발이 이미 시작되어 생활에 활용되기 시작한 기술임을 알 수 있다. 기술적 가능성이 충분이 가시적이고, 경제성도 검증되고 있으며, 생활과 밀접한 기술들이다. 본 연구의 우선적 한계점으로는 설문 대상이 특정 대학의 특정 학과 대학생으로 한정되었다는 점이다. 좀 더 광범위한 표본 구성과 체계적 조사를 통해 다양한 집단의 인식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 다른 한계점은 본 연구가 미래유망기술에 대한 인식 조사에 머물렀다는 것이다. 응답자들의 주관적인 의견만을 조사하고 비교하였을 뿐, 이러한 태도에 대한 원인 분석이나 대응책 등을 다루지는 못하였다. 기술 의 범위를 좀 더 좁히고, 단순한 인식 차원을 넘어 특정된 기술에 대해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미래유망기술을 선정하고, 미래의 주인공인 젊은 세대들의 인식을 국제적으로 비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한·중 간 비교의 결과는 유망기술에 대한 인식의 상태를 보여주며, 미래유망기술의 가능성을 예측하게 해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부족한 인식을 보충하고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People dream about achieving success in the future and wonder what the future society will be like, but it is not easy to predict the future of societies. One of the major ways to forsee the future society is to examine the images people who live today have in mind about the future. Technology, in particular, would b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impact human history and its development; therefore, collecting images that people have about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can be helpful in grasping what the future society would be like. In order to predict what technology would emerge and become predominant, opinions of the public are important as well as those of experts. It is probably because if technology is not accepted and applied by the public, the technology would not pros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the public about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in two stages. The first stage is where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are selected and summarized through the data of related organizations and experts from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 the process, 24 technologies in 8 sectors were extra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the public, university students in business schools in Korea and China were selected. Through these students, expectations about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in terms of technical feasibility, economic feasibility, and contribution to quality of human life. As a result, technologie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all 3 aspects are ① Graphene, ② Nano Robot for Surgery, ③ Hydrogen energy. It seems that graphene material shows high expected value due to the fact that graphene material is the material of semiconductor which Korea is the 1st maker in the world. Also, it is believed that the medical sector, which is bent in using nano robot technology, shows high expected value in a sense that Korea has advanced nano technology and medical technology as well as high interest in health due to the fact that Korea is now experiencing economic affluence and becoming an aging society. Lastly, there is high awareness on fuel cell because Korea has preserved excellent technology regarding fuel cell and has become highly interested in environmentally friendly technology via its use of hydrogen fuel cell. Technologies that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in any aspects are ①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② Cloning Animals/Organ Transplant, ③ Solar Energy, ④ Nuclear Energy, ⑤ Flying Car. For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 over four points in average in both Korea and China are shown from technological and economical aspects. Both countries show that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 has sufficient technology feasibility and high economic feasibility. They also show relatively high awareness on the quality of human life with slightly less than four points. For animal cloning/organ transplantation technology, both countries show sufficient feasibility in technology and high level of awareness in economic feasibility and quality of human life. It is probably because Korea has advanced in animal cloning technology, although organ plantation to human body has not brought any specific result. For solar energy, both Korea and China have a high level of awareness in all 3 aspects. This shows possibility in technology and economical feasibility and contributes to human life.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solar energy is expected to be among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future technologies. Nuclear energy is recognized highly in only technological feasibility in both countries. Its technology is possible; however, its contribution to human life does not show a high score due to anxiety against leakage of radioactivity and explosion. Korea has now one of the top 5 nuclear power plants in the world and China has numerous new power plant construction plans. This implies that Korea and China consider nuclear energy as major source of energy from a national level. In spite of concerns against potential accident, a nuclear energy plant is necessary to fulfill power capacity demands. For flying cars, great perception in all 3 aspects is shown in both countries. Economic feasibility and human life show relatively high scores, whereas technical feasibility shows only an average level. In reality, despite its high price, a flying car is generally perceived as technically feasible and marketable, providing easy and 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shortening traffic time while expanding space. It is foreseen to give benefit to human life. However, students in Korea and China do not have high expectations on flying cars. In particular, average level awareness in their technical feasibility could be a result of weakening motivation in term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re are already previous technologies related to flying cars, and even more there exist commercialized products that bring about low level awareness in Korea and China. They may need to incite motivation and realistic awareness about this technology further.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ociety in a sense that it has selected representative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and compared awareness among the new generation of future leaders internationally. comparison results in Korea and China show students’ perception about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and help to predict the potential of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Based on these results, adjustment and supplement can be made on the given subject as necessar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only awareness of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is examined and subjects are limited only to the young generation living in Korea and China. Further study is needed to make comparisons at an international level and to extend specific technology with in-depth survey that is beyond simple recognition and awareness on various technologies.

      •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

        홍사균,배용호,송종국,안두현,황석원,황정태,정근하,배영임,권성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R&D를 둘러싼 환경 뿐 아니라 R&D 시스템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정부는 현재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설정에 있어서 경제성장에 대한 지원 중심에서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지원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정부 R&D 예산이 급격하게 증대되면서 R&D는 관련 부처의 주요 정책수단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R&D가 우리의 미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R&D 전략 및 투자방향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 방향 설정은 국내외 경제 및 과학기술 환경변화, 외국정책 동향 등에 의거한 단기적 투자 방향 설정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에서 제공하는 틀과 자료로는 미래를 위한 투자방향 설정에 있어서 여러 측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자료에 의거하여 다양한 분석 방법론을 통해 장기적인 측면에서 미래의 경제사회 환경 및 기술 환경 변화를 예측하고 미래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함으로써 국가연구개발사업의 R&D투자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내용 먼저 포트폴리오 분석에 대한 관련 개념 및 정의 등을 설명하고, 포트폴리오 분석, 니즈 분석 등 방법론을 고찰한 후, 포트폴리오 분석을 위한 본 연구의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예산과 관련하여 연구개발 예산의 개념 정의와 분류기준, 재원구조와 주요특징 그리고 연구개발예산의 조정·배분 과정을 파악하고, 연구개발 예산조정 전단계로서 전략적인 투자방향을 살펴보았다. 이어 미래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에 따른 과학기술의 대응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향후 중요하게 부각되는 사회경제적 니즈와 국가 발전 목표 및 국정과제를 조망하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포트폴리오 분석의 기초가 되는 과학기술의 사회경제적 목적을 체계적으로 정리·제시하였다. 그리고 향후 미래 사회를 선도할 유망기술 혹은 미래 사회경제적 니즈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을 체계적으로 정리·제시하였다. 즉, 미래를 선도할 유망기술, 정부에서 제시한 국가 전략기술 및 유망 기술들을 종합 정리하였다. 앞서 도출된 과학기술의 사회경제적 니즈 및 미래 유망기술에 근거하여 향후 투자 방향 설정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을 행하였다. 먼저 분석 방법에 대해 논의한 후 사회경제적 니즈 및 유망기술 분야에 대한 포트폴리오 분석을 다양한 각도에서 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회경제적 니즈 및 과학기술분야별 투자우선순위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AHP 방법론에 의거한 사회경제적 니즈 및 과학기술분야별 R&D투자 우선순위 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사회경제적 니즈 및 과학기술분야별 중요도와 정부 R&D투자 비중 사이의 Gap 분석을 행하였다. 결론 사회경제 니즈와 미래 유망기술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포트폴리오 분석결과와 AHP를 통해 나타난 중요도간의 격차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경제적 니즈 관점에서 향후 투자방향은 산업의 지속적 발전 등 민간과 투자 영역이 겹치는 분야의 점진적 축소가 바람직하며, 고령화 사회 대비, 풍요로운 삶 등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분야의 투자 비중 확대가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미래 유망 기술 관점에서 향후 투자 방향은 기계, 전기전자, 농림수산, 정보통신 등 전통적 성장 동력에서 환경, 재료, 에너지·자원, 생명과학, 기초과학 등의 새로운 성장 동력에 대한 투자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국가연구개발사업이 응용연구와 개발연구에 치중되어 왔지만 미래에는 기초과학과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기초·원천연구의 투자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정책제언 향후 정부 R&D투자 방향 설정에 있어서는 현재의 조사·분석에서 제공하는 틀과 자료에 더해 사회경제적 니즈 분석, 미래유망기술 분석 등 새로운 방법론을 고려한 투자방향설정 방법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사회경제적 니즈와 미래 유망기술 관점을 동시에 고려한 향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 방향은 다음과 같다. 산업 발전뿐 아니라 다양한 국민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고령화 사회 대비, 식량·에너지·자원의 안정적 확보, 안전한 사회 구축 등 중요한 정책 내지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부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의 확대가 요구되며, 단기 혹은 중기적으로 상업적 응용/개발에 해당하는 R&D에 대해서는 민간이 혁신을 주도하고, 정부는 정부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여 장기 기초 연구나 공공기술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미래유망 성장동력 발굴 및 관리시스템 구축

        배용호,이우성,이주량,최지선,고명주,류진영,이준협,정호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사회정책적 요구 부합성 - 경제·사회적 필요성: 주요 선진국의 새로운 성장산업 발굴과 그에 따른 우선 순위의 조정 및 최근의 대내외적 환경 변화에 따라 차세대 성장을 주도할 새로운 산업군의 선택과 집중 육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 - 정책적 필요성과 시의성:? 경제의 성장잠재력을 높이고 최근 국가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원에서라도 신성장동력사업의성공가능성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마련이 요구됨? 대부분 단기간에 걸쳐 일회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신성장동력 발굴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 기획 필요? 성장동력에 대한 중장기적 관리 강화를 위해 체계적인 평가를 포함한 종합적인 관리시스템 구축과 더불어 성장동력 특성에 따른 맞춤형 혁신정책 제언을 위한 다각적 노력이 필요 ○ 연구 목적 - 향후 우리나라 경제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산업을 도출하고 이들 산업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유지하기 위한 기술혁신 전략 및 정부 차원의 종합적 정책 제시(3차년도 과제로 수행) - 특히 미래성장동력의 체계적인 발굴과 육성을 위한 ‘미래성장동력 종합관리시스템’을 구상하고 이를 원활히 추진할 수 있는 하부 시스템을 상세 설계 요약 및 결론 : 정책제언을 중심으로 □ 미래유망 신기술 분석시스템 확립 ⊙ 미래유망 신기술 분석시스템의 확립을 위한 전문연구기관의 지정 - 한국미래기술지수를 활용하여 미래성장동력 상비군의 발굴/관리 체계화를 도모하고 모니터링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하에 미래 관련 전문위원회를 만들어 미래유망 신기술 분석시스템을 주관 - 한국미래기술지수의 활용과 관련된 실무 작업은 관련 전문기관에서 담당 □ 산업/기술 맞춤형 기술혁신정책 구현 ⊙ 미래성장동력 차원에서 공통적으로 강화해야 할 정책과 미래유망 성장동력별로 맞춤형으로 추진해야 할 기술혁신전략 및 육성정책이 분리 - 맞춤형 기술혁신전략 추진을 위해서는 보다 세밀한 수준에서 미래유망 성장동력의 기술혁신 핵심요소 파악 및 이를 바탕으로 육성 정책 추진 - 연관된 혁신요소가 유사한 기술혁신정책들과 차별적인 정책들을 분석하여 정책관계망을 구축하여 체계적인 통합관리와 패키지형 정책 포트폴리오 구성 ⊙동태적인 롤링플랜식의 중장기 기술혁신전략 필요 - 세계 관련 시장 및 기술이 급속히 변화하는 점을 감안하여 기술혁신전략을 범 정부 차원에서 주기적으로 보완하는 체계 구비 □ 미래유망 성장동력 모니터링/평가체계 구축 ⊙신성장동력사업에 대한 제대로 된 모니터링 체계 구축 - 신성장동력의 핵심분야별/산업단계별 기술수준 및 시장 전망, 성과 창출, 추진과정의 애로 요인 등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정책에 피드백 - 국가적 차원에서 글로벌 차원까지 과학기술 혁신환경의 변화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부처별 신성장동력사업에 대한 성과 중심의 관리 체계 구축 - 성과지표체계의 정립, 정례적 성과 분석 및 평가 시스템 도입 - 관련 데이터의 DB화를 통해 분석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등 사후적 성과분석 지원 시스템 구축 - 관련 사업에 대한 상세한 점검 및 체계적 평가를 통해서 예산과 연동 □ 미래유망 성장동력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 미래유망 성장동력 사업이 당초 계획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사업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성과를 측정하여 사업 추진과 관련된 정확한 정보 제공 - 관련 정보를 지식 형태로 변환하여 체계적으로 저장, 검색, 공유함으로써 사업 수행에 따른 일정관리, 성과측정, 목표 대비 달성도, 경제적 효과, 사업 점검 및 개선 등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목표관리기법 및 성과측정 모형 개발 적용 □ 선택과 집중 전략의 추진 ⊙ 투자우선순위의 설정과 그에 따른 선택과 집중을 통한 정책효과 제고 및 가시적 성과 창출 ⊙ 주요 선진국은 우리보다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가의 핵심 역량을 결집하여 취약 분야의 보완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집중 ⊙신성장동력 육성과 관련한 발전전략으로는 선택과 집중에 따른 기러기형 발전 전략 추진 - 기러기형 발전전략은 선도산업이 중심이 되어 다른 산업을 견인하는 전략

      • KCI등재

        특허분류 체계를 활용한 유망기술 예측에 관한 연구

        박상성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23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33 No.2

        Global markets and technologies are rapidly changing together. The prediction ofpromising technologie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tool for the survival of nationaltechnologies beyond universities and companies. In previous studies, promisingtechnology predictions were conducted mainly based on expert discussions inrelated fields. However, as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es becomesincreasingly complex, the need for data-based predictions of emerging technologiesis increasing. This paper proposes a methodology for predicting promisingtechnologies based on patents. The proposed method discovers promisingtechnologies by discovering key nodes and key rules through social networkanalysis and association rule mining.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92,898patents related to materials.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chemical methods forprocessing fibrous materials and technologies for post-processing of fibrousmaterials will be promising. 글로벌 시장이 급변함에 따라 기술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유망기술의 예측은 대학과 기업을 넘어 국가 기술의 생존을 위한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 종래의 유망기술 예측은 주로 관련 분야의 전문가 토의에 기반해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술 간의 유기적인 관계가 점차 복잡해짐에 따라 데이터 기반의 유망기술 예측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특허를 기반으로 한 유망기술 예측 방법론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사회네트워크분석과 연관규칙마이닝을 통해 핵심 노드와 핵심 규칙을 발굴하여 유망기술을 발굴한다. 실험은 소재관련 특허 92,898건으로 진행했다. 실험 결과, 섬유질 소재를 처리하기 위한 화학적 방법과섬유질 소재의 사후 처리에 관한 기술이 유망할 것으로 기대된다.

      • 머신러닝(Machine learning)기반 미래유망기술 발굴 프로세스 연구

        허요섭(Yoseob Heo),김근환(Keunhwan Kim),강종석(Jongseok Ka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1

        과학기술 투자 우선순위 결정을 위해 실무적·행정적 차원에서는 유망기술 도출을 직접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측면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과학기술 트렌드 분석과 미래기술예측을 바탕으로 R&D사업을 기획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전문가의 지식과 직관적 판단의 영역에 대부분 맡길 수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실질적으로 전문가의 의견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경향성이 두드러지기에 전문가의 직관의 불확실성과 편향된 의견(bias)가 객관적인 유망기술의 분석 및 도출을 방해하는 경향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객관성을 담지한 형태의 미래유망기술 발굴 방법론 관련 연구결과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및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ML) 관련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고, 큰 주목도 받고 있는 현재이다. 따라서 보다 객관성과 정합성을 확보한 형태의 미래유망기술 발굴 방법 도출을 위해 ML알고리즘을 활용하여 ICT 분야의 미래유망기술 예측에 적용해보았다. In order to prioritize invest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it was necessary to directly implement emerging technologies in practical and administrative aspects. As a result, the way to plan R&D projects naturally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trend analysis and future technology forecasting has generally been left to most of the expert knowledge and intuitive judgment area. However, since these methods tend to be totally dependent on expert opinions, uncertainties and bias in the intuition of the experts can hinder the analysis and derivation of objective emerging technologie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methodology of discovering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with more objectivity.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machine learning (ML) technologies are developing remarkably and are receiving great attention. Therefore, we applied the ML algorithm to predict future promising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ICT in order to derive a method of discovering emerging future technologies with more objectivity and consistency.

      • KCI등재후보

        특허정보를 활용한 지질자원 분야 유망기술군 탐색

        박정규,이동준 한국혁신학회 2015 한국혁신학회지 Vol.10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promising technology sectors in the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engineering using PCT patent data. For this, first, The classes relevant to the field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engineering is selected from IPC by searching existing patents and we use fusion and promising indexes proposed by Kang (2006) to calculate and identify promising technology sectors.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echnologies in IPC subclass B01D, B01J, B22F, B65D, C02F, C09K, E21B, G01N, G06F, H01M are promising technology sectors. The technologies in these IPC have been researched actively in recent years, and reflect our current reality to some extent. Therefore, assuming that this trend will continue at least for a few more years, the technologies in these sectors could be promising fusion technologies. 본 연구는 PCT 특허정보를 이용하여 지질자원분야의 미래 유망기술을 선정하기 위한정량적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질자원분야 기술의 범위는 선행기술조사를 통해 IPC코드로 정의하였으며, 특히 최근 강조되고 있는 기술 융합 및 확산 경향을 반영하여 각 기술군의유망지수와 함께 융합지수를 도출하여 유망기술군 도출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로 B01D, B01J, B22F, B65D, C02F, C09K, E21B, G01N, G06F, H01M의 총 10개의 IPC에 해당하는기술군이 유망기술군으로 도출되었다. 이 도출된 기술군들은 친환경 기술, 데이터의 처리및 분석, 고효율 시추시스템 등 최근 중요한 기술로 떠오르고 있는 기술들과 관련이 깊어, 특허데이터를 활용한 유망기술군 탐색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바이오헬스 특허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미래 유망기술 예측

        김호용(Hoyong Kim),박수현(Soohyun Park),윤영미(Youngmi Yun),김재수(Jaesoo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20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11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기술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바이오헬스 분야의 특허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 유망기술을 예측하고 공백기술을 도출함으로써 기술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측을 위하여 2005년도부터 2018년도까지의 11,827건의 바이오헬스 분야의 특허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치료용 의료기기’, ‘의료데이터 프로세싱’, 그리고 ‘생체계측용 의료기기’로 기술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기술을 기준으로, 인공지능 기술 중 하나인 딥 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미래 유망기술 예측 모델을 설계함으로써 2023년도에 바이오 헬스 분야에서 유망할 기술을 예측하였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이라는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공백기술을 도출하여 바이오헬스 분야에서의 기술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치료용 의료기기’에서는 자이로센서와 관련된 기술이, ‘의료데이터 프로세싱’과 ‘생체계측용 의료기기’에서는 각각 디지털신호와 심전도 및 위생·보건 관련 기술이 유망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공백 기술로는 영상 처리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및 원격 진단 및 측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기기 관련 기술이 도출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o predict the Future Promising Technologi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extract the White Space by using biohealth patent information. For this analysis, we use 11,827 biohealth patents, which is collected from 2005 to 2018, and classify those data as three technique clusters (Medical Device for Treatment, Medical Data Processing, and Medical Device for Biometrics) to get the White Space. Based on the result of clustering, we propose a deep learning model for predicting the Future Promising Technologies and estimate what kind of technologies will be rising in 2023. Furthermore, through the Text Mining, which is the one method of the Big-data Analysis for extracting information from text, we discover the White Space and analyze the trend of biohealth technology. As the result of analysis, we find that ‘Gyro sensor’, ‘Digital Signal’, and ‘Electrocardiogram & Wealfare’ will be promising in three technique clusters, respectively. In addition, we extract two White Spaces: one is ‘Wearable Device for Customized Healthcare Service based on Audio Processing’ and the other is ‘Wearable Device for Remote Diagnosis & Measurement Service based on Audio Processing’.

      • KCI등재

        기술기반 창업 활성화를 위한 기술융합 트렌드와 유망기술 분석에 대한 연구: 대화형 AI를 중심으로

        최선아,송영화 한국창업학회 2024 한국창업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장기적인 저성장 국면과 함께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기술기반 창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주목받는 창업 분야인 대화형 AI를 중심으로 한 기술융합의 트렌드와 유망기술을 분석하였다. 대화형 AI를 구성하는 요소기술인 음성인식 및 합성, 자연어처리, 머신러닝의 주요 키워드를 조합하여 수집된 총 8,469개 특허의 IPC 코드의 동시분류분석을 통해 기술융합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으며, 네트워크 중심성 지표를 사용하여 유망기술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대화형 AI는 단순한 IT분야 기술들의 융합에서 진화하여 알고리즘 고도화를 중심으로 기술융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대화형 AI의 유망기술은 타 산업 분야로의 확장성이나 기술 고도화에 치우치지 않고 두 분야 모두 미래 성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화형 AI를 중심으로 한 기술기반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교한 학습과 추론, 문제 해결 능력이 갖춰진 알고리즘의 구현을 필두로 이를 다양한 산업의 비즈니스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과 보유 중인 알고리즘의 지속적인 고도화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Based on the analysis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and promising technologies focusing on conversational AI,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technology-based entrepreneurship amidst long-term economic stagnation and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conducting concurrent classification analysis of IPC codes from a total of 8,469 patents collec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key elements such as speech recognition and synthesi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machine learning, a technological convergence network was constructed. Using network centrality metrics, promising technologie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versational AI has evolved from the mere convergence of IT field technologies to a focus on algorithm refinement. Furthermore, promising technologies in conversational AI exhibit high growth potential in both expansion into other industries and technological sophistication. Therefore, to foster technology-based entrepreneurship centered around conversational AI, there is a simultaneous need for the implementation of sophisticated algorithms with refined learning, inference, and problem-solving capabilities, as well as continuous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algorithms applicable across diverse industries.

      • KCI등재

        특허정보를 활용한 경북지역 ICT 개발동향 분석 및 유망기술 도출에 관한 연구

        한장협(Jang-Hyup Han),김채복(Chae-Bogk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1

        본 논문에서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산업 관련 기술을 주제로 경상북도의 특허출원 동향과 특허맵 중 하나인 특허 포트폴리오 분석을 적용하여 ICT 기술의 향후 방향을 살펴본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북지역 ICT 산업의 기술 동향 및 기술개발 실태를 특허정보를 통해 살펴보고, 특허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한 지역 ICT 산업의 기술방향 정도를 가늠하여, 연구개발 전략 수립에 활용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경상북도에서 출원된 특허를 대상으로 국제특허분류(IPC: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별 기술동향 파악을 하였고 향후 미래유망기술 도출에 대해 분석하였다. 동향파악을 위해서는 ICT 분류코드에 의거하여 각 부문별로 출원된 특허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상북도의 특허 출원 동향과 기술별 점유율 및 구간별 특허활동 현황, ICT 중분류 기술별 특허 출원 동향, ICT 기술시장 성장단계현황, 연구주체별 특허 출원 동향, 연구주체 간 공동연구 현황, 주요 출원인 특허 출원 동향 분석 등의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유망기술 도출을 통해 경북 ICT 산업의 기술적 방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북 ICT 산업의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고자 하였고, 더불어 향후 ICT 산업기술의 지향 방향과 기술정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end of the patent application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ICT in Gyeongbuk Province by employing patent portfolio analysis, one of the methodology of map analyses for industry-related ICT issues.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CT development trend based on ICT patent information in Gyeongbuk Province. The promising technologies in ICT industry are extracted by applying patent portfolio analysis, one of the patent map analyses. The analysis results can be applied to the establishmen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strategies. This study extracts ICT trend by applying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to the patents registered in Gyeongbuk. For promising technologies, this study analyzed the patents based on the ICT Classification Cod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s the trend of patent application, technology share, patent activity status, the trend of patent application by each technology according to ICT classification, the growth stages of ICT market, registration parties for patents, joint researches of research parties, and primary parties of patent applications. After drawing promising technologies, this study provides the future progress direction of ICT industry in Gyeongbuk Province. The research results also can be applied to securing technology competence and developing strategy of technology policy.

      • 기술예측을 통한 미래 유망기술 우선순위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중심으로

        김정석(Kim Jeong-Seok),이영덕(Lee Young Duck) 한국기술혁신학회 200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9 No.5

        BT, IT, NT 등 첨단기술의 융복합화가 급진전되면서 새로운 기술들이 계속 출현하고 점차 사업규모가 대형화됨에 따라 연구개발 환경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다.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 속에서 연구 생산성 및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환경변화에 대처할 새로운 기회, 즉 독창적이고 원천성을 갖는 유망기술을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경우 대형 융복합 기술개발을 주도하여 국가적 주요 과제해결에 기여하고, 국가아젠다에 부응한 연구개발을 수행해야 한다는 요구가 점증하고 있지만 이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기획 시스템은 아직 미약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미션과 역할에 부합하는 미래 유망기술을 발굴하기 위해 델파이 분석을 통해 후보기술을 도출하고, AHP 기법을 이용하여 유망기술 우선순위 평가모형을 구축한 후,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The level of uncertainty in science and technology is getting higher due to the accelerating pace of convergence between BT, IT and NT in coupled with the increasing level of R&D investment.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is one of the extensively used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methodology. This paper suggests an AHP decision making hierachy and investigates the critical factors and subfactors to prioriti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merging key technologies among the Kore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GRIs) in accordance with their missions and ro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