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명대 후기 유람의 대중화와 여행정보

        민경준 동북아관광학회 2012 동북아관광연구 Vol.8 No.2

        명대 후기, 명승지를 관람하고 기행문을 남기는 등, 유람 여행의 풍조를 확산시키고 고급문화의 영역으로 까지 끌어 올린 것은 사대부였다. 그에 반해 서민 대중은 도시 근교의 토속적 신앙 행렬이나 원거리의 종교성지에 참배하면서 유람의 기회를 제공 받았다. 사대부와 유람과 서민의 그것은 달랐다. 유람에는 목적지의 경치, 고적, 길, 교통, 숙박 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하다. 사대부들이 쓴 기행문은 서민 대중이 보기에는 너무 어려웠다. 그러나 명대 후기 서민 대중이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는 투박한 여행안내서가 출현하였다. 명대의 서민 대중은 문자 해독이 불가능한 사회적 부류가 아니었다. 서민들은 아동 시기의 식자 교육을 통해 문자를 읽고 쓸 수 있었다. 또한 역사 공부와 인물 이야기를 통해 초보적인 역사 지식을 가질 수 있었다. 여행안내서에 담긴 유적지나 역사 이야기는 서민 대중에게 낯선 대상이 아니었다. 서민문화는 서민이 문화의 소비는 물론 생산을 주도할 때 형성될 수 있다. 문화 상품인 여행안내서의 대량 출간은 서민 대중이 유람이라는 통로를 통해 문화를 형성하고 주도해 나가는 주체가 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증거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기행일기 속 여행 목적

        김미선 국어문학회 2019 국어문학 Vol.71 No.-

        This study presents the travel purposes, and measures for using such travel diaries after examining 1,279 pieces of Joseon-era travel diaries. Chapter 2 examines the sightseeing as the main travel purpose as revealed in the travel diaries. The sightseeing places are various, including famous mountains, ancient towns, Buddhist temples, and pavilions. Sightseeing also occurs in expansive areas such as Gwandong and Honam. Many sightseeings occur as the diary writers visit the relevant places due to business with a number of sightseeings conducted only for the sake of travel. Chapter 3 examines the various purposes of travel shown in travel diaries. The revealed travel purposes include travels for taking the Gwageo examination (prestigious government employee recruitment test), travels for accompanying teachers, travels for meeting people in office or in exile, travels for preparation for/holding ancestral rites such as visits to the ancestral graves and preparation for the publication of literature, travels for hot spring bathing, and travels for preparation for lodging petitions to the king and for attending meetings. Chapter 4 presents three summarized measures for utilizing travel diaries based on travel purposes. First, Joseon-era travel diaries can be used to identify the decent lives of our ancestors. Second, they can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for reviewing our ancestors' travels. Third, they can be used to identify activities designed to promote the achievements of our ancestors. 본 논문은 조선시대 기행일기 1,279편을 대상으로 하여 여행 목적을 살피고, 기행일기의 활용 방안을 정리한 것이다. 2장에서는 기행일기 속 주된 여행 목적으로서 유람(遊覽)을 살폈다. 기행일기 속 유람 장소는 명산(名山), 고도(古都), 사찰(寺刹), 누정(樓亭) 등 다양하였으며, 관동지방, 호남지방처럼 넓은 권역을 유람하는 경우도 있었다. 유람 과정을 보면 일 등으로 인해 해당 지역에 갔다가 인근을 유람한 경우가 많으며, 유람만을 위해 여행길에 오르는 것도 다수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기행일기 속 다양한 여행 목적을 살폈다. 이를 통해 과거 응시를 위한 여행, 스승을 배종하기 위한 여행, 관직이나 유배 관련하여 외지에 있는 사람을 만나기 위한 여행, 성묘나 문헌 간행 준비 등 선조 관련 여행, 기타 온천욕, 상소 준비, 모임 참석을 위한 여행 등 조선시대 다양한 목적의 여행을 확인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여행 목적을 바탕으로 한 기행일기의 활용 방안을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조선시대 기행일기는 첫째, 선조들의 여행 관련 미시적인 삶 파악에 활용할 수 있으며, 둘째, 선조들의 여행 관련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셋째, 선조 선양을 위한 활동 파악에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고전 소설에 나타난 며느리의 여행과 친정

        박혜인(Park Hea in)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6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3

        본고는 고소설 <양씨전> 속 구약여행에서 나타나는 유람적 성격에 주목하여 ‘시모를 위한 효열부의 구약여행’이라는 명분 뒤의 이면적 성격을 고찰하고자 했다. <양씨전> 속 구약여행을 보면 ‘주인공이 고난을 극복하고 선약을 얻어 오는 과정’ 자체는 같지만 그 실상을 보면 오히려 본격적인 구약여행 속에서의 고난은 약화되어있는 반면, 여행을 떠나기 전, 여성 여행의 명분을 세우기 위한 양씨의 고난과 희생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한편 구약여행의 과정은 중국의 명승지들에 대한 유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마지막 목적지인 봉래산은 양씨의 친정으로 설정됨으로서 <양씨전>의 구약여행이 가진 귀녕(歸寧)으로서의 성격을 잘 드러내준다. 이는 당대 유행한 와유 및 산수 유람의 영향 하에 일어난 여성의 유람에 대한 욕구를 발현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여성의 유람욕은 귀녕에 대한 욕구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여성 여행 의식의 특징적 모습을 드러내주고 있다. 한편 <양씨전>은 여행에 대한 여성의 욕구가 드러나는 한편 ‘효열부의 구약여행’이라는 명분을 위한 자기검열의 모습이 함께 보인다. 이는 당대 여성의 외출에 대한 사회의 시선을 의식한 결과로, 작품 속 여성 여행의 한계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hidden characteristics behind the cause of a good wife and daughter-in-law s travel for the old commitment for a mother-in-law with focusing peregrination’s features in the promised travel in the ancient novel Yangssi-Jeon (a life of Mrs. Yang). The story seems to describe the process of how the protagonist overcomes the hardship and achieves the commitment during the traveling; however, its genuine adversity diminishes, but it shows that the story takes a large proportion in her sufferings and sacrifice before the travel to justify the cause for a woman s travel. The itinerary includes sightseeing scenic attractions in China, and reveals the features of visiting Mrs. Yang s parents (Gwinyeong [歸寧] or Geunchin [覲親], women’s visiting their parents after marriage) that the promised travel retains. It can interpreted as an reveal of women s desire for traveling affected by the trend of appreciating and sightseeing scenic attractions of the times; accordingly, it acknowledges the features of women s desire for the traveling in the respect of concluding in the aspirations to Gwinyeong. This story reveals not only women s desire for the traveling but their self-scrutiny for the cause of a promised travel for being a good wife and daughter-in-law at the same time. This results from their consciousness toward the public gaze at women s out at the times, which can set a limit to women s travel in the story.

      • KCI등재

        조선시대 바다 관련 유람일기와 그 활용 가치

        김미선 ( Kim Mi-sun ) 한민족어문학회 2021 韓民族語文學 Vol.- No.94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바다 관련 유람일기의 현황을 파악하고, 활용 가치를 정리하였다. 제목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제목에 ‘바다[海]’가 명시된 일기 14편, 제목에 ‘섬[島]’이 명시된 일기 9편, 제목에 바다 관련 지명이 명시된 일기 29편, 제목을 통해서는 바다 관련 여부를 알 수 없지만 내용상 바다 관련 유람이 핵심인 일기 7편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확인된 조선시대 바다 관련 유람일기는 총 59편으로, 이를 시기별로 정리하면 16세기 3편, 17세기 8편, 18세기 14편, 19세기 32편, 20세기초(1910년까지) 2편이다. 이러한 유람일기를 통해 바다 관련 유람 여행의 면모를 대략적으로 볼 수 있었다. 관직, 유배 등으로 인해 바닷가나 섬 지역에 있게 될 때 인근을 유람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유람만을 목표로 길을 떠난 경우도 있었다. 남아있는 유람일기가 많은 바다 관련 지역은 남해도(12편), 제주도(10편), 강화도(7편), 국도(3편), 동해(3편)로, 이러한 지역들이 주된 유람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바다 유람을 수양修養으로 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 바다 관련 유람일기의 활용 가치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바다 관련 유람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바다 관련 당대 삶과 문화를 보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바다 관련 문화콘텐츠 원형자료, 관광자원 개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e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sea-related pleasure diaries in the Joseon Dynasty and summarized their utilization values. By title, the diaries were determined as 14 diaries with ‘sea[海]’ specified in the title, nine diaries with ‘island[島]’ specified in the title, and 29 diaries with sea-related place names specified in the title. Also, in terms of the contents, seven sea-related pleasure diaries were confirmed, although the title did not specify the sea. A total of 59 sea-related pleasure diaries from the Joseon Dynasty have been identified, and by period, three pieces belong to the 16th century, eight pieces to the 17th century, 14 pieces to the 18th century, 32 pieces to the 19th century, and two pieces to the early 20th century (until 1910). These pleasure diaries offer a rough picture of what searelated excursions look like. The writers of diaries made seaside or island tours in their adjacent areas while they were in office or exile. They also made tours only for the sake of excursions. The main searelated tour areas mentioned in many remaining pleasure diaries are found to be Namhaedo (12 pieces), Jejudo (10 pieces), Ganghwado (seven pieces), Gukdo (three pieces), and East Sea (three pieces).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ea excursions were viewed as self-cultivation opportunities. The value of using sea-related pleasure diaries from the Joseon Dynasty can b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ea-related excursions research. Second,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xamine sea-related life and culture of the time. Third, they can be used as prototype data for sea-related cultural contents and the basic data for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 KCI등재

        권호문의 청량산 유람 시문 연구

        김남기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6 No.-

        松巖 權好文(1532~1587)은 李滉의 문인으로 벼슬을 단념하고 靑城山에 은거하며 학문에 전념한 학자이다. 그는 산림처사로 청성산에 살면서 讀書와 講學에 매진하였고, 산수 유람을 즐겨 淸凉山과 鶴駕山 등 안동을 포함한 여러 곳의 명산대천과 명소를 방문하여 많은 시문을 짓고 감회를 피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권호문의 산수유람 시문 중에서 청량산을 유람할 때 지은 시문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권호문은 청량산을 周世鵬․李滉 등의 정신적 향기가 깃든 문화적 공간으로 인식하였고, 실제 유람 과정에서 이들의 발자취를 찾으며 수많은 시문 속에 그 의미를 담았다. 그리고 산수 유람이 기상의 함양과 성정의 도야에 보탬이 된다는 논리를 피력하였다. 권호문은 1556년 10월에 淸凉山을 유람한 뒤 108韻의 장편시를 지어 퇴계 이황에게 올렸고, 1560년 4월에 청량산 각지를 유람하며 수많은 한시를 창작하였다. 그리고 1570년 11월부터 12월 초에 청량산을 유람한 뒤 여러 편의 한시와 청량산 기행문 중에서 名篇이라 할 수 있는 <遊淸凉山錄>을 지었다. 청량산 유람 시문에는 산수의 아름다움은 물론이고, 청량산과 관련된 역사와 전설, 知人과의 友誼와 그리움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승려들과의 문답을 통해 유가적 산수 인식과 수양법을 강조하고, 그들의 행태와 의식을 비판하였다. 따라서 청량산 유람 시문은 권호문의 山水觀과 학자적 풍모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Songam Kwon Ho-mun(1532~1587) was a writer under Lee Hwang, and a scholar who gave up a government post, retired to hermitage in Mt. Cheongseong(靑城山) and was absorbed in study. While living as a hermit, he strove to concentrate on reading books and pursuit of study. He also enjoyed landscape sightseeing, so he visited splendid mountains and rivers and attractions in Andong and nearby, such as Mt. Cheongryang(淸凉山) and Mt. Hakga(鶴駕山), wrote many poems and expressed his sentiments. In this thesis, among Kwon Ho-mun's poems of sightseeing to beautiful nature, those written during his visit to Mt. Cheongryang were analyzed intensively. After the sightseeing to Mt. Cheongryang in Oct, 1556, Kwon Ho-mun wrote 108 Wun of long poems and gave them to Toegye Lee Hwang, and in Apr, 1560, he wrote numerous poems in Chinese during the sightseeing to different spots of Mt. Cheongryang. Then, after he went to Mt. Cheongryang in Dec, 1570, he wrote <Yucheongryangsanrok(遊淸凉山錄)>, the best of lots of poems in Chinese and travel essays to Mt. Cheongryang. The poems of sightseeing to Mt. Cheongryang had various contents, for instance, history and legends, geography and attractions, persons and poetry and prose, people's life and customs, natural ecology, and devotion to and longing for acquaintances related to Mt. Cheongryang not only the beauty of mountains and rivers. Therefore, the poetry of the sightseeing to Mt. Cheongryang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material to examine Kwon Ho-mun's view of the nature and scholarly features with.

      • KCI등재

        소승규 「유봉래산일기」의 유람 여행 글쓰기와 문학교육적 의미

        김미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東洋學 Vol.- No.84

        This paper reviewed the writing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So Seung-gyu’s 「Yubongnaesan Ilgi」(Lit., Travelogue Diary on Mountain Bongnaesan), which recorded a trip to Byeonsan in 1897, and summarized the meaning of literary education. 「Yubongnaesan Ilgi」 used a formal diary format, focusing on the tour of Byeonsan from preparations for travel to the process of travel and return and writing, but started with and ended up with a dream story about deities, thereby show a completeness of the story. And it described the experiences of each day in chronological order, giving readers the effect of being together in that time. In this process, mak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ituation in which poetry was composed, and recording actively the poems composed during the excursion, 「Yubongnaesan Ilgi 」 contained 82 poems. The travelogue thus offered a detailed look at the creative situation of classical Sino-Korean poems during tours in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Dynasty. On the premise that it is used in university classes, the meaning of literary education of 「Yubongnaesan Ilgi」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ubongnaesan Ilgi」 can be provided as a major resource related to travel literature and diary literature. Second, 「Yubongnaesan Ilgi」 can be used as an example of direct experience writing. Third, it can be used to educate the process of writing and enjoying poetry. Fourth, it can be used to discover oral literature and introduce the process of its transmission. 본 논문에서는 1897년의 변산 유람 여행을 기록한 소승규(蘇昇奎, 1844~1908) 「유봉래산일기(遊蓬萊山日 記)」의 글쓰기 방식과 특징을 살펴보고, 문학교육적 의미를 정리하였다. 「유봉래산일기」는 정형적인 일기 형식을 사용하였으며, 여행 준비에서부터 여행 과정, 귀환과 글쓰기까지변산 유람 여행에 집중하되, 신선에 관한 꿈 이야기로 시작하고 끝을 맺어 완결성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하루하루의 경험을 시간순으로 매우 구체적으로 서술하여, 독자들이 그 시간 속에 같이 있는 듯한 효과를 주고있었다. 이 과정에서 시를 짓게 되는 상황도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유람 여행 중에 지은 시를 적극적으로 수록하여, 「유봉래산일기」 속에는 82수의 시가 담겨 있었다. 이로 인해 조선후기 유람 여행 중 한시 창작 상황을자세히 볼 수 있었다. 대학교 수업에서의 활용을 전제로, 「유봉래산일기」의 문학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유봉래산일기」는 기행문학·일기문학 관련 주요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둘째, 「유봉래산일기」는 직접체험 글쓰기에 대한 예시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유봉래산일기」를 바탕으로 한시 작성과 향유 과정을 교육할 수 있다. 넷째, 「유봉래산일기」를 통해 구비문학 작품을 발굴하고, 전승 과정을 소개할 수 있다.

      • KCI등재

        연행시(燕行詩)의 양식적 특성에 대하여 -여행 문학으로서의 연행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안순태(An, Soon-tae) 국문학회 2021 국문학연구 Vol.- No.44

        본고는 연행시(燕行詩)가 여행 문학으로서 국내 유람시․기행시와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지 밝히고 그러한 차이를 보이는 이유를 연행시의 양식적 특성과 관련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행시는 연행 과정에서 지은 시다. 연행도 일종의 여행이라는 점에서 연행시는 금강산 등 국내 유람 과정에서 지은 시와 표면적으로 눈에 띄는 차이를 보이지 않기도 한다. 연행시와 기행시의 유사성에 대한 지적은 몇 차례 있었으나 본고를 통해 그 둘의 차이점을 본격적으로 논의했다. 같은 여행 문학이라는 점에서 여느 기행시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특징들을 연행시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정의 견문을 재현하거나 역사를 회고하고 동행과 수창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이는 연행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여행 문학 보편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반면 중국 문사와 수창하거나 중국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고 객수(客愁)를 서정적으로 읊조리는 등의 것은 여느 국내 유람시․기행시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연행시만의 특징이다. 국내 유람시․기행시와 연행시의 공통점과 차이점만 살핀다고 해서 연행시의 성격을 제대로 파악했다고 하기 어렵다. 연행시는 그것을 이해하는 데 있어 연행이라는 현실적․체험적 맥락, 즉 시가 지어진 상황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 점에서 연행시는 서정적 성격이 강한 일반적 한시나 국내 유람시․기행시에 비해 교술적 성격이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연행시의 의미를 온전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작(詩作)의 상황, 즉 연행이라는 특수한 상황과 시인의 현실적 경험에 대한 고려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Yeonhangshi, poetry written by people who visited Beijing as envoys during the Joseon Dynasty differs from general domestic travel poetry. Yeonhaengshi is a kind of travel literature written during the course of their envoy to Beijing. So it looks similar to poems written on the way to a domestic tourist destination such as Mt. Geumgang. There are several studies on this issue, but there has been no result of studying the problem in earnest. Yeonhaengshi is a kind of travel literature. So, in Yeonhaengshi, we can check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confirmed in other travel poetry. These are poems that describe what they saw, poems about history, and poems exchanged with those who accompanied them. It could be said to be a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al travel literature that can be confirmed in Yeonhaengshi. On the other hand, exchanges with Chinese writers, describing of Qing Dynasty, and lyrical recitations of the troubles of a traveller can be said to be unique characteristics of Yeonhaengshi that is difficult to find in other domestic travel poetry.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Yeonhaengshi, the realistic and experiential context of visiting Beijing, that is, the situation in which the poem was written, is a very important thi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Yeonhaengshi have didactic style compared to general Korean poetry including domestic travel poetry.

      • KCI등재

        해외에서 발생한 위험에 대한 두려움이 해외여행 선택에 미치는 영향

        신재헌,김상운 한국재난정보학회 2019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5 No.2

        연구목적: 해외에서 발생한 각종 위험으로 인한 두려움이 해외여행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 한 목적을 가진 연구이다. 연구방법: 해외여행 직전의 국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계기 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범죄를 비롯하여 테러, 자연재해, 사고 등 각종 위험에 직면할 경우 이에 대 한 두려움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두려움은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고, 일상생활이 위 축시켜 지역에 큰 악영향을 끼치곤 한다. 특히, 글로벌 시대에 맞춰 해외여행이 활성화됨에 따라 해외에 서 발생한 위험은 해외여행 선택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진다. 연구결과 및 결론: 이 연구를 통하여 해외여행 직전 대기 중인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자료로 분석한 결과, 자연재해ㆍ범죄ㆍ사고로 인한 두려움은 해외여행 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테러에 대한 두려움은 유 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요인 중 사고에 대한 두려움이 가장 크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자연재해에 대한 두려움, 범죄에 대한 두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and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to examine the impact of fear of risk committed by risk committed overseas on people who are about to travel abroad. Method: In the event of a risk, fear of a risk occurs, and fear of a risk adversely affects people's daily lives, and in the event of a decline in daily life, affecting the economy and social activities of the area, a small risk often has a huge impact on society. In particular, the fear of risk committed abroad has an impact on overseas activities as overseas travel has been activated in time for the global era. Result and Conclus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fear of crimes committed oversea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choice of overseas travel.

      • 여성 인물의 현실인식과 의미 양상 - 금원(錦園)의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

        하경숙 ( Ha Gyeongsu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7 동양문화연구 Vol.26 No.-

        금원(錦園, 1817~1850년 이후)은 조선시대의 여류 문인이다. 다만 생존연대를 정확히 알기가 어려워서 1817년에 태어나서 1850년대 이후까지 살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양반 가문에서 태어나 조선시대 여성들에게는 금기(禁忌)시되던 여행을 홀로 떠났으며 1830년 오랜 설득 끝에 부모님의 허락을 받고 남장(男裝)을 한 처녀로 여행을 떠난다. 넓은 세상을 보고 싶다는 일념으로 제천 의림지를 거쳐 금강산, 관동팔경, 설악산, 서울을 여행하고 돌아와 새로운 세계에 대한 견문을 통해 자기 자신에 대한 자각을 하게 되었다. 이에 여행기록서 『호동서락기(湖東西洛記)』를 남겼다. 금원이 보여준 시대를 초월하는 뛰어난 문학적 재능이나 열정, `삼호정시단(三湖亭詩壇)`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시작(詩作)활동에 대한 열정, 남장을 하고 여행을 떠나는 독립적인 모습은 그가 지닌 신분적 한계와 사회적인 한계를 극복하는 진취적인 여성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한다. 금원은 남녀가 동등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폐쇄적 사회와 제도 속에서 여행이라는 방법을 통해 새로운 세계에 대한 열망을 모색하였을 뿐만 아니라 당대를 살아가는 여성으로서 겪는 한계를 세밀하게 묘사했다. 이를 바탕으로 금원은 시대적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금원에게 여행은 자연과의 조화를 위한 한 부분이었으며, 여성에게 가해지는 부당한 현실을 타파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응의 한 양상이었다. 당시 여성들이 대부분 주어진 사회적 현실에 체념하고 수동적인 인물로 전락하는 상황에서 본다면 금원이 지닌 사고와 실천은 매우 적극적이고 혁신적이었다. 당대의 여성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금원은 삶을 순응하고 개척했다. 여성에게 주어진 수동적인 고정관념을 탈피하고자 노력하였으며,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사고의 유연성을 실천했다. 결국 금원의 작품에는 여성이 일상에서 벗어나 삶에 대한 독립적 의지를 지니고 현실에 대한 소통의 가능성을 상세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Keum Won(1817~1850?) is a female writer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However, it is difficult to know her correct life span, the period is estimated to be born in 1920 and died since 1850. She was born in a noble family in the Joseon Dynasty and traveled alone at the time in which female traveling was taboo and after long time`s persuasion in 1830, she was attired as a man and traveled with parents` permission. Eager to want to see a wider world, she traveled Mt. Geumgang, the eight famous spots in Eastern Korea, Mt. Seorak, and Seoul through Uirimji Reservoir of Jecheon and came back to home and then she became to be aware of herself through the traveling experiences on new worlds. Thus, she wrote a travelog, 『Hodongseolakki』. We can know that Keum Won was a go-ahead woman overcoming status and social limits through her all-time outstanding literary talent or passion, her leading performance in the Poetry Society of Sam Ho Jeong, ardent poetic activities, and independent figure traveling in man`s disguise. Keum Won had a strong desire to new worlds through traveling in the closed society and institutions of inequality among men and women and also described minutely female limits of her age. With that, she shows an enthusiastic attitude about overcoming realities at the time. The traveling for Keum Won was a part of harmony with nature and also it was the aspect of active confrontation for breaking down unfair reality. While most women resigned themselves in the given societal reality and fell passive existences, Keum Won`s thoughts and practice were very active and innovative. Keum Won complied with and improved life in a different way unlike contemporary women. She tried to do away with stereotypes for women and put flexibility of active and enthusiastic thoughts into practice. In conclusion, Keum Won`s works show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bout reality intimately with the will for independence in her life from the routine.

      • KCI등재

        1930년대 지방 향촌 여성의 경성 유람을 통한 근대 경관 인식 -『경성노정기인력거』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김해경 한국사진지리학회 202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는 1936년에 지방 향촌 70세 여성의 경성 유람 기록 내용을 분석했다. 지은이의 실제적인 근대 경관인식을 도출하기 위해서 기록된 내용과 공간 구조의 정합성을 살펴보았다. 첫째, 안동 예안에서 경성까지의 교통수단과동선은 안동에서 김천역까지 자동차, 김천역에서 수원을 거쳐 경성역까지 기차, 경성을 비롯한 유람은 자동차와 전차, 경인선을 이용했다. 둘째, 유람 장소는 당시의 경성 관련 관광지도에 등장하는 명소와 일치한다. 셋째, 위락공간으로 변모한 조선의 궁궐을 보면서 조선시대 왕조에 대한 회한과 근대 요소로 구축된 경관이 주는 경이로운 체험이 공존했다. 넷째, 조선총독부와 조선신궁을 방문하면서 식민지 체제에 적응한 경관 인식을 보였다. 다섯째, 교통의 발달로 명소로의 도달 시간은 축소되었고, 전기 보급으로 야간까지 개장된 공간에서 근대 경관 인식 범위의 확장을 경험했다. 여섯째, 지은이는 근대문물을 경험하면서도 가족 구성원의 조력자이자 중심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일곱째, 지은이는 지방 향촌 여성노인이지만, 문화적 교양을 갖추고 있었다. 본 연구는 경성의 근대 경관 인식에서 기존에 주목받지 못한 계층의 확장에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Gyeongseong cruise records of a 70-year-old woman in a local hometown in 1936. In order to derive the author’s actual modern landscape perception, the consistency of the recorded contents and the spatial structure was examined. First, vehicles from Andong Yean to Gyeongseong were used for transportation and routes from Andong to Gimcheon Station, trains from Gimcheon Station to Gyeongseong Station through Suwon, and cars, trams, and Gyeongin Line were used for cruises including Gyeongseong. Second, the cruise site coincides with the attractions appearing on the Gyeongseong-related tourist maps at the time. Third, while looking at the palace of Joseon, which has been transformed into an amusement space, the regrets about the Joseon Dynasty and the phenomenal experiences of the landscape built with modern elements coexisted. Fourth, while visiting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e Joseon Shrine, they showed landscape perception adapted to the colonial system. Fifth, the time to reach the attraction was reduc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range of modern landscape recognition in the space opened until night due to the supply of electricity. Sixth, the author experienced modern culture and recognized that she was a helper and center of family members. Seventh, the author is an elderly woman in a rural area, but she has cultural cultu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xpanding the class that has not previously received attention in the recognition of the modern landscape of Gyeongse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