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유동성위험의 평가

        배성미,김종대,안형태,조문기 한국기업경영학회 2016 기업경영연구 Vol.23 No.4

        This study investigates if liquidity risk can explain individual stock returns as a systematic risk in the Korean stock market. And, it examines whether market liquidity and its unexpected change increase at times of liquidity crisis such as the foreign currency crisis during 1997-1999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during 2007-2009 periods. It also tests if the liquidity risk itself, a sensitivity of individual stock return to unexpected change in market liquidity, increases at times of liquidity crisis. The final sample of 139,468 firm-months for periods of 1992∼2012 that satisfy the sample selection criteria. All sample firms are listed in the Korean stock marke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liquidity risk is evaluated by the investors as a systematic risk in addition to the market beta, firm size and book-to-market ratio that are known as systematic risks. That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unexpected change in market liquidity and individual stock returns, consistent with the prior studies. It indicates that the liquidity risk is recognized as an additional source of systematic risk in the Korean stock market. The result implies that the more sensitive a stock is to the unexpected change in market liquidity, the higher liquidity premium is required by the investors. Analysis of the monthly movement of liquidity in the Korean stock market reveals that the market liquidity and its unexpected change increased sharply around the foreign currency crisis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t also shows the increase of liquidity risk, the sensitivity of individual stock return to the unexpected change in market liquidity, at times of liquidity risk. Many incidents have been occurring that bring about turbulences in financial market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one of the underlying causes is referred to as lack of liquidity in the financial market. This study provides to the finance literature evidence of liquidity risk functioning as an additional source of systematic risk at Korean stock market, and it finds out that the liquidity risk itself differs depending on the level of market liquid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tant literature by presenting an additional evidence of liquidity risk as an additional systematic risk in the Korean stock market based on different sample period encompassing a world financial crisis. In addition, it uses a different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liquidity risk than the previous study. Despite those differences, this study ascertains the liquidity risk as a source of systematic risk in the Korean stock market. The result indicates that liquidity risk must be taken into account along with well-known risk factors in estimating expected return from assets. Also, it needs to be noted that unusual movement of liquidity at times of financial crisis increases the systematic risk of stock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식시장을 대상으로 유동성위험(liquidity risk)이 개별 기업의 기대수익률을 설명하는 체계적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검증한다. 또한 외환위기와 세계금융위기와 같은 유동성 위기 기간에 시장유동성과 비기대 시장유동성 변동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를 살펴보고, 이 시기 유동성위험의 크기가 그렇지 않은 기간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92년∼2012년까지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들 중 표본 선정 기준을 만족한 139,468 기업-월 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전 연구에서 개별 주식의 기대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확인된 시장베타, 기업규모, BE/ME ratio를 통제한 후에도 유동성위험 변수와 개별 주식 초과수익률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기대 시장유동성 변동에 민감한 주식일수록 높은 유동성 프리미엄을 요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외 연구와 일관되는 것으로 국내 주식시장에서도 유동성위험이 존재하며, 시장참여자들에 의해 체계적 위험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음을 제시한다. 월별 시장유동성 및 비기대 시장유동성 변동 패턴을 살펴본 결과에서도 1997년 외환위기와 2007년 세계금융위기 당시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도 시장유동성뿐만 아니라 비기대 시장유동성 변동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유동성위험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저축은행 유동성위험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배수현 한국상업교육학회 2021 상업교육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국내 79개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유동성위험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분석방법은 불균형패널자료(unbalanced panel data)를 사용하여 패널회귀분석을 실 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금조달갭과 예대율을 이용하여 측정한 유동성위험이 증가할 경우 저축은행의 구조적이익 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성위험이 클수록 수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 인하였다. 둘째, 대출자산이 증가할수록, 총자산규모가 클수록 유동성위험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대형 저축은행일수록 유동성위험 노출정도가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셋째, 다각화로 인 한 비이자수익이 증가할수록, 총자산경비율이 증가할수록 유동성위험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넷째, 거시경제변수 중 코픽스금리가 낮아질수록 유동성위험은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코픽스금리 가 낮을수록 대출수요가 증가하여 유동성위험이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섯째, 저축은 행 본점을 기준으로 수도권과 지방소재 저축은행으로 구분하여 유동성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금조달갭으로 측정한 유동성위험은 차별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수도권 소재 저 축은행들의 유동성위험이 더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저축은행 미시자료를 이용하여 유동성위험에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검증하고, 저축은행 영업구역에 따른 유동성위험의 차별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계점으로는 유동성위 험을 다각도로 측정하고, 최근 데이터 수집을 통해 유동성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면밀히 분석 할 것을 향후 과제로 남겨둔다.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the liquidity risk of savings banks. In this study, the semi-annual financial statements for the period 2014-2018 were used on the basis of a sample of 67 saving ban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by panel data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iquidity risk, the higher the structural margin. The higher the liquidity risk, the more positive it will have on profitability. Second, the more large savings banks, the greater the exposure to liquidity risk. Third, the liquidity risk decreases as non-interest income and total asset expenses increase. Fourth, it was estimated that the liquidity risk increases as the cofix rate decrease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n liquidity risk by dividing the business area, there was a difference in liquidity risk.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researching the determining factors affecting the liquidity risk of savings banks and verifying the differentiation of liquidity risk by savings bank business area. As a limitation, the liquidity risk is measured in a different way, and the liquidity risk is analyzed in more detail.

      • KCI등재

        국내 저축은행의 유동성과 가계자금대출간 관련성

        서지용(Ji-Yong Seo)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1

        본 연구는 최근 기준금리 인하, 가계대출 총량규제 완화, 국내 저축은행들의 고금리 예금발행 증가에 주목하였다. 향후 가계대출 증가에 대한 전망을 가늠한다는 측면에서, 가계대출과 유동성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유동성은 Chen, Shen, Kao, Yeh(2018)가 제시한 유동성 위험, 실가용자금비율을 의미하는 유동성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주요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계대출증가는 유동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유동성 위험의 증가, 실가용자금의 감소가 나타남으로써, Bonner(2016)의 주장이 입증되었다. 둘째, 은행 규모와 유동성 위험간에 부(-)의 비선형관계가 존재하였다. 소규모 은행일수록 유동성 위험증가 경향이 있으며, 대형은행일수록 유동성 위험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해당 결과는 Iannotta, Nocera, Sironi(2007)의 주장과 부합된다. 셋째, 유동성 위험을 증가시키는 저축은행 특성변수는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이며, 자본확충시 유동성이 제고되었다. 넷째, 유동성 위험을 감소시키는 경제변수는 높은 금리수준이며, 경제 확장국면에 은행의 실가용자금비중이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가계부채 증가는 저축은행의 유동성 위험을 증가시켜 자금조달여력이 제한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Current study focuses on recent lower base interest rate, relaxing regulation of household loan, and increasing sale of deposit with high rate in Korean savings bank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loan supply and bank liquidity in terms of forecasting the trend of household loan supply. Liquidity is categorized into liquidity risk suggested by Chen, Shen, Kao, Yeh (2018) and liquidity level representing ratio of real available fund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creasing household loan supply affects negatively liquidity. The increase of liquidity risk and the decrease of real available funds are broken out, and the evidences are line with the argument of Bonner (2016). Second, there is negativ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bank size and liquidity risk. The smaller bank is, the more increase liquidity risk is. Liquidity risk to big banks is abruptly decreased as size is grower, and this evidence supports to the result of Iannotta, Nocera, Sironi (2007). Third, savings banks’ characteristic variable leading to increasing liquidity risk is provision ratio, and liquidity level is enhanced if capital is expanded. Fourth, economic variable which makes liquidity risk decreased is high interest rate, and real available funds are decreased when economic expansion. As a result, the increase of household loan supply leads to limit funding capacity by increasing liquidity risk.

      • KCI우수등재

        유동성위험 주석의 정보유용성

        이상혁,유용근 한국회계학회 2023 회계학연구 Vol.48 No.1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liquidity risk disclosure in accordance with K-IFRS 1107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investors.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liquidity risk, measured as the difference in contractual cash flows and carrying amounts of financial liabilities in the maturity analysis disclosed in the liquidity risk disclosure, and the cost of capital which is a measure of the firm’s risk. Using samples listed on the KOSPI market from 2011 to 2018, the results show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liquidity risk and the cost of capital. This results indicate that liquidity risk disclosure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investor. On the other hand, this positive relationship appears when the level of information asymmetry is high, indicating that the information content depends on the firm’s financial reporting environment. Further analyses show that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liquidity risk and the cost of capital for firms with a small amount of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apital market or with high cost of debt. The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to examine the information content of quantitative information about liquidity risk disclosure. Second, through the results that liquidity risk disclosure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investors, this paper provides the policy implication for the regulators that more accurate liquidity risk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 investors through best practices. 본 논문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107호에 따라 공시되는 항목 중 유동성위험 주석이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지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유동성위험 주석 중 만기분석에 포함된 계약상 현금흐름과 장부금액의 차이를 유동성위험 금액으로 정의하고, 기업의 위험 측정치인 자기자본비용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정보유용성을 검증한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도입된 2011년부터2018년까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표본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유동성위험 금액과 자기자본비용 간 유의한 양(+)의관계를 보임으로써 유동성위험 주석이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이러한 양(+)의 관계는정보비대칭 정도가 높은 경우에 나타나고 있어, 기업의 재무보고 환경에 따라 정보유용성이 달라지는 것을 보여준다. 추가분석에서는정보의 양적 측면과 기업의 부채조달비용 측면에서 정보유용성에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자본시장에 제공된 정보의양이 적거나 부채조달비용이 높은 기업에서 유동성위험 금액과 자기자본비용 간 양(+)의 관계를 제시한다. 본 논문의 공헌점은 다음과같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유동성위험 주석의 양적 정보에 대한 정보유용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유동성위험 주석이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는 결과를 통해, 주석공시 모범사례 등을 통해 유동성위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투자수준문제와 유동성위험 기업의 부채만기구조와 레버리지간의 상호관계

        김수은 한국국제금융학회 2013 국제금융연구 Vol.3 No.2

        In this paper, we analyze empirically the relation between debt maturity structure and leverage in the context of investment level problems and liquidity risk of firms listed on Korea Exchange. In terms of methodology, we develop the simultaneous equations model that integrates leverage and debt maturity mode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liquidity risk effects of debt maturity on leverage should be more important for lower credit quality firms and firms that cannot easily lengthen their debt maturity. Low credit quality firms that face greater liquidity risk may demand longer term debt to reduce this risk, but find no lenders willing to supply it at reasonable cost. In contrast, higher credit quality firms likely face lower liquidity risk, and can also borrow longer term debt if liquidity risk concerns do arise. However, this study demonstrate that for lower credit quality firms, the liquidity risk effect offsets the attenuation effect of underinvestment problems so that the net effect of shortening debt maturity on leverage is neutral. And Leverag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debt maturity,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 in the leverage model. It provides further evidence that high liquidity risk caused by high leverage policy can be moderated by longer term debt maturity and that longer term(shorter term) debt maturity and high(low) leverage can be used as supplementary strategies to avoid the threat of suboptimal liquidation. Growth opportunities have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debt maturity. This suggests that there is economic relation between growth opportunities and debt maturity.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leverage and growth opportunities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leverage, implying that for high growth firms, the overall positive relation between leverage and debt maturity may become stronger. With respect to the overall effect of leverage itself and the interaction between leverage and growth opportunities on debt maturity, leverag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debt maturit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debt maturity structure and leverage in the context of investment level problems and liquidity risk. Our results provide a number of fresh insights into the overall effects of debt maturity on leverage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debt maturity and growth opportunities on leverage. 본 연구에서는 2001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수준문제와 유동성위험 기업의 부채만기구조와 레버리지간의 상호관계를 실증분석 하였으며,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채만기는 레버리지 비율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 즉, 부채만기를 단축시켜 단기부채의 비중을 증가시키면, 유동성위험이 증가하여 파산비용이 증가하고 부채수용력이 약화되어 레버리지가 감소한다. 성장기회는 레버리지에 음(-)의 영향을 미치며, 성장기회와 부채만기간의 상호작용변수도 레버리지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부채만기 단축이 성장기회가 레버리지 비율에 미치는 음(-)의 영향, 즉 과소투자 문제를 완화시킴을 의미한다. 부채만기 단축이 레버리지에 미치는 두 가지 상반된 효과, 즉 과소투자 완화효과와 유동성위험 증가효과를 서로 상쇄시킨 순효과는 기업의 신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신용도가 낮은 기업은 과소투자 완화효과와 유동성위험 증가효과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부채만기 단축이 레버리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신용도가 높은 기업은과소투자 완화효과가 유동성위험 증가효과보다 더 크기 때문에 부채만기 단축이 레버리지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신용도가 높은 기업은 유동성위험 증가를 이유로 레버리지를 축소시키지 않고도 부채만기 단축을 통해 과소투자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 레버리지 비율은 부채만기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 즉, 레버리지를 축소시키면 부채만기가 단축되고, 레버리지를 확대시키면 부채만기가 연장된다. 이러한 결과는 부채만기 단축(연장)과 레버리지 축소(확대)는 유동성위험에 대한 대체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성장기회는 부채만기에 음(-)의 영향을 미치고, 성장기회와 레버리지 비율간의 상호작용변수는 부채 만기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레버리지가 성장기회가 부채만기에 미치는 음(-)의 영향, 즉, 과소투자 문제를 완화시킴을 의미한다. 즉, 성장기회 그 자체는 부채만기를 직접적으로 단축시키지만, 성장기회와 레버리지 비율간의 상호작용변수는 과소투자 문제를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레버리지 단축을 통하여 과소투자 문제를 충분히 통제할 수 있는 기업은 성장기회가 부채만기에미치는 음(-)의 영향을 대부분 제거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투자수준문제와 유동성위험 기업의 부채만기구조와 레버리지간의 상호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부채만기는 그 자체뿐만 아니라, 성장기회와의 상호작용변수가 과소투자 문제와 유동성위험에 미치는 상반된 효과를 통하여 레버리지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부채만기가 레버리지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의 신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채만기와레버리지 정책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과소투자 문제와 유동성위험의 맥락에서 기업의 부채만기가 레버리지에 미치는 영향

        신민식,김수은 한국재무학회 2012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05

        본 연구에서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과소투자 문제와 유동성위험의 맥락에서 부채만기가 레버리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으며,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채만기는 레버리지 비율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 즉, 부채만기를 단축시키면 레버리지가 축소되고, 부채만기를 연장시키면 레버리지가 확대된다. 따라서 부채만기를 단축시켜 단기부채의 비중을 증가시키 면, 유동성위험이 증가하여 파산비용이 증가하고 부채수용력이 약화되어 레버리지가 감소한다. 성장기회 는 레버리지에 음(-)의 영향을 미치며, 성장기회와 부채만기간의 상호작용변수도 레버리지에 음(-)의 영 향을 미치는데, 이는 부채만기 단축이 성장기회가 레버리지 비율에 미치는 음(-)의 영향, 즉 과소투자 문 제를 완화시킴을 의미한다. 부채만기 단축이 레버리지에 미치는 두 가지 상반된 효과, 즉 과소투자 문제 완화효과와 유동성위험 증가효과를 서로 상쇄시킨 순효과는 기업의 신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신용도가 낮은 기업은 부채만기 단 축으로 인한 유동성위험 증가효과가 과소투자 문제 완화효과보다 더 크기 때문에 부채만기 단축이 레버 리지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신용도가 높은 기업은 과소투자 문제 완화효과가 유동성위험 증가효과보다 더 크기 때문에 부채만기 단축이 레버리지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신용도가 높은 기업은 유동성위험 증가 를 이유로 레버리지를 축소시키지 않고도 부채만기 단축을 통해 과소투자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 레버리지 비율은 부채만기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 즉, 레버리지를 축소시키면 부채만기가 단축되고, 레버리지를 확대시키면 부채만기가 연장된다. 이러한 결과는 부채만기 단축(연장)과 레버리지 축소(확대) 는 유동성위험에 대한 대체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성장기회는 부채만기에 음(-)의 영향을 미치지만, 성장기회와 레버리지 비율간의 상호작용변수는 부채만기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레 버리지가 성장기회가 부채만기에 미치는 음(-)의 영향, 즉, 과소투자 문제를 완화시킴을 의미한다. 즉, 성 장기회 그 자체는 부채만기를 직접적으로 단축시키지만, 성장기회와 레버리지 비율간의 상호작용변수는 부채만기를 간접적으로 연장시키므로, 이 두 가지 효과를 합한 총효과는 성장기회의 크기에 관계없이 양 (+)의 값이 된다. 따라서 레버리지 단축을 통하여 과소투자 문제를 충분히 통제할 수 있는 기업은 성장 기회가 부채만기에 미치는 음(-)의 영향을 대부분 제거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부채만기가 과소투자 문제와 유동성위험의 맥락에서 레버리지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부채만기는 그 자체뿐만 아니라, 성장기회와의 상호작용변수가 과소투자 문제와 유동성위 험에 미치는 상반된 효과를 통하여 레버리지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부채만기가 레버리지에 미치는 영향을 기 업의 신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채만기와 레버리지 정책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In this paper, we analyze empirically the effects of debt maturity on leverage in the context of underinvestment problems and liquidity risk of firms listed on Korea Exchange. In terms of methodology, we develop the simultaneous equations model that integrates leverage and debt maturity mode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Debt maturity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leverage. This result supports the liquidity risk hypothesis that predict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debt maturity and leverage(Diamond, 1991 and 1993). Growth opportunities have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leverage. This result provides strong support for the underinvestment hypothesis(Myers, 1977).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debt maturity and growth opportunities has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leverage, implying that for high growth firms, the overall positive relation between debt maturity and leverage may become weaker. With respect to the overall effect of debt maturity itself and the interaction between debt maturity and growth opportunities on leverage, debt maturity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leverage. The liquidity risk effects of debt maturity on leverage should be more important for lower credit quality firms and firms that cannot easily lengthen their debt maturity. Low credit quality firms that face greater liquidity risk may demand longer term debt to reduce this risk, but find no lenders willing to supply it at reasonable cost. In contrast, higher credit quality firms likely face lower liquidity risk, and can also borrow longer term debt if liquidity risk concerns do arise. For lower credit quality firms, the relatively large liquidity risk effect outweighs the attenuation effect of underinvestment problems so that the net effect of shortening debt maturity on leverage is negative. Thus, lower credit quality firms can try to attenuate the negative effect of growth opportunities by shortening debt maturity, but on the end this does not increase leverage. On the contrary, the negative direct effect of the increased liquidity risk on leverage more than offsets the positive attenuation effect, producing a net reduction in leverage.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Mauer and Ott's(1998) theoretical model in which firms that shorten debt maturity to reduce underinvestment problems can also reduce leverage to avoid liquidity risk. For higher credit quality firms, the positive effect of reducing underinvestment problems outweighs the effect of increasing liquidity risk so that the net effect of shortening debt maturity on leverage is positive. Thus, higher credit quality firms can shorten debt maturity to reduce underinvestment problems without having to reduce leverage because of liquidity risk. Leverag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debt maturity,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 in the leverage model. It provides further evidence that high liquidity risk caused by high leverage policy can be moderated by longer term debt maturity and that longer term(shorter term) debt maturity and high(low) leverage can be used as supplementary strategies to avoid the threat of suboptimal liquidation. Growth opportunities have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debt maturity. This suggests that there is economic relation between growth opportunities and debt maturity.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leverage and growth opportunities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leverage, implying that for high growth firms, the overall positive relation between leverage and debt maturity may become stronger. With respect to the overall effect of leverage itself and the interaction between leverage and growth opportunities on debt maturity, leverag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debt maturit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otential dynamics of debt maturity on leverage in the context of underinvestment problems and liquidity risk. Our results provide a number of fresh insights into the overall effects of debt maturity on leverage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debt maturity and growth opportunities on leverage. This paper may have a few limitations because it may be an only early study about the effects of debt maturity on leverage in the context of underinvestment problems and liquidity risk of Korean firms. Therefore, we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sample firms and control variables, and use more elaborate analysis methods in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기업의 부채만기가 과소투자 문제와 유동성위험의 맥락에서 레버리지에 미치는 영향

        신민식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경영교육연구 Vol.28 No.5

        본 연구에서는 2001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부채만기가 과소투자 문제와 유동성위험의 맥락에서 레버리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으며,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채만기는 레버리지 비율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 즉, 부채만기를 단축시키면 레버리지가 축소되고, 부채만기를 연장시키면 레버리지가 확대된다. 따라서 부채만기를 단축시켜 단기부채의 비중을 증가시키면, 유동성위험이 증가하여 파산비용이 증가하고 부채수용력이 약화되어 레버리지가 감소한다. 성장기회는 레버리지에 음(-)의 영향을 미치며, 성장기회와 부채만기간의 상호작용변수도 레버리지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부채만기 단축이 성장기회가 레버리지 비율에 미치는 음(-)의 영향, 즉 과소투자 문제를 완화시킴을 의미한다. 부채만기 단축이 레버리지에 미치는 두 가지 상반된 효과, 즉 과소투자 완화효과와 유동성위험 증가효과를 서로 상쇄시킨 순효과는 기업의 신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신용도가 낮은 기업은 과소투자 완화효과와 유동성위험 증가효과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부채만기 단축이 레버리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신용도가 높은 기업은 과소투자 완화효과가 유동성위험 증가효과보다 더 크기 때문에 부채만기 단축이 레버리지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신용도가 높은 기업은 유동성위험 증가를 이유로 레버리지를 축소시키지 않고도 부채만기 단축을 통해 과소투자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 레버리지 비율은 부채만기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 즉, 레버리지를 축소시키면 부채만기가 단축되고, 레버리지를 확대시키면 부채만기가 연장된다. 이러한 결과는 부채만기 단축(연장)과 레버리지 축소(확대)는 유동성위험에 대한 대체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성장기회는 부채만기에 음(-)의 영향을 미치고, 성장기회와 레버리지 비율간의 상호작용변수는 부채만기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레버리지가 성장기회가 부채만기에 미치는 음(-)의 영향, 즉, 과소투자 문제를 완화시킴을 의미한다. 즉, 성장기회 그 자체는 부채만기를 직접적으로 단축시키지만, 성장기회와 레버리지 비율간의 상호작용변수는 과소투자 문제를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레버리지 단축을 통하여 과소투자 문제를 충분히 통제할 수 있는 기업은 성장기회가 부채만기에 미치는 음(-)의 영향을 대부분 제거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부채만기가 과소투자 문제와 유동성위험의 맥락에서 레버리지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부채만기는 그 자체뿐만 아니라, 성장기회와의 상호작용변수가 과소투자 문제와 유동성위험에 미치는 상반된 효과를 통하여 레버리지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부채만기가 레버리지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의 신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채만기와 레버리지 정책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analyzes empirically the effects of debt maturity on leverage in the context of underinvestment problems and liquidity risk of firms listed on Korea Exchan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Debt maturity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leverage. This result supports the liquidity risk hypothesis that predict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debt maturity and leverage(Diamond, 1991 and 1993). Growth opportunities have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leverage. This result provides strong support for the underinvestment hypothesis(Myers, 1977).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debt maturity and growth opportunities has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leverage, implying that for high growth firms, the overall positive relation between debt maturity and leverage may become weaker. With respect to the overall effect of debt maturity itself and the interaction between debt maturity and growth opportunities on leverage, debt maturity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leverage. The liquidity risk effects of debt maturity on leverage should be more important for lower credit quality firms and firms that cannot easily lengthen their debt maturity. Low credit quality firms that face greater liquidity risk may demand longer term debt to reduce this risk, but find no lenders willing to supply it at reasonable cost. In contrast, higher credit quality firms likely face lower liquidity risk, and can also borrow longer term debt if liquidity risk concerns do arise. However, this study demonstrate that for lower credit quality firms, the liquidity risk effect offsets the attenuation effect of underinvestment problems so that the net effect of shortening debt maturity on leverage is neutral. Thus, lower credit quality firms can try to attenuate the negative effect of growth opportunities by shortening debt maturity, but on the end this does not increase leverage. For higher credit quality firms, the positive effect of reducing underinvestment problems outweighs the effect of increasing liquidity risk so that the net effect of shortening debt maturity on leverage is positive. Thus, higher credit quality firms can shorten debt maturity to reduce underinvestment problems without having to reduce leverage because of liquidity risk. Leverag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debt maturity,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 in the leverage model. It provides further evidence that high liquidity risk caused by high leverage policy can be moderated by longer term debt maturity and that longer term(shorter term) debt maturity and high(low) leverage can be used as supplementary strategies to avoid the threat of suboptimal liquidation. Growth opportunities have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debt maturity. This suggests that there is economic relation between growth opportunities and debt maturity.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leverage and growth opportunities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leverage, implying that for high growth firms, the overall positive relation between leverage and debt maturity may become stronger. With respect to the overall effect of leverage itself and the interaction between leverage and growth opportunities on debt maturity, leverag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debt maturit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otential dynamics of debt maturity on leverage in the context of underinvestment problems and liquidity risk. This study provides a number of fresh insights into the overall effects of debt maturity on leverage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debt maturity and growth opportunities on leverage.

      • KCI등재

        은행의 위험부담과 구조적 이익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조성제,박순식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1

        은행은 신용위험, 시장위험, 유동성위험 등 위험(risk)을 부담하는 대가로 이익을 창출한다. 그러므로 은행의 수익성 결정요인을 분석함에 있어 이들 위험을 측정하는 지표를 적정히 설정하고 수익성 지표도 안정적이어야 그 관계를 잘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용위험 및 시장위험의 사전적인 측정지표로서의 위험가중자산비율과 유동성위험을 설명변수로 선택하고 수익성 지표로 구조적 이익을 사용하여 위험부담과 이익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국내은행의 경우 신용위험 및 시장위험 부담 증대는 구조적 이익 증대로 연결되고 유동성위험은 낮추는 것이 이익 증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용위험 및 시장위험을 적극적으로 부담하지 않는 영업행태로는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확보할 수 없으며 금융시장의 변동성에 대한 손실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정한 유동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nks’risk-taking and their structural profit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inancial intermediary service, which generate revenue in exchange for taking on credit, market and liquidity risks. Using a fixed-effects model, it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the structural profits of seventeen domestic banks from 2002 to 2011.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credit and market risks, which are proxied by the ratio of risk-weighted assets to total assets, affect their structural profits in a significantly positive direction, confirming the need for active risk-taking portfolio selection to expand the long-term revenue base. In terms of liquidity risk, reducing the burden of the risk affects profitability positively, despite taking opportunity losses caused by the holding of liquid assets. This is considered attributable to low predictability of interest rates and other financial market conditions due to the high volatility of domestic financial markets. Besides, the expansion of market share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increase of structural profit in the short-term due to the intense competition in the banking sector, while the enhancement of management efficiency contributes to improving profitability as in average corporations. On the cost side, if the reliance on equity capital and cheap funding from current deposits is high, the rate of profit is also high.

      • LCAPM 모델 기반 국내 주식시장의 유동성 위험에 관한 실증 연구

        이선영 한국재무학회 2019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1

        본 연구는 국내 주식시장에서 Acharya and Pederson(2005)논문에서 제시한 유동성 조정된 자산 가격 결정 모형 (Liquidity adjusted CAPM, 이하 LCAPM)에 기반하여 유동성 위험에 관한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Amihud 측정치를 유동성 측정치로 두었으며, 유동성이 낮은 포트폴리오일수록 유동성 베타(Liquidity Beta)가 높은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이론에서 예상한 바와 유사하게 유동성이 낮은 포트폴리오일수록 일반적으로 유동성 베타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유동성 베타가 pricing 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각 유동성 베타를 기준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였다. 유동성 베타가 높을수록 월별 수익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개별 주식 단위에서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유동성 수준이 낮을 수록 기대 수익률이 높아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유동성 위험의 경우 유동성 동행화의 정도가 높을수록 기대 수익률이 높은 결과를 보였고, 시장 수익률이 하락하는 상황에서 유동성이 높은 개별 자산에 대한 선호로 더 낮은 요구수익률을 보이는 효과에 관한 부분 역시 기대 수익률과 음(-)의 관계를 보여 개별 주식의 기대 수익률을 구성하는 중요한 고려요소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an empirical study on liquidity risk based on the liquidity adjusted CAPM (LCAPM) from Acharya and Pedersen(2005). The Amihud(2002) measure was used as a measure of liquidity, and it was verified whether the lower liquidity portfolio had a higher liquidity beta. As expected from the theory, lower liquidity portfolios generally tend to have higher liquidity beta. In addition, a portfolio was formed by each liquidity beta to verify whether the liquidity beta is priced. The higher liquidity beta tended to have higher monthly return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regression analysis on individual stock units has been conducted. As expected, higher illiquidity portfolio had higher return. Also, regarding liquidity risk, higher commonality in liquidity (beta2) had higher expected return. Beta4 was also important factor, as was suggested in Acharya and Pedersen(2005) with the US case. Since beta1 and beta3 showed different sign, further research and different measures of estimation needs to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자본 및 유동성 위험수준이 은행의 위험감수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지용(Ji-Yong Seo)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5

        본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확산에 따라 실물경제 위축에 대비하는 금융감독당국의 은행 규제완화가 은행 위험감수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했다. 최근 Tongurai, Vithessonthi(2020)의 연구는 은행의 위험감수행위를 사전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은행 규제강화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따라서, 은행 규제완화가 자칫 은행권의 위험감수행위 유발로 인해 재무적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하지만, 오히려 규제강화조치가 위험감수행위를 조장하기 때문에 규제완화에도 재무적 건전성 유지에 문제가 없다는 선행연구결과도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는 규제변화에 따른 자본 및 유동성 위험수준의 변화가 국내 은행의 위험감수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본 및 유동성 위험수준이 높아질 경우 위험감수경향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ongurai, Vithessonthi(2020)의 주장은 지지되지 못하고, 상반된 연구결과를 제시했던 Haque(2019) 등의 주장이 설득력을 가진다. 둘째, 유동성 위험수준 보다 자본위험수준의 변화가 은행의 위험감수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금융감독당국의 자본 및 유동성 규제완화 조치는 은행의 위험감수를 초래할 가능성이 낮다는 측면에서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relaxation of regulation to banks in terms of preparing for slowing real economy ascribing to COVID-19 on risk taking behavior of banks. Recent study, Tongurai, Vithessonthi (2020), reported that enhancement of regulation to banks should be required to make risk taking behavior refrained proactively by banks themselves. Therefore, it is concerned that relaxation of regulation may result in financial insolvency attributed to risk taking behavior. However, other literatures that tight regulation leads to risk taking behavior and soften regulation stance does not bring out deterioration of financial soundness were suggested. This study examines empirically on the effect of the change of capital and liquidity risk level depending on regulation stance on risk taking behavior to Korean bank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capital or liquidity risk level is, the more decrease risk taking behavior is. The evidence is not line with Tongurai, Vithessonthi (2020), and supports to the result of Harque (2019) with directly-opposed ideas to Tongurai, Vithessonthi (2020). Second, the change of capital risk level much more influential to risk taking behavior than that of liquidity one. As a conclusion, it is estimated that relaxation steps of regulation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authority is appropriate in that the possibility of causing risk taking behavior is 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