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의 유네스코회관 초기 계획안(1959)에 관한 고찰

        우동선 한국건축역사학회 2022 건축역사연구 Vol.31 No.2

        이 연구는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1946-1979)가 1960년에 작성한 유네스코회관의 초기 설계안인 「유네스코 신축공사」 설계도서와 그 건립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유네스코회관이 1950년부터 계획될 때의 설계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이를 통해서 유네스코회관을 둘러싼 당대의 사회문화적 기대와 요구를 조명하고, 건축가가 구현하고자 했던 안에 주목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유네스코회관은 계획부터 준공까지 약 8년을 소요하며 몇 차례 설계변경을 거치면서 층수와 용도가 대폭 바뀌었기 때문이다. 유네스코회관은 1954년에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설립된 직후부터 그 건립이 논의되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부족한 재정으로 인해 서울 내 협소한 공간들을 옮겨 다녔기 때문에 독자적인 공간이 필요했고, 당시 프랑스 파리에 유네스코 본부 청사 신축 소식이 들려오면서 국내에 유네스코회관을 건립하자는 요구는 본격화되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활동의 성격과 국내의 공공문화시설의 부족으로 인해 유네스코회관은 도서관, 전시관, 극장, 강당, 사무실 등이 복합된 현대적인 건물로 계획되었다. 1959년에 개최된 현상설계공모를 통해서 배기형의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의 설계안이 선정되었고, 1960년에 설계도서가 작성되었다. 유네스코회관은 배기형이 밀도 높은 도심지에 고층 철근콘크리트 건축을 실현한 첫 번째 프로젝트였다. 1966년 설계변경이 있기 전에 제출된 초기 계획안은 유네스코회관이 단순한 사무용 건물이 아닌 복합문화시설로서 계획되었으며, 배기형이 근대건축의 어휘들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려고 하였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과 크로아티아, 발전 전략과 그 의미 : 두브로브니크를 중심으로

        김철민(Chul-Mi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5 동유럽발칸연구 Vol.39 No.4

        크로아티아에는 총 6개의 문화유산과, 플리트비츠 호수라는 1개의 자연유산을 합쳐 총 7개의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이 등록되어 있다. 이중, 두브로브니크(Dubrovnik)는 세계 여러 중세 고성들 중에서도, 그 형태를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세계적 관광지이자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곳곳에서 매년 수많은 관광객들이 이곳을 방문하고 있다. 중세 라구사(Ragusa) 공국으로 불리던 두브로브니크는 서양과 동양, 그리고 아메리카 등 세계 곳곳을 넘나들며 중개 무역 국가로써 그 부와 명성을 떨쳐왔었다. 중세 도시의 특징을 고스란히 간직한 두브로브니크 성은 1979년 유네스코에 지정되었으며, 1994년에는 성 밖 중세 유적들까지로 그 범위가 확장되어,‘역사의 보물 창고’란 찬사를 받고 있다. 하지만, 유고 내전의 여파와 1991년-1992년 세르비아 군과 민병대의 포격으로 인해 세계적 문화유산인 두브로브 니크는 파괴되어야만 했다. 이후 유네스코는 ‘역사적 유산 가치로써의 두브로브니크’의 의미를 인정하고, ‘재건 의지와 세계유산 복원의 주요 모델로써의 가치’에 따라 그 복원 작업에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본 연구에선 유네스코가 두브로브니크를 세계 문화유산으로 선정한 배경과 그 가치를 기초로, 파괴된 두브로브니크 복원과 재건이 유네스코에게 어떠한 의미로 다가섰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유네스코의 세계유산 발전 전략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There are seven UNESCO World Heritage Sites in Croatia(Hrvatska): six cultural heritage(Historical Complex of Split with the Palace of Diocletian, Episcopal Complex of the Euphrasian Basilica in the Historic Centre of Poreč, Historic city of Trogir, Cathedral of Saint James in Šibenik, Stari Grad Plain in Hvar and Old City of Dubrovnik) and one natural heritage(Plitvice Lakes National Park). Among these heritages, Dubrovnik is a tourist destination, and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which holds its best shape among several medieval castles in the world. Every year, many tourists from all over the world are visiting this place. During medieval times, she was called ‘Ragusa principality’. Ragusa Principality, as a intermediary trade country like a Venice Principality, has accumulated its wealth and fame across the Western, the Oriental area, and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America. Dubrovnik is called “treasure trove of history” which safely ret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eval city. So, the UNESCO designated Dubrovnik for UNESCO World Heritage Sites in 1979. Since then, its scope was extended to medieval hermitages outside of castle in 1994. During the Yugoslavian Civil War, this city, world heritage site, has to suffer the pain of being destroyed by the shelling of the serbian army and military operation of serbian national minority. Since that time, UNESCO has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the ‘Dubrovnik as historic heritage value’, and has fully supported the restoration for the ‘value as restored model of World Heritage and rebuilding will of UNESCO’. In this study, I will study how UNESCO estimated a value of Dubrovnik as a World Heritage Site. And I will analyze what the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of Dubrovnik has implications to UNESCO, and based on this, I will explore a world heritage development strategy of UNESCO and its implications.

      • KCI등재

        유네스코 2003 협약 체제하의 몽골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한-몽 협력과 그 성과-몽골 인간문화재 제도구축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박원모 한국몽골학회 2021 몽골학 Vol.- No.66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UNESCO's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2003), Mongolia actively accomodated UNESCO's policy for safeguard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particular, Mongolia has established national safeguarding system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line with international norms within the framework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hrough UNESCO. This article describes the Korea-Mongolia joint cooperation project for the safeguarding of Mongoli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r 10 years from 2007 to 2018 under the UNESCO 2003 Convention framework and its achievements, focusing on the project of establishing the living human treasure system in Mongolia. The sup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played a major role in establishing an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safeguard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strengthening its information capabilities in Mongolia. In particular, the ICHCAP has supported the project since 2007, when it was the preparatory organization before its official establishment in 2011. This paper first introduces the contents and achievements of the project of establishing the safeguarding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Mongolia through ICHCAP from 2007 to 2010. In addition, it introduces analog data restoration and digitalization projects (2011-2012),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ording and video production projects (2013, 2015-2017) and photographs and video exhibitions (2018) to enhance awarenes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Mongolia, which have been continuing in the framework of the Korea-Mongolia cooperation project.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2003) 채택을 전후로 몽골은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보호 정책을 적극적으로 수용한다. 특히, 몽골은 유네스코를 통한 국제협력의 틀 속에서 국제적인 규범에 걸맞는 국가 차원의 무형문화유산 보호 체계를 확립하게 된다. 본 논문은 유네스코 2003 협약 체제하에서 지난 2007년부터 2018년까지 10여년에 걸쳐서 진행된 몽골의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한-몽 공동협력 사업과 그 성과를 몽골의 인간문화재 제도구축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다. 몽골이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고 정보 역량을 강화하는 데는 한국의 지원이 큰 역할을 하였다. 특히, 2011년에 한국에 설립된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설립 이전 설립기획단 시절인 2007년부터 몽골의 무형문화유산 보호제도 구축 사업을 지원하였다. 본 논문은 먼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를 매개로 한 한국과 몽골 간의 몽골 무형문화유산 보호제도 구축 지원사업의 내용과 그 성과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한-몽 협력 사업의 틀 속에서 계속된 몽골 무형문화유산 정보 역량 강화를 위한 아날로그 자료복원 및 디지털화 사업(2011-2012) 및 무형문화유산 기록사업 및 영상제작 사업(2013, 2015-2017)과 무형문화유산 인식 제고를 위한 사진 및 영상전(2018) 등을 소개하고 있다.

      • KCI등재

        유네스코 평화교육의 한반도 현지화

        강순원(Kang, Soon-Wo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유네스코의 존립근거인 평화교육의 발달과정과 관련 규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해독하여 재구성한 후,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토대로서 유네스코 평화교육의 현지화(localization)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유네스코는 1945년 설립 이래 교육차별 금지 협약을 비롯하여 인권, 반차별, 다양성, 환경, 평생교육 등 사회적 핵심 교육현안 주제를 다루는 국제규약을 선언하였다. 이를 전 세계 회원국의 교육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 준거라고 가정할 때, 그 기본 원리는 평화권 기반, 정의 기반의, 관용과 비폭력 및 다양성 중심의, 홀리스틱 교수법 등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남북한이 공히 유네스코 회원국으로서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교육을, 상대 체제의 흡수를 전제하는 논쟁적 통일교육이 아닌 유네스코 평화교육 실천을 통해 추진하는 것이, 유네스코 평화교육의 현지화 전략으로서 타당하다. This paper aims to make the localization strategy of UNESCO peace education at the basis of peacebuilding in the Korean peninsula, by the way of codifying the UNESCO peace education-related documents and reconstructing them. Peace education surely is at the heart of UNESCO’s raison d être. Since the inauguration of UNESCO in 1946, in response to political and social developments, lots of UNESCO documents on the global issues such as human rights, anti-discrimination, diversity, environment and lifelong learning have been ratified in the name of declaration, recommendation and convention. The‘convention against discrimination in education.’is the foremost one among them. With an Assumption that they are the universal criteria to be applied to the UNESCO member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UNESCO peace education is composed of four elements that are the rights to peace for the culture of peace, global justice-based, tolerance/nonviolence/diversity, and holistic pedagogy. Thus, UNESCO peace education might be the shared definition for ROK and DPRK as a member country of UNESCO. This is the reason why I suggest the localization of UNESCO peace education for the peacebuilding in the Korean peninsula rather than forging the reunification education that provokes lots of disagreements between two antagonistic systems.

      • KCI등재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을 활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의 모색

        백지연,이은애,정창록 한국의료윤리학회 2016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9 No.3

        2005년 10월 19일 프랑스 파리 제33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채택된 ‘생명윤리와 인권 보편선언(Universal Declaration on Bioethics and Human Rights)’은 의학, 생명과학 및 관련 기술과 관련된 윤리적 문 제들을 그 사회적, 법적, 환경적 측면에서 다룬다. 유네스코는 생명윤리와 인권 보편선언의 실천을 위해 전 세계 의과대학생들을 위한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 프로그램(UNESCO Bioethics Core Curriculum)’ 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는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이 번역, 출판되어 있지 않으 며 이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필자들은 국제적인 합의를 바탕으로 한 유네스코 생명윤리교육 과정을 한국의 의대, 약대, 간호대를 비롯한 보건의료 관련 대학 학생들의 도덕에 관한 비판적 사고력 향 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은 먼저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의 이론적 토대가 되 는 생명윤리와 보편적 인권선언과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의 목적 및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대해 소개한다. 다음으로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 및 사례집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정리해 본다. 마지막으로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 프로그램 중 사례집을 활용한 생명의 료윤리교육의 구체적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방안(교수학습방법으로 콜버그[L. Kohlberg]의 딜레마 토 론법[Dilemmas for Moral Reasoning]을, 학습평가방법으로 레스트[J. Rest]의 도덕 판단력 검사법[DITDefining Issues Test])을 제안하고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biomedical ethics education module that is used in the UNESCO Bioethics Core Curriculum. Many universities across several countries have not yet incorporated bioethics into their curriculums. We believe that introducing UNESCO Bioethics Core Curriculum Casebook Series in universities will provide an incentive to include such a module in study programs, thus offering a strong foundation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biomedical ethic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describe how they introduced teachers and students to the UNESCO-Bioethics Core Curriculum, based on the 2005 Universal Declaration on Bioethics and Human Rights and then examined the model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provided in the UNESCO Bioethics Core Curriculum Casebook Series. As per the curriculum, the authors suggest that the teaching module should include the following four elements: objectives, content, methods, and evaluation.

      • KCI등재

        한ㆍ중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에 관한 연구

        송미숙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4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0 No.1

        본 연구는 한․중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현황에 대한 연구로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의 의미와 한국과 중국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둘러싼 이해관계와 해법 등 한국의 무형문화재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제도의 선정 및 등재 기준, 한국과 중국의 무형문화제도 및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세계문화 유산 헌장 및 선언문, 잡지, 신문, 세계유산위원회 운영지침에 관한 각종 문서 등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유네스코는 최초의 국제연합전문기관으로서, 2001년부터 격년제로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제도를 통해 세계 각국의 뛰어난 가치를 지닌 구전 및 무형유산의 등재신청을 받아 지정해왔다.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기 위한 각국의 전략도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으며, 무형문화의 소유권을 둘러싼 갈등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한국과 교류가 많았던 중국과 전통문화의 종주권 문제를 둘러싼 국가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등재를 둘러싼 한․중 문화갈등 종목을 살펴보면, 첫째, 고구려 고분을 2004년 중국과 북한에서 각각 등재, 둘째, 단오제 관련해서 2005년 한국의 강릉단오제 등재, 2009년 중국에서 단오제를 용선축제로 등재, 셋째, 농악관련해서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농무 2006년 등재, 넷째, 전통의학 관련해서 2009년 한국의 동의보감 등재, 2011년 중국의 침구 등재, 2012년 한국의 아리랑 등재 등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총 5종목의 문화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향후 이런 경쟁은 더욱 치열하게 전개될 것이다. 따라서 양국 간 문화 충돌로 발전하지 않도록 합당한 규범을 수립하는 한편, 한국의 전통문화예술을 전 세계에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무형문화유산을 유네스코에 등재하기위한 적극적 외교활동을 펼쳐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for the registration of Korea‐China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of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gistration, and how to register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Korea as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resolving conflicts with China. To identify the standards and criteria of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tatu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management systems of Korea and China, and the status of registration of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nstitution, declarations, magazine, newspapers and worldwide heritage committee operational guidelines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UNESCO is the first UN specialized institution and has been appoin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the request of registration of orally transmitted 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with high values through Oral or Intangible Masterpiece System every other year from 2001. Competition of the countries to be registered as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getting fiercer and conflicts around the ownership of intangible culture have arisen. In particular,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for Suzerainty are getting fiercer because of long history of interchanges. When looking into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around the registration of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followings are found; first, Goguryo tombs were registered by China and by North Korea respectively in 2004. Second, relating Danoje, Korea registered Gangreung Danoje in 2005 and China registered it as Yongseon Festival in 2009. Third, relating Nongak (Korean traditional music played by farmers) Nongmu by Chosun people living in China was registered in 2006. Fourth, relating with traditional medicine, Donguibogam in Korea was registered in 2009, while China registered acupuncture in 2011. From 2004 to 2012, there were cultural conflicts between two nations in 5 items including the registration of Arirang by Korea in 2012. In the future such competitions will be fiercer. Therefore, we need to establish fair and reasonable norms so that it would not be developed into the conflicts between two nations, to promot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 to the rest of the world and to perform active diplomatic activities to register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UNESCO as the culture of Korea.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의 문화정치학-유네스코 체제에 대한 한국의 대응을 중심으로-

        정수진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6 No.-

        UNESCO's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ts registration system are exerting strong influence on the cultural production in any country. And the registration competition rising in Korea, China and Japan, is making the UNESCO regime the cultural battlefield. It is the unintended consequence, so that UNESCO is putting forth a multilateral effort into solving the problem. But in my opinion, it isn't easy to solve the problem. Because UNESCO regime isn't exempt from the global context today, in that the cultural political scape unfolded in a variety of ways. This paper is assuming UNESCO regime the dynamic and symbolic field that the every space in a world that deterritorialized with the globalization is reterritorialized on the newly multiple ways. And it analyse how Korea is involved in that field's cultural war. The transformation of the legal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ith it's own rules and norms for the past 50 years ; the new classif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placed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 those are the main focuses of the examination. And this paper pays special attentions to the hybridization between the global convention and domestic system and the reconsolidation of state's control over culture.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협약과 그 등재 시스템이 각국의 문화 생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한․중․일 삼국에서 비롯한 등재 경쟁으로 말미암아 유네스코 체제는 무형문화의 유산화를 위한 전쟁터가 되어 가고 있다. 그 누구도 예상치 못한 결과로, 유네스코에서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그 해결 방안이 쉽게 마련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현재 전지구적 차원에서 다종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는 문화정치적 정경을 고려할 경우, 유네스코 체제 역시 그로부터 자유롭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유네스코 체제야말로 전지구화를 통해 ‘탈영토화’한 세계의 모든 공간이 새롭고도 중층적인 방식으로 ‘재영토화’하는 역동적, 상징적인 장이라는 전제 아래, 이른바 ‘인류무형문화유산’이라는 상징적 재화와 그 정치․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을 둘러싼 투쟁의 장에 한국이 어떤 방식으로 참여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구체적으로, 무형문화유산 협약 체결을 계기로 지난 50여 년 간 운용해 오던 무형문화재 제도의 탈바꿈 과정, 그리고 무형문화재를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정의로 확대 개편하면서 도입한 새로운 분류체계가 주된 고찰의 대상이었다. 특히 그 과정에서 펼쳐지고 있는 국제 협약과 국내 제도 간의 혼성화 문제, 문화에 대한 국가 지배력의 재 강화 양상을 천착했다.

      • KCI우수등재

        네트워크 문화거버넌스 모델로 분석한 선진 5개국 유네스코외교

        김화정(Hwajung Kim),조기숙(Kisuk Cho) 한국정치학회 2020 한국정치학회보 Vol.54 No.5

        최근 한국정부의 적극적인 유네스코외교가 주목받고 있다. 본고는 성공적인 유네스코외교 추진국으로부터 시사점을 얻기 위해 문화외교 분석에 적용가능한 네트워크 문화거버넌스모형을 제안했다. 대표적인 유네스코외교선진국(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과 우리와 유사한 중견국 공공외교를 추진하는 캐나다를 사례로 선정하여 정부, 문화시장, 시민사회 3자의 유인구조와 상호작용에 관한 자료를 관계자 면접과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했다. 연구결과는 세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유네스코외교에서 정부의 역할과 정부와 시민사회 협력이 중요한데 비해, 시장의 역할은 제한적이어서 2자 모형이 더 적절하다. 둘째, 정부와 시민사회의 균형은 중앙정부주도형, 민간주도형, 혹은 민관협력형으로 다양하게 나타나 거버넌스 유형 자체가 성공에 중요하진 않았다. 끝으로 유네스코외교의 결정적인 성공 요인은 국제규범 (혹은 주요이슈 영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뚜렷한 정책의지, 시민사회의 자생력과 응집력의 자율성을 키워줄 수 있는 환경 조성, 비정치적 분야인 유네스코를 활용한 국제지역연대 구축을 위한 국가위원회의 리더십 발휘라는 함의를 얻었다. South Korean government is recently noted for its active UNESCO diplomacy. This paper offers a network cultural governance model to be applicable to advanced countries of cultural diplomacy. Five countries are selected for either their renowned UNESCO diplomacy(Great Britain, Germany, France, and Japan) or Korea’s role model as middle power diplomacy (Canada). Interactions of the government, civil society, culture market are analyzed to discern their incentive structure after collecting data through survey and interviews of the relevant stake-holders. The results render three conclusions. First, the two players of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stand out in their influence leaving the role of the market marginal. Second, various governance models(state-initiated, civil society-initiated,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s) are discovered, implying that a type of governance does not determine the success of UNESCO diplomacy. Third, we drew three meaningful factors for successful UNESCO diplomacy: 1) national government’s strong will on international norms (or pivotal issue area), 2) environment conducive to civil society’s capacity for self-survival and cooperativeness with others, 3)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s leadership in organizing global and regional coalitions by utilizing non-political issues relevant to UNESCO.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의 문화정치학

        정수진(Jung, Soo-Jin)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6 No.-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협약과 그 등재 시스템이 각국의 문화 생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한·중·일 삼국에서 비롯한 등재 경쟁으로 말미암아 유네스코 체제는 무형문화의 유산화를 위한 전쟁터가 되어 가고 있다. 그 누구도 예상치 못한 결과로, 유네스코에서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그 해결 방안이 쉽게 마련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현재 전지구적 차원에서 다종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는 문화정치적 정경을 고려할 경우, 유네스코 체제 역시 그로부터 자유롭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유네스코 체제야말로 전지구화를 통해 ‘탈영토화’한 세계의 모든 공간이 새롭고도 중층적인 방식으로 ‘재영토화’하는 역동적, 상징적인 장이라는 전제 아래, 이른바 ‘인류무형문화유산’이라는 상징적 재화와 그 정치·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을 둘러싼 투쟁의 장에 한국이 어떤 방식으로 참여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구체적으로, 무형문화유산협약 체결을 계기로 지난 50여 년 간 운용해 오던 무형문화재 제도의 탈바꿈 과정, 그리고 무형문화재를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정의로 확대 개편하면서 도입한 새로운 분류체계가 주된 고찰의 대상이었다. 특히 그 과정에서 펼쳐지고 있는 국제 협약과 국내 제도 간의 혼성화 문제, 문화에 대한 국가 지배력의 재 강화 양상을 천착했다. UNESCO’s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ts registration system are exerting strong influence on the cultural production in any country. And the registration competition rising in Korea, China and Japan, is making the UNESCO regime the cultural battlefield. It is the unintended consequence, so that UNESCO is putting forth a multilateral effort into solving the problem. But in my opinion, it isn’t easy to solve the problem. Because UNESCO regime isn’t exempt from the global context today, in that the cultural political scape unfolded in a variety of ways. This paper is assuming UNESCO regime the dynamic and symbolic field that the every space in a world that deterritorialized with the globalization is reterritorialized on the newly multiple ways. And it analyse how Korea is involved in that field’s cultural war. The transformation of the legal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ith it’s own rules and norms for the past 50 years ; the new classif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placed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 those are the main focuses of the examination. And this paper pays special attentions to the hybridization between the global convention and domestic system and the reconsolidation of state’s control over culture.

      • KCI등재

        유네스코 유산에 등재된 ‘중국서예’·‘몽고서예’와 ‘한국서예’의 등재 가능성 분석

        문혜정 한국중국문화학회 2023 中國學論叢 Vol.- No.80

        2009년과 2013년에 ‘중국서예(Chinese calligraphy)’와 ‘몽고서예(Mongolian calligraphy)’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서예’라는 예술이 인류문화사적으로 매우 가치있는 유산임이 세계에 증명된 것이다. 지금은 한국 서예계가 우리의 ‘한글서예’를 세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글서예’ 세계화를 위해서는 이미 유네스코에 등재된 ‘중국서예’와 ‘몽고서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미 등재된 ‘중국서예’와 ‘몽고서예’의 특징과 가치에 대해서 분석해보고 각국의 등재를 위한 노력과 등재 이후의 서예 발전 현황, 특히 중국과 몽고에서의 서예 교육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한글서예 유네스코 유산 등재 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중국서예(Chinese calligraphy)’는 2009년에 유네스코의 인류 ‘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었다. 중국은 이러한 결과를 내기 위해서 일찌감치 체계적으로 움직였다. 《중국서예발전요강》 제정을 시작으로, 서예를 중국의 ‘국가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하였다. 유네스코 등재 이후에는 다양한 서예 발전 활동을 진행하였는데, 특히 교육 부분을 중시하였다. ‘민들레 프로젝트’와 같은 서예 사교육도 성공하였다. 고등진학시험이나 수능시험 성적에 서예 점수가 부가점수로 인정되는 교육부의 정책으로 인해 서예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었고, 대학에서의 교육은 더 활성화되었다. ‘몽고서예(Mongolian calligraphy)’는 2013년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으로 등재되었다. 1,000년의 역사를 가진 몽고서예는 여러가지 원인으로 특별한 조치가 긴급했고 결국 유네스코 긴급보호목록에 포함되었다. 몽고에서는 ‘몽고현대서예가협회’를 중심으로 다양한 서예 활동이 이어져 왔는데, 등재 이후에는 이 유산을 보호하고 계승하기 위해 교육부와 문화부 등이 협력하여 다양한 교육활동을 하고 있다. 교육부에서 발표한 지침에 따라, 중학교 고등학교 과목에 몽고 서예가 정규 과목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한글서예를 세계화시킬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다. 한글서예, 특히 궁체는 진정성, 독창성, 세계적 관점에서의 중요성, 보조 요건 등 유네스코가 제정한 주요 등재 기준을 충족시킨다. 따라서 유네스코유산 등재 신청에 전혀 문제가 없다. 이미 등재된 중국·몽고의 서예와 차별되는 독창성을 강조하면 된다. 궁체는 간결하면서도 차분한 정제미, 바르고 안정된 균제미, 무용과 같은 율동미, 실용성과 작품성, 전아미典雅美, 중화미中和美 등이 갖추어진 예술이다. 이러한 한글서예의 세계화를 위하여 서예인들의 역량이 발휘되어야 하는 시점이다. The inscribing of "Chinese calligraphy" in 2009 and "Mongolian calligraphy" in 2013 as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erved a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inform the world that the art of "calligraphy" is a very valuable heritage in human cultural history. Now, the Korean calligraphy community is trying to globalize our "Hangul Calligraphy.“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Chinese Calligraphy' and 'Mongolian Calligraphy' already inscribed. Efforts to inscribe each country and the current status of calligraphy development after inscription were examined. In particular, the current status of calligraphy education in China and Mongolia was examined in detail.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inscribing Korean calligraphy as a UNESCO heritage was reviewed. Korea's "Gungche" can emphasize that it has originality that distinguishes it from Chinese calligraphy and Mongolian calligra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