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여 林川郡 城隍祠와 庾黔弼

        김효경(Kim, Hyo-gyou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 No.26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위치한 成興山城 안에 고려 太師 庾黔弼을 모신 사우가 있다. 이 사우는 고려시대로부터 행정관청에서 주관하던 城隍祠로 추정된다. 임천군은 통일신라시대로부터 국가 祀典의 하나인 小祀의 제장으로 인식되어 종교적인 공간으로 인식되었고, 금강의 주요 물길과 직접 연결되어 군사적, 행정적 요충지로 백제시대로부터 부각되었다. 이러한 토대 속에 고려의 후 삼국 통일 후 요구되는 사회적인 욕구 즉 지역 내에 면면히 흐르고 있던 후백제의 극복이라는 정치적 측면까지 복합되면서 유금필이라는 인물이 신령으로 좌정하게 된다. 후백제의 잔당의 횡포로 인해 피폐해진 지역사회를 회복시키는 공을 세웠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지역의 신령은 인간적인 치적보다는 종교적인 심성을 자극할 수 있는 것이 계기가 되어야 한다. 많은 지역에서 실존인물이 신령으로 좌정하는 경우에 그의 역사적 인물평이나 공적 보다는 지역민에 대한 선행이 원인이 되었다. 유금필 역시 동일한 차원에서 주신으로 봉안된 것으로 여겨진다. 백성에 대한 진휼, 즉 사회적으로 가장 절실한 문제를 극복해준 존재였기에 신령으로 탄생된 것이다. 유금필을 모신 성황사는 변화를 겪으면서도 지금까지 존속되었다. 『東國輿地勝覽』(15세기 중반)에는 백제 때 축성된 성흥산성 안에 위치했다. 그러나 『與地圖書』(18세기 중반)에는 산성 밖으로 옮겨지고 건물로 이루어진 성황사에서 제단의 형태인 성황단으로 바뀐다. 『湖西邑誌』(19세기 후반)에 수록된 지방도에 성황사와 성황단 모두 표기되어 있다. 산성 안의 성황사에는 유금필 태사가 모셔져 있는데, 주민들 사이에서 오래도록 숭앙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렇다면 성황단이 건립된 후에도 여전히 성황사가 존속했으며, 그 신당의 主神은 여전히 유금필이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남아 있는 성흥산성 안의 유금필 사당은 고려시대로부터 조선후기까지 줄곧 관치제가 베풀어지던 성황사이며, 그 주신은 고려의 개국공신이자 태사직을 수행한 유금필이다. 현재의 사당 안에는 유금필과 더불어 그 가족이 신령으로 봉안되어 있다. 부인을 비롯하여 아들 1명, 딸 2명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것은 실제의 가족관계와는 무관하다. 그러나 부모와 아들, 딸로 구성된 조화로운 가족구성원은 화평하고, 안정된 가정의 본보기가 된다. 이러한 신령의 존재는 결국 화평과 안정을 이끄는 존재로 간주되며, 그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군민들은 그러한 신령의 영향속에서 동일한 화평의 세계를 맞게 된다. 이처럼 신령으로 탄생된 유금필은 그가 지닌 인간적인 武人으로서의 모습이 아닌 주민의 어려움을 돌보고, 지역을 돌보는 자애로운 성격을 지니게 된다. 부인을 비롯하여 아들과 두 딸을 거느린 여느 가정의 가장처럼 고을의 좌장이 되어 지역신으로 숭앙되고 있다.

      • KCI등재

        고려 태조대 명장 충절공(忠節公) 유금필(庾黔弼)

        신성재(Shin, Seong-Jae)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7 군사 Vol.- No.102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life and military activities of Yoo Kum-pil, Koryo dynasty’s great general who fulfilled the highest achievements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In this paper, major focus was laid on his tactics and the qualities as a commander based on Yoo’s military operations in warfare. Yoo Kum-pil was from Pyeongju region, being a descendant of Paekangjin power clan. His ancestors originally were native to Kochang area, but moved to Pyeongsan locality when Paekangjin military post was established in late 8th century. Yoo family then prospered with the new clan base. When ’Gungye’, who was the leader of older Koguryo region, expanded its power onto Paeseo zone, Yoo Kum-pil swore allegiance to Gungye regime and started his career there. However, it was only after Wang Kun founded Koryo that Yoo’s real reputation began to be known. Yoo Kum-pil took part in numerous battles and triumphed over everytime. His military operations between 918, when Koryo was founded, and 936, the year of the unification, could be divided into 5 phases. Yoo’s martial prowess reached its greatest height during the battles of Jomul fortress, Kochang, Oonju, and Ilicheon. Moreover, Yoo also was given credit for the naval retaking of Naju and participating in Gyeonhweon’s escape to Koryo. Yoo Kum-pil’s invincibility lied in his ability to organize his troops into strong cavalry(勁騎), which excelled in mobility, superior armament, mighty breakthrough power, and flexible use of tactics. Such talents were well displayed in individual as well as group combats. During the times when Koryo was just established, Koryo men were the majority in the cavalry. However, the influx of northern people outside of the border increased as the unification war intensified. They soon formed the biggest group of Koryo horsemen. Yoo Kum-pil assumed the highest command of this troop, as well as commanders of the main body going to Koryo generals. However, foreign officers were in charge of minor unit forces. Along with outstanding cavalry performance, Yoo Kum-pil’s personal military genius could also be attributed to his victorious career. In the biographies section of History of Koryo, documents show Yoo being a ‘general strategy(將略)’, earning respect from his men. The book of military strategy that Yoo studied to enhance his capabilities was Six Secret Teachings(六韜). He treasured and practiced the virtues of bravery(勇), intelligence(智), benevolence(仁), trust(信), and loyalty(忠) from this treatise. Yoo clearly applied the teachings of this book to his major military activities. Since he was the highest commander of the army, Yoo’s men also learned of his taught qualities, which in turn had significant effects in many aspects. Yoo’s generals and soldiers eagerly followed their general in terms of realizing six virtues as well. Thus, much endeavors of Yoo Kum-pil and his army personnel ultimately worked as a driving force for Koryo to unify the Three Kingdoms.

      • 나말여초 백령도와 유금필의 수군활동

        신성재(Shin Seong Jae)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6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6

        이 글은 신라 말 고려 초기를 시대적 배경으로 유금필의 수군활동을 중점적으로 검토한 글이다. 유금필이 유배된 곳이자 수군활동을 벌인 공간인 백령도의 동향에 대해 정리하고, 그가 930년대에 수행한 수군활동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유금필이 유배된 백령도는 당시 서남해역에 산재하던 도서지방과 마찬가지로 독자성이 컸던 지방이었다. 그러나 이 섬은 토착세력과 연대한 고려 정부의 지배권 확보 노력에 따라 그 영향권 하에 놓이게 된다. 진성여왕대 거타지 설화는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고려가 백령도에 대해 지배권을 확보한 것은 이 섬이 해상 교통 및 군사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전략적 가치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유금필의 수군활동은 이 섬에 유배되던 930년초부터 시작되었다. 유금필이 유배에 처해 있던 시기는 후백제의 공세적 수군활동으로 고려의 수군전력이 크게 약화된 시기였다. 그는 유배에 처해 있던 상황 하에서도 고려의 안정적인 해상방위를 위해 헌신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백령도와 인근 도서, 개성의 연해안 지방을 연결하는 해상방어망을 구축하였다. 또 수군전력을 강화하는 근본적인 방위책의 일환으로 병력과 전함을 확충하였다. 유금필의 노력에 따라 고려는 해상방위체제를 안정적으로 구축하고 수군전력을 이전의 수준으로 회복할 수 있게 되었다. 유금필은 935년에 나주지방을 탈환하는 수군작전에 도통대장군의 지위로 참여하여 수훈을 세웠다. 그의 성공적인 나주 경략으로 고려는 서남해역 해상권을 다시금 장악할 수 있게 되었다. 유금필은 이듬해 6월에 견훤을 호송하는 수군활동에도 참여하는 등 고려의 후삼국 통일에 큰 기여를 하였다. 견훤의 입조는 정치, 외교, 군사적으로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후백제 내부의 결속력이 약화됨은 물론 명맥을 유지하고 있던 신라의 멸망마저 촉진되었다. 또 견훤 스스로 일리천전투에 고려 측의 지휘관으로 참여하여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후삼국 통일을 앞당기게 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유금필이 벌인 수군활동은 전쟁사적으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것은 고려의 후삼국 통일이 유금필을 비롯한 수군의 군사적 역량에 기반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서남해역 해상권 장악과 해상교통로 보호를 핵심으로 하는 수군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한 결과 고려는 후삼국을 아우르는 시대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게 되었다. 서남해역과 나주를 무대로 추진한 유금필의 수군활동은 왕조시대의 수군력이 국가의 운명은 물론 통일왕조의 실현에 직접적이고도 근원적인 동력이 되었던 사실을 교훈으로 일깨워준다. This paper has primarily examined the naval activities of Yoo Kum-pil with late Shilla and early Koryo as their periodic background. The article has synthesized situations of Baekryung island, where Yoo has been exiled and engaged in naval warfare, and looked into details of his activities in the 930s. Baekryung island, a place of Yoo Kum-pil’s banishment, was a region of great individuality like all other islands in the southwestern coast at the time. However, this island eventually came under Koryo’s influence as Koryo government actively sought control by allying with local powers. Kutaji tale during the time of queen Jinsung symbolically show these circumstances. Koryo’s ambition on this island stemmed from its strategic importance in terms of sea traffic and military uses. Yoo Kum-pil’s naval activities started from early 930s, when he was in exile. This was also the period when Koryo’s naval potential was considerably weakened due to Baekjae’s aggressive naval challenge. Yoo, even when he was being banished, devoted himself to the cause of Koryo’s secure maritime defence. He created a sea defence network which connected Baekryung island, nearby islands, and coastal areas of the capital. He also increased men and ships as a fundamental defence plan to enhance naval capabilities. Yoo Kum-pil’s effort enabled Koryo to firmly establish its sea defence system and restore naval potential to its original level. Yoo Kum-pil has participated in the campaign of recapturing Naju region in 935, with distinguished services. Thanks to his successful Naju operation, Koryo was able to regain control of southwestern seas. Yoo Kum-pil also took part in the naval activities of escorting Kyeonhwon next year June, thereby making high contribution to Koryo’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Kyeonhwon’s asylum generated massive political, diplomatic, and military repercussions. This incident significantly weakened Baekjae’s inner unity, as well as stimulating Shilla’s end. Kyeonhwon himself took the lead command of the Koryo army at the battle of Ilichon, so as to advancing the moment of the unification. Series of naval activities by Yoo Kum-pil offers important implications from a military perspective, which is the fact that the unification was made possible because of Yoo and his naval potentials. By continuously practicing naval operations which centred around southwestern sea control and maritimes traffic protection, Koryo has ultimately accomplished the unification. Thus it is clear that Yoo Kum-pil’s naval activities based on southwestern seas and Naju displays the fact that naval powers during the dynastic era became the direct and fundamental engine for the realization of the unified dynasty, let alone the destiny of a state.

      • KCI우수등재

        고려 태조의 건국이념의 형성과 국내외 정세

        이정신(Lee Jung-Shin) 한국사연구회 2002 한국사연구 Vol.118 No.-

        Although Koryo had unified the later Three Kingdoms, it initially faced the problem of fully incorporating the people of Silla and the Later Paekche. Moreover, many generals and local strongmen of Koryo were engaged in power struggles against each other, and there was a clear sign of future struggles to succeed to the throne after the death of King Taejo. In addition, the Khitans, who had just destroyed the state of Parhae, posed a formidable threat in the north. Taejo's solution to all these problems was to trigger a war by killing the camels presented by the Khitans. The king tried to use the pretext of taking revenge on behalf of Parhae, with which Koryo supposedly had maintained marriage ties. Koryo tried to form an alliance with the Later Chin against the Khitans, but military expeditions could not be launched because of passive responses from the Later Chin. The Koryo court then banished the Khitan envoys and let the Khitan gift of camels to starve to death under a bridge in the capital city. However, as the Khitans were preparing to wage a decisive battle with the Later Chin. they did not retaliate against Koryo for this provocation. Consequently, Taejo's plan to initiate a war against the Khitans did not materialize. King Taejo's attempt to formulate a unified Koryo ideology can be seen in his Ten Injunctions (Hunyo Sipcho). There was a special emphasis on Buddhism and the northern expansion policy. Taejo tried to use the Buddhist ideology and monastic institutions to unify the people who had been divided for more than forty years, and to check the power of the local strongmen. He declared that Koryo was a successor to Koguryo and openly welcomed Parhae refugees and even bestowed the royal surname of Wang to the Parhae crown prince. He designated Pyongyang as Koryos Western capital (Sogyong) and publicly proclaimed his desire to recover the ancient territories of Koguryo. Thus, Taejo emphasized that he had unified the legacies of all Three Kingdoms, and that the people of Koryo were one nation physically and spiritually. However, the capital of Koryo was still Kaegyong, and it does not appear that Taeio intended to let Kaegyong, his original power base, be superseded by the Western Capital. Taejo had appointed his cousin Wang Singnyom as the regent (yusu) of the Western Capital in order to check the power of local strongmen such as Yu Kompil and Pak Sugyong who were based in the region. By the time of King Songjong, about forty years after the death of King Taejo, it appears that the northern expansion policy had lost its momentum and the main state policy objective was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We find no real desire for expanding northward in the memorial submitted by Choe Sungno, the most important scholar-official of the time. Later in the early 12th century, Koryo would conquer but quickly return to the Jurchens the nine ports in its northeastern border. This suggests that Koryo's objective Was subjugation of the Jurchens, and there was little aspiration to recover the former territory of Koguryo. In the end, the northern expansion policy of King Taejo did not generate his intended result, and his attempted use of the policy to check the internal political disturbances also failed. However, the kings effort to unify the country ideologically around the state of Koryo was successful, as Koryo became a unified state. He had unified the country physically through his many battles, and his efforts led to the construction of consciousness that all people were of one state and one nation. This consciousness was the driving force that kept Korea unified throughout history until the modern period.

      • KCI등재

        후삼국 통일전쟁과 운주전투

        신성재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9 군사 Vol.- No.110

        The battle of Unju was a decisive battle that marked a watershed in the unification war of the Later Three Kingdoms. The battle broke out twice in March 927 and September 934. The first battle in 927 was fought by Wang Geon and Geung Jun, lord of Unju, and the second by Wang Geon and Gyeon Hwon. The first battle broke out for Wang Geon to subjugate Unju. The battle also aimed to block Later Baekje's military activities and dominate the unification war by establishing logistics network linking the southern coast of Gyeongsangnam-do and the interior of Gyeongsangbuk-do. It resulted in Wang Geon's victory. Defeated in the battle, Geung Jun defected to Goryeo, while Wang Geon built a fortress at Oksan where he deployed troops. Geung Jun, lord of Unju, is thought to be the same person as Hong Gyu who was the father of Wang Geon's twelfth queen, Madam Heungbok although it it difficult to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he was a different person. Seven years after the first battle, the second battle brok out in September 934. The second battle was fought for hegemony in the Chungcheong area and the West Sea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the maritime power and the strategic value of Unju were closely related. The second battle ended with one-sided victory of Wang Geon. Goryeo could win the battle because it concentrated on maneuvering strong cavalry that excelled in mobility and penetration. Wang Geon won a perfect victory following Yu Geumpil's offensive strategy that utilized the cavalry whereas Gyeon Hwon was bitterly defeated. The second battle became a watershed for Goryeo to certainly dominate the heated war over the Chungcheong area. Having won the victory, Goryeo became able to lead the unification war by conquering the Chungcheong area and securing maritime power in the West Sea. Meanwhile Later Baekje suffered downsizing of its ruling territory and loss of maritime power thereby its will to win the war being remarkably weakened. In the end Later Baekje began to walk down the road of collapse, having lost its hegemony since this battle 운주전투는 후삼국 통일전쟁의 흐름에 분수령이 된 결정적인 전투였다. 이 전투는 927년 3월과 934년 9월에 걸쳐 두 차례 발생하였다. 927년 1차 전투는 왕건과 운주성주 긍준이, 2차 전투는 왕건과 견훤이 대결하였다. 1차 전투는 왕건이 운주를 복속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발생하였다. 또한 경남 남해안과 경북 내륙을 연결하는 병참운송망을 구축함으로써 후백제의 군사활동을 봉쇄하고 전쟁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한 전략적 배경 하에서 발발하였다. 결과는 왕건의 승리로 귀결되었다. 전투에서 패배한 긍준은 고려 정부에 귀부하였고, 왕건은 옥산에 성을 쌓은 다음 지키는 군사들을 배치하였다. 운주성주 긍준에 대해서는 왕건의 12번째 비가 되는 흥복원부인의 아버지 홍규과 동일인으로 파악하기도 하지만, 별도의 인물일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 1차 전투가 종료되고 7년이 경과한 934년 9월에 2차 운주전투가 발생하였다. 2차 전투는 서해상에 대한 해상권 장악과 운주의 전략적 가치가 상호 밀접히 연계된 상황 속에서 충청지역과 서해상의 패권을 둘러싸고 벌인 전투였다. 2차 전투는 왕건의 일방적인 승리로 끝났다. 고려군이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기동력과 돌파력이 뛰어난 경기를 집중적으로 운용하였기 때문이었다. 경기를 활용한 유금필의 공세적 전술에 따라 왕건은 전투에서 완전한 승리를 거두었던 반면 견훤은 참담한 패배를 당하게 되었다. 2차 전투는 충청지역을 둘러싸고 벌인 각축전에서 고려가 패권을 확실하게 장악하는 분수령이 되었다. 전투에서 승리한 고려는 충청지역을 석권하고 서해 해상권을 확보함으로써 통일전쟁을 주도할 수 있게 되었다. 반면에 후백제는 지배영역이 축소되고, 해상권마저 상실당하면서 전쟁의 의지 또한 현격히 약화되었다. 결국 후백제는 이 전투를 기점으로 급격히 집권력이 약화되면서 패망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

      • KCI등재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견훤・왕건의 攻防

        박순교(Park Soonkyo)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7 No.-

        ≪三國史記≫는 927년 한겨울 경애왕이 포석정에 遊行하여 酒興에 빠졌고, 때마침 신라에 침입한 견훤에게 체포되어 비극적 최후를 맞이했다고 한다. 당시 견훤은 경애왕을 죽인 것은 물론 경애왕의 왕비를 강간했으며 군사들을 풀어 궁중의 비빈들마저 집단 강간하는 등 일대난행을 일삼았다고 한다. 한데 경애왕 사인과 시해 주체, 죽음의 장소, 죽음의 시기 등이 특정되지 않는 등, ≪三國史記≫全篇의 기록에선 相異, 혼선이 있다. 경애왕 최후에 관한 한, 기록이 이처럼 난맥상을 보인다면 관련 기록 역시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하리라 여겨진다. 지금껏 경애왕 최후를 전한 기록이 等價的으로 해석되어 왔다면, ≪三國史記≫에서 全文에 가까운 형태로 인용되어 있는 왕건, 견훤의 書翰에 우선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三國史記≫를 저본으로 했으면서도≪三國遺事≫에서 加減한 대목 역시 일연의 해석이라 여겨지므로 눈여겨 볼 대목이다. 왕건, 견훤의 書翰에 따를 경우 경애왕 시해의 주범은 엇갈린다. 견훤 스스로는 경애왕을 시해한 적이 없다고 항변하고 있다. 이 점은 주목할 사안이며, 경애왕 시해 사건을 다시 검토할 까닭이다. 견훤의 악행 중 으뜸으로 거론되는 ‘견훤의 경애왕 왕비 강간’ 역시 미심쩍다. 왕건은 격문의 형태로 낱낱이 견훤의 죄상을 그악하게 공박하였다. 하지만, 왕건은 정작 대서특필해야 할 견훤의 경애왕 왕비 강간 항목, 다시 말해 견훤의 파렴치를 드러내어 천하의 공분을 일으킬 ‘왕비 강간 사건’, ‘비빈들에 대한 집단 윤간’에는 침묵하고 있다. 그럼에도 ≪三國史記≫는 왕건조차 언급하지 않은 견훤의 ‘왕비 강간’, ‘비빈에 대한 집단 윤간’을 기정사실로 기록하여 견훤을 ‘악의 화신’인 양 폄훼, 재단하고 있다. 견훤의 3대 거악, 이른바 ① 경애왕 시해, ② 경애왕 왕비 강간, ③ 집단 윤간(비빈들을 대상으로 한)의 문제를 재검토할 여지, 까닭이 새삼 존재한다. 요컨대 그간 회자, 신봉되어 온 경애왕의 죽음, 그에 대한 해석(견훤의 경애왕 시해, 견훤의 경애왕비 강간 등)은 재검토의 여지를 남긴다. Samkuksaki(≪三國史記≫) testifies that king Kyungae(景哀王) went to the Poseokjeong in the winter of 927, and got stuck into the booze, that king Kyungae(景哀王) met a tragic end by GyeonHwon(甄萱) to have broken into Silla. But, there are the differences, confusions between the recording of all the Samkuksaki(≪三國史記≫). type of death, murder subject, time of death, all specific place of death, and so on in relation to king Gyeongae of Silla can"t be specially fixed. In the letter of GyeonHwon(甄萱) and WangKeun(王建), near to primary historical records, the main culprits of murder varies from one person to the next. Rape of king Kyungae(景哀王)"s queen which has been told as one of GyeonHwon(甄萱)"s greatest evils, is also suspicious. In the form of a declaration, Wanggeun, in detail, continued persistent attack against GyeonHwon(甄萱)"s numerous crimes. But, As for Gyeon Hwon(甄萱)"s rape crime of Silla king Gyeongae"s queen, which must be made headlines of manifesto, namely, which must disclose GyeonHwon (甄萱)"s shameless, despicable, heinous human nature, Gyeon Hwon"s shameless of a positive to cause of all the indignation. Nevertheless, Samkuksaki(≪三國史記≫) took records GyeonHwon(甄萱)"s rape of the queen as to be an established fact, and then denounced him ‘the incarnation of evil’. In short, Silla"s king Gyeongae death, interpretations of king Gyeongae(eg, GyeonHwon(甄萱)"s assassination of king, GyeonHwon(甄萱)"s rape of the queen) leave room for questions, the scope of a radical re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