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종대 사대의식과 유교화의 심화 - ‘『중종의 시대』’의 사대와 유교화에 대한 이해 -

        송웅섭 조선시대사학회 2015 朝鮮時代史學報 Vol.74 No.-

        This article is a review of Gye Seung-beom’s latest book 『The Era of Jungjong』 (Yeoksa Bipyeong-sa, 2004), which discusses the Joseon people’s ever strengthening sentiment of worship toward China[Ming] during king Jungjong’s reign, and the Joseon society’s continual transformation into a truly Confucian state. In this book, the author argues that king Jungjong’s reign was an era that witnessed a hugely important change unfolding, in terms of the aforementioned ‘worship sentimentality’ as well as Confucian developments. In terms of the former, he emphasizes the fact that Joseon government was willingly complying with Ming’s requests such as its demands of the Joseon army to be deployed and modifications to be made in Joseon protocols that had been designed to deal with Ming representatives. He also argued that the Joseon people’s tendency of viewing Ming as a ‘Master country’ and even as a ‘parent figure’ for Joseon was continuing to strengthen. Meanwhile, in terms of the latter, he argues that the Sarim(士林) figures, who according to him showed Confucian Fundamentalist attitudes, promoted a social atmosphere in which pursuit of practical merits(功利) was denounced and only the concept of righteousness(節義) was upheld and revered. He concludes by saying that all these changes occurred in quite a concentrated fashion during king Jungjong’s reign, and as a result, fundamentalist voices from people who were determined to literally bring Confucian values to professional politics became the social majority, and that the ‘worship sentimentality’ was also going beyond merely being a circumstantial doctrine and evolved into an absolute moral and somewhat dogmatic value. His arguments and suggestions are valuable, as they are seemingly trying to present a new way of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the time. But cases that are presented as proofs of said ‘deepened worship’ of Ming do not seem verifiable in nature, so the very notion that the so-called ‘Confucianization’ process continued with the Confucian fundamentalists in power and engineered their ongoing campaign against practical issues while it nurtured blinded support of righteousness, seems quite arbitrary. 본고는 조선 중종 대의 사대인식과 유교화 양상에 대한 연구서인 계승범의 『중종의 시대』(역사비평사, 2004)에 대한 비평 논문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중종 대에 이르러 사대인식과 유교화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먼저 사대인식에 있어서는 조선 군대의 파병과 외교 의례의 변경과 관련하여 明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었으며, 또 잦은 사은사의 파견을 비롯해 명을 실질적인 종주국이자 부모의 나라로 인식하는 경향이 심화되고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어 유교화와 관련해서는 유교근본주의적 성향의 士林이 등장하여 정풍운동을 펼쳐가는 가운데 功利를 배격하고 節義를 숭상하는 풍조가 확대되었다고 이해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같은 사대인식과 유교화의 심화가 진행되는 중종대를 거치며, 유교적 가치를 현실 정치에 그대로 적용하고자하는 근본주의적 목소리가 득세하는 한편, 명에 대한 사대 역시 상황논리를 초월하는 절대적 가치로 굳어지고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저자의 이 같은 주장은 대명사대인식의 심화 요인 및 유교화의 양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대명사대인식의 심화의 근거로 제시된 사례들이 주장을 뒷받침할 정도로 실증적이지 못한 측면이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유교근본주의자들의 득세 속에 실리를 배격하고 절의를 숭상하면서 유교화가 심화된다는 이해가 다분히 자의적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조선 사회의 유교화(儒敎化)와 여성의 위상 : 15·16세기 족보를 중심으로

        이남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8 No.-

        조선 전기 여성의 지위와 사회적 위상은, 여성의 불평등 자체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조선시대의 이미지와는 상당 부분 다른 것이었다. 족보 기재 방식에서, 아들과 딸의 구분 없이 나이순으로 기재했다는 것, 외손이 기록되었다는 것, 양자 기록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재가 기록이 보인다는 점 등의 특징을 15·16세기 족보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조선 전기 균분상속, 남귀여가혼(男歸女家婚), 윤회봉사(輪回奉祀) 등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다. 이들이 전해주는 조선 전기 여성의 이미지와 사회적 지위는 불평등 그 자체는 아니었다. 자유로웠던 고려시대의 유풍이 아직 남아 있었다는 점, 그리고 유교 윤리가 아직 뿌리를 내리지 못했다는 점 등을 생각해볼 수 있겠다. 하지만 그 같은 여성의 가문 내 지위와 사회적 지위는 조선사회의 유교화와 더불어, 그리고 그런 경향이 한층 더 심화되는 조선 후기로 가면서 변화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조선사회의 유교화는 족보, 특히 족보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위상에도 반영되지 않을 수 없었다. 그것은 임진왜란 이후의 사회 전반에 걸친 유교화의 심화 과정, 주자학적 예학(禮學) 윤리의 정착, 그리고 종법(宗法)적 부계 친족 중심의 문중(門中), 종중(宗中)이 형성되는 과정과 병행해서 일어난 것이었다. 사회 전반에 걸쳐서 부계 남성 중심 사회로 변해갔던 것이다. 족보에서도 외손을 기재하지 않게 되고, 아들을 먼저 적는 방식이 굳어지게 되었다. 이후 그런 추세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17세기가 되면 재가 금지의 윤리가 양반사대부는 물론이고, 일반 평민에까지 확산되었다. 점차 수절(守節)이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다. 여성의 정조 강조와 재가 금지는 법적인, 사회적인 제재를 넘어서 심리적인 제재까지 가하는 일종의 거대한 족쇄와 같았다. 그 같은 족쇄는 법적으로는 1894년 갑오경장 때 사라지게 되었다. 하지만 그 관성이 바로 사라질 수는 없었으며, 사회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것은 지금까지도 조선시대 여성을 바라보는 시각마저 그런 것처럼 규정하게 되었던 것이다. The building of Choson Dynasty was not only a change of dynasty but also a transformation of civilization. It had been also a process of transition from the Buddhist society to the Confucian society. With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Choson Dynasty, all aspects of society had been changed. The Social Status of Women was not an exception, and it had been changed fundamentally. The Neo-Confucianism was a founding principle of a nation, namely a state ideology of Choson Dynasty. Nevertheless the transformation process was not a rapid and short one but a gradual and long one. Therefore the genealogical records on the family of 15·16 Century — certainly they are good materials of social history — show many various transient phenomenons. For example a relative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of the Buddhist culture, a relative liberal marriage and remarriage of women, the style of marriage and commemorative rites for ancestors, and the equal division of properties between sons and daughters. But with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Choson Dynasty, especially the latter part of Choson Dynasty after the 17th century had been a typical Confucian society. The social status of women wa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part of Choson Dynasty. To sum it up, it was the rule of men based on the Confucianism. It had been accompanied by unequal division of properties between sons and daughters, the prohibition of remarriage of women, men’s monopoly of commemorative rites for ancestors, and the change of record patterns of the genealogical records on the family — we can not find the record of daughter’s child.

      • KCI등재

        가족과 성 : 한국의 성

        마크 피터슨(Mark Peterson),김선민(번역자)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4 No.-

        이 논문은 유교화를 거치면서 이루어지는 변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유교화를 거치면서 균등분배 되던 상속이 장자에게만 집중하는 제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 이 과정을 성(sexuality)의 관점에서 재분석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gender) 역할을 변화와 성(sexuality)에 대한 민간의 관점을 파악하기 위한 도구로서 민간설화를 살펴보고 있다. 이 논문은 민속문학을 대표하는 흥부전을 유교화 과정에서 나타난 상속 관계의 변화를 비판하는 하나의 논평으로 보고 있다. 이것은 균등상속에서 장자상속으로 변화하는 사회적 흐름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놀부의 수 많은 재산을 일종의 부모에 대한 의례로서 정교하고 성대한 제사를 준비하기 위한 것인데, 이 소설은 그에 대한 조금의 동정심도 보여주고 있지 않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다산多産을 통해 드러난 흥부의 성적 만족은 놀부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형성하고 있다. 흥부전과 더불어 조선을 대표하는 춘향전은 ‘남녀관계와 성(gender relations and sexuality)의 다른 측면을 보여준다. 이몽룡은 당시 결코 춘향을 부인으로 맞이할 수 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야기는 반전을 만들고 있다. 다만 이 속에서 인물들은 성(sexuality) 각기 다르게 교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춘향은 양반층의 성적 도덕관을 갈망했고, 사또는 양반의 도덕관을 버리고 정치적인 힘을 이용해서라도 한 여성을 성적으로 굴복시키려 했다는 사실이다. 이에 비해 이몽룡은 서경덕?황진이의 관계와 유사한 관계를 형성했을 것이다. 이것은 유교화 된 조선사회의 성에 대한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In this paper, the area of interest to me is confucianization(儒敎化) process. For example, I have interested an inheritance system which equal inheritance was transformed into sons and daughters by confucianization, and later I do system which disinherited the daughters and featured the eldest so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gain these process in viewpoint of sexuality. For this work, I look at folk tales as a device for getting at popular views of changing gender roles and possibly at sexuality. This paper is a kind of comment which criticizes transformation of relationship of inheritance. The transformation comes out on process that make a confucianization to Heungbu-jeon which represents Folk Literature. Since this paper shows critical thinking of social current in which changes from equal inheritance to primogeniture. Specially, a large number of property of Nolbu is to prepare for the elaborate and expensive Jesa(祭祀), the ceremonies for the deceased parents, but we need to note that Heungbu-jeon doesn't show a little sympathy about property of Nolbu. At the same time, sexual satisfaction of Heungbu which is exposed through fertility is going to form critical viewpoint of Nolbu. With Heungbu-jeon, Chunhyang-jeon which represents Joseon shows other areas of 'gender relations and sexuality'. Though, at that time, Yi Mongyeong could never have married Chunhyang as a primary wife, the story is going to make twist. Only sexuality of the figures in story crosses differently. Chunhyang aspires to the sexual mores of the upper class, and the magistrate renounces mores of the upper class and uses political power and then makes a woman give in to the sexual demand. In comparison, Yi Mongyeong may form relationship like relationship between Seo Gyeongdeok and Hwang Jini. This shows features of sexuality of Joseon society which becomes confucianization.

      • KCI등재

        조선시대 유교적 상장례 정착으로 보는 ‘유교화’ 과정-연산군・중종대 상기(喪期)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정일영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50

        Funeral custom is conservative, so it cannot change easily. Changing funeral custom, however, was very important issue for ‘Confucianization’ in Chosun Dynasty. Hence many kings and bureaucrats made an effort for the change, especially ‘mourning for three years’. The ‘mourning for three years’ was all kind of human’s duty in Chosun ideally, but it was the idea as the word itself. Because the ‘mourning for three years’ was related to practical problems as military problem, economic problem and social class problem. Therefore generalization of the ‘mourning’ was not an easy task. The matter of establishment of Confucian funeral custom flipped with King Yeonsan’s policy, ‘Reducing the term for mourning’. King Yeonsan wanted to reduce the term for mourning violently. On the other hand, the ‘Restoration party’ and King Jungjong who had expelled King Yeonsan from the throne had to make the reign of King Yeonsan as the anti-Confucian era because they wanted to justify their ‘Restoration’. So King Yeonsan’s retrogressive policy against the Confucianization confucianized Chosun society and custom paradoxically. On this wise, the Confucianization of funeral custom should be considered in political context. 상장례에 관련된 문화적 관습은 보수적인 성격을 띠기 때문에 그 변화의 속도는 매우 느리며 저항도 만만치가 않다. 하지만 유교적 상장례를 정착시키는 문제는 ‘조선의 유교화’라는 중요한 문제의 핵심이었다. 이런 이유로 조선 초기부터 국왕을 비롯한 조선 정부의 관료들은 유교적 상장례 정책에 지속적으로 힘을 기울여왔으며, 그 상장례 정책의 중심에는 삼년상이 있었다. 조선시대에 삼년상은 이상적으로는 신분과 관계없이 모든 이들이 마땅히 지켜야할 인간의 도리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삼년상을 ‘신분과 관계없이’ 지킬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군사 문제는 물론 경제 문제, 계급문제 등을 내포한 복잡한 현실 문제였다. 이런 상황에서 삼년상의 일반화 혹은 대중화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더디게 진행되던 유교적 상장례의 정착은 연산군의 단상법으로 말미암아 전환국면을 맞이했다. 연산군은 앞선 시대의 왕들과는 달리, 단상법을 제정하여 상기(喪期)를 오히려 단축시키려고 했다. 반면 반정을 정당화하려는 세력들은 연산군의 시대를 실제보다 더욱 비유교적인 시대로 만들어야 했다. 그리고 자신들은 정치적 정당성 확보를 위해 유교적 이상에 조금이라도 더 가깝게 다가서야만 했다. 역설적이게도 유교화의 흐름에 정면으로 역행했던 연산군의 ‘반작용’은 유교적 상장례에 ‘가속도’를 붙이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렇게 볼 때 연산군대는 조선시대에서 공백기가 아니라, 유교화의 진행을 순간적으로 대폭 진행시킨 원인을 제공한 시대라고 볼 수도 있다. 이처럼 조선시대 상장례의 유교화는 정치적 맥락 속에서 살펴야할 문제인 것이다.

      • KCI등재

        유람록을 통해 살펴 본 청량산의 儒敎化 양상

        정지아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8 No.-

        CheongnyangsMountain is a well-known Buddhist mountain and a famous Confucian mountain. Buddhism and Confucianism are diametrically opposed ideologies and ideologies that distinguish between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But how did Cheongnyangsan come to possess two opposing ideologies together? First, Ju Se-bung and Toegye tried to break away from the Buddhist image of Cheongnyangsan. Ju Se-bung named twelve peaks of CheongnyangsMountain in the Confucian way, and later praised the Buddhist image of CheongnyangsMountain by criticizing the absurd monks of Buddhism, and Toegye praised the work of that. Ju Se-bung and Toegye, who wanted to revive Confucianism, both tried to break away from the Buddhist image of CheongnyangsMountain. Afterwards, the students of Toegye visited CheongnyangsMountain and repeatedly cited Ju Se-bung's records, adding to the image of Confucianism. In addition, Ju Se-bung and Toegye were always mentioned in the cruise book, adding Confucian images to CheongnyangsMountain to promote intentional Confucian enlightenment. The disciples of Toegye described CheongnyangsMountain as an image of a well-organized and neat Seonbi, making Toegye and CheongnyangsMountain the same. By the 19th century, CheongnyangsMountain was compared to Muyi Mountain in China, so that the Toegye and the runner were considered the same, making CheongnyangsMountain. a Confucian holy place. 청량산은 불교문화를 꽃피운 산이자 유교의 명산이기도 하다. 불교와 유교는 정반대의 이념이자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구별하는 이념이다. 그런데 청량산은 어떻게 상반되는 두 이념을 함께 획득하게 되었을까? 성리학을 건국이념으로 삼은조선이 숭유억불정책을 실시함으로써 불교는 점점 쇠퇴하게 되었고, 산 속의 절들 또한 쇠락하게 되었다. 이러한 불교의 쇠락은 불교에서 유교로 이념이 교체되는 시기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청량산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불교 쇠락 이후의 모습이다. 청량산은 불교의 쇠락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에 이르러서는 아예 유교의 성지로 변모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이 불교문화를 꽃피운 산이 유교의 명산이 되어가는 과정, 즉 청량산이 脫佛敎化하여 儒敎化되어가는 과정을 청량산 유람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청량산이 조선시대에 이르러 주자의 무이산과 같이 유교의 聖山이 된 데에는 선인들의 단계적이고 의도적인 儒敎化 과정들이 있다. 가장 먼저, 周世鵬과 퇴계가 청량산을 불교적 이미지에서 탈피시키고자 노력하였다. 周世鵬은 「遊淸凉山錄」에서 청량산의 열 두 봉우리를 유교식으로 명명하고, 불교의 허황된 전승들을 비판함으로써 청량산의 불교적 이미지를 혁파하고자 하였고, 이후 퇴계가 周世鵬의 유람록에 「周景游遊淸凉山錄跋」을 남기며 周世鵬이 한 일들에 대해 극찬하여 청량산의 탈불교, 유교화를 지지하였다. 주자학을 흥기시키고자 하였던 周世鵬과 퇴계, 두 사람이 청량산을 불교적 이미지에서 탈피시키고자 노력한 것이다. 이후 주로 퇴계의 문인들이 청량산을 유람하면서 周世鵬의 「遊淸凉山錄」의 유교식 명칭들을 그대로 인용하고, 반복하여 청량산의 봉우리들이 불교적 색채에서 탈피하여 유교적 이미지를 덧입게 되었다. 또한, 유람록 가운데 유교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周世鵬과 퇴계, 두 사람을 항상 언급하여 청량산에 차츰 유교적 이미지를 덧입혀 의도적인 儒敎化를 꾀한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퇴계 死後에 주로 퇴계의 문인들이 퇴계의 자취를 찾아 청량산을 유람하며, 청량산은 퇴계의 문인들이 퇴계를 기리는 장소가 되었다. 퇴계는 젊었을 때부터 청량산에서 독서하였고, ‘淸凉山人’이라 자호하며 청량산에 대한 애호를 드러내었다. 또, 청량산에 직접 손수 제명한 致遠庵이나 陶山書院 등의 유적이 있기 때문에 퇴계의 사후에 퇴계를 존경하던 자들이 청량산을 유람하며 퇴계의 자취를 계속하여 기리고 추모하는 장소로 삼게 된 것이다. 또한, 청량산은 퇴계의 문인들에 의해 단아하고 절의있는 선비의 이미지로 퇴계를 표상화하였으며, 19세기에 이르러서는 퇴계의 청량산을 주자의 무이산의 이미지와 결합시킴으로써 조선 유교의 聖山으로 표상화 한 것이다.

      • KCI등재

        과거사 청산을 중심으로 본 한국의 민주화와 조선의 유교화

        강정인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9 韓國 政治 硏究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democratization of Korea with the Confucianization of the Joseon Dynasty in terms of settlement of the past history. The comparative study is conducted in a preliminary way by focusing on the two themes. First, it aims to show how the settlement of the past history is closely intertwined with the great transformation of the two countries. That is, the movement for democratization/Confucianization in the two countries was accompanied at a crucial juncture by the movement for the settlement of the past history, and the completion of the transformation enabled the two countries to implement the comprehensive settlement on a full scale. Second, in contrast to the democratic republic which can remove the incumbent government by popular election, the Joseon dynasty as a Confucian monarchy enshrined a constitutional principle of gyejisulsa(繼志述事: following the will of past kings well and managing the inherited tasks properly) in the spirit of filial piety, i.e. the cardinal principle of Confucianism, so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true will of the preceding kings to make it compatible with justice worked as a critical variable in the settlement. Recognizing this as an important difference, the paper scrutinizes this subject. 이 글의 목적은 한국의 민주화와 조선의 유교화를 과거사 청산을 중심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비교 연구는 두 가지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시론(試論)적으로 수행된다. 먼저 과거사 청산이 정치체제의 거대한 변환, 곧 한국의 민주화 및 조선의 유교화와 긴밀한 연관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을 양자의 공통점으로 논한다. 곧두 나라에서 민주화/유교화 운동은 중요한 국면에서 과거사 청산 운동을 수반했고, 또 민주화/유교화가 완료된 이후에 과거사 청산이 본격적이고 포괄적으로 추진·단행되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최고 통치자를 민주적 선거를통해 교체하는 것을 중요한 특징으로 하는 민주공화국과는 달리 ‘선왕의 뜻을 잘이어가고 일을 잘 풀어간다’는 계지술사(繼志述事)가 헌정적 원칙으로 작용하는유교적 세습 군주국의 특성상 조선의 경우에는 ‘선왕의 본뜻[本意]’이라는 개념이과거사 청산의 정당화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이를 주요한 차이점으로 지목하고 상세하게 논한다.

      • KCI등재

        조선전기 열녀의 존재 양상과 열행 인식-『신증동국여지승람』에 실린 열녀를 중심으로-

        이재두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9 嶺南學 Vol.0 No.70

        『신증동국여지승람』(이하 『승람』)은 1485년(성종 16)에 초간한 『동국여지승람』을 46년 후인 1531년(중종 26)에 신증한 전국읍지이다. 이 책에 실린 각 고을의 열녀 항목을 분석해보면 조선전기 지배층이 인식하고 있던 유교 윤리를 실천한 모범적인 여성의 기준을 알 수 있다. 『승람』에는 모두 157명의 여성이 고을별 열녀 항목에 실려 있는데, 81%는 조선시대 인물이며, 경상도와 전라도가 50%를 넘는다. 『승람』 편찬 당시 이 두 지역은 인구도 많았지만, 유교화가 많이 진척되었으며, 열녀 사례 발굴에도 적극적이었기 때문이다. 『승람』의 열녀 유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은 남편을 일찍 여의었으나 개가하지 않고 오랫동안 수절한 경우이다. 스스로 죽음을 선택한 자살은 조선 건국 이후 처음으로 나타나는데, 초간 때인 본조 시기보다는 신증 시기에 더 증가하였다. 피살은 모두 고려 말 왜구의 침입에 맞서 절개를 지키다가 희생당한 경우이다. 약혼자가 사망하였지만 시집가지 않은 사례는 단 1명뿐이며, 약혼자의 사망소식을 듣고 따라 죽은 열녀는 없다. 여묘를 살기도 하였는데, 여말 선초 유교윤리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나타난 일시적 현상이었다. 『삼강행실 효자도』(1432)의 국내 효녀 8명 중 4명이 『승람』에서는 열녀 항목에 실린 것은 특기할 만하다. 『승람』에 실린 열녀는 조선전기 지배층이 이상적으로 삼았던 모범적인 여성의 이미지이다. 조선후기의 열녀상과는 다르며, 조선전기 일반적인 여성들의 존재 양상과도 다른 아주 특별한 여성들의 모습이다. 조선전기의 열녀는 단순히 개가를 거부하고 종신 수절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여묘를 살거나 하층민이 포상 받는 경우도 많았다. 임진왜란이나 병자호란 당시처럼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절개를 지키다가 피살된 경우는 적었다. 『승람』을 편찬하면서 이전에는 효녀로 인식하던 인물을 열녀로 파악하기도 하였다. 조선전기 유교화가 진척되면서 여성에게는 열행을 효행보다 더 중요한 가치로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승람』의 열녀 항목은 조선전기 유교화 과정의 산물이며, 임진왜란 당시나 그 이후에 포상한 조선후기의 열녀와는 분명히 다르다. This paper looked into the behavior, locale and era of the 157 women written in the section of the faithful women(烈女) in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here after Seungram).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s were revealed. Jeolla Province was enthusiastic about discovering the cases of the faithful women and Chungcheong Province was neglectful about finding the faithful women as well as devoted sons. According to the Diary of the King Yeonsan(『燕山君日記』), during that period six faithful women were rewarded, and five of them are mentioned in the Seungram. According to the Seungram there is only one faithful woman rewarded during the King Yeonsan period. The most frequent cases covering 58 percent, were women who kept a chaste life. 19 percent of the cases were the women who chose suicide, which were found only during the time when the original and revised book were written. 10 percent of the cases were the women who were murdered and they all were sacrificed while trying to keep chaste(守節) against the Japanese invaders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 cases in which wives hung themselves or starved themselves to death after their husband died increased. There was one case when the woman did not get married after her fiancé died, but there were no cases of faithful women dying following the fiancé’s death.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customs of wives’ living in a hut near the husband’s grave during the time when the original edition of the book was written, many such women were rewarded, but when the revised book was written, those cases were remarkably decreased. This change reflects that it was now required for women to have only one husband, keep chaste after the husband’s death, and not to remarry(改嫁). The faithful women in Seungram is the product of the Confucianization(儒敎化) and were clearly different from faithful women who were rewarded during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faithful women were rewarded for living in a hut near their husband’s grave and refusing to remarry, but in the la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women hardly lived near their husbands’ graves and it was unthinkable for a woman from a good class to remarry.

      • KCI등재

        한국의 성 ― 조선사회와 민속문학의 몇 가지 측면에 대한 간략한 검토

        마크 피터슨,김선민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4 No.-

        In this paper, the area of interest to me is confucianization(儒敎化) process. For example, I have interested an inheritance system which equal inheritance was transformed into sons and daughters by confucianization, and later I do system which disinherited the daughters and featured the eldest so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gain these process in viewpoint of sexuality. For this work, I look at folk tales as a device for getting at popular views of changing gender roles and possibly at sexuality. This paper is a kind of comment which criticizes transformation of relationship of inheritance. The transformation comes out on process that make a confucianization to Heungbu-jeon which represents Folk Literature. Since this paper shows critical thinking of social current in which changes from equal inheritance to primogeniture. Specially, a large number of property of Nolbu is to prepare for the elaborate and expensive Jesa(祭祀), the ceremonies for the deceased parents, but we need to note that Heungbu-jeon doesn't show a little sympathy about property of Nolbu. At the same time, sexual satisfaction of Heungbu which is exposed through fertility is going to form critical viewpoint of Nolbu. With Heungbu-jeon, Chunhyang-jeon which represents Joseon shows other areas of 'gender relations and sexuality'. Though, at that time, Yi Mongyeong could never have married Chunhyang as a primary wife, the story is going to make twist. Only sexuality of the figures in story crosses differently. Chunhyang aspires to the sexual mores of the upper class, and the magistrate renounces mores of the upper class and uses political power and then makes a woman give in to the sexual demand. In comparison, Yi Mongyeong may form relationship like relationship between Seo Gyeongdeok and Hwang Jini. This shows features of sexuality of Joseon society which becomes confucianization. 이 논문은 유교화를 거치면서 이루어지는 변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유교화를 거치면서 균등분배 되던 상속이 장자에게만 집중하는 제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 이 과정을 성(sexuality)의 관점에서 재분석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gender) 역할을 변화와 성(sexuality)에 대한 민간의 관점을 파악하기 위한 도구로서 민간설화를 살펴보고 있다. 이 논문은 민속문학을 대표하는 흥부전을 유교화 과정에서 나타난 상속관계의 변화를 비판하는 하나의 논평으로 보고 있다. 이것은 균등상속에서 장자상속으로 변화하는 사회적 흐름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놀부의 수 많은 재산을 일종의 부모에 대한 의례로서 정교하고 성대한 제사를 준비하기 위한 것인데, 이 소설은 그에 대한 조금의 동정심도 보여주고 있지 않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다산多産을 통해 드러난 흥부의 성적 만족은 놀부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형성하고 있다. 흥부전과 더불어 조선을 대표하는 춘향전은 ‘남녀관계와 성(gender relations and sexuality)의 다른 측면을 보여준다. 이몽룡은 당시 결코 춘향을 부인으로 맞이할 수 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야기는 반전을 만들고 있다. 다만 이 속에서 인물들은 성(sexuality) 각기 다르게 교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춘향은 양반층의 성적 도덕관을 갈망했고, 사또는 양반의 도덕관을 버리고 정치적인 힘을 이용해서라도 한 여성을 성적으로 굴복시키려 했다는 사실이다. 이에 비해 이몽룡은 서경덕‧황진이의 관계와 유사한 관계를 형성했을 것이다. 이것은 유교화 된 조선사회의 성에 대한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조선 사회의 유교화(儒敎化)와 여성의 위상 — 15·16세기 족보를 중심으로 —

        이남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8 No.-

        The building of Choson Dynasty was not only a change of dynasty but also a transformation of civilization. It had been also a process of transition from the Buddhist society to the Confucian society. With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Choson Dynasty, all aspects of society had been changed. The Social Status of Women was not an exception, and it had been changed fundamentally. The Neo-Confucianism was a founding principle of a nation, namely a state ideology of Choson Dynasty. Nevertheless the transformation process was not a rapid and short one but a gradual and long one. Therefore the genealogical records on the family of 15·16 Century — certainly they are good materials of social history — show many various transient phenomenons. For example a relative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of the Buddhist culture, a relative liberal marriage and remarriage of women, the style of marriage and commemorative rites for ancestors, and the equal division of properties between sons and daughters. But with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Choson Dynasty, especially the latter part of Choson Dynasty after the 17th century had been a typical Confucian society. The social status of women wa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part of Choson Dynasty. To sum it up, it was the rule of men based on the Confucianism. It had been accompanied by unequal division of properties between sons and daughters, the prohibition of remarriage of women, men’s monopoly of commemorative rites for ancestors, and the change of record patterns of the genealogical records on the family — we can not find the record of daughter’s child. 조선 전기 여성의 지위와 사회적 위상은, 여성의 불평등 자체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조선시대의 이미지와는 상당 부분다른 것이었다. 족보 기재 방식에서, 아들과 딸의 구분 없이 나이순으로 기재했다는 것, 외손이 기록되었다는 것, 양자 기록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재가 기록이 보인다는 점 등의 특징을 15·16세기 족보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조선 전기 균분상속, 남귀여가혼(男歸女家婚), 윤회봉사(輪回奉祀) 등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다. 이들이 전해주는 조선 전기 여성의 이미지와 사회적 지위는 불평등그 자체는 아니었다. 자유로웠던 고려시대의 유풍이 아직 남아 있었다는 점, 그리고 유교 윤리가 아직 뿌리를 내리지 못했다는 점 등을 생각해볼 수 있겠다. 하지만 그 같은 여성의 가문 내 지위와 사회적 지위는조선사회의 유교화와 더불어, 그리고 그런 경향이 한층 더 심화되는조선 후기로 가면서 변화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조선사회의 유교화는족보, 특히 족보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위상에도 반영되지 않을 수 없었다. 그것은 임진왜란 이후의 사회 전반에 걸친 유교화의 심화 과정, 주자학적 예학(禮學) 윤리의 정착, 그리고 종법(宗法)적 부계 친족 중심의문중(門中), 종중(宗中)이 형성되는 과정과 병행해서 일어난 것이었다. 사회 전반에 걸쳐서 부계 남성 중심 사회로 변해갔던 것이다. 족보에서도 외손을 기재하지 않게 되고, 아들을 먼저 적는 방식이 굳어지게 되었다. 이후 그런 추세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17세기가 되면 재가 금지의윤리가 양반사대부는 물론이고, 일반 평민에까지 확산되었다. 점차 수절(守節)이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다. 여성의 정조 강조와 재가 금지는 법적인, 사회적인 제재를 넘어서 심리적인 제재까지 가하는 일종의 거대한 족쇄와 같았다. 그 같은 족쇄는법적으로는 1894년 갑오경장 때 사라지게 되었다. 하지만 그 관성이 바로 사라질 수는 없었으며, 사회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것은지금까지도 조선시대 여성을 바라보는 시각마저 그런 것처럼 규정하게되었던 것이다.

      • KCI등재

        조선 세종대 강상(綱常) 윤리 강조의 실상

        김순남(Kim, Soon Nam) 역사실학회 2019 역사와실학 Vol.69 No.-

        본 연구는 조선 세종대 강상 윤리 강조의 실태 파악을 통해 조선의 유교화과정을 살피고자 하는 것이다. 건국 초의 격변을 거쳐 이루어진 정치적 안정을 토대로 특히 세종대에는 삼강오상의 강상 윤리가 강조되었다. 강상윤리가 상하의 지배 질서를 공고화하기 위한 통치 이념으로 기능했기 때문이었다. 이를 위해 군신-부자-부부의 모범적인 사례를 발굴하여 정문·복호·서용 등으로 포장하고, 『삼강행실』의 편찬과 반포를 통해 계도하고 교육했다. 또한 불충-불효-부정의 패륜자에 대해서는 율에 따라 능지처사·참형 등 강경하게 처벌했다. 세종대의 이런 과정을 거쳐 강상 윤리는 사회의 통제 규범으로 강력하게 뿌리내려 갔다. 그 결과 조선의 유교화는 더욱 진전되었다. Right after the country was founded, Joseon pursued a Confucian state. Especially King Sejong and ruling government officials had emphasized the Human Ethics(Kang Sang, 綱常) such as Three Principles(Sam Kang, 三綱) and Five Morals(Oh Sang, 五常) of human. They recognized that the Confucianism would be functioned as a governing ideology. And they believed that those policies would be helpful to establish the ruling order based on vertical relationships between many kinds of social classes. Based on the political stability and the establishment of a dominant governing system through the upheavals from King Taejo to King Taejong’s era, King Sejong and ruling government officials had accomplished their purpose. The achievement was the result of joint work of King Sejong, who was friendly with his books and never let go of them, and his officials who were convinced of Confucian ideology. During King Sejong’s era, the Human Ethics(Kang Sang, 綱常) were accepted as a ruling ideology to consolidate the ruling order in the many kinds of vertical relationships. There were special favors to a son honoring his parents and to a wife keeping her fidelity. For example, red doors were put up in front of the house(Jeongmun, 旌門), taxes were reduced·(Bogho, 復戶) or some people were appointed as a government official(Seoyong, 敍用). King Sejong composed and disseminated 『Sam Kang Haeng Sil, 三綱行實』. King Sejong wanted to implement a world of Ancient Ideal Society(Sam Dae Ji Chi, 三代至治) to Joseon society. On the other hand, disloyalty, disregard and injustice were severely punished by law. The punishment were quartering, beheading and hanging. Through this process of emphasis on Ethics during King Sejong’s era, the Human Ethics(Kang Sang, 綱常) was strongly rooted as a social control norm. As a result, Confucianism in Joseon had progressed fur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