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박물관 소장 <교만흥전> 연구 -『전등신화(剪燈新話)』 수록 작품 <모란등기(牧丹燈記)>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조재현 ( Cho Jae Hyun ) 한국고소설학회 2020 古小說 硏究 Vol.50 No.-

        <교만흥전>은 평범한 서생 교만흥이 부여경과 혼인 후 선인(仙人)들의 도움으로 영웅적 능력을 갖추어 반란을 일으킨 도적으로부터 나라를 구하고, 천태산 연화봉으로 가서 잃어버린 아내와 아들을 찾아 가족상봉을 이룬 후고 부귀영화를 누리는 내용의 한글필사본 작품으로 현재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교만흥전>의 서사를 보면 신이한 조력자로 등장하는 태을진군과 마고할미의 역할과 관련 삽화로 보건데 <숙향전>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작품 말미에 등장하는 장자방과 마고할미의 모습으로 살펴보았을 때 <구운몽>의 마무리를 모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교만흥전>은 『전등신화』 수록 작품인 <모란등기>의 등장인물과 초반서사를 기반으로 재창작하였다. 특히 작품 첫머리에 설정한 지리적 명칭으로 볼 때, <교만흥전>은 『전등신화』에 주석을 단 『전등신화구해』를 토대로 창작했을 가능성이 높다. <교만흥전>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모란등기>에 등장하는 귀신과 요괴 사건을 완전히 지우고, 신이한 능력을 지닌 가부장(부주판)의 영향 아래 놓인 수동적이며 유교적 이념에 부합하는 여주인공 부여경의 서사로 재편하였다는 점이다. <모란등기>와 비교해 보면 교만흥은 색욕에 눈이 먼 선비에서 군담의 승리자로, 부여경은 음욕에 찬 악귀에서 신선들의 보살핌을 받는 고귀한 여인으로, 금련은 기괴한 요물이 아니라 어려움을 지혜롭게 극복하는 충성스러운 하녀(忠婢)로 등장인물의 성격과 기능을 완전히 바꾸었다. <교만흥전>을 통해 『전등신화』의 문학적 영향력이 조선후기 한글필사본 고전소설에까지 강하게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국의 전기소설에 나타나는 낯선 모습을 우리의 통속적 방식으로 걷어내고 재편하여 유교적 이데올로기에 귀속시키고 있다는 점은 고전소설의 보수성이 후기에 이르러서도 생각보다 매우 강력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Gyomanheungjeon > is a Korean classical novel in the Hangeul Museum. < Gyomanheungjeon > consists of the story of the scholar Gyomanheung, who married BuYeogyeong and had heroic abilities with the help of the gods of Taoist, saving the country by eliminating the traitor who caused the rebellion, and finding his wife and son who had been kidnapped and ever after enjoying the live in splendor. < Gyomanheungjeon > brought the name of the character and the story of the first part of the novel from < Morandeunggi(牡丹燈記) >, which is contained in 『Jeondeungsinhwa(剪燈新話)』. The literary meaning of < Gyomanheungjeon >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the work were created completely differently, even though it was influenced by < Morandeunggi >. The creator of < Gyomanheungjeon > was not satisfied with the reader who sympathized with the decision of the monk “Cheolgwan(철관)” in < Morandeunggi >. He became an active creator and created a character named Kyomanheung and Buyeogyeong, who were wary of desires and faithfully protected Confucian ideology, and a narrative that matched them. Thus, Gyomanheung changed the character and function completely, as the winner of war from a scholar blind to a beauty, BuYeogyeong from a demon to a noble woman cared for by the gods, and Geumryeon was not a weird thing but a wise and loyal maid. < Gyomanheungjeon > completely erased the ghosts and monsters that appeared in < Morandeunggi >. And it was newly created by presenting the narrative of a woman (BuJupan) under the influence of a head of household with a novel ability. In order to increase popular interest, < Gyomanheungjeon > was introduced to famous works such as < Sukyangjeon > and < Guunmong(九雲夢) >, and the theme of the work was transformed into Confucian ideology, unlike < Morandeunggi >.

      • KCI등재

        고전소설 속 가부장적 권위의 추락과 가치관의 변모

        이지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4 한국문화 Vol.68 No.-

        Confucian patriarchy has an influence on the Joseon society. Many Korean classical novels which were created this period reflected such social standing. Positive image of patriarch in those works represents the support for the Confucian patriarchy and the social system based on it. However there are also some novels emboding patriarchal authority crash. Some patriarchs in Novels of manners, Domestic Novels, Pansori Novels fail to do their job, becaues of some reasons such as moral debauchery, economic incompetence and the lack of responsibility. Those novel types were enjoyed by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so reflected the life of them in the late Joseon society. Patriarch's personal wrongdoings are the first responsibility of family problems but national responsibility should not be ignored because the government could not control the collapse of the system and the sense of values following the rapid social change. It is remarkable that wemen take the patriarch's place. They keep the home with the economic power. It means that economic power becam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late Joseon society and the family relationships were readjusted depending on it. It shows that Confucian patriarchy could be changeable to a new family system. However those novels do not embody a new family system in spite of posing serious problems of Confucian patriarchy. It is not only the limits of novels but also the limits of the era. The collapse of the Confucian patriarchy and the change of the family system became to appear only in the modern novels after 1920s.

      • KCI등재

        성역할에 대한 결합과 조화를 위한 담론

        심문숙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5

        Until now, sexist culture in Korean society has been naturally accepted as a very universal cultural phenomenon. Our society recognized the superiority of men. Women were considered as auxiliary roles. It is expected that the current generation who will lead the 21st century will break the vicious cycle of gender stereotypes and prejudices. Only when they can dispel sexist prejudices will their humanity be restored. Breaking down gender stereotypes is never just for women, but also includes men living with women. Thus, I believe that the true union and harmony of men and women is possible.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성차별적인 문화는 아주 보편적인 문화현상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져 왔다. 남성의 우월성은 인정하면서, 여성의 보조적인 역할은 마치 상호보완적인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합리화하였다. 21세기 주역이 되는 현재 세대들이 성 고정관념과 편견의 악순환적인 고리를 끊을 것으로 기대해보며, 그들이 성차별적인 편견을 해소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인간성의 회복을 맞게 될 것이다. 성차별적 고정관념의 타파는 결코 여성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여성과 함께 살아가는 남성도 포함된다. 그리하여 진정한 의미의 남성과 여성의 결합과 조화가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조선시대 혼인장려책과 독신여성

        정지영(Jung Ji-Young) 한국여성학회 2004 한국여성학 Vol.20 No.3

        이 글은 조선시대 혼인장려책과 그 속의 담론을 통해 유교적 가부장제가 여성을 묶어낸 방식을 알아보고, 혼인하지 않은 주변적 독신여성의 흔적을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조선시대에 시행된 혼인장려책은 특히 여성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혼인하지 못한 처녀가 많으면 나라에 재앙이 일어난다는 논의가 이 제도의 시행을 뒷받침했다. 이는 결혼한 여성을 정상으로, 결혼하지 않은 여성을 비정상적이며 위험한 존재로 여기는 담론이었다. 유교적 사회질서 안에서 정상으로 인정받을 수 없었던 독신여성들은 불교의 승려가 되기도 했다. 조선시대 남성들의 기록에서 여승들은 음란하고 요망한 존재로 묘사되었다. 특히 처녀로서 여승이 되는 것은 더욱 문제시되었다. 조선의 조정에서는 이러한 여승을 환속하여 결혼하게 만드는 정책을 폄과 동시에 그들을 도성 안에 틀어오지 못하여 하여 정상적 사람들의 경계밖으로 배제하고자 했다. 정상적 유교규범의 경계를 넘어선 주변적 존재인 독신여성들에 대한 담론을 통해 그들의 존재를 상상적으로 구성하고, 조선시대 가부장제의 틈새를 엿보고자 한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find vestiges of single women's agency in Choson society by looking at Choson's policy of encouragement of marriage and its related discourses surrounding the single women. In Choson dynasty, it was believed that too many single women would break the harmony and thus bring the nation a bad luck. Based on this belief, the policy of encouragement of marriage was enforced especially focusing on women. The women who stayed single after the appropriate age for marriage were regarded as abnormal and even dangerous. How did the patriarchal order founded on the neo-Confucianism affect the women's position? Was it possible, in Choson society, for a woman to live a single life without belonging to a family through the institution of marriage? If so, is it possible for us to find the traces of her life now? One of the options for a woman to live a single life in Choson society was to become a Buddhist nun. However, the Buddhist nuns were doubly marginalized in the society that was dominated by neo-Confucianism. The Confucian elites ostracized Buddhism insisting that the spread of Buddhism would result in the fall of the nation. Within the social context, a Buddhist nun was worse than dangerous. She was fatal being. Stories describe Buddhist nuns as lascivious and treacherous. While the government employed a policy that encouraged these Buddhist nuns to return to secular life and get married on the one hand, it tried to put the Buddhist nuns out of sight of the rest of the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y were not even permitted to enter the capital city. These marginalized single women had no agency to leave their own records. Therefore, we need to adopt an alternative critical lens in analyzing the discourses about single women rendered by patriarchal perspective in order to reconstruct these women's lives, desire, and choices that have been so far invisible.

      • KCI등재

        유교적 가부장제와 여성호주 가족

        조은(Cho Uhn)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2

        이 논문은 한말 한성부 호적 자료를 통해 그 사회의 ‘비전형 가족’인 여성호주가족을 조명했다. 한말 호적은 신분제가 철폐된 직후 그리고 일제 식민지 통치가 시작되기 직전에 수집된 자료라는 점에서 조선시대 유교적 가부장제의 기획물로써 가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한국근대가 시작되는 지점의 가족을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자료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여성호주의 등장 또는 감소가 그 사회의 지배이념과 관련되어 있으며 “여성호주 가족”이라는 비전형적 가족이 그 사회의 이데올로기와 정치적 구성물임을 보여준다. 한말 호적자료를 통해 본 여성호주가족의 특성을 요약해보면 한말 여성호주 가족은 조선시대 어떤 호적 자료에서보다도 양반호가 적으며 가족수, 호주의 연령, 가족원의 범위 등에서 남성 호주 가족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또한 여성호주 가족원이 평균적으로 두 명이 안되며 여성호의 다수가 단독호라는 사실은 여성호주 가족이 곧 사라질 수 있는 ‘일시적 가족’임을 보여주며, ‘여성호주 가족’은 성위계적인 지배이데올로기 속에서 신분의 요소를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말 여성호주의 신분은 소사가 대부분이며 그 다음으로 상궁의 비율이 높은데 상궁 외에 침공이나 침선, 재봉 등 전통적인 여성 직업과 주막 등의 상인, 그리고 방적, 교사, 학생 등 근대적 직업의 여성호주가 등장하는 것은 여성호주의 사회적 지위에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을 시사하는 흥미로운 측면이다. 마지막으로, 가족의 대표권에서 여성호주 배제는 유교적 가부장제의 핵심 기제인 여성을 아들의 어머니로 호명하고 가족에 복속시킨 또 하나의 전략적 장치였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한말 호적에 나타난 여성호주 가족의 실태는 이러한 기획이 거의 완성단계였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tries to highlight an “anomalous family” in late Chosun, focusing on female-householder family in Hanmal Hojuk. Hanmal Hojuk was collected in 1903-1906, where family composition would reflect the final stage of Chosun Confucian patriarchy. Females were excluded from representing household in Hojuk, government registar since 18th century, as Confucian patriarchal order, chong-bup was strengthened. Accordingly female-householder families have decreased especially in Yangban (Upper class) in later Chosun. However, female-householders still mark about 4.6% in Hanmal Hojuk. This paper starts with a simple question such as who are female householders? The findings show that female-householder families are exceptionally negligible in Yangban class in Hanmal Hojuk. And they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male householder ones in householder age, family composition, and family size. More than half of female householder families are single-person family, and more than four fifth of female-householders are in their forties and older who might not marry or have no son. Were there any males in the family, they are either son-in-law, matrilineal grandson, or infant son. Female-householder families are “transitional” or “residual” family in the sense that they are anomalous, not to follow Confucian patriarchal order. Though most of female householders are from Sosa, (commoners), Sanggung(royal lady attendant) next to them, make somewhat noticeable proportion about 4.2% female householders. It suggests that female householders are anomalous or “unconventional” categories. Besides Sosa and Sanggung, traditional women's jobs such as sewers, dressmakers, needleworkers, inn keepers and street vendors count for occupations of female householders. And further, a teacher, school girl and cotton-mill woman have recorded as female householders. The findings imply that Hanmal “female-householder family” can be the invention of an ideological construct which has discouraged women from representing household. In sum, decreased and ghettorized female-householder family evidences that making women as ‘mother of son' is the principal mechanism to reproduce Confucian patriarchy, which culminates in Hammal female-householder family.

      • KCI등재

        유교 가족주의의 비판과 전망

        임헌규 ( Heon Gyu Lim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2 동방학 Vol.23 No.-

        이 글은 전통적인 가부장적 가족 제도 및 가족의식의 위기의 상황에서 전통적 가족제도의 근간을 형성하였던 ``유교적 가족주의``에 대한 비판의 정당성과 유가적 가족주의의 현대적 의의를 논구하고자 한 것이다. 주지하듯이 유가는 ``우주만물은 한 가족이다``는 관점을 갖고, 보편적 가족주의적 입장에서 가족윤리를 부정하는 여타학파들을 異端이라고 비판해 왔다. 그런데 이러한 가족주의를 주창하는 유교에 대해 우리 사회 일각에서는 전통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폐습인 정실주의, 연고주의, 권위주의, 위계주의, 폐쇄적 공동체주의 등은 모두 유교적 가족주의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비판해 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자는 근대화 과정에서 제기되었던 유교의 가족주의에 대한 비판은 유가의 진정한 문제의식 및 이론에 대한 표피적인 이해와 오해, 그리고 과도한 일반화에서 비롯되었다고 간주하고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였다. 그래서 우선 유교 가족주의에 대한 전통적인 비판에서 필자는 유교에서는 "가족들 간의 私的 애정이 公的인 사회윤리에 우선하기 때문에 보편적인 사회윤리가 될 수 없다"는 비판과 "전통적 가부장제도가 지닌 폐해는 유교에서 유래한다"는 비판의 정당성을 살피고, 거기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려고 하였다. 그런 다음 필자는 유교 가족주의의 현대적 의의를 논구하고, 유교 가족주의를 재전유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여기에서는 전체주의 對 개인주의, 그리고 公-私의 문제에서 유교가 지니는 중용적 관점의 장점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upon the premise that the family constitutes the cental element of those societies that have been profoundly influenced by the confucian, and later Neo-Confucian Ideas. Confucius believe in reality of the human mind & it`s nature. What Heaven has conferred is called the human nature. Confucian human mind and it`s nature is comprised of the benevolence, the righteousness, the propriety and the wisdom. Yuyak said, "filial piety and fraternal submission, are they not the root of all benevolent action?" Confucius said, "A youth, when at home, should be filial, and, abroad, respectful to his elders. ... after the performance of these things, he should employ them in polite studies." Mencius said, "The richest Fruit of benevolence is the service of one`s parents. The richest Fruit of righteousness is the obeying one`s parents. The richest Fruit of wisdom is the knowing those two things, and not departing from them. The richest Fruit of propriety is the ordering and adorning those two things." The course of Yao and Shun was simply that of Filial piety and Fraternal duty. Filial affection for parents is the working of benevolence. Respectful to his elders is the working of righteousnes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여권 개념과 유교가부장제론 전파에 내재된 국가주의: ‘문중’에서 ‘국가’로 섹슈얼리티 통제장치의 이양

        김미영,조주영 한국여성철학회 2021 한국여성철학 Vol.35 No.-

        19세기 말~20세기 초 동아시아 사회는 정치적‧경제적으로 새로운 질서를 구축해가는 격변기였다. 특히 서구와의 접촉은 동아시아 전통의 질서가 도전받는 계기가 되었다. 이 시기 우리나라는 ‘자주독립국가’라는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열망 속에서 서구의 법 개념, 권리 개념을 수용하고 새로운 질서를 확립하고자 했다. 여권개념도 이러한 맥락에서 등장한 것으로, 그 안에는 동아시아 전통의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방식과 서구에서 유입되기 시작한 새로운 이해방식이 혼재한다. 여권개념이 사용되기 시작한 시기와 용례를 살펴보면, 여권 증진 논의를 유교 비판과 연결시키지는 않는다. 유교적 전통을 ‘가부장제’로 칭하면서 비판하기 시작한 것은 오히려 해방 이후 서구 사회학이 도입되면서부터라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우리나라 가족관 내지는 여성의 지위문제를 논할 때 일제강점기 민법친족법 제‧개정시 일본의 절대적 가부장권에 의거한 호주 제도를 법제도화한 측면에 대한 논의는 삭제된 채 유교적 가부장제비판에만 주목하게 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격변의 시기 동아시아의 전통가치로 대변되었던 유교를 비판하는 주요 틀인 가부장제론과 그 중심에 놓여 있던 여성의 삶을 구성하던 원리로서 유교적 가치 간에 불일치 지점을 살펴보면서 여권개념과 유교가부장제론에 공통적으로 드리워져 있던 국가주의 사상을 비판해보고자 한다. 이 과정은 섹슈얼리티 통제 주체가 ‘문중’에서 ‘국가’로 이양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1890년대 후반 유교 이념과 위핍률(威逼律): 전북지역의 판례를 중심으로

        원재연 ( Won Jae Ye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6

        본고는 조선사회가 갑오개혁으로 본격적인 근대화, 서구화의 과정에 진입하면서 겪게 된 전통적 가족윤리나 향촌사회 질서의 동요현상을 치유 또는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했던 위핍치사율(威逼致死律: 약칭 위핍률)의 적용 판례를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분석한 글이다. 이를 통해 억강부약(抑强扶弱)이라는 위핍률의 입법취지에 맞게 `유교적 가부장제(家父長制)`라는 가족질서를 안정적으로 재편해 가는데 일정한 효과를 거두었을 가능성이 추론된다. 또한 이러한 위핍치사율의 존재를 통해서 1890년대 후반 당시 조선사회의 운영원리가 여전히 유교(儒敎)였고, 고종과 광무정권이 지향하던 근대화의 길도 유교적 윤리도덕에 바탕을 둔 민본정치(民本政治)의 구현 및 신구법제(新舊法制)의 절충적 정비 과정과 궤를 같이하는 것이었음을 해명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I described “the criminal law against perpetrating persecution leading to death(威逼致死律)” focusing to the case of North Jeolla Province, in the transition period of Modernization or Westernization experiencing the shake of family ethnics or of public order after Gabo Reformation(甲午改革) in 1894. This criminal law accomplished the function of prevention and of healing against disorder and shaking system at that time. I think that there should be some real effects in terms of stable reorganization of the family order based by confucianism, owing to the meaning of lawmaking, the principal of“control the strong and strengthen the week” (抑强扶弱). And I also recognized that the managing principal of Joseon society was confucianism, and that the way of modernization trying by king Gojong and his government was too the same course of improving the negotiating old and new law system and of realization of democracy based by confucian moral.

      • KCI등재

        한글장편소설에 나타난 선도(仙道)를 수련하는 여성 형상 연구 -<임화정연>, <보은기우록>, <명행정의록>을 중심으로-

        채윤미 ( Chae Yun-mi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0 고전문학과 교육 Vol.43 No.-

        이 논문은 <임화정연>, <보은기우록>, <명행정의록>을 중심으로 한글장편소설에서 신선의 도인 선도를 수련하는 여성 형상의 양상과 서사적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세 작품에는 선도 수련이 개성을 보여줄 만큼 중요한 비중을 갖는 여성인물들이 등장한다. 본고는 이러한 형상을 조명함으로써 세 작품의 특징을 드러내고, 이를 기반으로 선도를 수련하는 여성 형상이 갖는 의미를 한글장편소설에 반영된 신분의식과 유교적 가부장제 질서에 대한 지향의 측면에서 해명하고자 했다. 세 작품에서 인물이 수련을 하는 계기를 살피면 선도 수련을 하는 여성 인물의 다양한 양상이 포착된다. 선도 수련이 인물의 삶에서 가장 문제적인 상황인 고부 갈등, 혼인 거부, 자발적 혼인 추구의 실패, 비천한 출신 등을 벗어나도록 하기 때문이다. 그런 가운데 세 작품은 수련법과 결과 면에서 유사성을 보여준다. 수련법의 경우 상층은 단약 복용, 하층은 도술 연마를 한다. 수련의 입문 시점과 수련 기간에서 하층인물이 우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의 측면에서 상층인물의 제자가 된다. 이렇듯 신분별로 선도 수련 양상을 대응시키는 것은 신분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신분이 득도와 연계되는 양상은 한글장편소설의 주된 향유층인 상층의 의식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반면 세 작품에서 선도 수련은 유교적 가부장제 질서에 대한 서로 다른 지향을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임화정연>에서 여성인물의 선도 수련이 가부장제 질서에 균열을 내는 면모가 강하다면 <보은기우록>, <명행정의록>에서 선도 수련은 가부장제 질서에 순응하는 여성 형상화를 위해 활용되는 면모가 강하다. This paper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female figures who train themselves the way to become the transcendent of Korean Classical Novels for Imhwa Jongyon, Boeungiurok, Myeonghaengjeonguirok. In the three novels, the situation of women is closely related to the training the way to become the transcendent. In particular, training the way to become the transcendent i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female figures. It is a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rejection of marriage, failure to marry, and low birth. The three novels linked the class consciousness and level of completion of training in such a way that the upper class completed the training, becoming a teacher and the lower class being a disciple. In the three novels, the female character shows moves to reject Confucian order through train the way to become the transcendent or conform to the Confucian order.

      • KCI등재후보

        한국 영화 속 괴물 서사의 변모 양상 − 전통적 귀신관과의 영향 관계 및 변화를 중심으로 −

        오현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9 동방문화와 사상 Vol.7 No.-

        This paper examined the foundations of the formation of the Korean monster narrative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raditional ghosts and novel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t that time, Confucian scholars did not see ghosts as transcendent and divine beings. They tried to strengthen virtue, such as rituals of ancestors through ghosts, The ghosts of the Confucian scholars who emphasized moral ethics in the real world have a profound effect on ghost tales and ghost stories. The major ghost nove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Story of Janghwa and Hongnyeon> and ‘Arang Style Legends’ are based on 'Revenge and Hewon(解寃)' of female ghosts. They were ghosted by the excessive oppression of patriarchy. But in Hewon(解寃)'s course, they maintain the temporal Confucian order of feudalism. The horror narrative of horror movies, which began to be produced in earnest since the 1960s, is in line with the traditions of original tales, such as <Story of Janghwa and Hongnyeon>, and ‘Arang Style Legends’.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onster narrative based on 'Revenge and Hewon (解寃)', started changing rapidly after the IMF. After the IMF, monster narratives are rather shaped as being violent, disturbing, or disrupting patriarchal order. This change in monster narrative since 2000 shows the collapse of a long-standing patriarchal order. 이 글은 조선 후기 성리학적 유교 전통의 귀신관과 괴기담 소설과의 연관성을 통해, 한국 괴물 서사의 형성 기반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영화 속 괴물 서사와 전통적 귀신관과의 영향 관계 분석을 통해, 2000년 이후 괴물 서사의 변모 양상을 살펴 보고 있다. 조선 후기 성리학자들의 귀신관은 귀신을 ‘초월적이고 신이한 존재’로 파악하기보다는, 조상신에 대한 제사의례의 하나로 ‘귀’와의 교감 행위를 통해 현실에서의 도덕의식을 강화하려 했다. 현실에서의 도덕 윤리를 강조했던 성리학적 귀신관은 이후 귀신 설화나 괴기담 소설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조선 후기 대표적 괴기담 소설이라 할 수 있는 <장화홍련전>과 아랑형 전설은 ‘여귀의 복수담과 해원’을 주된 서사 구조로 한다. 그들은 가부장제의 과잉 억압에 의해 원귀가 되었지만, 해원 과정에서 현세의 유교적인 봉건 질서를 추수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당시 귀신관에 내재 된 성리학적 유교 윤리가 적용된 결과다. 196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한 한국 공포영화 속 괴물 서사는 조선 후기 <장화홍련전>이나 아랑형 전설과 같은 원귀 설화의 전통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 그러나 유교적 가부장제에 기반한 여귀의 복수담과 해원이라는 한국 괴물 서사 구조는 사회가 급변함에 따라 변화하기 시작한다. 과거 영화 속 괴물이 가부장제의 억압에 의해 귀환한 타자였다면, IMF 이후 괴물 서사는 오히려 가부장제의 질서를 위반하거나, 교란 혹은 와해시키는 존재로 출몰한다. 2000년 이후 괴물 서사의 이러한 변화는 오랜 기간 전통적 가치관으로 자리 잡아 온 가부장제의 질서가 흔들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영화 속 괴물 서사가 당대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함께 변화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