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위험성평가 시행과 안전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조대진(Dae Jin Jo),이준원(Joon Won Lee),어원석(Won Souk Eoh),최상찬(Sang Chan Choi),김득환(Deuk Hwan Kim)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5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규모 사업장의 위험성평가 시행과 안전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2024년 1월부터 5인 이상 사업장의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있으나, 중소규모 사업장의 재해율은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중소규모 사업장의 안전행동 및 재해예방을 위해서는 자율기반 안전보건관리체계의 핵심이 되는 위험성평가의 역할이 어떠한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의 연구모형은 독립변수인 위험성평가 시행여부와 종속변수인 안전 분위기, 안전규정 준수, 안전사고 발생률, 안전 최우선 가치, 위험행동 관리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300인 미만 중소규모 사업장의 종사자 211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9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중소규모 사업장의 위험성평가 실시 사업장과 미실시 사업장의 독립표본 t-검정 결과 안전 분위기, 안전규정 준수, 안전사고 발생률, 안전 최우선 가치, 위험행동 관리의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위험성평가를 실시한 중소규모 사업장은 미실시한 사업장보다 안전성과 수준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위험성평가는 중소규모 사업장의 안전행동 실행 및 재해예방에 유효한 제도임을 확인하였다.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위험성평가 도입을 위하여 사업주의 인식을 제고하고 내부구성원의 위험성평가 수행역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소규모 사업장의 위험성평가 실태와 안전성과에 대한 후속연구를 통해 위험성평가가 중소규모 사업장에 활성화되어 근로자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는 산재 예방의 효과적인 제도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assessment signal and safety in small and medium-sized workplaces. While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which will be applied to places of business with five or more employees, will be effected in January 2024, the accident rate i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is still high. Promoting safety behaviors and preventing accidents i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require analyzing the role of risk assessment, an integral part of the self-regulatory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assessment and safety performance i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1 employees, working at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that hired less than 300 work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9 program,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s t test.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omains of safety climate and compliance, accident rates, safety as a top priority, and the level of risk behavior management i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based on whether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or not. The businesses that conducted risk assessment,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safety performance than those that did not.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risk assessment is an effective system to improve safety behaviors and prevent accidents at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implementation of risk assessment i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and their resultant safety performance, to encourage more companies to adopt this practice. This will also facilitate risk assessment to develop into an effective measure for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and protecting the health and lives of workers.

      • 복합재난(Natech) 대비 사업장 안전관리 방안

        박정규 ( Jeonggue Park ),서양원 ( Yang-won Suh Et Al ),간순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기본연구보고서 Vol.2018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utilize the prediction and evaluation methods for Natech (Natural Disaster Triggered Technological Disaster) and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at the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For this purpose, Natech cases of chemical handling facility damage were reviewed. In addition, Natech risk assessment and damage prediction model survey were applied. Furthermore the situation of domestic and overseas chemical handling facility management polic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derive Natech safety management tools applicable in Korea. The details of the study are as follows.First, we reviewed the cases of chemical handling facility damage by Natech type. The types of natural disasters that can occur due to Natech were summarized. We analyzed various aspects of the Natech cases such as the types of natural disasters, types of accidents, causes of accidents, magnitude and effects of damages, countermeasures, and follow-up measures. It is understood that the causes of accidents, countermeasures and follow-up actions are different depending to natural disasters. In Korea, it was difficult to easily identify accident cases for Natech whose specific information is provided. Therefore, we have identified areas where natural disasters are likely to occur, and analyzed the number of facilities handling chemicals requiring preparation for accidents in the area and their aging condition.Second, Natech related risk assessment and damage prediction model and system were investigated at home and abroad.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pilot Natech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assuming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in Gyeongju and Pohang using the EU RAPID-N. To do this, it was assumed that an earthquake occurs individually in Gyeongju and Pohang at the same intensity as of 2016 and 2017. The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near Gyeongju and Pohang earthquakes were selected to evaluate the risk of domestic Natech. The type and size data of equipments in the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were assumed to be virtual values. The worst case scenario and the alternative scenario were applied. As a result of applying this scenario, it was confirmed that if a chemical accident occurs at the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due to an earthquake, it could affect the surrounding area. We applied a hypothetical value to the equipment data beca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evaluation model, but not to quantify the actual risk ran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follow-up plan such as pilot implementation of the RAPID-N for high risk areas of chemical accident by applying actual figures later. For this purpose, it is suggested that Natech risk assessment and damage prediction method should be develop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Natech risk assessment and damage prediction model at home and abroad. We have proposed to develop a screening model such as the RAPID-N in the short term and proposed to build a detailed evaluation system such as the HAZUS-MH in the long term. In particular, when developing a detailed risk assessment model for Natech, it should include damage prediction models for floods and hurricanes, which are common natural disasters in Korea.Third,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hemical handling facility management policies of Natech in Korea and abroad. Based on this analysis, policy proposals for safety management at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against Natech were presented as suggestions for accident prevention system, related facility standard, improvement plan for PRTR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 and Natech accident case database construction. We analyzed the Natech prevention systems including the CalARP (California Accidental Release Prevention Program), the German Major Accident Ordinance and Technical Rules for Installation Safety in Germany, and the chemical accident prevention system in the 「Chemicals Control Act」 in Korea.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the risk for natural disaste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process risk analysis conducted the off-site consequence analyses and risk management plans of the 「Chemicals Control Act」.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o prepare risk assessment techniques and guidelines for natural hazards in process risk analysis. For Natech-related facility standards, we reviewed the examples of seismic design standards for major industrial facilities in France by seismic hazard zones, the domestic 「Chemicals Control Act」, and the 「Act on the Preparation for Earthquakes and Volcanic Eruptions」. Accordingly, it was proposed to add the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applied to the 「Chemicals Control Act」 to the facilities subject to the earthquake and ash-resistant measures of the 「Act on the Preparation for Earthquakes and Volcanic Eruptions」. It was also proposed to differentiate the seismic design criteria of hazardous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and to set up standards for handling and managing hazardous chemicals. In the improvement of the Natech related PRTR, we compared the TRI(Toxic Release Inventory) of the US 「Emergency Planning and Community Right-to-Know Act」 and PRTR of Korea. Based on this, we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the guidelines to report for PRTR if there is a leakage amount due to a fatal accident such as earthquake, fire, flood, or a one-time accident not related to the production process. Next, we reviewed the EU's RAPID-N and the Chemical Safety Clearing-house of Korea and suggested that Natech accident case database construction is necessary. We put forward to construct a separate system to collect Natech cases or to improve the system by adding Natech DB items to the Chemical Safety Clearing-house which is the general chemical accident DB system.Finally, the future directions were presented. Although the earthquake was mainly dealt with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Natech study for typhoon and heavy rain should be a future project. Also,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pilot project for high risk areas of domestic chemical accident using the RAPID-N. 본 과제는 Natech에 대한 예측·평가 방법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사업장 안전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Natech 유형별 사업장 피해 사례를 검토하고 Natech 위험평가 및 피해예측 모델 조사를 통한 시범적용과 국내외 사업장 관리정책 현황을 비교·분석하여 국내 적용 가능한 Natech 안전관리 수단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Natech 유형별 사업장 피해사례를 검토하였다. Natech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자연재해별 피해유형을 정리하였고, 국외 Natech 사고사례 12건, 국내 사고사례를 2건에 대하여 자연재해 유형, 사고유형, 사고원인, 피해규모 및 영향, 대응책, 후속조치 등을 정리·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자연재해별 사고원인, 대응책, 후속조치 등이 다르다는 것이 파악되었다. 국내에는 Natech 관련 현황 분석을 위한 사고사례를 쉽게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에 자연재해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도출하였고, 그 지역 내의 사고대비물질 취급 사업장의 수, 노후화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둘째, 국내외의 Natech 관련 위험평가와 피해예측 모델 및 시스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외 Natech 위험평가 및 피해예측 모델을 비교·분석하여, 국내 적용 가능한 Natech 평가 모델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EU의 RAPID-N을 이용하여 경주와 포항에서 지진이 발생할 경우를 가정하여 Natech 위험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6년과 2017년에 경주와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이 다시 발생할 경우를 가정하였고, 경주와 포항의 지진 발생 인근 사업장을 선정하여 국내 Natech 위험을 평가하였다. 사업장 내 설비의 유형과 치수 자료는 가상의 값을 사용하였고, 기상 조건은 최악의 시나리오와 대안의 시나리오를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시나리오를 적용한 결과, 지진으로 인해 사업장에서 화학사고가 발생할 경우 주변지역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설비에 대한 자료에 가상의 값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목적이 평가 모델의 적용성을 확인하고자 함이지 실제의 위험범위 등을 정량화하고자 함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후 실제 수치를 적용하여 화학사고 고위험지역에 대한 RAPID-N의 시범적용을 추진하는 등 국내 활용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Natech 위험평가 모델 개발을 위한 기술적 제언으로 국내외 Natech 위험평가 및 피해예측 모델을 비교·분석하여 Natech 위험평가 및 피해예측 기법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단기적으로는 RAPID-N과 같은 스크리닝차원의 모델을 개발하고, 향후에는 HAZUS-MH와 같은 상세 평가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Natech에 대한 상세 위험평가 모델 개발 시, 국내에서 빈발하는 자연재해인 홍수와 태풍에 대한 피해예측 모델도 포함되어야 한다.셋째, 국내외 Natech에 관한 사업장 관리정책 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토대로 Natech 대비 사업장 안전관리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사고 예방 제도, 관련 시설기준, 화학물질 배출량조사 제도 개선방안 및 Natech 사고사례 DB 구축에 관한 제안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Natech 예방 관련 제도에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화학물질 누출예방 프로그램과 독일의 주요 사고 조례 및 특별기술규칙, 국내 「화학물질관리법」의 화학사고예방 제도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화학물질관리법」의 장외영향평가와 위해관리계획 시수행되는 공정 위험성 분석에서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을 고려하도록 명시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공정 위험성 분석 시 자연재해를 고려한 위험평가 기법과 지침을 마련하도록 제안하였다. Natech 관련 시설기준에 대해서는 프랑스의 지진위험 구역별 중요 산업시설에 대한 내진설계기준 사례와 국내 「화학물질관리법」, 「지진·화산재해대책법」 등을 검토하였다. 이에 따라 「화학물질관리법」에 적용받는 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지진·화산재해대책법」내진설계 대상시설에 추가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내진설계기준 차등화, 유해화학물질 취급 설치 및 관리기준을 구체화하도록 제안하였다. Natech관련 화학물질 배출량조사 제도 개선에서는 미국 비상계획 및 지역사회 알 권리에 관한 법의 유독물질 보고와 우리나라 화학물질 배출량조사 제도를 비교하였다. 이를 토대로 화학물질 배출량조사 시 지진, 화재, 홍수와 같은 치명적인 사고, 생산 프로세스와 관련되지 않은 일회성 사고로 인해 누출된 양이 있다면 보고하도록 지침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EU의 RAPID-N과 국내의 화학안전정보공유시스템의 사고사례 DB에 대하여 검토하여 Natech 사고사례 DB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Natech 사례를 수집하기 위한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현재 일반 화학사고 DB 시스템인 화학안전정보공유시스템에 Natech DB 항목을 추가하여 시스템을 개선할 것을 제안하였다.마지막으로 향후 우선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는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접근성 등을 고려해 지진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Natech의 주된 자연재해 요인인 태풍 및 호우 등을 대상으로 한 Natech연구 또한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국내 화학사고 고위험지역에 대해 RAPID-N 모델을 이용한 시범사업을 확대 수행하여 이를 토대로 Natech의 위험성 평가와 대응 체계 도입을 위한 제도적·기술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가위험평가제도 도입을 위한 국외사례 연구

        윤경호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8

        2013년 6월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을 통해 전 사업장을 대상으로 위험성평가 실시가 의무화되었다. 공정안전관리(process safety management, PSM) 대상 사업장에서 실시하던 위험성 분석을 일반 사업장으로까지 확대한 것이다. 실제 PSM, SMS, KOSHA 18001 등에 의한 사업장 안전/리스크 관리를 실시한 결과, 전사업장 평균 재해율은 90년대 후반부터 최근까지 감소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2012년 구미에서 발생한 불화수소 누출사고와 같이 중대사고로 인한 피해가 산업시설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로까지 전이되어 재난으로 확대되는 상황 또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복합재난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선제적 대비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의 위험요인을 사전에 파악하여 관련 저감대책을 수립함으로서, 재난 또는 사고 발생 시 그 피해를 줄이고 신속한 대응·복구가 가능하도록 국가위험평가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영국과 네덜란드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형 국가위험평가제도의 도입 시 고려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The revised Industrial Safety Health Act 2013 requires an enforcement of risk assessment in all business places in Korea. Risk assessment had been conducted only in the business sites for process safety management (PSM), but is now extended to general business places according to this act. The results from the office safety and risk management practices based on the PSM, SMS, KOSHA 18001 show that the average injury rate has been declining since late 1990s. However, considering that critical accidents in Korea (e.g. the hydrogen fluoride leakage at Gumi in 2012) have damaged not only industrial facilities but also generated disasters within the communities, there is need of a national-level proactive response to complex disasterous event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s case studies from the United Kingdom and Netherlands where national risk assessment system is under operation, The design of response system based on early identification of national risk factors in those countries have reduced the level of damages and enabled prompt response and recovery. Comparative analyses of these cases could provide a guideline to the adoption of the risk assessment system in Korea.

      • KCI등재

        ‘위험한 범죄자’와 현대 위험관리체제의 성격 : 재범위험성 평가의 발전과 역설적 효과

        유진 ( Jin Yu ) 법과사회이론학회(구 법과사회이론연구회) 2018 법과 사회 Vol.0 No.58

        이 논문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의 보안처분 제도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재범 위험성평가 도구가 모델로 삼고 있는 미국의 위험성평가 방법의 발전과정을 추적함으로써 현대 위험관리체제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미국에서 과학적인 위험성 판단에 대한 요구가 대두된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민사구금제도 개혁을 배경으로 1980년대 이후 발전한 보험계리적 위험성평가의 과학적 성격과 정치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정신장애인의 민사구금제도에서 강제입원 기준으로 확립된 위험성 기준은 1970년대에 격렬한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반정신의학 운동과 정신장애인 권리옹호 담론은 위험성 기준에 따른 강제입원이 정신장애인의 기본권을 침해하며, 정신과 의사들의 주관적이고 부정확한 위험성 판단에 근거한 민사구금은 정당화될 수 없다고 비판하였다. 이에 대하여,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발전하기 시작한 보험계리적 접근법은 통계적 확률 평가를 토대로 표준화된 위험성평가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주관적이고 부정확한 위험성 판단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통계적 위험성평가 방법은 사회방위와 기본권 보호라는 두 가치를 계량적으로 측정함으로써 기본권 침해를 최소화하면서 사회방위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형성된 재범위험관리 체제의 맥락에서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보험계리적 위험성평가는 역설적으로 평가와 관리대상을 확대시키는 동시에 범죄자에 대한 장기적이고 세밀한 감시와 규제를 뒷받침하는 도구로 기능하게 된다. 본 논문은 현대 재범위험관리체제에서 발전해온 위험성평가의 성격과 의미를 고찰하고,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보안처분 대상자 선정과정에 암묵적으로 투영되어온 위험성평가의 논리와 가치체계를 조명함으로써 보안처분제도와 관련하여 생략되어온 논의의 장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In the United States, the 1960s and 1970s witnessed conflicts and controversies around the civil commitment of the mentally disordered,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standard of dangerousness. Civil rights advocates raised criticism that involuntary commitment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dangerousness infringed on civil rights and that inaccurate prediction of dangerousness resulted in unacceptable civil rights violations. The debates on the prediction of dangerousness posed problems with which researchers of risk assessment had to grapple around the turn of the 1980s. Violence risk studies began to develop in the aftermath of controversies around psychiatric dangerousness prediction, by putting forth an actuarial approach to risk assessment as a way of balancing public safety and civil rights. Actuarial risk assessment tools that began to be developed since the 1980s were put to use in the context of sex offender risk management in the 1990s, where they had paradoxical effects of enabling lengthened surveillance and regulation and of expanding the targets to cast wide nets to capture a broad range of dangers.

      • KCI등재

        고정식 수소충전소에서의 Dispenser Module 내 구역별 위험성 평가

        임상진,김민기,김수,이윤호 해양환경안전학회 202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9 No.1

        신재생에너지로서 수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의 화석 연료와 달리 수소는 연료 공급을 위한 전용 충전소가 필요하며, 이러한 인프라 확보를 위해서 수소충전소의 위험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성적 위험성평가와 정량적 위험성 평가로 구분하여 수소충전소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정성적 평가는 Hazard and Operability Analysis(HAZOP) 기법을 사용하여 Dispenser Module을 두 개의 Node로 평가하였으며, Criticality Estimation Matrix에 따라 Filter의 막힘으로 인한 사고와 고압 사고의 위험도가 High Level로 평가되었다. 정량적 위험성 평가는 Hydrogen Korea Risk Assessment Module(Hy-KoRAM)을 사용하여 화재의 형상과 피해영향범위를 나타냈고, 개인적 위험도와 사회적 위험도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개인적 위험도는 수소충전소로부터 약 100m 떨어진 공공시설 부근까지 추가적인 안전조치가 고려되는 As Low As Reasonably Practicable(ALARP) 구간의 위험도를 보였고, 사회적 위험도 역시 약 10명의 사망자가 발생할 사고빈도가 1E-04/year로 도출되며 ALARP 구간 내에 나타났다. 정성적·정량적 위험성 평가 결과, 공정 단계의 추가적인 안전 조치와 수소충전소 부근의 제한구역 설정을 통하여 안전성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 학술 7 특별구두세션 : PB. 포스터세션2 ; 퍼지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함정 위험등급 평가방안

        백용관 ( Yong Kawn Beak ),김두한 ( Doo Han Kim ),조관준 ( Kwan Jun Jo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4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1. 목적 · 함정의 품질보증 활동의 경우 많은 품목과 복잡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위험발생 가능성(Occurrence)과 위험의 영향도(Consequence)를 결정하여 위험등급 평가를 실시하고 있음 · 함정 분야는 소량생산, 긴 건조기간, 복잡한 시스템 등의 이유로 샘플링 검사와 같은 통계적 품질관리가 어려워 품질보증원이 객관적인 위험등급 평가를 수행하기 어려움 · 본 연구에서는 피지이론과 전문가 의견 시스템을 이용하여 객관성과 전문성을 향상시킨 위험등급 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함 2. 연구설계/ 방법론/ 접근방법 · 본 연구에서는 함정 탑재 장비의 위험등급 평가를 다수의 전문가에 의해 수행한 후 다수의 평가 결과를 전문가 가중치에 따라 적용 및 종합하여 객관적이면서 전문성을 반영함 · 위험등급 평가 기준이 정량적이지 못하여 평가자 판단의 불확실성이 평가 결과에 반영되지 않았지만 퍼지 이론을 적용하여 평가자 판단의 불확실성을 평가결과에 반영하여 명획한 결과 값 제시 · 다수의 의견을 종합한 객관적인 결과제시를 통하여 미래의 위험등급 평가에 지속적으로 환류 가능하도록 함 3. 연구결과 · 객관적이면서 종합적인 위험등급 평가 결과를 위하여 퍼지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위험등급 평가 방안 및 위험등급 평가의 가이드라인을 제시 4. 실무적 시사점 · 샘플링 검사와 같은 확률 및 통계적 품질관리가 어려운 함정분야의 문제점 제시 · 퍼지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평가방법 활용으로 위험등급 평가의 객관성 확보 · 위험등급 평과결과에 따라 위험등급별 차등화된 효율적인 품질보증 업무 가능 5. 독창성/ 가치 · 함정 적용 장비의 위험등급 평가 결과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여 품질보증 활동의 신뢰성 향상 · 다수의 전문가의 의견을 가중치에 따라 종합함으로써 새로운 위험등급 평가 결과의 가이드라인 제시 · 객관적인 위험등급 평가 결과에 따른 선택과 집중을 통한 효율적인 품질관리 가능

      • KCI등재

        지진에 의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서준표,유송,이기환,이창우,우충식 한국재난정보학회 2021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7 No.4

        연구목적: 지진에 의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를 통하여 지진발생 전에는 산사태 예방사업, 지진발생 후에는 피 해지 예측 및 복구 우선순위 선정으로 지진유발 산사태 피해저감을 효율적·선제적으로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국외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평가 방법론 검토와 평가 인자를 도출하고 국 내 산사태 위험지도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지진동 감쇠식을 이용하여 포항지역의 단층대 및 진앙지 기 준으로 지진에 의한 산사태 위험지도를 시범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지진에 의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 연구는 중국이 전체의 44%, 이탈리아 16%, 미국 15%, 일본 10%, 대만 8% 순으로 나타났다. 평가 방법론으로 통계적 모형이 59%로 가장 많았고, 물리적 모형이 23%로 나타났다. 통계적 모형에 많이 사용된 인자는 고도, 단층대 와의 거리, 경사도, 사면방향, 모암, 지형곡률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의 산사태 위험지도는 지형·지질·임상이 반영되는데 이를 활용한 지진에 의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는 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포항지역에 단층대 및 진앙지 기준으로 산사태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기존의 낮은 등급이 높은 등급으로 변화하는 등 지진의 영 향이 고려되었다. 결론: 광역 단위의 지진유발 산사태 위험도 평가를 위해서는 산사태 위험지도를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단층대 기준의 위험지도는 지진에 의한 산사태 피해방지를 위한 예방사방사업 대상지 선정에 활용하고, 진앙지 기준의 위험지도 는 지진이 발생한 이후 산사태 피해 현황을 조사하거나 피해지 복구 등 피해방지 대책 우선순위 선정의 효율적 사후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Purpose: In this study, earthquake-induced landslide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and preemptive damage prevention by selecting the erosion control work before the earthquake and the prediction and restoration priorities of the damaged area after the earthquake. Method: The study analyzed the previous studies abroad to examine the evaluation methodology and to derive the evaluation factors, and examine the utilization of the landslide hazard map currently used in Korea. In addition, the earthquake-induced landslide hazard map was also established on a pilot basis based on the fault zone and epicenter of Pohang using seismic attenuation. Result: The earthquake-induced landslide risk assessment study showed that China ranked 44%, Italy 16%, the U.S. 15%, Japan 10%, and Taiwan 8%. As for the evaluation method, the statistical model was the most common at 59%, and the physical model was found at 23%. The factors frequently used in the statistical model were altitude, distance from the fault, gradient, slope aspect, country rock, and topographic curvature. Since Korea's landslide hazard map reflects topography, geology, and forest floor conditions, it has been shown that it is reasonable to evaluate the risk of earthquake-induced landslides using it.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risk of landslides based on the fault zone and epicenter in the Pohang area, the risk grade was changed to reflect the impact of the earthquake. Conclusion: It is effective to use the landslide hazard map to evaluate the risk of earthquakeinduced landslides at the regional scale. The risk map based on the fault zone is effective when used in the selection of a target site for preventive erosion control work to prevent damage from earthquake-induced landslides. In addition, the risk map based on the epicenter can be used for efficient follow-up management in order to prioritize damage prevention measures, such 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landslide damage after an earthquake, or to restore the damaged area.

      • KCI등재

        WTO/SPS협정상의 주요 의무인 위험평가의무와 지역화 인정의무에 대한 고찰

        최혜선(HyeSun Choi)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東亞法學 Vol.- No.94

        각 나라는 자국의 국민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절하다고 판단한 안전기준을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한 안전기준의 본래의 목적은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지만, 때로는 국내 농업 및 식품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무역을 위한 장치로써 필요 이상의 과도한 규제가 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SPS 협정의 기본정신은 SPS 조치를 과학에 근거하게 하여 투명성을 확보하고, SPS 조치가 필요한 범위 내에서, 무역제한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발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SPS 조치를 과학에 근거하도록 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의무가 위험평가의무이고, SPS 조치가 필요한 최소 범위 내에서 발동하도록 구체화한 의무가 지역화 인정의무이다. WTO의 회원국은 제5.1조에 따라 자국의 SPS 조치가 여건에 따라 적절하게 위험평가에 기초하도록 보장하여야 한다. 위험평가는 식품에 근거한 위험에 대한 평가와 해충 또는 질병으로부터의 위험에 대한 평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유형의 위험평가에서는 잠재성의 평가를, 두 번째 유형의 위험평가에서는 전파 가능성의 평가를 요구하고 있어, 위험평가 결과 나타내야 하는 위험수준의 정도가 달라지는지에 대하여 의문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두 유형의 위험평가 모두 정성적 평가로도 가능하며, 위험평가를 통해 나타내야 할 위험의 수준은 없다는 것이 그 간의 SPS 분쟁사례를 통한 일관된 입장이므로 유형에 따라 위험수준의 정도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위험평가의 수행이 가능하지 않더라도 제5.7조에 따라 입수가능한 적절한 정보에 근거하여 잠정적으로 SPS 조치를 채택할 수 있다. 이 조항에 근거한 예외적인 상황 이외에 사전주의 원칙을 원용하여 위험평가의무를 벗어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판단이 내려진 바 있다. 잠정조치가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해당 조문에서 요구하고 있는 네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 요건의 충족 여부에 대한 입증책임을 어느 국가가 부담하는지에 대하여 아직 일관된 입장이 정리되어 있지 않다. 지역화 인정의무에 대해서는 수입국의 강도 높은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2018년도에 이미 미국산 가금류에 대해서는 지역화를 인정하여 고시를 시행중에 있다. 이를 근거로 독일에서도 돼지고기에 대해서 지역화를 요구하고 있다. 지역화 인정의무는 SPS 협정의 기본정신인 필요성의 원칙 및 무역제한적 효과의 최소성 원칙의 구체적인 발현으로 중요한 의무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이 수입국이면서 영토가 제한적인 국가로서는 우리가 이 의무를 요구할 가능성은 매우 제한적인 반면, 자칫 과도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의무이기도 하다. 최근 분쟁사례를 통해 이 의무가 수입국의 재량 범위를 더욱 제한하는 방향으로 판단이 이루어진 점 또한 수입국으로서 눈여겨 보아야 할 것이다. Each country establishes safety standards that it deems appropriate to provide safe food to its citizens.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afety standards is to ensure food safety, but sometimes it has become more excessive regulations than necessary as a device for protecting the domestic agricultural and food industries. Therefore, the basic spirit of the WTO/SPS agreement is to ensure transparency based on science and to minimize the effect of trade restrictions. The most important obligation to base SPS measures on science is the risk assessment obligation, and the obligation to recognize regionalization is the obligation to specify that SPS measures are initiated to the minimum extent necessary. Members shall ensure that their SPS measures are based on a risk assessment, as appropriate as the circumstances in accordance with Article 5.1. Risk assessment can be classified into food-based assessment of risk and assessment of risk from pests or diseases. Since the first type of risk assessment requires an assessment of potential and the second type of risk assessment requires an assessment of likelihood, questions may arise as to whether the degree of risk level to be expressed as a result of risk assessment. However, both types of risk assessment are also possible through qualitative assessment, and the fact that there is no level of risk to be expressed through risk assessment is a consistent position through SPS dispute cases so far does not vary depending on the type. Where an adequate risk assessment is not allowed, a provisional SPS measures may be adopted based on available pertinent information pursuant to Article 5.7. In addition to the exceptional circumstances based on this provision, negative judgments have been made as to whether it is possible to escape the risk assessment obligation using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n order for this provisional measures to be justified, all four requirements required by the article must be met. A consistent position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as to which country bears the burden of proof on whether or not the four requirements are met. The strong demands of importing countries for the obligation to recognize concept of regionalization continue. In 2018, government reopened the U.S. poultry based on this regionalization. In addition to, Germany is also demanding re-import of their pork like the US poultry case. The obligation to recognize concept of regionaliz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obligations specifying the main principle of SPS Agreement, that is necessity and least trade-restrictive requirements. However, as an importing country like Korea and a country with limited territory, the possibility to demand this obligation is very limited, but it is also an obligation that can act as an excessive burden.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rough recent dispute cases, this obligation was judged in the direction of further limiting the discretion of the importing country.

      • 댐 붕괴 홍수로 인한 농업용 저수지 하류부의 정량적 위험도 평가

        양영진 ( Young-jin Yang ),노재경 ( Jae-kyoung Noh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범지구적 이상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난은 재앙으로 일컬어질 만큼 피해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재해 위험도의 영향을 선제적이며 포괄적으로 고려한 국가인프라시설의 개발계획과 재난위험 대응을 위한 재정전략 수립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지만, 복합적인 자연재해와 급격한 도시화 등으로 인하여 재해위험관리의 어려움 또한 가중되고 있다. 재난발생 시 최전방에 위치한 저수지, 제방 등의 농업기반시설은 농지보전과 농업생산의 사회·경제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시설물과 부대시설이라는 기존의 기능과 역할에서 확대되어, 홍수와 가뭄 등 극한기상으로 인한 자연재해를 예방하고 재난발생 시에는 인적·물적 자산을 보호해야 하는 인프라시설로서의 역량 강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재해위험의 취약도 개선과 재해의 예방·경감을 통한 효율적인 재난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재난대응을 위한 재정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재난 위험도의 평가와 재난의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한 엄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위험도 평가를 기반으로 한 재난위험관리를 통해 자연재해로 인한 경제·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허보영(2013)에 따르면 자연재해 위험지구 정비사업을 통해 자연재해에 대한 예방 투자를 할 경우 평균 2.83의 비용편익비가 발생하여 잠재복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연구된 바 있다. 재난에 의한 위험도 평가를 위해서는 재해의 위험(hazard), 자산의 재해노출도(exposure), 재해 취약도(vulnerability)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와 기술적인 평가 모델이 필요하나 현재 데이터의 처리 및 분석기법의 부재 등으로 국내에서는 정량적 위험도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재난의 예상손실평가 등 재난위험을 정량화할 수 있는 분석기법은 아직 일반화될 정도로 개발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잠재위험도를 고려하여 농업용 저수지를 정량적 위험도평가의 프로토타입으로 선정하였으며, 국제적으로 연구되고 통용되는 방법론에 따라 댐 및 댐 하류부의 위험도평가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프레임워크에 근거하여 댐의 파괴시나리오와 이에 따른 지역단위 재해발생 전망과 재난노출 가능성인 위험(hazard)의 규모를 분석하였다. 자산의 재해노출도(exposure)는 댐 붕괴모델을 통한 재난지역의 GIS 분석결과에 기초하였다. 재해 취약도(vulnerability)와 사회·경제적인 피해는 두 가지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우선 국내기준과 법령에 부합하는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법(MD-FDA)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또한 RiskScape모델과 취약도함수방법(fragility function method)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결과 값을 비교하고 국내적용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화된 이론에 근거하여 댐 및 댐 하류부의 전체적인 정량적 위험도평가 방안을 제안하였으므로 실제 재해 지구의 위험도 경감을 위한 투자계획을 수립하고, 시행예정 지구의 효율적인 토지이용계획과 재해 대응관련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위험성평가를 통한 농업토목공사 안전관리 매뉴얼 개발

        양영진 ( Young-jin Yang ),전택기 ( Taek-ki Jun ),오수훈 ( Soo-hun Oh ),노재경 ( Jae-kyoung Noh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정부정책, 법, 사업주체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회 고도화와 시공여건 변화 등 복합적인 요인에 따라 국가 건설 산업재해의 빈도와 강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업토목건설은 일반건설에 비해 상대적인 시설규모가 작으며, 규모의 영세성에 의한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다. 건설공사 재해예방과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현장의 실제적 위험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과 요인별 구체적인 대책의 제시가 필요하다. 일반건설업에 대해서는 공종별 위험성평가와 안전관리 매뉴얼 관련 다각적인 선행연구가 수행되었으나, 농업토목공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객관적인 기법이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토목공사의 실제적 여건에 부합하는 분류체계를 기준으로 실제 발생했던 “2012∼2016년 한국농어촌공사 발주공사 재해사례” 827건의 정량적인 위험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위험성평가 결과를 공사현장 안전재해 면담조사 결과 및 관련지침·법령과 연계 분석하여 세부공종별 안전관리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안전관리 매뉴얼은 작업개요, 작업절차, 공종별 재해발생현황, 세부공종별 재해발생 빈도 및 강도,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작업위험요인, 주요재해사례/위험요인 및 대책, 위험요소 체크리스트 및 단계별 저감대책의 순으로 구성하였다. 농업토목공사 현장 특성에 부합하는 위험성평가와 매뉴얼 작성을 위해 사업, 시설물, 공종을 분류하고 코드화하였다. 안전관리 관련 법규와 한국농어촌공사 분류체계 현황조사를 통해 대분류 5개, 중분류 17개, 소분류 67개의 사업을 도출하였다. 농업토목공사 준공도면 227건을 분석하여 18개 주시설과 111개 부시설로 농업토목시설물을 구분하였다. 농업토목공사 계획설계기준과 안전보건공단 공종분류를 이용하여 대공종 38개와 세부공종 113개를 도출하였다. 재해요인을 분석하고, 위험성을 계산하였다. 재해사례별로 유형화하고, 요인을 구분하였다. 발생위험성은 발생빈도와 발생강도의 곱으로 계산하였다. 발생빈도와 발생강도를 크기에 따라 각각 3점 척도로 구분하여 빈도지수와 강도지수로 나타냈다. 두 지수를 곱하여 최종 9점 척도의 위험지수를 제시함으로써 집중관리 대상 공종을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삽화를 제작하고, 대책을 제시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대공종과 하부 세부공종에 대한 관련사진을 수집하였다. 추가필요 사진은 전국 현장의 협조를 받아 수집하였다. 수집된 사진을 개념화하여 현장에서 이해하기 쉽게 하고, 각 세부공종을 대표할 수 있도록 삽화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공종별 삽화에 작업위험요인을 말풍선으로 지적하여 위험요인을 도출하였다. 위험요인을 인적, 물적, 작업방법, 기계장비의 4M 방법으로 구분하여 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농업토목공사 안전관리 매뉴얼은 안전보건공단 및 한국농어촌공사의 안전관리 담당자와 협업을 통해 완성되었으며, 농어업 건설현장에서 위험성평가 교육 및 현장 위험요인 도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