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를 통해 본 뉴 미디어와 도시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김민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media and city through the case of new media art based on locative media which raises important media between the late 20th century and early 21st century. Locative media which is embodied in combination of specific site and data space reconstitute human experience in modern city and demand the redefinition of urbanity. In this perspective, locative media art which reinterpret feature of locative media in the field of artistic experiment has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meaning of technological, esthetic change can be understand in the urban context. The greater part of locative media art is planned in the specific urban context, reinvent real place and virtual data space as community through the interactivity with participants. To analyse urban meaning of locative media practice, I research emergence of urban community mediated by locative media and site-specificity of locative media art. And I present the geography of topological city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opographical peculiarity of new city is confirmed by the concept of ‘overexposed city’ which is defined by Paul Virilio. He focused on ‘cinecitta’ as prototype of overexposed city. This concept plays a crucial role in being able to recontextualization feature of new media which is represented by locative media relation to urban space. In this point of view, the term of 'media city' has not only meaning of city mediated by media technology but also possibility of considering city as media. As a result, relationship between city and media through the case of locative media art is not simple combination of individual sphere but in complementary relations in media history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로의 이행과정에서 중요한 미디어로 대두된 위치기반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뉴 미디어 아트 사례 분석을 통해 뉴 미디어와 도시의 관계를 고찰하는 데 있다. 특정한 장소와 데이터 공간의 결합을 통해 구현되는 위치기반 미디어는 현대 도시에서의 인간 경험을 새로운 차원으로 재구성하고 있으며, 도시성 자체에 대한 재정의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위치기반 미디어의 특징을 예술적 실험의 영역에서 재해석하는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는 뉴 미디어 시대의 기술적, 미학적 패러다임 변화의 의미를 도시적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게 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의 대부분은 구체적인 도시 공간의 맥락에서 기획되어 현실의 장소와 가상의 데이터 공간을 참여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공동체의 영역으로 재창조한다. 본 연구는 위치기반 미디어 실천의 도시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위치기반 미디어에 의해 매개된 도시 공동체의 출현과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의 장소 특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위상학적 도시의 지형도를 제시했다. 새로운 도시의 지형학적 특성은 폴 비릴리오에 의해 정의된 바 있는 ‘과잉노출의 도시’ 개념을 통해 확인했다. 그는 과잉노출 도시의 원형으로서 ‘영화도시’에 주목했다. 이 개념은 공공 공간에서 위치기반 미디어 기술을 통해 재현되고 있는 뉴 미디어의 특성을 도시 공간과의 관계성으로 재맥락화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디어 시티’등의 용어는 매체기술에 의해 매개된 도시로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도시 자체를 미디어로 인식할 수 있는 가능성의 의미임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의 실천을 통해 본 도시와 미디어의 관계는 개별적 영역의 단순한 조합이 아니라 매체사적으로 밀접한 상보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위치기반 SNS로서의 공간미디어 활용 전략

        김동섭,조택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3

        Recently, Location-based SNS(social network service) are growing explosively along with the popularity of smartphone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assist the purpose achievement of a space. Location-based SNS is associated particularly with spaces as it stands on the basis of geographical locations. So it is expected that visitors to the space could share their experiences and knowledges b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so they could take ever-changing experiences. Firstly, the concept and features of Location-based SNS are studied and its possibility as a tool of marketing is proved.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ed that Location-based SNS has the intrinsic structure of rewards and satisfactions. Secondly, space media are able to perform better than smartphones in terms of substantiality, human scale, fully sensed experience and precise location measurement. Smartphones are the best powerful media in terms of the invigoration of Location-based SNS. So this paper suggests three strategies of an accordion management to smarphones. First, adaptation strategy make suggestions of oneness to all smartphones, personalized information service and instant response to accomodate smartphone usrs into the space. Second, supplement strategy is to make the space more attractive place by making up for the functions of smarphones. Those are precise location measurement, maximization of visual effects, expansion of the depth and range of information, reinforcement of augmented reality and establishment of human hubs. Third strategy is differentiation by variation of navigation, activation of location-based games, differentiation of recognition capabilities, spatial exploitation for collective intelligence and artificial intellectualization of space. 최근 스마트폰 시장의 인기와 더불어 위치기반 SNS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고는 위치기반 SNS를 특정 공간 내에서 활성화하여 공간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위치기반 SNS는 지리적 위치를 기반으로 하기에 물리적 공간과 관련이 깊다. 위치기반 SNS를 통해 공간의 방문자들이 서로 소통하면서 자신의 체험이나 지식을 교환함으로서 스스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체험을 하는 것을 가능케 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 먼저 위치기반 SNS의 개념과 특징을 고찰하고 마케팅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증명한 후 내재적으로 행위자들이 참여하게 하는 보상의 구조와 욕망충족의 구조가 내재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로 공간 미디어들은 실체성, 인간적 척도, 전감각적 체험, 정밀한 위치측위 등의 관점에서 스마트폰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위치기반 SNS의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위치기반 SNS로서 공간미디어의 활용전략은 위치기반 SNS를 활성화시키는데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스마트폰에 대응하는 세 가지 방식의 전략을 제한하였다. 먼저 순응전략은 공간미디어가 스마트폰에 대한 개방성, 정보 서비스의 개인화, 즉각적인 반응상태 유지 등을 갖추어 스마트폰 사용자들을 특정 공간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는 보완 전략으로서 스마트폰이 가지고 있는 기능이나 공간미디어를 통해 보완될 때 더욱 매력적인 공간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하다. 이는 정밀한 위치정보 제공, 시각적 극대화, 정보의 깊이와 범위의 확장, 증강현실의 강화, 휴먼허브 구축 등을 들었다. 차별화 전략으로는 네비게이션의 다양화, 위치기반 게임의 활성화, 인식기능의 차별화, 집단지성을 위한 공간의 활용, 공간의 인공지능화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장소 특정적 미술과 위치기반 미디어에서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

        김민지(Kim, Min Ji)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9 No.-

        본 연구는 장소 특정적 미술과 위치기반 미디어 간의 관계성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공간성의 변화와 결부된 예술적, 기술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1960년대 후반부터 촉발된 장소 특정적 미술과 2000년대의 위치기반 미디어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예술과 기술의 관계성에 관한 비교분석법에 기반해 장소 지향적 실천이 뉴미디어 시대에 갖는 의미를 도출하고자 했다. 물리적 공간에 대한 강조에서 비롯된 장소 특정적 미술의 장소 개념은 담론적 공간을 거쳐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내비게이션 공간의 특징으로까지 연결된다. 내비게이션 공간의 관점에서 위치기반 미디어는 뉴미디어의 공간이 실제 장소와 맺고 있는 관계성을 제시해준다. 이러한 관점에서 위치기반 미디어는 장소특정적 미술의 기술적 확장으로 정의 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장소 특정적 미술과 위치기반 미디어 프로젝트는 데이터 공간과 현실의 장소 간 관계를 디자인하는 확장공간의 기획으로 수렴된다. 결과적으로, 장소 특정적 미술과 위치기반 미디어에서의 공간성은 뉴미디어 시대 예술과 기술이 창의적 상호작용의 관계에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물은 예술과 과학기술의 관계에 관한 역사적 접근법을 제시한다는 측면의 함의를 갖는다. Drawing up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ite-specific art and locative medi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shift of artistic, technological paradigm combined with variation of the spatiality. The range of study is site-specific art from the late 1960s and locative media project in the 2000s. And, by dwelling upon comparison analysis method on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echnology, I draw a conclusion the meaning of site-oriented practices in the new media era. The concept of place in site-specific art taken by emphasis on physical space connected into feature of navigation space in cyberspace by way of discursive space. Within the framework of navigation space, locative media present relationship between space in new media and real place. In this perspective, locative media can be defined as technological expansion of site-specific art. In summary, site-specific art and locative media project art convergent with the planning of augmented space that design the relation between data space and actual place. As a result, spatiality in site-specific art and locative media present that art and technology are creative interactive relations in the era of new media.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resenting the historical methodology about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echnology.

      • KCI등재

        사용자 활동 패턴과 카테고리 유사성 기반 POI 추천

        임종태,이서희,복경수,유재수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5

        최근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POI(Point of Interest) 추천 서비스가 중요하게 연구되고 있다. POI 추천의 정확도를 향상하기 위하여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는 기존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사용자의 현재 상황적인 요소 중 위치와 시간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활동 패턴과 카테고리 유사성을 고려한 POI 추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활동성에 따라 사용자를 그룹화하고, 사용자와 장소가 가진 특성을 고려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수집하는 시간, 장소와 함께 카테고리 유사성 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보다 개인화된 추천을 수행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자체 성능평가 및 비교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성능평가 결과,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해 약 16% 향상된 정확도를 보인다. 제안하는 기법은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추천 기법이나 추천 기법을 활용한 응용에 전반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POI(Point of Interest) recommendation services using a location-based social network have been studied importantly.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hat the existing schemes cannot consider various spatial and temporal featur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POI recommendation scheme based on user activity patterns and category similarity. The proposed scheme groups users by user activity and considers the features of users and places. IIt also performs more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by additionally considering category similarities along with the time and place it collects from users. In order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scheme, we evaluate and compare the performance with the existing schemes. As a result, the proposed scheme achieves about 16%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schemes. We expect that the proposed scheme can be applied to the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chemes or applications in social media environments.

      • KCI등재

        장소기반 미디어(Locative Media)로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연행성

        주현식 ( Hyun Shik Ju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39 No.-

        This paper`s aim is to study the performativity of mobile phones as a locative media. Performivity means constraint and creativity of language under context of use. Portability and mobility is a hallmark of mobile phone under local context. Therefore, the concept of context focused performativity can be significantly used for the interpretation about mobile phone`s embodied communication. An abstract coordinate space is transformed into the concrete social-interactive place by the use of mobile phones while moving. In other words, the specificity and constraint of mobile phones is from its locative based and contextual sensitive characteristics. The usage contexts of mobile phones suggests how subjective`s conditions as moving between places display itself under a digital environments. Performance and performativity study have a deep relation with explaining the locative based and contextual sensitive characteristics of mobile phones, because they do research locally positioned communication from universal principles. Especially, considering bodies is moved according to the use of mobile phones while moving, we need to examine closely the performative embodiments that construct the specific place. Studying performative embodiment will help us to analyse social cultural discourse about mobile phone communication. As a result, this article includes discussion about mobile phone SNS(Social Network Service), mobile phone storytelling, mobile game with relation to locations, places, embodied experiences. This article will be organized by recontextualization concept, i.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background that makes meanings and forms limitation in a different way with regards to previous foregrounding texts. First, synchronized and assynchronized communication of mobile SNS message are recontextualized whenever using mobile phones while moving. This paper will call it dancing with the mobile SNS, emphasize its embodied experiences according to place changes. Mobile phone storytelling generates user`s embodied experiences, for example, the embodying of an abstract historical past. Communal historical places are recontextualized by user`s ``flaneur(walking man)`` performing. Location based mobile games integrate real world into game world. Consequently, users narrativize constructing game world itself and become agent of newly recontexualized place producing.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certain aspects of mobile phone function such as phone call. Humanities approaches to mobile phone having been lacking. So, to study media characteristics of mobile phone as a locative meida from performance study perspectives will have a signification.

      • KCI등재후보

        놀이의 정치학 : 뉴미디어 아트와 관객 공동체

        이혜원 한국미술이론학회 2010 미술이론과 현장 Vol.10 No.-

        This study discusses the community of participants in new media-based art of Taeyoon Choi, Wafaa Bilal and Mushon Zer-Aviv in relation to current discourses on social functions of art by Nicolas Bourriaud and Jacques Rancière. Focusing on these artists' participatory projects which aim to provide alternative perspectives on wars between countries, to raise awareness about expanding surveillance systems in city spaces, or to create new public spaces on the web, this paper argues that their works hybridize entertainment culture and political activism to suggest a new model for political art.

      • KCI등재

        국내 무료 마을관광지의 미흡한 서비스와 주민과 방문객의 갈등 해결을 위한 실감미디어 서비스 도입 위치기반서비스 및 스마트글라스를 중심으로

        이승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4

        This paper deals with whether it is possible to find a way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villagers and tourists by newly defining the difference between free village and public tourist destinations in Korea, reinforce the insufficient guidance and notification services with realistic media, and implement additional killing contents and attractions. Location-based service enables real-time docent service and emergency response and smart glass thread. 본 논문은 국내 무료 마을 관광지와 공영관광지의 차이를 두고 새롭게 정의하여 마을 주민과 관광객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향을 찾고 무료 관광지의 부족한 안내 및 고지 서비스를 실감미디어로 보강하고 추가적인 킬링 콘텐츠와 어트랙션을 실행 가능한지를 다룬 논문이다. 위치기반서비스로 실시간 도슨트 서비스와 긴급 상황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며 스마트 글라스로 실감미디어를 한 층 더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는 것을 한성백제박물관의 실제 사례를 통해 기대할 수 있다는 점 또한 검토하였다. 해당 논문을 통해 우리나라 관광산업이 발전하고 마을 관광 또한 발정하여 지역 경제에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