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폰 위치기반광고가 지속적 이용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위치기반광고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지숙 ( Han Ji S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9 No.-

        연구배경 위치정보를 활용한 위치기반광고(LBA)는 스마트폰 플랫폼에서 활성화되며, 국내외 모바일 광고의 핵심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용자에게는 광고를 넘어서서 정보의 성격으로 광고주와 사용자 모두에게 보다 나은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위치기반광고는 개인정보와 위치정보의 활용에 따른 민감한 프라이버시 문제를 동시에 제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평가요인들(지각된 유용성, 개인화, 즉시성, 상호작용성, 프라이버시 위험)이 지속적 이용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스마트폰에서 풀형 위치기반광고를 사용한 만 20세 이상-30대 성인 남, 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2015년 07월 15일-29일까지 15일간 진행되었으며, 총 218부가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분석방법은 첫째, 데이터 오류의 확인 및 표본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각 척도에 대한 구성개념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척도들에 대한 변수들의 신뢰도 검증은 크론바흐 알파(chronbach`s alpha)계수를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 검증은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평가요인들 중 지각된 유용성, 개인화, 상호작용성 요인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반면 즉시성과 프라이버시 위험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평가요인들 중 지각된 유용성, 개인화, 상호작용성 요인은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프라이버시 위험 요인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즉시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위치기반광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유용성과 개인 맞춤형 정보제공 및 상호작용성 등 긍정적인 영향을 고려하고, 프라이버시 위험의 부정적 영향을 극복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즉, 정보유출에 대한 우려를 낮출 수 있도록 위치기반서비스 제공하는 회사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신뢰성 개선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위치기반광고가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광고마케팅 패러다임이 변화해야 한다. 즉, 사용자들이 광고를 접한다기보다는 정보나 서비스를 접한다고 느낄 수 있는 유용한 서비스가 신뢰를 바탕으로 연동된 마케팅전략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Location Based Advertising(LBA) using location information is activated on a smartphone platform and plays a central role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mobile advertising. It takes on the nature of information going beyond the ads for customers and provides better benefits to both advertisers and users. However, LBA also raises sensitive privacy issues on the serious violation of individual`s rights by using personal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LBA evaluation elements(perceived usefulness, personalization, immediacy, interactivity, and privacy risk)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and recommendation intension. Methods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adult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used pull type LBA with their smartphone. The survey period was 15days from July 15th to 29th of 2015 and 218 response resul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Method of analysi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the data err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samples; second,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construct validation for each criterion and ch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used to verify the confidence of variables for each criterion; thir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s a method of research hypothesis testing set for this research. Result First, factors of perceived usefulness, personalization, and interactivity among the evaluation elements on LBA are ver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even though immediacy and immediacy, privacy risk factors don`t have any meaningful impact. Second, among the evaluation elements on LBA, perceived usefulness, personalization, and interactivity turn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and privacy risk turn out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recommendation intension. And immediacy has not turned out to have any meaningful impact. Conclusion The activation of LBA required the marketing strategy considering the positive effect such as usefulness, personalized information provision, interactivity and overcoming the negative effect of privacy risk. Therefore, we can say that reliability improvement of LBA supply company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ill be important to reduce the concerns about information disclosure. In addition, marketing paradigm should be changed to vitalize LBA advertising, In other words, marketing strategies interlocked with useful services based on consumer confidence should be constructed to make consumers feel they are coming into information or service rather than advertisings.

      • KCI등재

        모바일 위치기반광고(LBA: Location Based Advertising)에 대한 이용 동기, 지각된 유용성, 광고효과 간 구조모형 분석

        염동섭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7 No.2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인해 최근 모바일 환경에서 위치기반서비스를 기반으로 대두되고 있는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와 지각된 유용성이 광고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인과구조적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위치기반광고 이용 동기 중 경제적 보상 동기와 일반정보 습득 동기만이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정보 습득 동기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은 광고태도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구매의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태도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위치기반광고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를 바탕으로 그들의 이용 행동을 탐색해봄으로써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학술적 의의와 함께 위치기반광고 관련 업계 및 위치기반광고를 준비하는 많은 광고주들에게 위치기반광고를 기획, 제작, 운용하는 전략수립에 의미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use motives of LBA users which is on the rise as a base of location based service in recent mobile environment due to the expansion of Smartphone and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of perceived usefulness on the advertisemen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Study results showed first, only economic compensation motive and general information acquisition motive in LBA use motives positively affected the usefulness and reg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motive didn’t show significant effects. Second, usefulness perceived by LBA positively affected only the advertisement attitude and didn’t significantly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Finally, attitude about LBA positively affected the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has a academic meaning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researches about LBA by examining the use behaviors of LBA users based on their use motives and is expected to provide the meaningful practical implication for the planning, producing and strategy establishment by numerous LBA companies and advertisers who are preparing for LBA.

      • KCI등재

        스마트폰 위치기반광고 애플리케이션

        안순태(Soon Tae An),서수민(Su Min Suh)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4 No.1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과 함께 위치기반광고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하고 있다. 위치기반광고 애플리케이션은 소비자의 성향과 상황에 따른 맞춤형 광고를 전달할 수 있지만 개인위치정보 누출로 인한 프라이버시 문제를 제기한다.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광고업계의 관심과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사회적 논란 속에서, 현재 통용되고 있는 위치기반광고 애플리케이션들이 개인위치정보 활용에 관하여 어떻게 사용자의 동의를 얻고 있으며, 그 방식과 절차가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71개 위치기반광고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이용약관, 위치정보 약관, 개인정보 약관을 모두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극소수에 불가했고, 필요한 다섯 가지 원칙 제공에 있어서도 모두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구현방식에 있어서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만 개인정보에 관한 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위치기반광고들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기술변화와 시장성장에 알맞은 법령의 재정비와 업계의 자율규제를 제안하였다. With the rapid dispersion of smartphones, location-based advertising via smartphone applications is on the rise. While location-based advertising applications have the advantage of delivering customized, targeted messages according to consumers` preferences and circumstances, they raise privacy issues due to the inherent disclosure of personal location-specific information. Amid the heated debate on privacy infringement, along with a growing interest in location-based advertising by the industry, little is known regarding how location-based advertising applications obtain consumers` consent to collect private information and whether their methods and procedures are appropriate. This study analyzed 71 location-based advertising applications. Results showed that very few applications provided all of the three common policies to consumers: a usage policy, a privacy policy, and a location-information policy. Furthermore, it showed that adherence to the five principles were lacking. Most of all, many applications were set up in such a way that consumers had to go through cumbersome procedures to control disclosure of their private information. Results outline the current problems with location-based advertising and suggest revamping current regulations as well as industry self-regulation in order to keep up with changes in technology and market growth.

      • KCI등재

        위치 기반 서비스에 따른 모바일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 제품 관여도와 모바일 광고의 표현 형태를 중심으로

        이종호 대한경영정보학회 2012 경영과 정보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위치기반의 모바일 광고가 해당 제품의 관여도와 메시지의 표현형태에 따라 어떠한 광고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위치기반을 유와 무로 구분, 관여도의 경우 고관여와 저관여 그리고, 표현형태에 있어서는 텍스트 형식과 이미지 형식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광고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들의 검토를 통한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를 본 연구의 종속변수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관여 제품의 경우 상대적으로 고관여 제품의 경우보다 더 낮은 광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소비자들이 모바일 광고 그 자체에 대해서 아직은 저관여 상태에 있기 때문에 기인하지 않아나 사료된다. 둘째, 단순한 문자 형식의 텍스트 광고보다는 다소 그림을 이용한 이미지 형식의 모바일 광고의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다른 선행연구들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의 주요 효과의 검증이라 할 수 있는 위치기반의 유/무에 따른 모바일 광고의 효과와 관련해서는 위치기반을 이용한 모바일 광고가 그렇지 않은 광고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실증분석 결과 나타났다. 이는 이러한 위치기반의 상황이 해당 소비자들의 즉각적인 반응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해당 마케팅 관리자 및 연구자들을 위한 시사점이 제시되고 있다.

      • KCI등재

        스마트폰 위치기반 서비스의 이용경험에 따른 개인정보 제공에 관한 탐색적 연구

        최민재(Min Jae Cho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광고연구 Vol.0 No.96

        본 연구에서는 위치정보서비스 이용실태와 개인정보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조사를 통해 개인정보 제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해 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광고 관련 함의를 도출해 보았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넷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서베이 결과, 조사대상 이용자들은 금융정보, 개인 확인 정보 및 연락처 정보 등을 중요하게 평가했고, 모바일 광고 영역에서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는 위치정보와 같은 인터넷 이용 상황에서 생성되는 정보들에 대해서는 오프라인 기반 정보에 비해서 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정보 유출경험에 대한 조사결과 개인 식별 정보, 개인 확인 정보, 연락처 정보에 대한 유출 경험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신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었을 것이라는 추측을 하는 이용자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용자들이 위치기반 서비스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해당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아서라기보다 서비스를 운영하는 업체의 신뢰도와 정보유출에 대한 우려가 크기 때문이었다. 또한 푸시형 광고 메시지가 귀찮게 여겨지기 때문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해 개인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쿠폰과 같은 경제적 혜택보다도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신뢰가 중요하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따라서 위치기반 모바일 광고 서비스의 확대를 위해서는 위치 기반 서비스와 연동, 정보보호에 대한 신뢰성 개선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at users recognition rel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based service and ways to vitalize mobile advertising industry. Internet survey of smart phone users was taken for this. The results given by the survey were as follows. While the users considered financial information, personal ID and contact information as important, informations generated from Internet usage were evaluated as less important than off line based informations. The experiences on information spill such as personal ID and contact information showed very high response ratio. The ratio of users who surmised that their informations were spilled was also relatively high. In case of location based service, users provide their information and showed high satisfaction level. The main reason people didn`t provide their personal informations was the credibility of services, apprehension on information spill and bothersome advertisements. Users considere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s important rather than economical benefits such as coupons. Therefore, amelioration of credibility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linkage with location based service have to be preceded to vitalize mobile advertising service.

      • KCI등재

        모바일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이용 동기 및 지각된 속성, 수용자 혁신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염동섭 ( Youm Dongsup ),김화동 ( Kim Hwa-do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7 No.-

        본 연구는 위치기반서비스를 바탕으로 광고, 마케팅 분야에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위치기반광고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문헌분석을 바탕으로 위치기반광고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 이용 동기(경제적 보상 동기, 일반정보 습득 동기, 지역정보 습득 동기) 및 수용자 혁신성 그리고 지각된 속성(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위치기반광고 이용 동기는 지속적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지각된 속성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용자들의 혁신성향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역정보 습득 동기, 경제적 보상 동기, 일반정보 습득 동기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위치기반광고와 관련한 기초적인 연구 자료의 제공과 함께 관련 업계 실무자들에게 위치기반광고를 제작하고 기획하는데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look into factors of Location-Based Advertising(LBA) showing a rapid growth in advertising and marketing affecting intentions for continuous used based on Location-Based Service(LBS). For this purpose, based on preceding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inquired into use motivation(motive for economic reward, motive for the acquisition of general information and motive for the acquisition of local information) and the audience innovation and perceived attributes(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regarding LBA which were expected to affect the intentions for continuous us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LBA use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s for continuous use. Second, perceived attributes of LBA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s for continuous use. Third, it was found that users` innovation propensity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s for continuous use. Lastly, as a result of an inquiry into the relative effects of these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were great in the order of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motive for the acquisition of local information, motive for economic reward and motive for the acquisition of general information. These results will provide the basic research data related to LBA and useful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of related industry in producing and planning LBA.

      • KCI등재

        해외 주요국의 모바일 광고시장 구조와 규제 정책 비교분석

        김충식(Kim, Choong Seek),배진한(Bae, Jin Ha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다음 2가지를 주요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첫째, 주요 5개국(한국, 미국, 영국, 일본, 중국)의 모바일광고시장 가치사슬구조를 비교 분석하여 향후 국내 모바일 광고시장의 발전방향을 논의한다. 둘째, 주요 5개국(한국, 미국, 영국, 일본, 중국)의 모바일광고와 관련된 위치기반정보에 대한 제도화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국내 모바일 광고 규제정책의 방향성을 논의한다. 개별 국가에서는 광고시장의 독자적인 발달단계와 광고규제 유형을 가지고 있다. 모바일 광고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는 점은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고 광고 플랫폼은 광고 매출에 가장 주요한 부분은 차지하고 있으며 모든 국가에서 광고대행사와 어플리케이션 사업자들이 모바일 광고시장을 추동하고 있다. 하지만 각 국가의 모바일광고 시장 구조가 약간 상이하며 우리나라도 우리의 상황과 시장작동특징에 기반하여 상이한 점을 갖고 있다. 또한 각국은 모바일 광고 시장에서 그리고 규제정책에서 장점과 약점을 갖고 있다. 이 연구는 전체적으로 2개의 연구문제를 분석했다. 먼저, 이 연구는 5개국의 모바일광고 시장의 구조를 비교하고 있는데 특히 가치사슬의 차이점을 분석했다. 두 번째로 이 연구는 5개국에서 최근 부상하고 있는 타깃광고, 위치기반광고, 프라이버시 보소 등과 같은 문제를 어떻게 정책적으로 해결하려고 하는 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주요 국가의 모바일 광고 시장의 가치사슬구조와 규제 정책을 이해하는 주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서 모바일 광고의 발전을 공정한 사업 환경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 compare the structure of the mobile advertising value-chain, (2) analyze the each countries’ policies of mobile adverti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boiled down to the Korea’s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major countries’ advancements and regulations for the mobile advertising. Each country has its own advancement and regulation types based on its peculiar situations and value chain. However, the mobile AD market has dramatically enlarged. The platform has the most parts of the ad billing, followed by mobile advertising companies and application companies. Each countries suggest specific adaptation and variances of mobile advertising and this might demands the specific appliances for the Korea based on its peculiar situations and market operations. Each country has its own strength and weakness and its advancement policies and regulation policies. This study answers the fourth main research questions thoroughly. First, this study compare and the each 5 mobile ad market’s structure and focused on the value chain differences. Second, this study analyzes the rising agenda such as target ads, location based ads (LBA), privacy protection, content regulations practiced by each five countries. This study will provide a source of information needed to understand major countries’ mobile advertising value-chain, regulation policies. In addi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reating fair mobile advertising business environment and promoting the advancement of mobile advertising.

      • KCI등재

        모바일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평가요인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용자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지숙 ( Han Ji Sook ),염동섭 ( Youm Dong Sup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4 No.-

        본 연구는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평가요인들 즉, 지각된 유용성, 개인화, 즉시성, 상호작용성, 프라이버시 위험이 이용자들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수용자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평가요인들 중 지각된 유용성, 개인화, 상호작용성 요인은 이용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프라이버시 위험 요인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평가요인들 중 지각된 유용성과 프라이버시 위험 요인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수용자 혁신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앞으로 전개될 위치기반광고와 관련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관련 업계 실무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실무적 방안을 함께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valuation elements on mobile location based advertising(LBA) on user satisfaction, which are perceived usefulness, personalization, immediacy, interactivity and privacy risk,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user innovativeness. This study found, First, in the evaluation elements of LBA, perceived usefulness, personalization and interactivity are confirmed to be positively(+) influential to the user satisfaction while privacy risk is negatively(-) influential. Second, the influence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rivacy risk on user satisfaction, as evaluation elements of LBA is confirmed to be moderated by user innovativeness. These results have provided basic data for researches related to LBA which will be performed in the future as well as practical measures efficiently operative for industry practitioners.

      • KCI등재

        위치문답형 지역광고 기반의 문화정보 서비스 모델링

        신환섭,이재원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8

        Although there are various cultural events and cultural contents produced in the region, there is a lack of distribution and spread of regional information to expand related economic consumption. This study combined local advertising by local advertisers with the knowledge search method in question and answer format from a location-based service perspective for the purpose of spreading and using local cultural information. The approach looked 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knowledge search based on region and location-based advertising research, presented community model of location inquiry based information service and revenue model of local advertisement. Through this, this study designed a question and answer based community and operational structure model of local advertising, and developed an information service system in the form of prototyping. By extending the distribution of question and answer data among users to location information, it is meaningful that a business service model was presented that combines local cultural content information and the demand for user access with the revenue model of local advertising. 지역에서 생산되는 문화행사 및 문화 콘텐츠가 다양하고 많지만 관련한 경제소비의 확대를 위한 지역정보의 유통과 확산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지역 문화정보의 확산과 사용을 목적으로 위치기반 서비스 관점에서 지역광고주의 지역광고를 질문과 답변 형식의 지식검색 방법과 결합하고 서비스화 하였다. 접근 방법으로는 지역에 기반한 지식검색에 대한 국내외 사례와 위치기반 광고 연구를 살펴보고, 위치문답형 정보서비스의 커뮤니티 모델 그리고 지역광고의 수익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 문화행사와 문화콘텐츠의 정보 유통을 위한 문답기반 커뮤니티와 지역광고의 운영구조 모델을 설계하고 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프로토타이핑 형태로 개발하였다. 사용자간의 문답 데이터의 유통을 위치정보에 확장함으로써 지역의 문화콘텐츠 정보와 사용자 접근의 수요를 지역광고의 수익모델과 결합하여 제공하는 비즈니스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스마트폰 위치기반광고와 상업적 표현의 가치 -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에 대한 검토

        한국방송학회 2011 방송통신연구 Vol.- No.76

        <P>본 연구는 스마트폰 위치기반광고를 개인위치정보 활용에 따른 상업적 정보의 가치와 소비자의 알 권리 측면에 초점을 두고 논의하였다.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기존의 논의가 개인정보 노출로 인한 소극적인 프라이버시 개념에 치중되어왔음을 지적하면서, 위치기반광고를 소비자와 사업자간의 개인정보 활용을 통한 정보거래로 보고 정보제공자와 이용자의 권리 상충이라는 관점에서의 논의를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업자의 상업적 표현의 자유에 근거하여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정부 규제의 위헌성을 검토해 온 미국 판례들을 통해 상충되는 두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위치기반광고 규제에 직접적인 효력을 갖고 있는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이 개인의 권리와 상업적 표현의 자유라는 두 법익을 형평성 있게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았고, 명확성 원칙과 과잉금지 원칙에 근거하여, 현행 법령이 지닌 문제점들을 지적하였다.</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