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웰니스관광 평가척도 개발

        유숙희(Yu, Sook-Hee),이훈(Lee, Hoon)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0 觀光硏究論叢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적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웰니스관광의 다차원적 구성개념을 정의하고 웰니스관광에 대한 평가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초기 구성항목을 도출하였으며 1차, 2차 전문가 조사를 통해 측정항목을 정제하였다. 전문가 조사를 통해 내용타당성이 검증된 구성항목에 대해 1차 사전조사와 2차 본 조사를 통해 평가척도로서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스트레스 감소, 신체건강 증진, 자아성찰, 사회적 관계향상, 자연교류, 자연환경, 물리적 환경, 인적 서비스 등 8개 요인으로 구성된 34개 항목의 웰니스관광 평가척도가 개발되었다. 웰니스 관광객은 웰니스 관광활동을 통해 신체건강 증진을 비롯하여 휴식과 회복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대처할 수 없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아와 삶에 대한 성찰과 사회적 관계 향상 및 자연과의 교류를 통해 웰니스의 다차원적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따라서 웰니스관광은 몸과 마음, 정신의 조화를 통해 신체적, 정서적, 지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통합적으로 추구하는 관광활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웰니스의 다차원적 개념이 웰니스관광을 구성하는 이론적 개념체계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웰니스관광 목적지에서의 자연환경과 물리적 환경 및 인적 서비스는 웰니스관광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웰니스관광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케터에게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multidimensional concept of wellness tourism aimed at integrated health promotion and to develop an evaluation scale for wellness tourism. To this end, the initial composition item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measurement items were refined through primary and secondary expert surveys.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as an evaluation scale were verified through the first preliminary survey. Then, the second main survey on the constituent items whos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expert investig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llness tourism evaluation scale of 34 items composed of 8 factors has been developed: relaxation and stress reduction, physical health promotion, reflection on one’s self and life, social relationship improvement, interaction with nature, natural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 service. Wellness tourists improve physical health, and reduce stress that cannot be dealt with in daily life through rest and recovery, and pursue multi-dimensional value of wellness through reflection on one’s self and life, improving social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 with nature. Therefore, wellness tourism can be said to be a tourism activity that pursues physical, emotional, social, intellectual, and mental health through the harmony of body, mind, and spirit. In addition, the natural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 services at wellness tourist destinations can b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for evaluating wellness tourism, which provides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rketers who provide wellness tourism services.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웰니스관광정책 동향 분석 및 정책적 함의

        김상윤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6

        본 연구는 웰니스관광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관련 문헌연구와 온라인 면접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와 정책 적 유사성을 가진 일본과의 웰니스 관련 관광정책 동향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웰니스관광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강구 하였다. 조사 결과, 웰니스관광 관련 개념은 한일 양국 간 큰 차이는 없으나, 일본의 경우 치유(힐링)관광보다 헬스투어 리즘이나 웰니스관광 개념사용이 보편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웰니스관광정책은 정책주체의 유연성과 정책의 효 율성, 관련 인증 및 인력양성 분야는 일본이, 정책의 추진력과 제도적 정비는 우리나라가 보다 체계적인 것으로 분석되 었다. 우리나라도 일본의 NPO법인 헬스투어리즘진흥기구나 산림테라피소사이어티 사례와 같이 웰니스관광협의체를 구축하고, 웰니스관광의 체계적 인증 및 관련 인력양성의 질적 관리를 통해 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판 단되었다. 또한 웰니스관광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지역별 특화된 웰니스자원을 유기적으로 연계함으로써 웰니스관광의 치유적 효능과 상품적 가치를 제고시킬 필요가 있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웰니스관광정책의 방향과 대응전 략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과 웰니스관광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trends of wellness-related tourism polices in Japan, which have policy similarities with Korea, through related literature research and online interview surveys amid growing demand for wellness tourism in Korea‘s wellness tourism policy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survey, wellness tourism-related concepts do not differ particularly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e use of health tourism or wellness tourism concepts is more common in Japan than healing tourism. Wellness tourism policy is analyzed to be more systematic in Japan in the areas of policy principal agent‘s flexibility, policy efficiency, related certifi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Korea in the driving force and institutional maintenance of policy. It was judged that Korea needs to establish a wellness tourism consultative body, such as the case of Japan, and improve efficiency through systematic certification of wellness tourism and qualitative management of related manpower. In order to industrialize wellness tourism,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healing effectiveness and product value of wellness tourism by organically linking wellness resources specialized by region, and to conduct in-depth analysis of the direction and strategies of wellness tourism policie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rona(COVID-19) Era and an empirical study of tourism sites.

      • KCI등재

        웰니스(Wellness)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웰니스(Wellness)프로그램이 적용된 호텔과 리조트 사례를 중심으로

        최효정 ( Choe Hyo Jung ),이진민 ( Rhie Jin Min ),장미정 ( Jang Mi Je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6

        물질적 풍요로움과 여가시간의 증가로 현대사회는 행복에 대한 인식과 건강, 힐링(Healing), 삶의 질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신체적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웰니스(Wellness)가 확대 되고 있다. 라이프스타일이 다양해지고 가치관이 변화함에 따라 몸과 마음의 휴식을 필요로 하는 힐링의 목적을 위한 다양한 웰니스프로그램을 갖춘 호텔과 리조트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웰니스공간이라는 특정 공간의 특성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웰니스프로그램이 적용된 웰니스공간을 위한 환경 조성이 어떻게 이루어 지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과 공간의 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존 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웰니스에 대한 고찰과 웰니스공간의 구성요소와 표현요소를 분석한 후 사례분석표를 제시하여 적용사례들을 분석한다. 연구의 대상적 범위는 웰니스프로그램이 적용된 힐링리조트와 서울, 제주, 부산 각 지역의 웰니스호텔의 사례로 한정하여 분석한다. 그 결과 웰니스프로그램 유형은 신체적 웰니스와 정신적 웰니스, 문화적 웰니스의 프로그램이 모두 강하게 평가되었고, 구성요소에서는 높은 척도 순으로 심미적 조형성> 활용적 기능성> 문화적 다양성으로 도출되었다. 공간표현의 결과는 신체적, 정신적 웰니스의 통합공간의 표현이 Fitness와 힐링의 복합공간보다 더 강하게 평가 되었지만, 모든 공간이 전반적으로 함께 공존한다. 웰니스공간의 특성은 첫째, 자연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자연공간에 Fitness요소를 넣어줌으로서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대한 공간의 역할을 강조한다. 둘째, 웰니스프로그램들의 성격에 따라 구성된 특화된 공간들이 나타난다. 셋째, 시대성을 반영한 웰니스프로그램의 변화로 공간이 구체화 되어 진다. 이에 본 연구는 인간의 삶과 직접 관련된 웰니스힐링공간의 연구에 유용한 활용과 웰니스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s a consequence of material affluence and increased spare time, modern people has started being cognizant of happiness and increased concerns over health, healing and life value, causing the expansion of a newly rising paradigm called Wellness which is a term representing a physically and spiritually healthy and happy life. As a result of an increased diversity in life styles and value shifts, a number of hotels and resorts hosting a variety of Wellness programs aiming to provide a healing place for those who are in need of rest for both mind and body have started to be appearing.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raw a conclusion on attributes of space so called Wellness space and to analyze how environmental composition takes its rule for the space. Studies of referential documents and precedent research on Wellness are first achieved and analysis of elements and attributes of Wellness space is followed by to analyze the applied cases with a case analysis table. The facilities selected for a case study include Healing resorts hosting Wellness programs, and Wellness hotels in the city of Seoul, Jeju-island and Busan.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program types aiming for physical Wellness and mental Wellness are prominently dominated among the cases studied. With regard to spatial attributes, landscape and visual element, space diversity and functionality, and space design and utilization of space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placed under the category in order of highest scale to the lowest. An integrated space for physical and mental, culture Wellness is shown to predominate over a multi-purpose space targeting Fitness and Healing, and yet those spaces generally coexist overall. The result from this study is expected to lend useful ideas for future research on Wellness and Healing space directly connected to human life, an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studies on Wellness.

      • KCI등재

        웰니스관광의 광역관광권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분석 연구 : 수요유도형과 공급유도형 모형을 중심으로

        신미영(Shin, Mi Young),나주몽(Na, Ju Mong) 한국지역개발학회 2021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3 No.4

        우리나라는 2000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이후 급속히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급격한 고령화사회로의 변화는 성장잠재력의 약화, 재정 건전성 악화 및 의료비의 증가를 유발하고 있다. 이에 개인은 “건강하게 오래 살기‘, 특히 웰니스 관광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정부는 웰니스 관광 육성정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산업적 차원에서 이루어진 웰니스 관광 선행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웰니스 관광을 7개의 광역경제권으로 분류하고 외생화 수요유도모형과 공급유도모형을 적용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웰니스 관광의 생산유발효과는 수도권 0.56021, 충청권 0.68872, 전라권 0.6757, 대경권 0.567355, 동남권 0.59745, 제주 0.68555, 강원권 0.68550, 강원권 0.68550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웰니스 관광의 공급지장효과는 수도권 0.56396, 충청 0.72120, 전라도 0.56779, 대경 0.61489, 동남권 0.59103, 강원 0.60812, 제주 0.62341로 분석됐다. 웰니스 관광은 광역경제권에서 유사 산업의 생산을 많이 유발하며, 농림수산식품, 식음료, 석탄, 석유제품, 웰니스 관광 제외 화학제품 등과 같은 산업과의 연계 강화를 통해 웰니스 관광의 생산을 극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급지장효과는 지역경제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유발되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웰니스 관광 육성방안을 수립함으로써 공급지장효과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광역경제권의 웰니스 관광은 높은 생산유발효과와 공급지장효과를 동시에 유발하므로 광역경제권 간 웰니스 관광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할 필요성 있다. 또한, 수도권 웰니스 관광이 국가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 전후방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 광역경제권 웰니스 관광 육성정책 강화를 통한 수도권 집중도를 분산할 필요성이 있다. Since 2000 when going into an ageing society, Korea has been becoming more and more intensified into an aged society and expected to super-aged society in 2025. The rapid change into an aging population undermines growth potential and financial solvency and drives up health expenditures in our society. Thus, people are more concerned about individual health and longevity, especially wellness tourism, and government has been announcing the upbringing policy of wellness tourism. However, there has been only a few precedent studies conducted on wellness tourism about economic impact in each region. This study classified the wellness tourism with 7 mega-regions and analyzed the economic impact of wellness tourism in mega-regions applying the exogenous demand-induced and supply-induced models. And then comparing the economic impact of wellness tourism in mega-regions, this study suggests the problems and policy-level ways to improve it. The problems induced by comparing the economic impacts of wellness tourism in mega-regions are as follows; First, plan for maximizing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needs to be made due to low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in all mega-regions. Second, wellness tourism in mega-regions is centered in capital region in the entire production and supply process, which means the production effect of wellness tourism needs to be created within the regions. Third, it is analyzed that production and supply shortage effect of wellness tourism in all regions is high and it is necessary to build a cooperative system among wellness tourism in mega-regions accordingly. Improvement plan for solving the problems is, first, to strengthen the linkage with industries causing the strong effect in the entire production and supply process like food·beverage and wellness tourism. Second, to lower the dependency on capital region, it is to intensify the linkage with other industries within the mega-regions generating a lot of production and supply. Wellness tourism in each mega-region makes different economic impact depending on the degree of specialization of local industries so development plan needs to be established to reflect the industrial character. Third, as the wellness tourism of Chungcheong region is the key axis for establishing cooperative governance among mega-regions to induce a lot of production and supply, it is important to build cooperative system focusing on wellness tourism of Chungcheong region. This study has some significance for offering the industrial implications and basic data to develop the wellness tourism in local strategic point by comparing the economic impacts of wellness tourism in mega-regions. However, it has limitations not to reflect each industrial characteristic only by consolidating and analyzing medical, individual, and tourism service. In addition, by integrating and analyzing 17 cities and provinces into 7 mega-regions, it has not reflected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 areas consisting of each region, and not analyzed the linkage among particular industries of wellness tourism. Thus, precise research for wellness tourism in mega-regions should be made through future research.

      • KCI등재

        웰니스(Wellness)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웰니스(Wellness)프로그램이 적용된 호텔과 리조트 사례를 중심으로

        최효정,이진민,장미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6

        As a consequence of material affluence and increased spare time, modern people has started being cognizant of happiness and increased concerns over health, healing and life value, causing the expansion of a newly rising paradigm called Wellness which is a term representing a physically and spiritually healthy and happy life. As a result of an increased diversity in life styles and value shifts, a number of hotels and resorts hosting a variety of Wellness programs aiming to provide a healing place for those who are in need of rest for both mind and body have started to be appearing.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raw a conclusion on attributes of space so called Wellness space and to analyze how environmental composition takes its rule for the space. Studies of referential documents and precedent research on Wellness are first achieved and analysis of elements and attributes of Wellness space is followed by to analyze the applied cases with a case analysis table. The facilities selected for a case study include Healing resorts hosting Wellness programs, and Wellness hotels in the city of Seoul, Jeju-island and Busan.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program types aiming for physical Wellness and mental Wellness are prominently dominated among the cases studied. With regard to spatial attributes, landscape and visual element, space diversity and functionality, and space design and utilization of space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placed under the category in order of highest scale to the lowest. An integrated space for physical and mental, culture Wellness is shown to predominate over a multi-purpose space targeting Fitness and Healing, and yet those spaces generally coexist overall. The result from this study is expected to lend useful ideas for future research on Wellness and Healing space directly connected to human life, an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studies on Wellness. 물질적 풍요로움과 여가시간의 증가로 현대사회는 행복에 대한 인식과 건강, 힐링(Healing), 삶의 질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신체적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웰니스(Wellness)가 확대 되고 있다. 라이프스타일이 다양해지고 가치관이 변화함에 따라 몸과 마음의 휴식을 필요로하는 힐링의 목적을 위한 다양한 웰니스프로그램을 갖춘 호텔과 리조트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웰니스공간이라는 특정 공간의 특성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웰니스프로그램이 적용된 웰니스공간을 위한환경 조성이 어떻게 이루어 지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과 공간의 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기존 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웰니스에 대한 고찰과 웰니스공간의 구성요소와 표현요소를 분석한 후 사례분석표를 제시하여 적용사례들을 분석한다. 연구의 대상적 범위는 웰니스프로그램이 적용된 힐링리조트와 서울, 제주, 부산 각 지역의 웰니스호텔의 사례로 한정하여 분석한다. 그 결과 웰니스프로그램 유형은 신체적 웰니스와정신적 웰니스, 문화적 웰니스의 프로그램이 모두 강하게 평가되었고, 구성요소에서는 높은 척도 순으로 심미적조형성> 활용적 기능성> 문화적 다양성으로 도출되었다. 공간표현의 결과는 신체적, 정신적 웰니스의 통합공간의표현이 Fitness와 힐링의 복합공간보다 더 강하게 평가 되었지만, 모든 공간이 전반적으로 함께 공존한다. 웰니스공간의 특성은 첫째, 자연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자연공간에 Fitness요소를 넣어줌으로서 신체적·정신적건강에 대한 공간의 역할을 강조한다. 둘째, 웰니스프로그램들의 성격에 따라 구성된 특화된 공간들이 나타난다. 셋째, 시대성을 반영한 웰니스프로그램의 변화로 공간이 구체화 되어 진다. 이에 본 연구는 인간의 삶과 직접 관련된 웰니스힐링공간의 연구에 유용한 활용과 웰니스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웰니스 관광 경험과 심리적 상태에 의한 태도

        이철진,김정준 한국관광진흥학회 2024 관광진흥연구 Vol.12 No.S4

        본 연구는 관광자가 경험한 웰니스 관광을 통한 긍정적 심리상태가 웰니스 관광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함으로써, 지속적인 웰니스 관광 이용 의도를 발생시키는 선순환의 과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최근 1년이내에 대한민국 내 웰니스 관광을 경험한 관광자 491 Samples를 대상으로 조사된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웰니스 관광이 제공하는 물리적인 환경과 인적서비스, 제반 웰니스 프로그램 등의 구성 요인들은 모두 웰니스 관광을 경험한 관광자들의 지각된 스트레스에 비하여 주관적 행복감에 강하게 작용하는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이 중, 물리적 환경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관광자의 심리상태중 지각된 스트레스에 대한 웰니스 관광 경험의 영향에서 물리적 환경이 긍정적인 효과를 일으키는 것에 반하여 상호작용 요소는 부정적 영향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되었다. 즉, 웰니스 관광 경험을 통한 심리적 변화의 과정에서 인간적인 상호작용은 오히려 부작용을 일으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웰니스관광을 통해 형성된 심리적 상태는 대체로 웰니스 관광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특히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지각이 몰입, 재방문 의도, 긍정적 구전 의도 등 태도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가 매우 큰 것으로 검증되었다. 후속될 연구에서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심리적 상태를 연관지어 설명할 필요가 있으며, 웰니스 관광프로그램의 진행 과정에서 체험의 전과 후를 비교하여 심리적 상태의 변화를 관측하는 노력 또한 의미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sought to confirm the virtuous cycle process in which the positive psychological state of tourists through Wellness tourism experience forms a positive attitude toward wellness tourism, generating the intention to use wellness tourism continuously.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targeting a sample of 491 tourists who experienced Wellness tourism in South Korea within the last year are as follows.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of wellness tourism, such as the physical environment, personal services, and various programs of the Wellness tourism, all had a stronger effect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tourists who experienced Wellness tourism than the perceived stress. In particular, it’s confirmed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is the greatest impact. Second, in contrast with the positive effe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n the impact of the Wellness tourism experience about the perceived stress among the tourists' psychological state, however it’s confirmed that the interaction component had a negative effect. In other words, the interaction may act as a component causing side effects in the process of changing psychological state through Wellness tourism experience. Lastly, it’s confirmed that the psychological state formed through Wellness tourism has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s toward Wellness tourism usually. In particular, the perception of subjective happiness has been verified that it’s high impact on overall tourist attitudes, including flow, revisit intention, and word of mouth.

      • KCI등재

        웰니스 콘텐츠 추천을 위한 메타데이터 구성 및 웰니스 특성 분석 기법

        홍민성(Min-Sung Hong),이오준(O-Joun Lee),이원진(Won-Jin Lee),이재동(Jae-Dong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9 No.8

        최근 웰니스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면서 웰니스와 IT 융합의 대표적인 연구로 웰니스를 위한 추천 시스템 등의 연구가 시도되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웰니스 영역의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사회적, 지적 영역 중 한 영역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영역만을 다루기 때문에 웰니스를 위한 추천 시 사용자들의 신뢰도와 만족도가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의 웰니스 영역별 특성을 통합하여 관리 및 분석할 수 있는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콘텐츠의 메타데이터 구성과 웰니스 영역별 특성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사전 설문과 제안하는 웰니스 영역별 계산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콘텐츠의 웰니스 영역별 특성의 코사인 유사도를 분석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효율성을 증명한다. 이를 통해 콘텐츠의 웰니스적 특징을 분석할 수 있고, 나아가 웰니스를 위한 맞춤화된 추천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이다. Research into recommendation systems for wellness content has focused on representative research on the convergence of wellness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 interest in wellness has recently increased. But existing research is not suitable because it uses only one or two of the five wellness areas: physical, emotional, social, intellectual, and spiritual. And It cause decline of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for recommendation. Thus, a wellness areal feature analysis and integration management technique is needed. In this paper, suggest meta-data configuration and feature analysis technique of content. Also Cosine similarity of wellness areal features of the content was analyzed by applying a wellness areal score calculated in this way and by suggested wellness areal detailed properties and a measurement system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is research. This allows the wellness features of contents analyzed, and even will be able to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service for wellness.

      • KCI등재

        농어촌지역 체류형 관광상품 개발방안 -웰니스/의료관광을 중심으로-

        이정철 ( Jung Chul Lee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1

        전 세계적으로 웰니스 관광은 의료관광보다 넓은 시장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국가적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건강을 추구하면서 삶의 질을 높이고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고 회복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는 웰니스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문화, 예술 등 다양한 정신적 가치들과 융합되어져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나 지자체에서 고령화시대의 도래와 만성질환의 증가, 건강보험 재정기여 능력의 한계 등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료보장성 강화와 지속가능성제고’ 그리고 ‘건강의 질을 높이는 보건의료서비스 체계 구축’이라는 국정과제를 가지고 치료보다는 건강유지나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자 노력을 하고 있다. 웰니스 관광의 확대와 관심으로 사람들은 웰빙과 힐링을 위해 자연과 문화를 찾아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농어촌 관광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세계 선진국에서는 자국민의 국내 웰니스 관광, 외국인의 국내 웰니스 관광을 위한 많은 노력을 하면서 동시에 농어촌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웰니스 관광에 대한 관심의 증가, 농어촌지역의 낙후된 의료시설, 농어촌 관광 프로그램의 한계 등 웰니스 관광의 현황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농어촌 관광의 현황과 농어촌지역 의료복지의 현황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웰니스 관광의 활성화를 위한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해외 웰니스 관광의 사례 등을 통하여 농어촌지역의 체류형 관광상품의 활성화 방안을 웰니스관광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따라서 체류형 웰니스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웰니스 클러스터를 구축 하는 것이다.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융·복합적인 클러스터의 계획은 정부주도를 통한 중·단기적인 계획과 지원을 통하여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즉, 농어촌지역에서 갖고 있는 특징 있는 기존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상품 즉, 현재까지 개발되었던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각 지역의 실용 가능한 핵심 서비스를 선별해야 하며, 인근 병원, 보건소 등과 협력을 바탕으로 인근 대학, 연구소 혹은 지자체 등의 협력 및 프로그램 재개발 노력을 해야 한다. Those who value wellbeing want relaxation. They value privacy, distaste schedules, and prefer a calm atmosphere with seek for time outside in nature. According to several studies, wellbeing tourists seek relaxation, escape from their jobs, peace and quiet, sports, and healthy gastronomy. Furthermore, health and wellness tourism is regarded as an alternative for the off-season and a product diversification for new and mature destinations. Significantly this tourism product requires interaction between other fields such as medicine, thalassotherapy, hydrotherapy, and wellness lifesty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rpose a development plan for ‘stay tourism products’ related to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Wellness tourism face problems in providing medical services with the limiting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our program in Korea. Thus this study reveals the current state of tourism, welfare for the older generation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nd understanding required to revitalize wellness tourism. As a result, this study brings up revitalizing plans for ‘stay tourism products’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which is the below followings. ①Understanding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n specific regions ② Constructing short, medium and long term strategy ③ Picking one of the most success models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wellness tourism ④ Developing cooperate programs between the region, institution and government ⑤ Improving medical facilitie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⑥ Active support from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 basic frame for revitalizing is to form a cluster with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nstitution, medical center, and the government. Also, basic understanding on existing wellness programs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s needed. This cluster also needs development through master plans and supports from government since it requires expenditure.

      • KCI등재

        웰니스 리조트 로비공간 디자인의 치유환경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김정아 ( Jeong Ah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경제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고령화가 증가하고 사람들은 건강과 미, 여가활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는 라이프스타일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관광산업과 에코투어리즘이 주목받고 있으며 사용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수준 높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리조트시설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의 리조트 개념에서 발전하여 건강검진, 미용, 노화방지, 식단관리 등의 육체적 부분과 명상, 심리치료 등의 정신적 치유를 위한 폭넓은 시설을 지닌 웰니스 리조트는 그 영역이 확대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웰니스 리조트의 중심이 되며 첫인상을 결정짓는 로비공간의 치유환경 표현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표현요소를 분석하여 향후 국내 웰니스 리조트 설계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웰니스, 웰니스관광, 웰니스 리조트를 이해하고 웰니스 리조트 로비공간의 치유환경 표현의 필요성을 파악한다.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치유환경표현 특성 및 요소를 도출하여 자연친화성, 공간성, 사회성으로 구분한다. 자연친화성은 자연경관, 실내공간의 자연요소적용, 공간성은 인공물/색채/재료/질감/사물의배치 및 개방감/친근감으로 구분된다. 사회성은 사회활동 촉진을 위한 가구 배치로 분류하여 치유환경 디자인이 부각된 해외 웰니스 리조트 로비공간을 사례분석한다. 사례범위는 2007-2019년 개관된 해외 웰니스 리조트 로비공간으로 문헌조사, 해외 뉴스 트레블 관련 추천사례, 인터넷 사이트 등의 자료를 참조하여 7곳을 선정하였다. (결과) 사례분석결과 치유환경 표현특성인 자연경관, 공간성은 모든 사례공간에서 나타났으나 실내공간의 자연요소적용, 사회활동 촉진을 위한 가구배치 등은 다소 부족한 곳도 있었다. 이러한 이유는 현대 공간디자인이 단순성 강조를 위하여 구조적 측면과 실내조경, 전시 중심의 공간을 추구하는 경향 때문이라 사료된다. (결론) 본 연구는 웰니스 리조트 로비공간으로 국한시켜 치유환경 표현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의료관광호텔의 전체 공용공간에 편중되어 있는 기타 연구들과 차별성을 지닌다. 의료관광 활성화로 향후 국내 웰니스 리조트 계획이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는 현 상황에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치유환경 표현특성이 국내 의료관광 관련 리조트, 치유공간 설계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economic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living standard, the aging is increasing and peoples’lifestyle is being changed to recognizing importance of health, beauty and leisure activities. Therefore, medical tourism industry and eco-tourism receive attention and resort facilities are required for users to receive high-level services in more pleasant environment. Wellness resorts developed from the concept of the existing resorts, having extensive facilities for physical healing like medical checkup, beauty care, preventing aging and dietary control etc. and mental healing like meditation and psychological therapy etc. are expanding their area. The study is to identify importance of expressing healing environment of the lobby space as a center of a resort, decisive of a first impression, and provide basic data when designing domestic wellness resorts in the future by analyzing expression factors. (Method) The study examines necessity of expressing healing environment of the lobby space at wellness resorts by understanding wellness, wellness tourism and wellness resorts through studies on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es.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expressing healing environment commonly presented in previous researches home and abroad are extracted and divided into nature-friendliness, spatiality and sociality. Nature-friendliness is divided into natural landscape and applying natural elements to indoor spaces, and spatiality into artificial objects/ colors/ material/ texture/ object layout and openness/ friendliness. Sociality is divided by furniture layout to promote social activities and it is to analyze cases of the lobby space at overseas wellness resorts with remarkable design for healing environment. For the scope of cases, 7 places were selected after reviewing data like the literature search, cases recommended about traveling in the overseas news and web sites on the internet among the lobby spaces at overseas wellness resorts opened between 2007 and 2019. (Results) As a result, natural landscape and spatiality,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healing environment were shown in all cases but there were some places where were somewhat insufficient in applying natural elements to indoor spaces, the layout of furniture to promote social activities etc. The reason is thought to be the tendency of modern space design seeking structural aspects, indoor gardening and spaces focusing on exhibition to emphasize simplicity of space design. (Conclusions) The study has obvious differentiation from other researches limited to the entire public space of the existing hotels for medical tourism by limiting it to the lobby space at wellness resorts and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heal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healing environment through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resorts and healing space about domestic medical tourism under the current situation expecting that domestic wellness resort projects will be progressed actively in the future by revitalization of medical tourism.

      • KCI등재

        모바일 웰니스 제품/서비스의 현황 분석 및 기회영역 발굴

        이장미,황성걸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1

        As Korea becomes an aging society due to the prolonged life span, not only the elderly-group but also the young-aged group is becoming interested in general health-care. Among the health-care related products, the wellness market, with its purpose of continuous health management is gaining more attention; one of the major attributes of the wellness market is that it is established in the form of the mobile health-care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direct connection to smart devices. In this thesis, the research field is limited the spectrum of wellness to the general life-style and health management, and critically researched the mobile wellness connected products and services. First, the study analyzes 10 mobile wellness-related firms including leading companies and start-ups. Also, the trends of the wellness products and services were looked at closely by subcategorizing the scope of wellness into beauty/anti-aging, fitness/exercise, healthy eating/nutrition, and prevention/personal health. Through this analysis, under-developed areas are distinguished and the possible direction and opportunities for the wellness products and services to be pioneered are suggested. Firstly, the mobile wellness market is expected to grow in the form of personal wearables and domestic smart-home goods. Secondly, it is also expected to develop into a customized open-source management system as 'connected-elite' between products and services. Lastly, in line with private and social services,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and social sharing are predicted to proceed simultaneously. As the wellness market is continuously showing its potentials to grow,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related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pioneering an area for opportunities and immediate market analysis. Our hope is to suggest an appropriate direction and pioneer an area for opportunities. 평균 수명 연장과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은 노년층 뿐 아니라 청장년층에게도 건강에 대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헬스케어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데, 웰니스 제품은 메디컬 제품에 비해 제도적 제재에서도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건강 관리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있다. 특히 모바일 스마트 기기와의 연동을 통한 제품/서비스이 많이 출시 되고 있다는 것이 큰 특징 중 하나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이고 있는 웰니스 시장에 관한 정의나 시장 전략이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웰니스 제품/서비스 분석을 통해 제품 개발을 위한 기회영역을 발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웰니스 제품/서비스 업체 10개를 선정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시장을 이끌고 있는 선도기업과 스타트업 기업을 선정하여, 각 기업의 주요 제품과 서비스를 분석하였다. 또한 웰니스시장의 영역을 뷰티/안티에이징, 피트니스/운동, 식생활/영양, 예방/퍼스널 헬스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각 영역에 출시된 주요 모바일 웰니스 제품/서비스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시장가능성이 있으나, 아직 개발이 미흡한 부분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웰니스 제품 서비스의 기회영역을 발굴하고, 방향을 제시하였다. 웰니스 제품/서비스는 첫째, 웨어러블 형태의 개인용과 가정내 연결이 가능한 스마트 홈 기기의 형태로 진행될 것이며 둘째, 제품 및 서비스간의 서로 연결이 가능한 커넥티드 엘리트(Connected Elite)형태로 발전할 것이다. 셋째, 서비스는 개인화/소셜화(Social)된 두개의 서비스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다. 웰니스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이는 만큼 정확한 시장 분석과 기회영역 발굴을 통한 발빠른 제품/서비스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적인 모바일 웰니스 시장의 개발전략의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