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형 이론의 연극학적 고찰을 통한 미하일 체홉의 심리제스처 연구

        김영래(Young-Lae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미하일 체홉에게 연극학적으로 영향을 준 요한 볼프강 폰 괴테, 루돌프 슈타이너, 칼 구스타프 융의 원형 이론 속에서 나타나는 원형의 개념과 본질을 고찰했다. 체홉의 심리제스처에 원형 이론이 어떻게 응용되었는지 분석했고, 원형 이론을 수용한 미하일 체홉의 심리제스처에 대한 근원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했다. 체홉의 심리제스처에는 원형의 개념이 자주 등장한다. 체홉은 배우들의 내면의 심리 또는 본능 속에 원형이 존재한다고 했고 심리제스처를 원형 제스처라고 정의했다. 체홉의 심리제스처 속의 원형에 대한 언급들을 고찰하면서 체홉의 심리제스처가 원형 이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파악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괴테의 원형 이론(원형식물), 슈타이너의 원형 이론(4가지 기질의 인간 원형, 7가지 인간 영혼의 원형), 융의 원형 이론(집단무의식과 4가지 원형, 12가지 성격 원형) 등을 분석했고, 원형 이론이 체홉의 원형 이론과 심리제스처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괴테와 슈타이너의 원형 이론, 오이리트미는 연극교육 및 배우연기에 응용되고 있다. 융의 원형 이론도 연극학의 배역 분석 및 연극치료에 적용되고 있다. 원형 이론의 영향을 받은 체홉의 원형 이론과 심리제스처는 배우가 극중 인물을 분석하고 창조적 연기로 표현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리라고 판단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essence of archetype theories of Johann Wolfgang von Goethe, Rudolf Steiner and Carl Gustav Jung, which theatrically influenced Michael Chekhov. It analyzed how archetype theories were applied in Chekhov’s Psychological Gesture and tried to fundamentally understand Chekhov’s Psychological Gesture that embraced archetype theories. The concept of archetype repeatedly appears in Chekhov"s Psychological Gesture. Chekhov stated that archetype exists in the inner psychology or instinct of the actors and he defined the Psychological Gesture as an archetypal gesture. While exploring references regarding archetype in Chekhov’s Psychological Gesture, this study found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archetype theories. Therefore this study thoroughly analyzed Goethe’s archetype theory(archetypal plant), Steiner’s archetype theory(4 temperament archetypes, 7 human’s soul archetypes), Jung’s archetype theory(collective unconscious and 4 archetypes, 12 personality archetypes) and it confirmed that archetype theori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ekhov’s Archetype Theory and Psychological Gesture. Goethe and Steiner’s archetype theories, Eurythmy are applied to theater education and actor’s acting. Likewise, Jung’s archetype theory is also adopted theatrical studies and theatrical psychotherapy. The author believes that Chekhov’s Archetype Theory and Psychological Gesture influenced by archetype theories will significantly help an actor analyze characters in the play and portray them in creative acting.

      • KCI등재

        한국어어휘 교육에서 원형이론의 적용 - 서술성명사와 의존동사를 중심으로 -

        김충실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3 한국언어문화학 Vol.10 No.2

        이 논문은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재에 어휘의 형태-통사 및 의미 특성들이 학습자들의 변인을 고려하지 못하 고 제시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원형이론과 원형효과를 적용하여 해결하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 해결 을 위해 먼저 고전적인 범주화와 원형적인 범주화를 대조하여 고전 범주의 한계를 알아보고 원형범주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어휘교수에서 서술성 명사와 의존동사, 보조동사를 중심으로 학습자들의 원형효과를 대조하고 여러 명사나 동사들을 비교하는 가운데 진정한 명사나 동사의 속성을 찾아내고 그 원형자질을 정리하고 어떤 것이 명사나 동사의 원형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해 토론을 활성화시키는 교수 방법을 제안했다. 그리고 한국인 학습자와 중국인 학습자들이 생각하는 명사와 동사를 비교함으로써 언어 대조의 원천을 범주 속성에 기초하여 탐구하는 방법도 가능함을 보여주어 원형이론과 원형효과가 교육적인 목적으로 접목시킬 수 있음을 제기하였다. This article firstly compared the classical category theory and prototype category theory of cognitive grammar, clarified the limitations of the classical category theory. Secondly, the article compared the prototype effects of descriptive nouns, dependent verbs and auxiliary verbs, pointed out that how and by what way that the prototype category theory works in language learning. The article also tried to apply the prototype category theory in teaching verbs and nouns, which can help to prove the possibility and find the methods in vocabulary teaching.

      • 원형베일 랩사일리지 수분분포 특성 분석

        이성현 ( Sunghyoun Lee ),유병기 ( Byeongkee Yu ),주선이 ( Sunyi Ju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원형베일 랩사일리지의 경우에는 주로 원형베일 개수 단위로 유통이 되고 있는데 원형베일의 수분상태 등에 따라 조사료의 품질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수분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과제가 되고 있다. 최근 원형베일의 수분측정을 위하여 베일에 구멍을 뚫어 샘플을 채취하고 있으나 베일에 구멍을 뚫을 경우 외부 공기가 들어가 베일의 변질을 일으킨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샘플채취를 위해 뚫는 구멍을 최소화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사료 수분측정을 위한 샘플 채취시 원형베일의 훼손 최소화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조사료의 종류별 원형베일랩사일리지의 수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2016년 생산한 총체보리, 옥수수, 이탈리안라이그라스, 톨페스큐 원형베일 랩사일리지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원형베일 랩사일리지에서 전체적으로 9개 위치에서 샘플을 채취하여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방식의 오븐형 함수율 측정장치(MX-50, AND, Japan)를 이용하여 수분을 분석하였다. 수분은 각 위치당 3반복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품종에 대해 분석한 원병베일은 각각 3개씩 이었다. 조사료 원형베일을 스트레치필름으로 밀봉하면 내외부공기의 유통이 없기 때문에 랩사일리지 내부에서는 혐기발효가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수분을 가진 조사료를 원형베일로 조제한 후 스트레치필름을 이용해 밀봉하면 내외부 공기 유통이 없기 때문에 밀봉된 원형베일 내부에서 수분의 이동이 일어나 원형베일의 위치에 관계없이 수분이 일정할 것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하지만 총체보리, 옥수수, 이탈리안라이그라스, 톨페스큐 4종의 원형베일 랩사일리지의 샘플을 채취하여 마이크로파 건조기를 이용해 각각의 수분을 분석한 결과 같은 원형베일의 경우도 수분을 채취한 위치에 따라 수분의 차이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초 톨페스큐 원형베일의 경우 같은 베일에서 수분최대값과 최소수분값의 차가 2.5%로 나타나 위치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랩사일리지의 경우 위치에 따라 14~23 % 수분 값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체보리, 옥수수, IRG 원형베일 랩사일리지의 경우는 어떤 위치에서 샘플을 채취하는가에 따라 수분값의 차이가 각각 7.3~9.7 %, 4.6~6.8 %, 12.8~20.3 %으로 나타나 같은 원형베일 내에서도 위치에 따른 수분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분측정시 원형베일 랩사일리지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비닐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위치에서 수분을 측정하고 측정값±(측정값×0.1) 수준에서 함수율을 고려하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후보

        지나라자다사의 "원형"의 의미와 예술의 개념

        조관용 ( Kwan Yong Cho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3

        이 논문은 지나라자다사(C. Jinarajadasa)의 원형의 의미와 예술의 개념을 다루고 있다. 지나라자다사의 원형 개념은 블라바츠키(H.P. Blavatsky)의 신지학 이론을 계승하여 근원적인 실체를 예술의 행위를 통해 인식하고 자각하는 데에 있다. 지나라자다사의 원형 개념은 융(C. G. Jung)이나 엘리아데(M. Eliade)와 같이 플라톤의 이데아의 개념을 계승하고 있으나 융의 원형 개념이나 엘리아데의 원형개념과는 다르게 정의하고 있다. 지나라자다사의 원형 개념은 ``인간 의식의 근원적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는 융의 원형 개념이나, 또는 ``원초적인 시간(illud tempus)속으로 투사된 신화적 모델을 제의를 통해 반복``하는 엘리아데의 원형 개념과는 다르다. 다시 말해 지나라자다사의 원형 개념은 ``의례와 재현``을 통해 인간의 근원적 의식을 자각하는 융의 원형 개념이나, 또는 제의를 통해 ``신화적인 모델을 반복``함으로써 자신의 근원적 실체를 자각하는 엘리아데의 원형 개념은 아니다. 그리고 융의 원형 개념과 같이 인간의 의식으로 경험될 수 없거나, 또는 포착되지 않는 실체는 아니다. 지나라자다사의 원형의 개념은 블라바츠키의 신지학의 이론에서 정의하는 ``근원유형``의 개념을 의미하며, 물질적으로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지만 잠재적으로 자연의 모든 것을 생성시킬 수 있는 공간이 지니고 있는 사유이자 상념을 의미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그의 원형 개념은 인간이 창조자의 사유이자 상념을 자신을 통해 구현시킴으로써 자신의 근원적 실체를 인식하는 행위이다. 예술의 행위는 지나라자다사에게 예술의 매체를 통해 원형을 계시하는 것이며, 그럼으로써 자아의식을 진화시키는 것이다. 진화는 그에게 생물학적인 발전이나 의식의 상승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초월적인 세계의 것을 현실에서 내재화시키는 것, 즉 자기 자신이 지닌 신성을 해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나라자다사는 예술의 장르를 시간 예술과 공간 예술로 구분하고, 시간 예술은 드라마와 시와 음악으로, 공간 예술은 회화, 조각, 건축으로 나누고 있다. 시간 예술은 표현 방식에 있어서 드라마에서 시로, 시에서 음악으로 발전하며, 공간예술은 회화에서 조각으로, 조각에서 건축으로 발전한다고 말한다. 또한 각 예술장르는 시간과 공간으로 표현하는 매체에 따라 차이를 지니고 있을 지라도 원형의 개념을 중심으로 서로 상호 작용을 한다고 말한다. ``드라마``와 ``회화``는 그에게 ``사건``을 중심으로 성격으로 인해 일어나는 ``행동``의 전형적인 유형을 계시한다는 점에서 서로 상호성을 지니고 있으며, ``시’와 ‘조각``은 시가 상상력의 재료로부터 이미지에서 이미지를 조각한다는 점에서 서로 상호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음악과 건축은 괴테와 레싱이 건축이 ‘결빙된 음악’이라고 한 것처럼 음악은 율동을 통해 원형을 계시하며, 건축은 음악적인 율동의 느낌을 공간에서 물질적으로 구축을 함으로써 원형을 계시하는 것이다. 지나라자다사의 원형의 개념은 블라바츠키의 신지학의 이론을 계승하여 발전시킨 개념으로 인간의 근원적인 실체를 인식하고자 하는 융의 원형 개념이나 또는 제의를 통해 신화적인 모델의 행위를 반복하는 엘리아데의 원형 개념이 아니라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의 모든 사물들의 보편적인 특성을 의미하는 원형 개념이다. 인간은 지나라자다사에게 예술의 행위를 통해 원형 개념을 계시하는 데에 있으며, 그럼으로써 자기 자신 안에 내재한 신성의 개념을 발견하고 인간과 자연의 모든 사물들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는 신성의 개념을 자각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into the import of archetype and the concept of art by C. Jinarajadasa. His notion of archetype, succeeding H. P. Blavatsky’s theosophical theories, is to perceive and realize underlying substance through artistic action. Like Carl Jung and MirceaEliade, his concept of archetype inherits Plato’s notion of Idea, but it also differs from those of Jung and Eliade. That is, his concept of archetype is different from that of Jung, for whom it was to "grasp the elemental nature of human consciousness", and that of Eliade, for whom it "repeats a mythic model projected into primal time through rituals". In other words, his concept is not like the notion of Jung, to perceive humanity’s elemental consciousness through "ritual and representation", or the notion of Eliade, to perceive one’s underlying substance through a repetition of "mythic models"through rituals. Unlike that of Jung, his concept is also something humans experience or capture through their consciousness. Jinarajadasa’s concept means the notion of "prototype" Blavatsky defines in histheosophical theories, and also refers to thought and conception of space in which nothing exists physically but creates all in nature. In other words, his concept of archetype is an act of perceiving humanity’s elemental substance by embodying the Creator’s thought and conception through himself. To C. Jinarajadasa, an artistic act is to reveal the archetype through the media of art and evolve one’s self-consciousness by doing this. Evolution does not mean any biological progress or ascending of consciousness but internalization of the transcendental in reality or emancipation of one’s divinity. Jinarajadasa classifies the genres ofthe arts into two categories: the temporal arts, such as drama, poetry, and music, and the spatial arts, such as painting, sculpture, and architecture. He explains that the temporal arts develop from drama to poetry, poetry to music, whereas the spatial arts from painting to sculpture, sculpture to architecture. He also mentions that each genre of the arts interacts at the center of the concept of archetype while they have differences in expressive mediums. To him, drama and painting are correlated in that they present typical types of actions deriving at the center of "incidents". And poetry and sculpture are also correlated in that they sculpt images with the material of imagination. As Wolfgang von Goethe and Gotthold Ephraim Lessing defined architectureas "frozen music", music presents the archetype through rhythm, and architecture implies the archetype through a physical construction of musical rhythms in space. Jinarajadasa’sconcept of archetype, succeedingand developing Blavatsky’s theosophical theories, is the notion of the archetype referring to the universal features of all objects in nature. To Jinarajadasa, humans reveal the concept of archetype through their artistic actions, thereby discovering the concept of divinity within them and realizing that they remain inseparable from all objects in nature.

      • KCI등재

        시베리아 소수민족 원형스토리와 토테미즘 : 남시베리아 소수민족을 중심으로

        김성일(Kim, Sung-il)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3 스토리&이미지텔링 Vol.5 No.-

        원형스토리는 문화가 단순한 지식이 아닌 상품으로 재생산되는 오늘날 문화콘텐츠산업에 있어서 원천소스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시베리아의 수많은 소수민족들은 엄청난 양의 자신들의 원형스토리를 갖고 있다. 척박한 지형적 요인, 기후적 조건, 언어적 장애 등으로 그들의 원형스토리는 아직도 그 원형성을 잘 보존하고 있다. 이들 원형스토리는 한민족 문화의 연계성뿐만 아니라 광포원형스토리 전래 방식 및 그것의 한국적 변이과정 규명에도 매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한다. 시베리아 원형스토리와 토테미즘은 매우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다. 특히 토테미즘은 각 종족의 창조ㆍ건국신화 및 동물숭배 등의 원형스토리 속에서 삽입되어, 그 원형이 잘 보존되어 지금까지 전승되고 있다. 따라서 각 종족의 토테미즘 분석은 원형스토리의 원형성 및 전승에 따른 변이형과 각 종족 간 원형스토리의 유사성, 더 나아가 광포원형스토리 연구에도 중요한 열쇠가 된다. 남시베리아 민족의 토템 신화 속에는 3가지 슈제트가 두드러진다: 동물-시조슈제트, 창조자-조물주로서의 동물 활동의 슈제트, 민족적 영웅의 슈제트. 그들이 숭배하는 토템은 주로 곰과 독수리이며, 선조, 조상, 샤먼의 조력자, 초자연적 존재 등 다양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This study explores the general contour of the so-called archetype story and totemism related to indigenous people in Siberia. The focal point of this study, the archetype story, has been considered the original source in contemporary industry of culture contents, in which a culture usually reproduces as a product, not as common knowledge. Generally speaking, Siberian people have thousands of their own archetype story. Due to some obstacles such as instable geographical reasons, weather conditions, and other language barrier, the archetype story could be able to be kept even now a days. More importantly, this archetype story provides not only a nexus between Korean cultures, but a clear clue for the understanding of whole-scale archetype story. Needless to say, Siberian archetype story is closely related to totemism. Totemism, which had been submerged into the creation myth and other myth of a foundation of a certain nation, has pass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 For this right reason, an analysis of totemism plays a key role in the study of whole-scale archetype story. On the other hand, in totem myth of South Siberia, there are three plots: plot of animal-ancestor, plot of activity of animal as creator, and national heroic plot. The object of this cult is mainly devoted to bear and eagle, ancestor, and Shaman’s helper, supernatural beings.

      • KCI등재

        민속학적 원형론의 기초연구

        정수진(Jung Soo-Jin) 한국민속학회 2008 韓國民俗學 Vol.47 No.-

        이 글은 한국 민속학에서 정의되어 온 ‘원형’ 개념을 재고함으로써 민속학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려는 연구 기획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그 기초 작업으로 우선, 본고에서는 김성례의 견해를 원용하여 한국 민속학의 원형론을 ‘역사적 원형’론과 ‘심성적 원형’론으로 구분하고, 양자를 대표하는 논의들의 문제점을 점검해보았다. 더불어 이 두 원형론이 학계 내부의 활발한 논쟁을 불러일으키지 못한 채 추상적인 사변론으로 흐를수밖에 없었던 정황을 짚어보았다. 다음, 민속학 내부에서 심화ㆍ성숙되지 못한 원형론이 사회적 차원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무형문화재 제도와 문화원형 콘텐츠사업을 통해 고찰하고, 그 활용의 결과가 민속학의 학문적 위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이 글은 ‘원형’의 두 가지 용례, 즉 ‘추상 개념으로서의 원형’과‘실체 개념으로서의 원형’이 서로 조우할 수 없는 심원한 간극을 사이에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민속학계에서 편의적으로 공존ㆍ혼용되었던 문제를, 사회적 참여와 실천을 강조하면서 현실 제도에 깊숙이 개입했던 한국 민속학의 이데올로기적 한계로 지적하고자 했다. This paper is written as a part of studying project to rethink the history of korean folklore with the concept, ‘Wonhyung’(translated in ‘archetype’ or ‘the original’, pronounced equally in korean language). This paper is its first step, to investigate to identify the concept and its logical ground used in- and outside of folklore. For a start, I classified the discourse of ‘Wonhyung’ in korean folklore with two version, namely the ‘historical original’ and the ‘psychological archetype’, borrowed from Sungnae Kim. And I analysed those representative epistemology with the argument of Raeok Choi and of Taegon Kim. Their argument were just the opposite each other, but their was no debate between them, because of that driven metaphysical. Secondly, I investigated how the theoretically immatured concept ‘Wonhyung’ was utilized in social realm, namely in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stitution’ and national ‘Cultural Content Undertaking’, and that result had an effect on academic realm itself. Finally, I criticised that two dimension of ‘Wonhyung’, as metaphysical concept and substantial concept, are mixed one another in folklore, even though their is space too immeasurable to meet between them, and that problem is caused by ideology of korean folklore to emphasize social participation and practice of theory.

      • KCI등재

        한국의 문화재 보존·관리에 있어서 원형개념의유입과 원형유지원칙의 성립, 그리고 발달과정

        이수정 국립문화재연구원 201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9 No.1

        The concept of “original form” and the principle of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take center stage in conservation, management, and promotion of the domestic heritage. Introduced in the 20th century, there were little discussion or deliberation about the concept of “original form” therefore it remains a vague and somewhat abstract notion subject to individual interpretation. Without a specified practical meaning,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became the fundamental principle for heritag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the 1999 ver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engendering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principle in practice. Conceived as an important first step toward resolving the issues stemming from the indistinct concept of “original form,”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concept was introduced to Korea and then established and developed as a legal principle for heritage conservation, management, and promotion. While the examination of the related documents and various cases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original form” has centered on specific periods and architectural styles, this essay explicates that the notion “original form” is commonly used as a term referring to the form at the earliest possible temporality. It also explains that this view emanates from perceiving heritages not as multivalent objects, but as a material object that exclusively carries aesthetic and, more importantly, historical value, and that comes from the history awareness of the times. This essay suggests that the concept “original form” should be reestablished with full consideration of the diverse values of heritage and diverse forms through which heritage can be expressed. After reviewing the feasibility and practicality of the concept a set of concrete guidelines should be presented for application in practice. ‘원형’과 ‘원형유지’는 국내 문화재의 보존·관리 및 활용에 있어서 철학적 토대를 이루는 핵심적인 개념이자 원칙이다. ‘원형’은20세기를 전후한 근대기에 국내에 그 용어가 유입된 이후 구체적인 의미에 대하여 심도 있는 논의나 연구가 이루어진 적이 없었던탓에 여전히 모호하고, 추상적이며, 주관적인 개념을 지닌 용어로 남아있다. 또한 용어에 대한 개념이 구체적이지 않은 상태에서1999년 문화재보호법에 ‘원형유지’ 조항이 신설되어 문화재를 보존 관리하는 기본원칙으로 명문화되었지만 유효한 원칙으로 실무에적용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첫 단계로 원형개념이 유입되는 과정과 시대적 배경, 그리고 원형유지의 원칙이 문화재보존·관리 및 활용의 공식적인 원칙으로 자리잡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검토와 사례연구를 통해 개념이 유입되고정착하는 과정에서 ‘시대’와 ‘양식’을 중심으로 원형개념이 고착화되는 경향, 그리고 시대 중에서도 최초의 시기, 또는 가장 이른 시기를의미하는 개념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서술하였다. 그로인해 고정된 시점에 맞추어 문화재를 보존관리하면서, 원형이 지녀야하는 다양한 측면의 속성들을 간과해 온 결과 원래의 재료 등 원형의 핵심적인 요소들이 손실된 채 문화재를 보존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필자는 이러한 태도와 경향이 문화재를 다양한 가치를 지닌 대상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역사적, 예술적 가치, 특히 그 중에서도역사적 가치와 흔적을 담아내는 물질적 산물로 보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나아가 시대적인 역사인식이 단층적이며, 원형유지의 원칙을수립하는 과정에서 원칙의 타당성에 대하여 보존철학적 관점에 근거한 심도있는 논의가 부족하다는 데에 기인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원형에 대한 개념정의는 문화재가 지닌 다양한 가치를 고려하여 그 개념이 다면적·다층적으로 재설정되어야 하며, 문화재의 종류별 특성을 고려한 원형개념이 정립되어야 하고, 원형유지 조항의 타당성과 실현가능성을 검토하여 실제 적용하기 위한구체적인 지침이 제시되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주역』에 나타난 원형리정(元亨利贞)에 관하여

        백은기(白殷基) 한국동양철학회 2013 동양철학 Vol.0 No.39

        周易的核心是元亨利贞. 到现代,殷墟的甲骨文研究, 帛書周易研究, 楚简研究等对元亨利贞的理解很有帮助. 以甲骨文研究为根据, 分为李镜池的大吉和利贞, 两个吉利的占卜, 高亨利用占卜来把握大的亨通. 同时以楚简研究为根据, 元亨利贞应该是从张立文开始的, 顺通并且占卜问题, 邓球柏研究过但是, 大的亨通的有利的正确的把握着. 元亨利贞周易学的意味有两方面. 方面一, 元亨利贞从尙秉和的理论来讲普遍叫做周. 尙秉和的元亨利贞这样的话, 也被叫做从周易的正体性中显现. 因为, 我们一般叫周易的时候前面的字周就指作元亨利贞. 第二方面, 元亨利贞从胡朴安的理论来讲称为开始. 胡朴安把握着元亨利贞和开始的关系. 则周易和卦辞中元亨利贞如果出现, 那个卦开始很重要的事被提到过. 元亨利贞的易学理论, 中国学者们像李覯和程頤一样把元亨利贞分为四部分四德,郭忠孝和来知德一样分为两部分数和理, 像朱子一样看占辞‘正的就会大亨通的’一样看作一个文章. 朝鲜的易学者们把程颐和朱子的元亨利贞理论综合起来, 把握着四德和占辞. 元亨利贞的性理学的含义, 中国的性理学者们把元亨利贞分三显一藏把握着. 在元亨利贞中元亨利为显,贞为藏的理论. 这有三个有作用, 一个是没作用. 同时元亨利贞的理-分殊把握着. 则元里面出现了亨利贞. 如果没有元的话, 亨利贞也会消失.朝鲜的性理学者们把握着元亨利贞的性情关系或者体用关系. 从体用理论来看的话, 元亨利显的作用, 贞为藏体. 东北亚的近代哲学者们根据周易的利贞把自己的核心提示出来. 通过镛对元亨利贞的解释, 宗教哲学的理解, 通过毅元亨利贞的均质性, 有了新的人间观的理解, 通过方东美元亨利贞的理解, 看到了生命和和谐精神的理解. 笔者通过对元亨利贞的研究得出了下面的结论. 第一, 元亨利贞是帮助了解释周易的名字. 叫周易时候的周是从元亨利贞的解释中得到. 第二, 是元亨利贞组成了周易的理论, 周易的廓然大公论, 體用一源论, 显微无间论, 大亨以贞论等. 第三, 元亨利贞组成了性理学等中国哲学理论. 性理学的理一分殊论, 三显一藏论等和近代新儒学的生命和和谐思想等. 『주역』의 핵심은 원형리정(元亨利貞)에 있다. 현대에 와서 원형리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는 은허의 갑골문연구, 백서연구, 초간연구 등이 있다. 갑골문연구를 근거로, 원형리정(元亨利貞)을 이경지는 대길(大吉)과 이정(利貞)으로 나누어, 두 개의 길한 점으로, 고형은 크게 형통하여 이로운 점으로 파악한다. 또 초간연구를 근거로, 원형리정(元亨利貞)을 장립문은 ‘시작하면 순통하여 점쳐 물음이 마땅하다’로, 등구백은 ‘일을 하는데, 크고 형통하고 이롭고 바르다’고 파악한다. 이 원형리정의 역학적(易學的)인 의미는 두 가지 면으로 볼 수 있다. 첫째, 원형리정은 상병화의 이론에 따르면 보편[周]이라고 본다. 둘째, 원형리정은 호박안의 이론에 따르면 시작[始]을 나타낸다고 본다. 원형리정의 역학적 이론은 중국역학자들은 원형리정을 이구(李觀)와 정이천(程伊川)처럼 네 부분으로 나누어 사덕을 삼기도 하고, 곽충효(郭忠孝)와 래지덕(來知德)처럼 두 부분으로 나누어 수(數)와 이(理)로 보기도 하고, 주자처럼 점사로 보아 ‘바르면 크게 형통할 것이다[元亨以貞]’처럼 한 문장으로 보기도 한다. 조선의 역학자들은 원형리정을 정이천과 주자의 이론을 종합하여, 사덕과 점사로 파악한다. 원형리정의 성리학적 함의를 중국의 성리학자들은 원형리정을 이일분수(理一分殊)로 파악한다. 즉 원(元)속에서 형리정(亨利貞)이 나왔다고 한다. 원(元)이 없다면 형리정(亨利貞)은 사라진다는 것이다. 또, 원형리정을 삼현일장(三顯一藏)으로 파악한다 원형리정에서 원형리(元亨利)는 드러나고[顯] 정(貞)은 숨는다[藏]는 이론이다. 이것은 셋은 작용을 하고 하나는 작용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원형리정을 성정(性情)관계나 체용(體用)관계로 파악한다. 체용이론으로 살피면, 원형리(元亨利)는 드러나는[顯] 용(用)이고, 정(貞)은 숨는다[藏]는 체(體)라는 것이다. 동북아의 근대 철학자들은 자기 사상의 핵으로 『주역』의 원형리정(元亨利貞)을 근거로 제시한다. 정약용은 원형리정의 해석을 통해서 『주역』의 본질에 대한 천인관계의 이해를, 당군의는 원형리정의 균질성을 통해 새로운 인간관의 이해를, 방동미는 원형리정의 이해를 통해 생명과 화해정신의 이해를 보여준다.

      • KCI등재

        원형의 기록화, 기록의 원형화

        정수진(Jung Soo-Jin) 한국민속학회 2006 韓國民俗學 Vol.44 No.1

        무형문화재의 기록화 사업은 보유자의 기·예능이 쇠퇴하거나 사망한 후에도 그 기·예능의 '원형'을 유지·보존하기 위해 추진되어왔다. 그렇다면 무형문화재의 원형을 기록한다는 것은 과연 무엇인가? 무형문화재의 특성상 그 원형을 규정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 원형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그 기록물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이 글은 무형문화재의 '기록' 문제를 제도적·학문적 차원에서 주제화함으로써 무형문화재 제도 자체의 구조적 문제를 해체적으로 분석한다. 우선 제도적 차원에서 무형문화재의 기록화 사업이 추진되어 온 결과물들을 살펴볼 때, 기록의 목적이 원형 보존에 있다고 보기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예산 및 기술적 측면에서 현재의 기록물들은 그 목적에 부합하지 않으며, 특히 기록 방식에 있어서 원형 보존보다는 교육, 홍보의 목적에 더 충실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록물들이 원형 보존의 목적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당연시되는 근거는 그 기록물들이 직접적인 준거로 전제하고 있는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에 있다. 이 보고서는 이후 기록물들이 일단의 축약과 각색을 거친 산물임에도 불구하고 '원형 보존'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처럼 여기도록 하는 유일한 토대이다. 즉, 기록물에 전제된 원형성은 이 보고서에 기초하고 있는 한 정당한 것으로 간주된다. 문제는 보고서가 산출되는 방식이다. 보고서는 무형문화재를 지정하기 위한 심의자료에 속하지만, 보고서의 작성자, 심의자, 나아가 제도 운영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주체간의 차이가 분명치 않다는 점에서 제도 자체에 자기 충족적이다. 이렇게 작성됨으로써 확보되는 보고서의 권위는 이후 기록물들이 무형문화재 보유자의 기·예능보다 더 진정한 원형으로 평가되는 토대가 된다. 결과적으로 무형문화재의 원형은 기록이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기록된 것이 원형이라는 것이다. The recording project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stitution was actualized to preserve 'original form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from decay with age and death of its holders. But just what mean the original forms, and its recording? It is irony that logically is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original forms, above all of the characteristic of such cultural kind and, in spite of that, those forms can record. In this essay I have examined the structure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by focusing on the recording project with its stands and functions. As a result, the present records do not meet the purpose to preserve the "original forms" on the site of budget and technical level. Especially the mode of recording is devoted to public information and education, not preservation. The only one is "investigation record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at prove the above records to be plausible. The investigation record and its recording system are self-sufficient to the institution itself, because the subject of recording, judging, and operating the institution could not distinguish. Based upon the authority of this record achieved in that system, the following records are evaluated more original than practical ability of holders. Finally the original form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does not exist before the record, rather the recorded is the original form.

      • KCI등재

        민속문화와 문화원형

        이윤선(Lee Yoon Sun) 역사문화학회 200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1 No.1

        이제까지 논의되어 온 원형담론의 층위는 原形(originality), 元型(archetype), 原型(pattern)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이들은 原本(archepattern) 등으로 심층화되어 이해되거나 논의되기도 하지만, 대개는 가변적일 뿐 아니라 중층적인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무형문화재의 원형적 접근은 대개 ‘고유소 ’ 혹은 ‘민속의 원형’ 등으로, 이들을 망라하거나 적어도 중첩적 개념으로 이해된다고 볼 수 있다. 〈문화원형사업〉의 원형적 접근들은 개념 자체는 민속의 원형이라는 접근 맥락과 유사한 듯 보이지만 실제 적용되는 사례들은 문화콘텐츠 혹은 산업화에 소요되는 소재주의적 의미로 이해되고 있다. ‘原形性’ 보다 ‘典型性’, ‘類型性’ 에 초점이 있음을 말한다. 콘진에서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과 방향을 점검하는 프로토타입 (Prototype)도 각각의 목적과 방향에 따라 문화원형의 개념을 取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성격을 다시 세 가지의 목적과 의미에 따라 구분해보면, 첫째는 민족성 혹은 지역성이고 둘째는 원형성 혹은 목적성이며 셋째는 원본성 혹은 글로벌성이라고 나누어 볼 수 있다. 본문의 분석을 통하여 점검할 수 있는 것은 문화원형담론을 시대적 흐름속에서 조망하는 입장이 아닌가 생각한다. 곧, 심층적인 학술적 원형논의는 진행형으로 진단하는 것이 옳다는 뜻이다. 그러나 용어의 층위가 어떠했든 문화원형담론이 문화콘텐츠산업의 전제가 되어 있는 것이 불변의 현실이라는 점에서, 어떤 측면이든 문화원형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킬 의무는 우리에게 주어져 있는 셈이다. 따라서 무형문화재제도가 민족문화원형이라는 국가적 이데올로기 창출을 기반으로 하였지만 일정한 보존과 보호의 기능을 해왔듯이, 근자의 문화원형담론 또한 문화경제주의라는 국가의 산업적 전략을 기반으로 창출되었지만 또 어떤 기능을 할지, 향후의 전개과정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즉, 향후의 원형담론은 멀티유즈를 전제한 원소스로서의 문화원형이라는 소재주의적 관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삶의 본질에 천착하는 원형으로서의 의미를 회복하는 절차들을 밟아나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hierarchy of prototype discourses that have ever been discussed could be classified by 'originality', 'archetype', 'pattern' and so on. These has been usually used as mid-concept as well as variable one even though these would more deeply be understood or discussed as 'arche-pattern' or so. Prototypal approaches to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generally 'indigenous elements' or 'folklore prototypes', which could be understood in the concept of comprising all things or, at least, in the duplicate concept of these things. The prototypal approaches on 'Cultural Prototype Project' seem to be similar with the approach contexts, folklore prototype, but their authentic applicative cases have been understood as the materialistic meaning which utilized in Culture-contents or industrialization. This means that it has its focus in 'typicality' and 'pattern' rather than in 'prototype". It also chooses the concept of cultural prototype according to each purpose and direction to the prototype of Korea Culture & Content Agency(KOCCA) to examine a development plan of culture-content and its direction. This feature can be redivided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he meaning; the first is a racial characteristic or a locality, the second is a pattern or a finality and the last is an originality or globality. It would be a point of view to look out over cultural prototype discourses in a periodical stream to be able to examine through analyzing the main text. That is, this means it is right that in-depth academic discussion on prototype would be diagnosed as a progressive pattern. Whatever the hierarchy of terms is, we should have an obligation to develope the discussion on cultural prototype in that cultural prototype discourses always becomes a premise of culture-contents industry. Therefore, the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based on the creation of national ideology, 'national cultural prototype', but the system had the function of a regular preservation and a protection. Recent cultural prototype discourses also were created in the base of Korean industrial strategy, 'cultural economism'.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ow function it is and how about its further expanding process is. Conclusionally, future discourses on prototype would step on the stage to recover the meaning as the prototype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essence of human life, not would only stay in the materialistic point of view as the original source premised a multi-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