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충규 시에 나타난 ‘달’의 재현 공간 연구

        배옥주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9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onal space of 'Moon', a circular image that frequently appears in Kim Chung Kyu's poetry. In the four volumes of Kim Chung-gyu's life poetry, it can be seen that the space called 'Moon' frequently appears. The book is based on Carl Jung, Ernst Kassirer and Northrop Fry. We discussed the prototyping image of Frye and the discussion of Henri Lefebvre’s representational space as the main framework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presentational space in the Moon, which often appears in Kim Chung-gyu’s poem. The representational space is a space created after experiencing images and symbols in the natural space. It is a space under the control of the artist and uses the object symbolically to plan a systematic change of imagination. The study of the reproduction space expressed through the circular image in this book is not only to explore the origins of the same image or theme that repeatedly appears in the work, but also to present the underlying meaning that the root symbolizes in common. This is because the circular image can enter the aesthetic process of the work through the meaning of the representational space which is common. Through Table1 and Table2, we can consider the eternal nature of the communication and circulation in his major work 〔meaningless〕and 〔made up moon〕, also we can consider Beyond the will of introspection in 〔night Journey〕and can consider a vision of the universe of comfort and healing in 〔The bone is crushed〕. At this point, when Kim Chung-gyu's research on poetry is not active, it will be a meaningful task to look into the universe world through his poetic representational space. 본 연구는 김충규 시에 빈번하게 나타나는 원형적 이미지인 ‘달’의재현 공간이 지닌 특성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김충규의 생전시집 네 권에는 ‘달’이라는 공간이 빈번하게 등장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고는 칼 융(C. G. Yung), 에른스트 카시러((Ernst Cassirer), 노드럽 프라이(Northrop Frye)의 원형적 이미지 관련 논의와 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의 재현 공간에 대한 논의를 연구 전개의 주요한 틀로 삼아, 김충규 시에 자주 등장하는 ‘달’에 내재된 각각의 재현 공간이어떤 특징을 내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재현 공간은 자연 공간에서 이미지와 상징을 체험한 후 생성되는 공간으로, 작가의 지배를 받는 공간이며 대상을 상징적으로 이용해서 상상력의 체계적인 변화를 도모한다. 본고에서 원형적 이미지를 통해 표현되는 재현 공간을 연구하는 것은 작품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동류의 이미지나 주제의 근원을 탐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뿌리가 공통적으로 상징하는 기저의미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원형적 이미지가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재현공간의 의미를 통해 작품의 심미과정에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1>과 <표2>를 통해 ‘달’이라는 재현공간이 빈번하게 등장하는 대표작「헛것」과 「화장을 한 달」에서 ‘소통과 순환의 영원성’을, 「야행」에서 ‘성찰의 초극 의지’를, 「뼈를 빻아」에서 ‘위로와 치유의 우주관’을 고찰할수 있다. 김충규의 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현 시점에서, 그가남긴 시적 재현 공간 고찰을 통해 우주적 세계관을 들여다본 일은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

        王蒙小說的文學空間硏究

        이주노 한국중국어문학회 2002 中國文學 Vol.37 No.-

        王蒙의 反思小說은 意識의 흐름에서 흔히 운용되는 자유연상과 내적 독백으로 인해 시간의 순차에 따른 因果的 繼起性을 상실한 채, 시간이 공간적으로 처리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글은 왕몽 소설의 空間性, 즉 그의 작품에 드러나는 문학적 공간의 형태와 그 성격을 고찰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문학적 공간성에 주목할 때 그의 소설에서는 `분리 - 시련 -- 회귀`의 原型的 類型의 되풀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 유형은 王蒙 작품의 서사구조에서 通過祭儀의 단계로 기능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길 떠남`의 틀 역시 되풀이 나타나는데, 王蒙에게서 `길 떠남`은 현재와 과거, 현재의 `나`와 과거의 `나`. `나`와 남이 화해하고 용서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문학적 공간으로서의 `길`은 자신의 正體性을 찾아 떠나는 求道의 공간이자, 자아의 각성과 세계의 발견을 통해 성숙한 인간으로 거듭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 KCI등재

        王蒙小說的文學空間硏究

        李珠魯 韓國中國語文學會 2002 中國文學 Vol.37 No.-

        王蒙의 反思小說은 意識의 흐름에서 흔히 운용되는 자유연상과 내적 독백으로 인해 시간의 순차에 따른 因果的 繼起性을 상실한 채, 시간이 공간적으로 처리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글을 왕몽 소설의 空間性, 즉 그의 작품에 드러나는 문학적 공간의 형태와 그 성격을 고찰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문학적 공간성에 주목할 때 그의 소설에서는 ‘분리­­시련­­회귀’의 原型的 類型이 되풀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 유형은 王蒙 작품의 서사구조에서 通過祭儀의 단계로 기능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길 떠남’의 틀 역시 되풀이 나타나는데, 王蒙에게서 ‘길 떠남’은 현재와 과거, 현재의 ‘나’와 과거의 ‘나’. ‘나’와 남이 화해하고 용서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문학적 공감으로서의 ‘길’은 자신의 正體性을 찾아 떠나는 求道의 공간이자, 자아의 각성과 세계의 발견을 통해 성숙한 인간으로 거듭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 KCI등재

        귀환민들의 ‘국민-되기’ 열망과 괴리로서의 귀환서사 - 해방기 ‘귀환서사’를 중심으로 -

        조영란(Cho, Young-Ran)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69

        본고에서는, 해방 이후 제국주의의 붕괴 및 국가의 재편과 함께 비롯된 조선인 귀환 및 귀환자 정체성의 분석을 통해 국가의 작동과 민족(국민)의 길항 관계가 갖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귀환(repatriation)’ 행위는 종전(終戰)과 함께 시작되었다. 제국의 질서가 해체됨에 따라 제국의 구성원들은 변화된 삶의 조건에 직면해야 했다. 제국의 곳곳에 편만해 있던 구성원들은 변화된 상황에서 각자가 원하는 삶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 이때 이동은 제국의 종언에 따른 탈식민화 과정의 일환이라는 측면에서 개인적 선택의 문제인 동시에 정치적 문제였다. 이 시기 대규모 인구 인동은 식민 지배의 종식이라는 세계사적 흐름을 타고 국제적인 관계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귀환은 단순한 이동이 아닌, 탈식민화 과정의 일환으로 전개된 것이었고 그런 의미에서 전후 동아시아 각국의 관계가 재편성되는 시발점이기도 했다. 이런 측면에서 귀환 서사는 해방기 문학의 주요 소재가 된다. 본고에서는 기존 논의들이 지닌 귀환과 귀환민에 대한 논의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되 특히 귀환민들이 지닌 ‘국가/국민 되기’라는 이상과 실상 드러나는 현실 간의 분열 혹은 괴리의 지점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귀환서사가 지닌 이중적 메카니즘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귀환의 의례로 귀환민들은 과거의 나의 존재를 부정하고 기억의 외부로 밀어내고자 했다. 이는 고향이라는 원형적 공간에 들어가기 위한 정화의 작업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과거 부정의 이면에는 미래에 대한 기대가 뒤따른다. 부정이 고국을 떠나 있던 시간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면 기대는 고국으로 돌아간 후의 시간과 접합될 수 있었다. 한편 귀환민들이 고국으로 귀환하면서 가장 먼저 조우하는 것은 고향이라는, 낯설지만 한편 익숙한 풍경이다. 하지만 그들의 기대감과는 달리 그들에게 주어진 현실 공간은 고향의 이미지와는 동떨어진 비루한 공간일 뿐이었다. 이들에게 귀환의 문제가 거주의 문제와 직결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그들이 처한 ‘난민’이라는 위상이 지닌 정치적, 사회적 불합리한 입지 때문이었다. 주거의 불분명함은 귀환민들에게 존재감의 상실을 안겨주었고 이로인해 그들은 난민이란 정체성을 벗고 한민족의 구성원이 되기를 갈망하게 된다. 귀환민들이 지니는 정체성의 혼돈 과정은 결론 없이 미래를 기약하며 끝을 맺는 귀환 서사의 열린 구조와 맞닿아 있다. 이를 종합해보자면, 귀환서사는 자기 정체성을 재규정하려는 귀환민들의 고뇌·절망의 과정과 고국과 민족 공동체로의 포섭에 대한 갈망을 담은 총집합체라 할 수 있겠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nation"s operation and road-bound relationship between people through an analysis of returning Koreans and their identities as a result of the collapse of imperialism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 after liberation. The act of "returning" began after the end of the war in X. With the dissolution of the order of the empire, members of the former empire had to adapt to the changed conditions of life. Members who were biased toward the empire, were able to move in their preferred directions of life despite the changed circumstances. At this time, movement was both a matter of personal choice and political issue as it formed part of the decolonization process following the end of the empire due to large-scale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resulting from the global historical trend of ending colonial rule. Therefore, the return of Koreans to Korea was not just a movement, but a part of the process of decolonization and, consequently, the starting point for the reorganization of relations between the countries of East Asia. During this liberation period, the return narrative became the main subject of literatu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dual mechanism of return history by critically assessing the discussions about return and returnees, and carefully examining the "becoming a nation/people" ideal of returnees and the actual division, or gap, between this ideal and reality. Our research found that, firstly, as a ritual for returning home, the returnees denied their existence in the past and tried to push themselves out of their memories. This can be understood an act of purification in order to reenter the circular space of their hometowns. Moreover, behind past negations are expectations for their futures. As time away from home was seen as unjust, positive expectations could then be formed when considering their time after returning home. It is a strange but familiar landscape that the returnees first encountered when they returned home. Contrary to their expectations, however, the spaces given to them were pathetic and far from the images they had of their hometowns. The reason why the issue of returning was directly related to the problem of residence to them was because of their difficult political and social status as "refugees." The ambiguity of their residencies has caused the returnees to lose their resence, therefore making them eager to shed their refugee identity and become members of the Korean people. This confusion of the identity of the returnees corresponds to the open structure of the return narrative which ends without a conclusion. To sum this up, the return narrative is a collective of people"s anguish and despair to re-regulate their identity and their longing for their homeland and ethnic communities.

      • KCI등재후보

        이청준 소설의 영상화 과정의 생성원리로 작용하는 원형적 신화 상상력에 대한 연구 : 영화 <서편제>·<축제>·<밀양>·<천년학>을 대상으로

        표정옥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서강인문논총 Vol.0 No.25

        이 논문은 이청준 작품이 영상화되는 과정에서 신화적 기호작용이 일어나고 있는 것에 착안해 영상을 통한 정전 소설의 새로운 재독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이청준은 다양한 각도에서 재조명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영상화된 그의 작품이 영상 문학의 영역에서 활발하게 거론되고 있다. 특히, 임권택 감독의 <서편제>와 이창동 감독의 <밀양>의 성공은 이청준 원작에 대한 재독의 기회를 부여했다. 영상에 의해 소설 원작이 다시 부활하거나 재조명되는 대표적인 긍정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영상에 의해 정전의 재독이 가능해진 것이다. 영화 <축제>는 원작과 소설이 함께 진행된 작품이고, 영화 <천년학>은 <남도사람3:선학동나그네>를 영상화한 것이다. 이청준의 영상화된 작품에서는 및 가지 기호작용이 공통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을 찾을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그러한 영상화의 생성원리를 신화적 상상력이라는 것에 착안해 작품의 고리를 엮어보고자 한다. 이청준의 작품들은 신화적 상상력으로 읽히기 보다는 지식인의 소설이나 철학적 소설 등으로 읽혀온 것이 그간의 지배적인 흐름이었다. 본고에서는 이청준 작품들 중 원작 <서편제> <축제> <벌레이야기> <선학동 나그네>등이 임권택의 영화 <서편제> <축제> <천년학>으로 재창조 되고, 이창동의 <밀양>으로 재탄생되는 텍스트 내적 원리를 신화적 사유를 통해 풀어가고자 함이다. 가장 큰 담론의 범주를 차지하는 작품은 <선학동 나그네>와 영화 <천년학>에 대한 담론이 될 것이며 그 밖의 작품들은 이청준의 소설 영상화의 원리를 밝히는 보조적인 작품으로 다루어질 것이다. 네 작품 안에 흐르는 영상화의 원리를 신화적으로 밝힘으로써 이청준 소설의 신화적 사유를 읽어가는 새로운 읽기의 방법이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seek for the possibility of rereading cannonized novels through mythical semiosis in the course of visualizing Lee Chung Jun's novels. Particularly, Lee's novel <Seopyonje> is revived by Yim Kwan Taek's movie, novel<Bug's story> is changed into Lee Chang Dong's <Secret Sunshine>, novel <Sunhakdong's passenger> is revived by Yim's movie <Beyond the years>, and novel<Festival> is created with Yim's movie <Festival> with a same time. This article is written to find out the thought of visual principles of signifying the novel. Lee's novels have been read as psychological and intellectual novels rather than mythical novels. The novels reborn with movies have the archetypal mythical imagination. In this article, <Seopyonje> and <Beyond the years> are the main objects. Through this article, we read the mythical imagination within the novels and movies. The first principle of visualizing novels is the character's imagination, which signify the scarcity and Han named desperation and sorrow. Female characters of Lee's novels are the signifier with scarcity and Han(恨) The second principle of visualizing novels is the reversal semiosis and ambivalent visual value systems. The good and evil are shown up as normal aspects rather than abnormal aspects. And also, the good and evil are told with ambivalent values. The third principle of visualizing novels is to describe the archetypal mythical imagination, which expressed the thought about the true life and asked of the spiritual space of life. We can read the mythical thoughts within the novels and movies simultaneously.

      • KCI등재

        키슬러의 공간조형에 대한 연구

        김홍진 한국기초조형학회 2008 기초조형학연구 Vol.9 No.2

        When paintjngs and sculptures are considered as space being, Kiesler found the starting point of a space construction by raising questions if paintings were confined to the restraint of a frame while sculptures to its own form. Here he thought that the conventional restrictions should be destroyed and eventually should be liberated into three dimensional, phisical space. He also suggested an archetypical space as an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objects, between phenomenon and generalization, and between materials and mind. ‘The principle of unity’ means the one that connects the creative consciousness of a man with a daily environment and can be applied to the whole space including surroundings of paintings, sculptures, furniture, architectures and so on. Basically, audiences can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creating works and can appreciate them with the same way as the artists do. In addition, he placed the ultimate purpose of activities related to the scenic design in ‘the ordinaries of an art’, not in the pursuit of commercial profits. If his activities in the field of set design are called ‘the dispersion and the fusion of genres’, the exhibition design can be thought as connected to today's concept of installation.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core of his view, environments that are considered as a synthetic substance in the consecutive relations among objects can be available when ‘the object itself can explained until it is acknowledged as an synthetic environment’. For this, I propose that the object and the environment have the same value, and artistic concept centering on the objects becomes constantly expanded phisical space and cosmic space.

      • KCI등재
      • KCI등재

        원형적 공간 요소로 본 한국주택 평면형식의 통시적 고찰

        전봉희(Jeon Bong-Hee),권용찬(Kwon Yong-Chan)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4 No.7

        In general, the history of the Korean houses in the pre-modern period has been explained without any reference to its transit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style houses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architectural historians give their attentions mainly to the traditional houses and the houses in early modern period at most, letting the modern houses left in the realm of housing studies. It i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modern house in Korea is sharply distinctive, compared with the Korean traditional houses in terms of materials, structure and shape. In this paper, we try to find a way of explaining the transition of the Korean houses from those of the traditional period to those of the modern period as a continuous process, regardless of abrupt changes in their forms and function. For this, we theoriz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ree archetypal spatial elements; Ondol, Maru and Bueok, which have been existing in the Korean houses over the whole period in their history and have given characteristic qualities to the Korean houses.

      • KCI등재

        범주 구성 요소의 전형성 정도 연구*- 접두사 범주를 대상으로-

        이현희 형태론 2006 형태론 Vol.8 No.1

        A category is a conceptual set based on the possession of similar properties or functions and it is well known that a natural category has a prototypical structure. Thus, the prefix, as one of the categories which makes up language, also has a prototypical structure. But whereas some prefixes evince the properties of prototypical prefixes, others are located at the interface between prefix and adjacent categories, such as noun, verb, adverb, and pre-nou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rototypical category of prefix makes it possible to explain diachronic genesis of prefixes from substantial category to prefix category as the movement of language elements from periphery to core of the prototypical prefix category. Moreover, every language category has its own core territory in addition to spaces it shares in common with other categories, and these spaces affect each other much like topological spaces in physics. This supposition opens up the possibility of viewing certain phenomena and/or language elements not as exceptions to standardized criteria but as general features of language usage. Moreover, the degree of typicality of a prefix in prototypical structure is best assessed by identifying relative rankings of prefixes via comparisons among prefixes rather than via quantitative measurement. 범주는 유사한 특성이나 기능을 지닌 일군의 무리를 묶은 개념 집합으로 자연범주가 원형적 구조를 보인다는 것은 매우 잘 알려진 사실이다. 언어를 구성하는 범주 중 하나인 접두사 역시 이러한 원형적 구조를 보이는데, 이는 전형적인 접두사가 있는가 하면 명사나 관형사, 동사나 부사 등 다른 범주와의 경계에 놓여 있는 접두사도 있고, 또 다른 범주에도 중복하여 나타나는 접두사도 있다는 것에 근거한다. 원형적 구조로 상정된 접두사의 내부 구조는 통시적으로 다른 범주에서 접두사로 발달하는 요소들에 대해 원형 구조의 외부에서 중심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설명될 수 있다. 동시에 각각의 언어 범주들은 물리학에서의 위상구조처럼 각자 영역을 가지되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꾸준히 변화한다. 이러한 가정은 다중범주의 특성을 보이는 다양한 언어 요소들을 획일적인 기준들에 대한 예외적 현상이 아니라 언어의 일반적 양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준다. 아울러 원형적 구조를 이루고 있는 접두사들의 전형성은 계량적 수치화를 통해 밝히기 보다는 각 접두사 간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 서열로 드러내는 것이 좀더 효과적이다. 이는 지금까지도 접두사에 대한 정확한 판별 기준이나 일관성 있는 목록의 제시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과 궤를 같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