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민참여예산제의 표준운영모형에 의한 비교연구 - 광주광역시 북구와 강원도 원주시 비교 -

        조주복 한국지방자치학회 2015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7 No.4

        10 years have passed after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was introduced in oder to ensure the soundness of the financial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The evaluation of the operating status are required, but the situation is not even a standard operating model. Moreover, the confusion of trying to amend such regulations even superior operating according to the political composition of governments have been foreseen. This study presents a standard operating model based on the operational model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and compared them based on the operating status of Gwangju Buk-gu and Gangwon Wonju. Operating performance in Gwangju Buk-gu standard model became the fate of the regulations enacted in 100 municipalities nationwide model, it has been the subject of an ongoing benchmarking. In the case of Wonju, Gangwon, on the other hand, participation in this meeting due to lack of interest of the participating members in the form of operating problems may appear poorly.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participation mechanisms, such as 'Regional meetings', "Citizen Participation Budget Committee” collecting the opinions of the people and organizing debates and such as "public-private councils' representatives of the residents and executives to join together to review and confirm people's opinions in order to reflect the residents' opinions converge to the budget, will need to be installed and operated by mandatory through Provincial Finance Act amendment. Second, responsible officials to attend such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on the opinion residents proposed have to explain the focus direction and budgetary requirements in order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consciousness of citizen participation committee and participant officials. Third, we will need to provide a variety of incentives to municipalities governments excellently operated through an assessment of the operation of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n Public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through the substantiality and Settlement of Citizen Participation budgeting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local finances. 지방정부의 재정운영의 건전성 확보를 위해 주민참여예산제도가 도입된 지 10년이 되는 시점에서운영실태의 평가가 요구되고 있지만 표준운영모델에 대한 협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자치단체의 정치구도에 따라 우수한 운영조례 조차 주민들의 참여권한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운영조례 개정을 시도하는 등의 혼란이 예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운영모델을 토대로 표준 운영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광주 북구와 강원 원주의 운영 실태를 비교하였다. 표준 운명모델에 가까운 광주 북구의 운영성과는 전국 100 여개 자치단체의 조례 제정의 모델이 되었고, 지속적인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14년 9월 안전행정부가 전국 244개 자치단체를 대상으로실시한 지방재정 균형집행 중간평가에서 69개 자치구중 ’대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반면에 강원 원주시의 경우 형식적인 운영으로 참여위원들의 관심부족으로 전체 참여예산위원회 위원 70명 중 전체회의에 참석인원은 1차 36명, 2차 33명, 3차 29명으로 참여율이 50% 이하로 매우 저조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토론회 등을 주관할 수있는 ‘지역회의’, ‘주민참여예산위원회’ 등의 참여기구와 집행부의 대표와 주민의 대표가 참여하여 수렴된 주민들의 의견을 예산으로 반영하기 위해 심의.의결하는 ‘민관협의회’와 같은 참여기구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하도록 지방재정법에 명시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예산제도로서 참여자인 공무원들의 관심과 시민참여위원들의 참여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주민들이 제안한 의견들에 대한 토론회나 설명회 등에는 반드시 담당공무원들이 참석하여 예산방향과 중점사항을 설명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내실화와 정착화를 통해 지방재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행정자치부에서자치단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우수하게 운영한 자치단체에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에 따른 일반학교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위한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 모델 개발

        강은영,박윤정,서효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pecial class curriculum operation model for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general school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credit system policy. Method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a total of eight secondary special teachers andsupervisors who had experience about the credit system to review the validity of the model.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a preliminary survey to collect expert opinions on the directionof model construction, first, the core elements to be considered when promoting the high school creditsystem, including career guidance, were included as a propulsion system. Second, regarding the typeof operation, discussions were conducted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name depending on the overallmeaning, the clarifica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 subject support type and cooperative teachingtype, and the possibility of opening open type courses that reflect the demand of students withoutdisabilities. The compositions of the model are an overview of the model, presenting the vision,operation goal, and promotion strategy. Moreover, the operation type is inclusion implementation type(subject support type, cooperative teaching type, open type) and special class independent type(independent type, visiting type, association type). As for the propulsion system, content elementsrelated to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career and study design guidance, classes andevaluation, school culture and operation innovation, and credit system creation were develop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easibility review of this operation model, implications of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pecial class credit system curriculum for students who need specialeducation in general schools were discussed. 연구목적 연구는 고교학점제 정책 도입 및 시행에 따라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위한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 모델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고교학점제 관련 경력 및 운영 경험이 있는 중등 특수교사 및 장학사 총 8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여 운영 모델 구성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모델 구성의 방향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는 예비조사 결과를 토대로 진로지도를 포함한 고교학점제 추진 시 고려해야 하는 핵심 요소를 추진 체계로 포함하였다. 둘째, 운영 유형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의미에 따른 명칭의 적절성, 과목지원형과 협력교수형의 구분 명료화, 개방형의 비장애 학생 수요 반영 과목 개설의 가능성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운영 모델의 구성은 모델에 대한 개관으로 비전, 운영 목표, 추진전략을 제시하고, 운영 유형으로는 통합교육 실행형(과목지원형, 협력교수형, 개방형) 및 특수학급 독립형(단독형, 방문형, 연합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추진 체계로는 교육과정 편성, 운영, 진로 및 학업 설계 지도, 수업 및 평가, 학교 문화 및 운영 혁신, 학점제형 공간 조성 관련 내용 요소로 개발하였다. 결론 이러한 운영 모델의 타당성 검토 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을 지향하는 일반학교에서의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특수학급 학점제 교육과정 편성 운영 방안 마련 등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방과후학교 운영 모형 연구

        신기왕(Shin, Gi-wa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8 방과후학교연구 Vol.5 No.1

        오늘날 방과후학교는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공교육을 보완하는 것에서부터 방과후 특별히 갈 곳 없는 학생들을 위한 돌봄에 이르기 까지 그 사회적 역할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방과후학교는 추진과정에서 제기된 학교의 사회적 역할들이 방과후학교로 흡수되면서 수익성을 목적으로 하는 시장성과 교육의 공공적 목적이 혼재되어 있으며 지역사회의 방과후학교 참여 방식도 강사계약에서 민간기관 위탁이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방과후학교는 운영 모형은 방과후학교 운영을 계획하고 추진하는 기초가 되는 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방과후학교 운영모형은 지난 2006년 정부가 제시한 방과후학교 운영 모델에 기초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시된 방과후학교 운영 모델은 10가지였지만 실제 학교에서는 학교장 운영과 위탁운영이라는 두 형태로 단순화되었다. 방과후학교 운영에 지역사회의 민관기관이 참여하는 수준과 방식이 방과후학교 운영 모델을 결정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방과후학교에서 제시된 쟁점과 속성을 분석한 것을 기초로 방과후학교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운영주체와 관련하여 지역사회 중심인가 아니면 학교중심인가 하는 속성과 공공성과 시장성과 관련된 속성을 축으로 하여 학교구성원 중심 모형, 학교중심 외부 위탁형 모형, 공익형 평생교육 모형, 민간형 평생교육 모형의 4개 방과후학교 운영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모형별로 외부기관, 강사, 프로그램, 재정운영과 같은 방과후학교 운영요소가 어떤 방식으로 방과후학교 운영에 적용될 수 있는 지를 제시하였다. 방과후학교 운영 모형은 방과후학교의 계획과 운영의 기초가 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방과후학교 운영의 토대가 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방과후학교 모형 연구에 작은 단초가 된다는 의미를 지닌다. After-schools have evolved to incorporate out-of-school education activities into public schools as part of the educational policy to address inequality in education and alleviate private education expenses. In the process, after-schools are run in various manners that take on a mixed character of publicness of education and marketability of private education through the involvement of public schools, for-profit, and non-profit community organiza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 and elements after-school policy and proposes models for after-school programs. The study proposes four models to characterize after-schools based on publicness, marketability, public school, and communities and operational methods for each model. The model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sis to operate after-school program according to loc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지역여건에 따른 농산어촌 통학차량 운영모델 개발

        심현(Sim, Hyun),이병환(Lee ByungHwa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3

        본 연구는 농산어촌 통학차량 운영실태 조사, 통학차량 운영관계자의 인식도 조사 및 FGI 를 종합하여 농산어촌 통학차량 운영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교육격차 해소의 한 요소인 통 학차량 운영에 대한 기존 연구가 행정적·형식적 수준에 그치고 있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러 한 문제해결을 위한 실증적 연구를 추진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통학운영 현황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통학차량 운영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인식도 조사와 FGI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통학차량 운영과 관련된 다섯 가지의 가치원리에 기초하여 설계한 통학차량 제안 모형은 ‘효율성-형평성-안전 성 모형’,‘효율성-편의성-안전성 모형’, ‘형평성-편의성-안전성 모형’의 3가지가 도출되었다. 또 한 FGI 분석을 통해서 지역 여건을 반영한 통학차량 서비스 운영모델로 산악농촌형, 도서(섬) 지역형, 원거리농촌형의 3가지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농산어촌 통학차량 운영모델은 기존의 이론적 연구에서 탈피한 실증적 연구모델로서 경제적 효율성과 통학차량 운영관계자의 현실을 반영하여 현장에서 실질적인 활용이 가능한 실용적인 모델이라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 integrated model for vehicle operating, which has been derived from the result of survey on the school bus operation and awareness investigation of operations managers for students in Rural Community and FGI. This research concentrates on making an empirical study on problem-solving in stead of administrative task and mere formality survey which, in general, has been previously conducted.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introduce the actual survey method, by means of grasping the current condition of school bus operation. In addition, FGI and the perception level survey was conducted, with regard to operation managers for students in Rural Community.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in this study; We suggest three integrated models for vehicle operating which have been designed on the basis of five value principles introduced to this study. These are a model of efficiency-equity-safety, the model of equity-convenience-safety and the model of equity-convenience-safety. Additionally, we suggest, through FGI analysis, three models, such as a mountain village type, a fishing village type and a long distance farming village type. A integrated model is not made from the theoretical research but made through an empirical research, which is meant to be a practical model and is able to use immediately in the field.

      • KCI등재

        대학에서의 서비스러닝 운영 모델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조용개,김혜경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xtended integrated service-learning operating model based on service-learning operation that links the course and the community centered on the case of service-learning activity conducted for 3 years in S university. We suggested plans to revitalize service-learning in university. Types are service-learning was operated in the form of credit-linked type and service time-linked type, and these activities and operation process was presented. The model of service-learning operation was presented by preparatory and planning stage, execution and management stage, evaluation and improvement stage. And this is an extended service-learning operating model that can be integrated and applied when developing and operating service-learning as a regular course or a program. Therefore, it can be applied and used stages when it wants to operate service-learning according to education goal of university and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 and course. In addition, plans to revitalize service-learning were proposed centered on practical problems. 본 연구는 S대학교에서 3년간 실시한 서비스러닝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교과목과 지역사회를 연계한 서비스러닝 운영을 기반으로 확장된 통합형 서비스러닝 운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대학에서의 서비스러닝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비스러닝의 유형은 학점연계형과 봉사시수연계형으로 운영되며, 이에 따른 활동 및 운영 과정을 제시하였다. 서비스러닝 운영의 모델은 준비 및 계획 단계, 실행 및 관리 단계, 평가 및 개선 단계별로 제시되었으며, 본 단계별 서비스러닝 운영 모델은 서비스러닝을 정규교과목으로 개발, 운영하거나 주관 부서에서 프로그램으로 개발, 운영하고자 할 때 통합, 적용할 수 있는 확장형 서비스러닝 운영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의 교육목표, 학과 및 교과목의 특성에 따라 서비스러닝을 운영하고자 할 때 단계별로 적용, 활용 가능하다. 이와 함께 서비스러닝 운영을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실질적인 문제점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스마트시티 리빙랩의 운영모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여관현,유선철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22 사회적질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확대되고 있는 스마트시티 조성과 주민참여를 통한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리빙랩의 합리적 운영모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시티 리빙랩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리빙랩 방법론 등을 고찰하여 스마트시티 리빙랩 운영모델 구상(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스마트시티 리빙랩 운영모델은 기본방향 설정, 운영환경 구성, 거버넌스 구축, 콘텐츠개발 및 운영프로세스 구성 등 4단계로 구성하고 단계별 세부적인 운영내용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기본방향 설정에서는 운영 방향 설정, 리빙랩 프로세스 정의. 단계별 운영계획 수립이 필요하며, 운영환경 구성단계는 리빙랩 환경 정의, 예산 운영관리, 사용자 정의, 기술 하부구조 설정 등의 구성이 요청된다. 거버넌스 구축단계는 거버넌스 체계구성, 운영위원회 설치가 중요하며, 콘텐츠개발 및 운영프로세스 구성단계는 다양한 리빙랩 기법을 적용한 스마트시티 리빙랩 콘텐츠 개발과 운영방식 및 리빙랩 기법 등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예술꽃 씨앗학교 신규 운영모델 개발을 위한 전문가 집단심층면접(FGI) 분석 연구

        김은주,임은정,조대현,윤관기,한승모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0 음악교육공학 Vol.0 No.4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direction and conten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upporting project of a new operating model for the Arts-Flower Seeds School, which has been promoted as a representative project for the settlement and activation of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Arts-Flower Seeds School aims to expand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e and art for all students in schools in culturally underprivileged areas and to foster it as a regional base school. So many excellent cases have been discovered and effective operating model has been suggested. However, during the implementation period of more than 10 years,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the project, securing independence and sustainability, and developing a new operating model that reflects the changed school situation and the trend of the times emerged. In this study,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development of a new operating model were explored in consideration of the academic foundation and the actuality of the operation of the Arts-Flower Seeds School. To this end, an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for a group of experts, including scholars, consultants, and teachers with expertise in the Arts-Flower Seeds School project, and their perceptions and opinions on the operation were reviewed. As a result of the study, clarification of project purpose and concept recognition, review of qualifications for support, specialization of roles and functions by operating agents, selec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school situations, preparation of plans to revitalize regional connection, preparation of support for sustainability and independence of the project, etc. It were derived as matters to be reflected in the new operating model of Arts-Flower Seeds School. 본 연구는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대표적인 지원 사업으로 추진되어 온 예술꽃 씨앗학교 신규 운영모델 개발을 위한 방향과 내용을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예술꽃 씨앗학교는 문화예술 소외지역 학교의 전교생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 거점 학교로 육성하고자 하는 목적 아래 우수 사례 발굴과 함께 효과적인 운영모델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10여년의 사업이 진행되는 가운데 사업의 정체성 강화, 자립성과 지속성의 확보, 변화된 학교와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새로운 운영모델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의 학문적 기초와 운영의 현장성을 두루 고려한 신규 운영모델 개발 방향과 주요 내용을 모색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주제 관련 전문성을 갖춘 학자, 컨설턴트, 현장 교사 등으로 이루어진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집단심층면접(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사업 목적과 개념의 명확화, 지원 자격의 검토, 운영 주체별 역할과 기능의 체계화, 학교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 선정, 지역연계의 활성화, 사업의 지속성과 자립화를 위한 지원책 마련 등이 예술꽃 씨앗학교 신규 운영모델에 반영되어야 할 주요 내용으로 도출되었다.

      • KCI등재

        소규모 독립 레스토랑 운영모델의 탐색적 연구

        김광지,전재균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2 산업혁신연구 Vol.38 No.3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 small independent restaurant operation model (SIROM) that can maintain profitability while minimizing damage to small independent restaurant(SIR) operators even in a crisis similar to the COVID-19 pandemic. The SIROM proposed in this study was derived through theoretical review, exploratory research, and research trend analysis on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Each type of SIROM was classified based on seven characteristics: operation type, selection attribute, kitchen type, location, start-up cost, operating cost, and risk management ability.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in the field of SIROM by expanding the focus of previous studies on a stable restaurant environment into a crisis. It is also expected to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SIRs by 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operating model according to the manager's experience level and start-up cost budge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researcher's subjective judgment was used to select key-keyword extraction through topic modeling analysis. Therefore, it needs to find a more efficient topic extraction method in the following studies. 본 연구는 COVID-19 범유행과 유사한 위기 상황에서도 소규모 독립 레스토랑 운영자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수익성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는 소규모 독립 레스토랑 운영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소규모 독립 레스토랑 운영모델은 레스토랑 선택속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탐색적 연구, 그리고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소규모 레스토랑 운영모델 유형별 특성은 운영 유형, 선택속성, 주방 유형, 위치, 창업비용, 운영 비용, 그리고 위기대처능력의 7가지 특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안정적인 시장환경에서의 레스토랑 운영에 관한 선행연구의 초점을 위기 상황으로 확대하여 SIROM을 제안함으로써 SIROM 분야의 연구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이 있다고 판단한다. 한편, 경영자의 경험 정도와 창업비용 예산에 따라 적절한 운영모델을 선택할 수 있도록 운영모델의 유형별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소규모 독립 레스토랑의 경쟁력을 갖추는데 매우 중요한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기대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연구 동향 분석에서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 도출된 키워드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더욱 계량화된 토픽 추출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국내 사회적기업의 제도적 논리와 운영 모델 탐색

        이정원(Lee, JeongWon),김영진(Kim, Young Jin)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5

        정부의 적극적 지원과 함께 지난 10년 간 국내 사회적기업 창업이 빠르게 증가해왔으나, 최근들어 이들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사회적기업 및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 이해가 필요한데, 최근 사회적기업 운영 방식으로 1) 제도적 운영 논리(institutional logic)와 2) 운영 모델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와 관련한 실증적 연구가 충분히 진행되지 못한 상황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회적기업들이 채택하는 운영 논리 및 모델을 규명하고자 세 가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국내 사회적기업들은 어떠한 제도적 논리에 기반하여 조직을 운영하고 있는가? 둘째, 이들은 어떠한 운영 모델을 채택하고 있는가? 셋째, 특정 운영 논리는 특정 운영 모델과 연관되어 있는가? 이에 답하기 위해 국내 사회적기업들의 공식 자료에 대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기업들은 상이한 운영 논리를 채택하여 혼종조직(hybrid organization)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었으며, 특히 상충적인 경제/상업논리와 복지/ 자선논리가 공존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적기업들이 주로 채택하는 모델은 크게 ‘취약층 고용창출모델’과 ‘대중적 문화교육모델’로 유형화 되었으며, 이러한 모델은 각각 경제/상업 및 복지/자선논리와 개혁/혁신논리가 연관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 결과가 사회적기 업 창업 및 지속가능성에 있어 이론적 및 실무적으로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Despite the fast-growing number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there have been doubts recently on thei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rowth. To facilitate the long-term success of social enterprises, understanding how they operate in real world is important. In social enterprises research, there are recent calls for studying two aspects of their operation: 1) institutional logics and 2) operating models. However, empirical evidence on these subjects is rarely investigated. To fill this research gap, we suggest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kinds of instituional logics social enterprises are based on? Second, what types of operating models are adopted? Third, are certain logics related to specific operating model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takes a content analysis approach and analyzed publicly disclosed materials of 219 social enterprises in Korea. Results showed that social enterprises were operating their business based on different logics simultaneously, which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hybrid organizations. In specific, the competing logics of economic/commercial and social welfare/charity coexist in a single organization together. Also, representative operating models of social enterprises were ‘employment for the disadvantaged’ and ‘cultural education for public.’ These models were associated with economic/welfare logics and reform/innovation logics, respectively.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meaning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social enterprises research and practice.

      • KCI등재

        군 원격교육체계를 위한 SOA기반 동영상서비스 플랫폼모델 설계

        김경록(Kyung-Rog Kim),문남미(Nammee Moon) 大韓電子工學會 2011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8 No.5

        국방 분야와 정보기술의 융합 가속화에 따라 군 원격교육체계에서도 혁신적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즉, 네트워크중심 지식정보화로 발전하기 위해 표준, 상호운용성 등을 바탕으로 통합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OA 기반에서 동영상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운영모델과 운영시스템을 도출하여 군 원격교육체계에 대한 통합 혁신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SOA가 지닌 서비스 중심으로 프로세스 단위의 통합과 확장이 용이한 점을 이용하여,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구조를 정의하고, Imprimatur 모델을 바탕으로 서비스 체계를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운영모델에서는 동영상콘텐츠 서비스를 위해 생산모델, 중개모델, 소비모델에 따른 각 단계별 액터들의 역할을 정의하고, 운영시스템에서는, 운영모델을 바탕으로 동영상콘텐츠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기능을 제어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기능과 데이터를 정의한다. According to accelerate the convergence of defense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re is a need for innovative change in Military e-Learning service system. In other words, It has increased the need for system integration based on standards and interoperability to develop into a network-centric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is study, It would like to introduce an integrated direction Military e-Learning service system on the SOA-based video content services in the operating system for the operating model. SOA is taking advantage in integration and expansion of the unit with a process. Using it, define of video services platform architecture and define of business model based on the Imprimatur model. Based on this, it define the role of actors for video content service in each step of the operating model, that is Production model, Brokerage model and consumption model. In the operating system, it define the functions and data to control and handle the needed functionality for video content services based on the operational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