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교육운동과 열린교육운동의 특징 비교 연구

        강일국 한국교육사회학회 2009 교육사회학연구 Vol.19 No.3

        Korean have tried to reform their education system since 1945, when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re were two remarkable education movements that succeeded in reforming the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One was the New Education Movement(N.E.M) from 1945 to 1950s, and the other was the Open Education Movement(O.E.M) from late 1980s to 1990s. Both of them encompassed a similar ideology of child-centered education. Although they appeared in different era, they had similar characteristics of rise and fall. What were the conditions of these movements? What were the meanings of their ideologies? How had these movements developed in the different eras? In these aspects, how were the two movements different? What made these movements dwind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two education movements were supported by the needs of society. Their ideologies came from child-centered education. N.E.M tried to change students' lives in school as well as the method of instruction from a teacher-centered to a child-centered approach. On the other hand, O.E.M focused the goal of their movement on the reformation of the instruction method, which was tailored to the different levels of the students. Both movements tried to reform the curriculum, and make core or united curriculum. These tries succeeded by the endeavor of teachers in schools. Their success spreaded to many schools, and the government made policy to adapt these movements to all schools. Government's hasty policies put a heavy strain on some of the schools that they resulted in unintentional negative effects. The elements of success needed for education movements are leaders, voluntary teachers, and a culture in which they can work freely and cooperatively. Also important is a government policy that is not a “top down” approach, which strains schools heavily, but a “bottom up” approach, in which schools are allowed to reform the education system in its natural environment. 해방 후 우리나라의 교육운동에는 해방 직후의 새교육운동과 1980년대 이후의 열린교육운동이 있다. 두 운동은 권위적 교육을 극복하고 아동을 존중하려는 이념에서 시작되었다. 새교육운동이 아동중심ㆍ생활중심이라는 이념을 수업과 학생생활에 모두 적용하려고 한 반면 열린교육운동은 수업에서 아동을 존중하기 위하여 아동수준에 맞게 개별적인 수업을 하려는 형태로 나타났다. 새교육운동은 학교생활전체에서 아동이 중심이 되어 사회생활을 미리 경험하는 형태로 운영했기 때문에 아동의 자치를 폭넓게 인정한 반면 열린교육은 개별적 수업을 목표로 하여 수업의 효율성을 기했기 때문에, 그 안에서만 아동의 권한을 인정하였다. 두 교육운동의 성공조건은 리더를 중심으로 한 교직문화 형성, 자율적인 학교운영권 확보, 당시 사회의 이상을 반영하는 교육이념의 설정 등이었다. 반면에, 학교에 대한 경직된 통제, 획일적인 국가교육과정령, 학벌주의사회의 입시경쟁 등은 두 운동에 대한 제약조건이 되었다.

      • KCI등재

        민주교육, 참교육 그리고 행복―1980년대-1990년대 초 교육민주화운동과 교육운동극

        박상은 한국극예술학회 2023 한국극예술연구 Vol.- No.80

        이 글은 1980년대 중후반 한국의 교육운동과 맞물려 창작된 극들을 통시적으로 조명함으로써 변혁기의 문화적 형식과 이 시기 떠오른 교육에 대한 질문을 추적하고자 했다. 1980년대 중반 경쟁식 교육환경 속에서 연달아 일어났던 학생들의 자살에 관한 깊은 정서적 동요와 진정한 ‘교육’에 대한 교육 현장의 질문들은 한국 사회의 변혁기와 맞물려 1989년 전교조 결성이라는 굴곡점을 만들어냈다. 연이은 학생들의 자살이 사회 문제화 되었을 때, 1980년대 교육민주화운동은 이를 개별 행위자의 문제로 환원하는 것이 아니라 입시 및 경쟁 위주의 교육 및 압축적 근대화를 겪어 내는 한국 사회구조의 문제로 사유하기 시작했다. 교육민주화운동은 반독재 민주화운동과 연계되었지만, 사회구조의 근본적인 모순과 연계된 근대화 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시작되었다는 점, 교사뿐 아니라 학생과 학부모가 연대하고, 각각이 교육현장의 행위자로서의 개별성을 탐색하는 시간을 생성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사건이었다. 일련의 교육운동극은 근대식 교육 환경에 대해 본격적으로 질문을 던지고자 했던 교육운동의 행위자들의 움직임에 민중문화운동의 조직들이 응하며 떠올랐다. 대학의 안과 밖에서 극·탈춤·노래·풍물 등 문화적 형식을 만들고 수행하던 문화운동 주체들은 교육민주화운동 차원에서 이루어지던 집회에 대한 지원과 떠오른 사회적 의제의 창작화 차원에서 교육문제를 극화하기 시작했다. 창작춤판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1987.12)가 1980년대 중반 활성화되었던 교육민주화운동 집회의 맥락에서, 동명의 영화가(1989) 교육문제의 심각성을 대하는 대중의 자각·청소년 관객층의 관객성·도시 중산층의 문화의 맥락 속가 창작되었다. <선새앰요>(1989), <마지막 수업>(1989), <선생님 힘내세요>(1989)에서는 1987년 6월 항쟁 이후 1989년 전교조 결성에 이르는 변혁운동기, 교육 현실을 바꾸는 주체로서 교사의 행위자성·교육하기라는 노동의 조건에 대한 성찰·실제 교육현장에서 마주하는 주체들의 미숙성이 만들어내는 갈등과 혼란들 그리고 교육 현장이란 무엇을 배우고 가르치는 곳인가에 대한 대안적 성찰과 질문이 구체화 된다. <해직일지>(1992)는 해직 이후의 시간성을 ‘변혁기의 형식’에 머무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 고발극과 심화된 성찰성의 형식으로 담아내고, <김선생님, 지금 뭐하세요>(1995)는 교육개혁의 가능성에 대한 열망이 사그라들고 난 이후, 여전한 학교의 현실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운동 이후 갈라진 삶의 길들 혹은 참교육을 지속한다는 것의 의미를 더 이상 확정하기 어려운 시기의 머뭇거림과 환멸을 담아냈다. 이 시기 교육운동극은 교사들의 집단 행동과 학생운동에서 파생된 반체제 민중운동의 문화적 기호들에 의해 정치적인 것이자 불온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교육운동극에서 제기된 ‘정치적인 것’은, 공교육에서 공유해야 할 교과의 내용과 교육의 방법·학교 밖 직업적이고 문화적인 위계·개인의 역량·놀이와 공부의 본질·좋은 사회와 행복한 삶에 대한 사회적 합의에 있어서의 몫과 의견들의 질문과 조율 과정이라는 한국의 근대화 교육에 대한 질문과 모색에 있었다. This article seeks to trace the cultural forms of the transformative period and the questions about education that emerged during this time by examining the plays produced in response to the education movement in South Korea in the mid-to-late 1980s. In the mid-1980s, a series of student suicides in a competitive educational environment, coupled with deep emotional agitation and questions about what constitutes true "education," coincided with a period of transformation in Korean society, culminating in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in 1989. As we have seen, a series of educational activist theatres emerged in response to the cultural movements of Korea during the Transformation. In the context of the rallying nature of the education democratisation movement and the folk national cultural movement in relation to a series of student suicides, the creative dance version <Happiness is not in Grading Order> (December 1987) was created, and the film of the same name (1989) was created in the context of the public's awareness of the seriousness of educational problems, the audience of the youth audience, and the culture of the urban middle class. In <Sunsae Imyo> (1989), <Last Class> (1989), and <Good Luck Teacher> (1989), the period of transformation from the June 1987 uprising to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Teachers' Union in 1989, the agency of teachers as agents who change the reality of education, reflections on the labour conditions of teaching, conflicts and confusions created by the immaturity of the agents encountered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and alternative reflections and questions about what is the educational field as a place of learning and teaching are embodied. <Dismissal Diary (1992)> captures the temporality of the post-dismissal period in the form of an accusatory drama and in-depth reflection, rather than in the form of a 'transformation period', and <Teacher Kim, What Are You Doing Now (1995)> shows the reality of the school after the aspirations for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reform have faded, while at the same time capturing the hesitation and disillusionment of a time when it is no longer possible to confirm the divergent paths of life after the movement or the meaning of continuing true education. The collective action of the teachers' union movement and the cultural symbols of the dissident folk movement derived from the student movement during this period were judged to be political and disturbing. However, the 'political' that was raised in the various educational movement plays was the questioning and exploration of the modernisation of education in Korea: the content and method of teaching that should be shared in public education, the professional and cultural hierarchy outside of school, individual competence, the nature of play and study, and the process of questioning and reconciling the shares and opinions in the social consensus on a good society and a happy life.

      • KCI등재

        영국 신교육운동에서 신지학(Theosophy)의 교육실천과 그 교육적 시사

        박용석 ( Yong Suk Par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3

        20세기초 신교육운동(New Education movement)은 당시 유럽전역에 걸쳐 매우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던 교육운동이었다. 신교육운동을 주도한 여러 나라들 가운데서도 신교육운동을 촉발시키는데 기여한 선구적 학교들을 탄생시킨 나라는 영국이었으며, 영국은 신교육운동의 도화선 역할을 한 나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영국의 신교육운동 전개과정에서 신지학자들은 새로운 학교운동의 사상적 토대의 일부를 형성했으며 직접 새로운 학교 설립을 주도하였고, 무엇보다도 신교육운동의 국제적 연대를 가능하게 한 신교육협회(New Education Fellowship)의 창설에 결정적 기여를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국 신교육운동에서 신지학자들의 사상적 기반을 이루고 있던 신지학(theosophy)의 인간이해와 교육에 대한 이해의 관점이 무엇인지, 또 신지학자들이 설립의 주도적인 역할을 한 신교육협회는 어떤 과정을 거쳐 단체로 발전되어 어떤 교육적 활동을 전개했는지, 또 그들이 세운 학교들 중 세인트 크리스토퍼 학교의 교육실천 내용이 무엇이었으며 그 실천에서 드러나는 교육적 원리와 의미는 무엇인지, 나아가 신지학의 교육실천이 오늘날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In the early 20th century of the West, the New Education Movement spread wide through the whole Europe. Among the countries that started the movement, it was England who bore the New Schools that ignite the movement of other countries, and thus Engl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at movement. While England were unfolding the movement, theosophiests made a great countribution to the movement, in that they provide a part of theoretical basis to the movement and also they founded new schools, and above all they take a initiative part in establishing the New Education Fellowship which made passible the international alliance of the movement. So this paper intends to explore the views of theosophy on man and education, how the theosophiests set up the New Education Fellowship, and how they put their educational ideas into practice in the St. Christopher school they founded. and at the end, educational implications will be drawn from their practices.

      • KCI등재

        1920년대 진주지역 청년 단체의 교육운동

        송준식(Song Jun si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4 敎育思想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1920년대 진주지역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청년단체가 벌인 교육운동을 조사ㆍ정리하여 그 양태와 성격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1920년대 진주지역에서 형성되어 소멸하였던 된 각 청년단체를 정리하고, 다음으로 이들 단체의 교육운동을 야학이나 강습회를 통한 교육운동, 강연회 및 토론회를 통한 사회교육 운동, 유치원 교육운동 등으로 나누어 살피며, 마지막으로 진주지역 청년 단체의 교육운동의 성격을 고찰하였다. 진주지역 청년단체는 유치원 교육운동, 강연회 및 토론회를 통한 사회교육 운동에는 적극성을 보이지만 당시 다른 지역에서 유행하던 청년단체 중심의 야학운동이나 사립학교의 설립ㆍ운영 등에는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지 않았다. 이것은 진주지역은 3ㆍ1운동을 전후로 경남의 다른 지역에 비하여 다양한 형태의 야학과 강습회 등의 교육운동이 활발히 진행되었고, 사립일신학교 개설문제와 경남도청 이전 문제 등 일련의 시민운동에 청년운동가 개인은 어떤 형태로든지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청년단체가 중심이 된 교육운동은 적극적으로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nature and clarify aspects of the youth organizations' Education Movement which have had effects on Jinju's regional society over time. First of all, this study has been collected and conducted in relation to the youth organization, which had been formed and established in Jinju back in 1920s. Second, this study has categorized the education movement via night school and seminars. The youth movement brought about an educational enlightenment over time due to added lectures and debates. Finally, this study brings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Jinju's youth organizations' and education movements. Youth movements in Jinju had been developed and establish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March 1st Movement (The Manse Demonstrations). These youth movements came into effect due to Japan's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se movements helped to strengthen the Korean national character and encouraged independent thinking free of Japanese control. Even though there were many struggles following the creation of the newly formed youth movements, it has had tremendous positive effects on the regional changes and development in relation to the Jinju area. Jinju's youth organizations, were active in the 1920's, in relation to specific areas of education such as infant education, the enlightenment movement, lectures and debates. They had also established libraries, but were not very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night or private schools at that time due to Jinju having established these schools already in the past. This research and study shows, that compared to other regions in Korea, Jinju had shown some active influence on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movements in Gyeongnam Province. This influence especcially extends to night schools and lectures brought about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due to Jinju creating some of the night schools in Gyeongnam province. Furthermore, this study will show the diversity and influence that Jinju's youth movements have had as a whole on education and how some of the movements' individuals had been involved in civic movements.

      • KCI등재

        만주사변 이전 북간도 학생들의 교육운동

        김해영(Kim, Hai-Yi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8 敎育思想硏究 Vol.22 No.2

        본 논문은 이주초기로부터 만주사변 이전까지 북간도 이주민들의 민족교육구국운동을 배경으로 학생들의 의식구조의 변화과정 및 항일교육운동을 살펴보았다. 만주사변 이전 간도 민족교육구국운동은 서당교육, 근대적 신교육, 3.1운동과 3.13운동 및 중국의 5.4운동을 배경으로 한 조기공산주의교육 등 발전단계를 거쳐 왔다. 이것을 토대로 학생들은 서당교육시기에는 민족의식과 애국심의 고취의 저변에 배일의식이 잠재해 있었음을 알 수 있고 근대적인 신교육이 시작된 후에는 잠재적 배일의식이 표면화되면서 반일사상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는 또 3.1운동과 간도3.13운동 및 중국 5.4운동을 거치면서 조기공산주의사상의 개입과 더불어 항일무장투쟁으로 전개되었다. 이로써 학생들의 항일교육구국운동의 의식변화는 배일의식에서 반일사상으로 확대, 반일사상에서 항일운동으로 전개되었고 그들은 간도민족해방운동을 교육구국운동에서 무장투쟁으로, 민족주의운동에서 조기공산주의운동에로 이끄는 과정에서 선봉중견역할을 담당하였다. This paper looks at changes in youths' consciousness structures and anti-Japanese movement for North Gando settlers in background of national education to save the country from the initial period of immigration to Manchuian Incident. Before Manchuian Incident, National education to save the country had three development phases, the period of school education from 1980s to 1905, the period of modern new education from 1905 to 1919 and the period of early communist education which was background of 3.1 Indecence movement 3.13 movement, and China's 5.4. Students' consciousness structures was based on national education to save the country. During the school education national consciousness patriotism were inspired. Adverse sentiment to Japan was widespread and led to armed insurgency. When the period of Modern new education started caused adverse sentiment to Japan which became anti-Japanese consciousness, and in 1920s anti-Japanese consciousness became armed insurgency in conjunction with early communist education. As sense adverse sentiment moved towards to anti-Japanese movement, students' consciousness to save the county through education did a vanguard role in the consciousness structures of students' anti-Japanese education movement did the vanguard role in the process of education development from to save the country insurgency. Armed Nationalist movement to early communist education movement.

      • KCI등재

        교육운동가를 통해 본 한국의 교육시민운동

        김성천,양정호 한국교육사회학회 2005 교육사회학연구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교육계 내에서 점차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교육시민운동을 분석함으로 써, 앞으로 전개될 바람직한 교육시민운동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 현재 적극적인 활동을 하고 있는 6명의 교육운동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교육 시민운동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교육운동가들은 학생운동이나 시민운동을 한 경험이 있었으며 현재 교육시민단체 활동가들의 교육시민운동에 참여유형 및 교육운동가의 정치참여에 대해서는 다양한 관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교육운동가들은 시민운동을 하면서 보람과 어려움 을 동시에 느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성향의 교육시민단체의 등장으로 인해서 각 교육운 동가의 전문성 확보 및 자기 관리가 점차 중요시 되고 있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 으로 해서 앞으로 교육시민운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way in which educational activists view current civic movement in education in Korea. Using interview data of 6 educational activists in education NGOs(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we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activists and their views on educational civic movement or education NGOs. We find that almost all educational activists have participated in the college student movement or the civic movement. But, they think most of educational activists become a member of education NGOs for different reasons. It is also common for them to feel satisfied as well as frustrated depending on how successful their policies are implemented and internal tensions among activists are resolved. Finally the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professionalism as educational activists and of well managing their career in the educational civic movement.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helping to direct the educational civic move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20세기 초 신교육운동의 국제주의적 성격

        박용석(Yong Suk Park) 한독교육학회 200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8 No.2

        20세기 초반 서구에서 진행된 신교육운동(New Education Movement)은 새로운 학교들의 설립과 새로운 교육의 방법들의 시도가 구미 여러 지역에서 일정한 시기에 거의 동시적으로 진행되면서 교육의 부흥을 추구했던 교육개혁운동이다. 더욱이 이러한 교육개혁운동은 국가간의 경계를 초월한 개혁의 보급을 통해 범 세계적인 교육공동체(global educational community)의 건설을 의도했으며, 이를 실현시키는데 앞장섰던 단체가 신교육협회(New Education Fellowship ; N.E.F.)이다. N.E.F.의 장기간에 걸친 활동으로 인해 다양한 교육의 형식들과 방법들에 대한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였고 개혁의 중요한 부분들이 국가간의 경계를 초월하여 전 유럽, 나아가서 아시아와 남미, 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전파되었다. 본 연구는 구미 신교육운동이 갖는 이러한 국제주의(internationalism)적 성격을 N.E.F.의 활동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N.E.F.의 설립 이전에 유럽의 새학교들에 대한 폭넓은 조사를 통해 ‘새학교’의 국제적 기준을 제시하고 국제적 교류를 촉진시켰던 ‘국제 새학교 사무국(International Bureau of New Schools)’의 활동을 함께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서구의 신교육운동이 갖는 국제적 연대가 오늘날 교육개혁운동에 주는 시사점을 개혁운동이 가지고 있어야 하는 특성의 관점에서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즉 개혁운동의 자발성, 개혁운동의 구심성, 개혁운동의 개방성, 개혁운동의 지속성, 개혁운동의 효과성의 측면에서 서구의 신교육운동은 오늘의 우리 교육개혁운동이 갖추고 있어야 하는 특성을 시사하고 있음을 밝혔다. As an educational revolution, New Education Movement was emerged in the Western Europe of the early 20th century. This movement has searched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in a very active way, establishing new schools and experimenting new educational methods. These educational movements destroy the borders between nations and build global educational community; New Education Fellowship (N.E.F.) leads the educational revolution through fulfilling the educational aim of the movement. The active role of N.E.F has been very important in terms of sharing educational ideas and methods and distributing the significant factors of educational revolution to all nations of Europe, Asia, Latin America and Africa.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nternational characteristics of New Education Movement, which reflects the trend of the Western and American New Education Movement. Further, this article examines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new schools’ and researches the activity of International Bureau of New School, which stimulated international communication between schools. Finally, this article leads to the result: the international bond of New Education Movement influences on the revolution of education in the light of the voluntarism of educational movement, the centrality of educational movement, the openness of educational movement, the continuity of educational movement, and the effects of educational movement.

      • KCI등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 1950년대 커리큘럼개조운동의 재평가

        최정희 ( Jung-hui Choi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3

        한국 교육의 미국의존성은 한국 교육의 병폐를 설명하는 배경으로 자주 언급되어 왔다. 많은 학자들은 한국 사회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이 절대적이었던 미군정시대와 1950년대를 경유하며 한국 교육의 미국의존성이 심화되었다는데 동의하고 있다. 이 논문은 제1차 교육과정 공포 직전인 1950년대 전반에 있었던 커리큘럼개조운동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한국 교육의 미국의존성 논의가 지닌 자학성을 드러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1950년대 전반기의 커리큘럼개조운동은 통상적인 이해와 달리 미국교육이론의 맹목적이고 무비판적인 수용은 아니었으며,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매우 주체적이고 독창적인 교육운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이 운동을 주도하였던 교육자들은 외국이론의 맹목적인 수용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에 유의하여, 당시 미국에서 유행하고 있던 교육과정이론의 단점에 주목하였으며, 우리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미국에서의 교육과정개혁운동과는 차별되는 몇 가지 특성을 갖게 되었다. 1950년대 커리큘럼개조운동은 미국과는 달리 중등이 아닌 초등 중심으로 초등학교 커리큘럼개선 활동으로 추진되었다. 미국이 경험중심 교육과정을 지향하였던 반면에 우리나라 커리큘럼개조운동은 전통적인 교과교육과정과 미국식 경험교육과정의 절충을 시도하였다. 미국 교육에서 강조하던 아동중심교육에서 벗어나 아동중심과 사회적 가치의 실현을 동시에 추구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1955년 제1차 교육과정의 공포는 교사 중심, 지역 중심교육과정 운동의 중단, 교육의 중앙 집중화, 그리고 교육이론과 교육실제의 괴리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Typical characterization of the nature of modern Korean education is that Korea recklessly adopted American educational theory. This study re-evaluated the curriculum reform movement of the 1950s, and found that, contrary to general understanding, the movement was independent of and deviated from American curriculum theories. First, leading teachers in the curriculum reform movement believed that school curriculum sh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conditions of Korean people. They feared that the reckless adoption of western curriculum theories would create discrepancies between the theories and actual educational practices. Thus, focus was given to the shortcomings rather than merits of American educational theories, resulting in a unique reform movement, which was implemented primarily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rather than secondary school teachers, as in the US. Most curriculum proposals developed in Korea differ from US proposals in that knowledge and experience curricula are combined. In this way, the curriculum reform movement of Korea attempted to thoughtfully combine child-centered and society-centered education.

      • KCI등재후보

        건강운동관리사의 운동처방과 운동교육 효과분석

        신창훈,송길섭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1

        이 연구는 건강운동관리사가 제공하는 운동처방과 운동교육을 받은 고혈압·당뇨 환자들의 운동교육 효과를 평 가하여, 운동처방의 필요성 및 교육효과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는 J도 J시에 거주하는 만성질환자를 대상 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 선정은 J도 J시에 거주하면서 근린운동시설을 이용하는 고혈압 또는 당뇨병 질환자들 중 무작 위로 추출하여 참여의사가 있는 대상자 15명을 심층면접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개방형 설문지는 선행연구결과와 질적연구전문가, 건강운동관리사, 체육학박사가 협의하여 작성하였다. 연구자 3인의 회의결과 최종 도출된 반 구조화 된 개방형 질문은 운동교육의 문제점, 운동교육의 효과, 운동교육에 대한 요구 등의 3개영역의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건 강운동관리사에 의한 운동처방과 운동교육 효과에서 운동교육의 의미는 그동안 질환자들이 본인의 질병과 관련되어 넘 쳐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운동을 실천할 동기를 찾지 못하고 있었으나, 운동교육의 효과로 이론과 실습이 병행된 맨투 맨 식 개인 맞춤식 교육을 통해 실천 가능한 운동교육정보를 제공 받았고, 실제로 질환 개선의 효과를 경험하였다. 또한 건강운동관리사가 자신의 생활습관 개선을 위해 상담해주는 것에 대한 효과를 인식하고 건강운동관리사에게 교육받은 내용을 주변인과 적극 공유하는 모습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service Program and Exercise Prescription of the Exercise Prescriber. 15 subjects who completed an exercise program were sele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They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for data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by the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thod. Firstly, the subjects showed a lack of motivation to perform the exercise,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was failed due to the overwhelming or wrong exercise-related information. Secondly, the analysis of experience of exercise service and effectiveness showed the determining factors as follows; i) providing concrete and feasible information for implementing exercise, ii) Personalized counselingstyle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of parallel, iii) the improvement of chronic disease through conducting exercise service, iv) opportunity to communicate the exercise service program with others, v) Improved lifestyle through exercise, and vi) trusting the exercise service program due to the recommendation by exercise prescriber. Lastly, the subjects pointed out the lack of public facilities and equipment to conduct exercise service program. The one to one service which combines concrete information about exercise service program and exercise Prescription was effective for the chronic disease management. It made the patients share the exercise service content with others. Also, they showed high trust of the multi-dimensional management system which was provided by exercise specialist.

      • KCI등재

        한국 환경교육운동의 형성과정과 정체성

        장미정 ( Mee Jeong Jang ),윤순진 ( Sun Jin Yu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0 No.2

        환경교육운동은 환경운동에서 출발하여 환경교육과 결합한 것으로, 이 둘의 양면적, 통합적, 초월적 성격을 가지면서 둘 사이 긴장관계 또한 내포하고 있다. 이 연구는 환경교육운동의 고유한 실재성을 이론적 논의를 통해 확인하고 문헌연구와 구술연구를 통해 환경교육운동이 고유의 정체성을 획득해가는 형성과정을 연대기별로 확인하였으며 환경교육과 환경운동의 관계설정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화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첫째는 교육의 맥락에서 강한 가치지향성을 가지면서 교육과 운동의 통합을 추구하는 유형으로, 이때 환경교육 운동은 환경교육이자 환경운동이다. 둘째는 운동의 맥락에서 환경교육을 환경운동의 효과적인 전략으로 선택하고 집중해가는 유형으로, 이때 환경교육운동은 환경운동의 한 방식이 된다. 마지막으로 환경운동이나 환경교육의 영역에만 머무르지 않고 확장되는 유형으로, 이때 환경교육운동은 삶 자체를 변화시키는 교육운동이다.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began as an environmental movement and combined itself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result, it embraces the ambivalent, integrative and transcendental nature of both fields on one hand, and the tensions that exist between them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aims to uncover the unique identity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through methods of theoretical discussion, literature review and oral history study.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s in Korea first formed their unique identity in 1990s and since 2000 have expanded and diversified their domain. Through this process of change, the identity of the environmental movement has diverged generally into three patterns. Firs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is considered both as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s an environmental movement, and pursues the unification of education and a movement. As suc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enthusiastically pursues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ocial change. Seco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is one means of conducting an environmental movemen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has been chosen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conducting an environmental movement. Finally,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is not limited to the domain of environmental movement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but extends itself to education movements which make changes to life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