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대근운동기술에 미치는 영향과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

        이은경 ( Eun Kyung Lee ),홍양자 ( Yang Ja Hong ),정복자 ( Bok Ja Jo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대근운동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을 분석하여 재활 및 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소재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4~7세의 발달장애유아 20명으로 사용된 측정도구는 이동운동기술 각 6개 하위영역과 물체조작운동기술 각 6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TGMD II(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II)와 3회의 비디오 촬영과 특수체육전문가의 매회 관찰지이다.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은 12개월 간의 사전 연구활동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발달장애유아에게 적합하다고 판정된 것으로 24주 동안 60분씩 24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근운동기술의 사전, 사후 결과를 보기 위해 종속 t-검증(paried t-test)을 실시했고, 발달장애유아의 운동발달단계별 특성분석은 Gallahue와 Ozmun(2002)이 제시한 운동발달단계를 기준으로 3회의 비디오 촬영과 3명의 특수체육전문가가 매회 지속적으로 체크한 관찰지를 통해 발달장애유아의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유아의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 참여가 대근운동기술인 이동운동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이동운동기술의 6개의 하위 요인 모두에서 즉, 달리기(p<.001), 갤롭(p<.001), 홉(p<.001), 립(p<.001), 제자리멀리뛰기(p<.001), 슬라이드(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장애유아의 각 이동운동기술 6개 영역의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들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발달장애유아의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 참여가 대근운동기술인 물체조작 운동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물체조작운동기술의 6개 하위 요인 모두에서 즉, 치기(p<.01), 제자리 튀기기(p<.05), 받기(p<.001), 차기(p<.001), 한 손 공 던지기(p<.001), 한 손 공굴리기(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장애유아의 각 물체조작 운동기술 6개 영역의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들도 관찰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perceptual - 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on gross motor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and provide effective data on the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through analyses on the characteristics by motor development stages. Participants included 20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t the age of 4-7 years, who were attending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instrumentation, 12 items of TGMD II (6 items from each locomotion and object manipulation domain)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tor development stage, video footage (3 times) by 3 special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s and observations records were utilized. The perpe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ies, which was judged to be suitable for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through expert consultation, and preliminary experiments for 12 months were performed 60 minutes, 24 times per week. To see the pre and post results of gross-motor skills, a series of paired t-test was carried out for statistical analyses, and a critical value of α = .05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motor development stages suggested by Gallahue and Ozmun(2002),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tor development stage in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were analyzed through observation records and video footage by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fessionals.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es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in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on gross motor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had a positive effect on locomotive movement skills, a kind of gross motor skill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p<.001).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h 6 sub-factors of locomotive movement skills, as running(p<.001), galloping(p<.001), hopping (p<.001), leaping(p<.001), horizontal Jump (p<.001) and sliding(p<.001).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tor development stage were observed in 6 areas of locomotive movement skill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Second, participation in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on gross motor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had a positive effect on object manipulation motion skills, a kind of gross motor skill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1) statistically.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h 6 sub-factors of object manipulation motion skill as two-hand strike(p<.01), stationary bounce(p<.05), catching(p<.001), kicking(p<.001), overhand throw(p<.001) and underhand roll(p<.001).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motor development stages were observed in 6 areas of object manipulation motion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 KCI등재후보

        심리운동 활동이 발달장애 아동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

        김소라(Kim, So-Ra) 한독심리운동학회 2020 심리운동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심리운동 활동이 발달장애 아동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명의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심리운동 활동을 실시한 후 소근육의 하위항목인 속도와 정확성을 통하여 사전·사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남학생 1명과 여학생 2명으로 단일집단을 대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5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운동 활동이 발달장애 아동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있었다. 특히 소근육의 하위항목인 속도와 정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 아동들이 심리운동 활동을 통하여 충분한 움직임과 다양한 도구를 이용한 집기, 쌓기, 손가락 움직이기 등의 소근육 운동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점을 시사하며 발달장애아동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어려움을 갖는 발달장애 아동에 대한 구체적 적용 방법을 제시한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effective psychomotorik activitie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in the development of speed and accuracy in fine motor skills. The targets of this study are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9 to 10 years old among clients at a center for developmental disability in the city of J. As a research tool, Punktiertest für kinder; PTK, developed by German scholar Schilling in 1974. To find out what effect psychomotorik activity has on the fine motor skills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was designed and studied in the order of pre-test, psychomotorik program application and post-test for a single-subject group of three children with those difficulties. The psychomotorik activity was select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velopment of fine motor skills w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program execution period was conducted from March 2020 to July 2020 once a week, 40 minutes each session, for a total of 15 weeks.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peed scores in the domain of fine motor skills have improved since participating children finished the psychomotorik programs. This shows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the speed capability of fine motor skills from psychomotorik activiti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core in the accuracy area was also increased among the fine motor skills, showing that psychomotorik activit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ccuracy of fine motor skills.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at psychomotorik activities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fine motor skills can improve speed and accuracy abilities, which are sub-factors of fine motor skill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us, it can be said that psychomotorik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fine motor skills.

      • KCI등재

        운동발달 평가도구의 고찰과 현장적용 사례

        한동욱,김민주 대한운동학회 2014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review motor development assessment tools, 2)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ols and 3) provide the application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researchers related motor development and physical education. MABC-2 is used to assess overall motor development including manual dexterity, gross motor skill, and balance. This assessment tool especially is suitable for screening motor delay. TGMD-2 is used to assess twelve gross motor skills and the result from TGMD-2 is applied to plan and evaluat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r physical activity program. In this study, these two assessment tools were reviewed and the application to apply into school setting was reported. [METHOD] The literatures related these tools were reviewed to introduce how to assess motor development with these tools and the application for physical education and research. [RESULT] MABC-2 was used to assess overall levels of motor development including manual dexterity, aiming and catching, and balance and was took about forty minutes per one person. The results from MABC-2 were interpreted that the score below 16% means motor delay sufficient and the score below 5% means motor delay, respectively. TGMD-2 was applied to assess gross motor skills, six locomotor skills and six object manipulation skills, and modified in order to assess the numbers of children in a shorter time slot than a original assessment setting. [CONCLUSION] MABC-2 and TGMD-2 were applied to assess the levels of motor development and to screen and devide participants into research group. Also, these tools can be utilized to provide more detailed information with respect to motor coordination for physical education or research. [목적] 본 연구는 운동발달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평가도구를 비교하고, 평가하고자 하는 대상과 그 목적에 따른 평가도구 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 중 운동발달의 지연여부를 판별하여 연구 대상자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Movement Assessment of Battery for Children-2(MABC-2)와 체육교육 과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12가지의 대근운동기술을 평가하여 운동프로그램의 계획 및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2(TGMD-2)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운동발달 평가도구와 이를 활용한 연구를 고찰하였으며, 국내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제 간 연구와 중재 프로그램을 위한 활용방안을 제언하기 위하여 S 대학교에서 진행하는 운동발달 프로그램과 체육영재센터에서 평가도구들이 활용되는 현장적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결과] MABC-2는 소근운동기술, 대근운동기술, 균형 등의 전반적인 운동발달 수준을 40분 이내에 평가할 수 있으며, 검사 결과가 16% 미만일 경우 운동발달 지연의심, 5%이하일 경우 운동발달 지연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는 향후 운동능력에 따른 연구 대상자를 분류하기 위한 기준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TGMD-2는 6개의 이동운동기술과 6개의 물체조작기술의 발달 수준을 평가할 수 있으며, 중재 프로그램의 계획 및 진단 그리고 개인별 운동기술 수준을 평가할 수 있어 체육 또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활용이 가능하다. 일반 아동과 체육영재 아동 모두에게 사용이 가능한 이 평가도구는 기본운동기술과 스포츠기술이 발달해야 하는 초등학교 시기의 운동발달을 평가하기에 적합하며, 그 사용방법도 다른 평가도구에 비해 간편하여 현장에서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MABC-2와 TGMD-2는 아동의 운동발달 수준을 평가할 뿐 아니라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연구대상자를 선별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으며, 체육교육이나 신체활동 지도 시 보다 구체적인 운동협응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기초운동 기술발달: 생애 신체활동을 위한 개념 모델

        고선숙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2

        As The use of different terminology for different age groups when describing human movement is a demonstration that movement development takes place throughout one's life. The reason wh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motor development that can be carried out throughout life is that motor development in childhood/childhood and adolescence is related to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roughout life until old ag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basic motor development model, which is the existing conceptual model of motor development, is expanded to examine the basic motor development model, which is a motor development model for the whole life. The importance of the basic movement skills stage is because it is the time to create the foundation for a wide range of motor skills throughout the life and to manifest the greatest potential for the next level of motor skills acquisition. Existing studies on motor development were expanded by broadening the classification of motor skills that are important for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which are defined as basic motor skills, recognizing the potential cultural and geographical specificity of motor skills, and embodying properties such as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weight status, and psychological structure that affects lifelong motor development. The core of the motor development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ole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hrough the interactio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the development of movement skills throughout life. Therefore, ongoing discussions on this topic will help advance the application of motor development principles within the field of health education. 인간 움직임을 설명할 때 연령대에 따라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움직임 발달이 전 생애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전 생애에 걸쳐 수행될 수 있는 운동발달의 이해가 중요한 이유는 유/아동기 및 청소년기의 운동발달이 노년기까지 전 생애에 걸쳐 건강 및 삶의 질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운동발달 개념 모델인 기본운동발달 모델을 확장하여 전 생애에 걸친 운동발달 모델인 기초운동발달 모델을 알아보고자 한다. 기본 움직임 기술 단계의 중요성은 전 생애를 통해 광범위한 운동기술 능력을 위한 토대를 생성하고 다음 단계의 운동기술 습득을 위한 가장 큰 잠재력을 발현하기 위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기초운동 기술로 정의되는 신체활동 참여에 중요한 운동기술의 분류 폭을 넓히고, 운동 기술의 잠재적인 문화적, 지리적 특수성을 인식하고, 건강관련 체력, 체중 상태, 생애 움직임 운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구조와 같은 속성을 내재함으로써 기존 운동발달 연구를 확장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운동발달 모델의 핵심은 전 생애 에 걸친 움직임 기술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 요인과 심리적 요인의 상호작용을 통한 신체 및 심리적 요인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주제에 관한 지속적인 논의는 건강 교육 분야 내에서 운동 발달 원리들의 응용을 진전 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8주간 태권체조 운동이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협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정화,최승준 한국초등체육학회 2017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 No.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협응 능력의 수준을 알아보고 태권체조 운동이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협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 아동은 A시에 거주하는 발달장애 아동 중 기본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가 가능하고 학부모의 동의를 받은 발달장애 초등학생 아동 24명으로, 태권체조 참여 집단 8명, 학교체육참여 집단 8명, 통제 집단 8명을 무선할당 하여 3개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공된 태권체조 운동은Gallahue의 운동발달 단계에 따라 활동 주제 및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발달장애 아동의 기본움직임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태권체조 동작을 접목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아동의 안전을 고려하고 실제 참여 시간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수업 환경을 조성하였으며, 장애아동 지도 경험이 2년 이상인 특수체육 전공 박사 과정 1명과체육학과 석사 과정 2명이 90분 수업 기준 매주 2회 8주 동안 지도하였다. 이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협응능력의 수준을 알아보고 운동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기 위하여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를 사용하여 운동협응 능력을 운동 참여 전, 후를 각각 비교 평가하였다. 운동 중재 참여 그룹과 학교체육 참여 그룹, 통제 집단의 차이를 규명하고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 중재 참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이원 분산분석(two-way ANOVA for repeated measures)과 사후검증(contrast test)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발달장애 아동은 비장애 아동에 비하여 운동협응 능력이 현저하게 낮게 측정되었으며, 8주간 태권체조 운동에 참여한아동들의 운동협응 능력은 다른 비교 집단 아동에 비하여 유의미한 향상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협응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태권체조 운동이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협응 능력 개선을 위한운동 프로그램으로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evel of exercise coordin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8 weeks Taekwon gymnastics program on the exercise coordination. Total 24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11~16 yrs) were participa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Taekwon gymnastics(TA, n=8), physical education(PA, n=8), and control group(n=8). All study participant performed their respective activity program for 8 weeks (2 times/week, 90 min/session). The Activity theme and contents of Taekwon gymnastics were chosen considering the exercise development levels of Gallahue.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exercise coordin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a 3X2 repeated measure ANOVA with post-hoccon contrast test (p<0.05) to identify the statistical differences. At the baselin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showed very low ability of exercise coordination compared to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less than 5% of bottom line). After 8 weeks Taekwon gymnastic programs, TK group onl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manual dexterity, balance, and total test score(p<0.05). While TK and PA groups, both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n aiming and catching task. In conclusion, 8 weeks of Taekwon gymnastics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exercise coordination abilit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 KCI등재후보

        K-DST로 선별된 발달지체영유아의 영역별 발달지원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여은혜 한독심리운동학회 2021 심리운동연구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tegrated support for each sub-domain of K-DST(gross motor, fine motor, cognition, language, sociality, self-help) for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screened in K-DST. This study is to develop a psychomotorik practice treatment(PMÜ) based psychomotorik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developmental support for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by area. To this end, based on Kiphard's PMÜ theory, program components were derived centered on the 6 areas of K-DST, and psychomotorik programs were developed by analyzing the development support factors of each area of ​​PMÜ theory,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by selecting 33 subjec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10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 23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33 subjects from the control group (10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 23 inf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al support for each area of developmentally retarded preschool child screened in K-D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are encouraged to develop through sensory and motor training through the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and that preschool child centered developmental support is possible by using the close interrelationship between motor ability and other developmental domains. This suggests that it is meaningful that the PMÜ-based psychomotorik program has a complementary system that is consistent with the K-DST diagnosis. 본 연구의 목표는 K-DST로 선별된 발달지체영유아를 대상으로 K-DST의 각 하위 영역(대근육운동 영역, 소근육운동 영역, 인지 영역, 언어 영역, 사회성 영역, 자조 영역)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심리운동연습처치(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달지체영유아의 영역별 발달지원에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Kiphard의 PMÜ 이론을 토대로 K-DST의 6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PMÜ 이론의 영역별 발달지원 요소를 분석하여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 33명(발달지체영아 10명, 발달지체유아 23명), 통제집단 33명(발달지체영아 10명, 발달지체유아 23명)을 선정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K-DST로 선별된 발달지체영유아의 영역별 발달지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발달지체영유아들이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감각 및 운동 훈련을 통해 발달을 격려하고, 운동능력과 다른 발달영역의 밀접한 상호관계를 사용하여 아동중심적인 발달지원이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하며 PMÜ 기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K-DST 진단과의 정합성으로 상호보완적인 체계를 갖는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and Its Relevance for Infants’ Mental Ability: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Fine Motor Development

        정미라(Mi Ra Chung),이순행(Soon Hang Lee),김종훈(Jong Hoon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영아기의 언어발달을 인지발달 및 소근육운동발달과의 관계에서 종단적으로 살펴보고, 이들 발달영역 간 관련성이 12개월의 영아기 지능(MDI)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114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6개월과 9개월에는 K-ASQ를 통해 영아의 언어, 인지, 소근육운동발달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12개월에는 한국형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 제2판(K-BSID-II)을 통해 영아기 지능(MDI)을 측정하였다. 6개월과 9개월의 측정치들 간의 자기회귀와 교차지연 관련성을 살펴보았고, 이들 측정치로 12개월의 영아기 지능을 예측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통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검증하였다. 결과: 6개월의 언어와 인지발달은 각각 9개월의 언어와 인지발달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며 시간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특성을 보였다. 6개월의 인지발달은 9개월의 소근육운동발달을 매개로 하여 12개월의 영아기 지능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전매개모형을 지지하였다. 6개월의 언어발달은 9개월의 소근육운동발달을 매개로 하여 12개월의 영아기 지능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매개모형을 지지하였다. 또한, 언어발달이 모형에 투입되자 9개월의 인지기술과 12개월의 영아기 지능 간의 관련성은 더 이상 유의미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12개월의 영아기 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기 언어의 역할을 논의하였으며, 특별히 소근육운동의 매개효과에 초점을 두어 체화된 인지 관점에서 언어와 소근육운동발달 간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Objectives: Based on both prior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this paper tested the proposition that fine motor development longitudinally mediates the effect of infants’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on later mental ability. Methods: Three data sets from 6 months to 12 months of 114 infants were analyzed with the cross-lagged panel model. The participants’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were assessed through K-ASQ at 6 months and 9 months, and their mental ability (MDI) was assessed by K-BSID-II at 12 months. Results: The cross-lagged panel model using PATH analysis indicated the development of language and cognitive ability was stable over 6 months. Fine motor development at 9 months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cognitive development at 6 months on MDI at 12 months. Fine motor development at 9 months had a partially mediated effect on language development at 6 months on MDI at 12 months. When language development was included in the predictor of MDI, cognition was no longer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ater MDI, suggesting that langua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gnition-MDI link. Conclusion: Because fine motor developmen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language development on MDI, early intervention efforts should target both language and fine motor development.

      • KCI등재

        뇌성마비아동의 대근육운동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이병희,고주연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8 No.2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동의 장애 특성 및 임상양상, 대근육운동기능 분류체계에 따른 대근육운동발달 특성을 분석하여 적절한 치료지원을 통한 효율적인 특수교육활동 지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서울ᆞ경기지역 종합병원 3곳, 복지관 1곳, 특수학교 2곳의 아동 391명 중 본 연구 목적과 부합한 뇌성마비아동 240명을 대상으로 대근육운동기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주요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뇌성마비아동의 연령대에 따른 대근육운동기능은 3 ~ 4세는 46.21, 5 ~ 7세는 50.95, 8 ~ 10세는55.70, 11 ~ 13세는 62.46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운동발달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은 54.47, 불수의운동형 54.82, 기타 마비유형(실조형, 저긴장증, 혼합형)이 33.68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정 결과 경직형과 불수의운동형 뇌성마비아동이 기타 마비유형보다 운동발달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산아동은 108명(45%), 만석아동은 132명(55%)이었고, 조산아동의 대근육운동기능은 경증 79.88, 중등도 63.82, 중증 39.00로 나타났다. 넷째, 대근육운동기능 분류체계에 따른 대근육운동기능은 Ⅰ단계 82.76점, Ⅱ단계 68.74점, Ⅲ단계 59.85점, Ⅳ단계 48.87점, Ⅴ단계 29.19점으로 나타나 장애가 심할수록 운동발달이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성마비아동은 중추신경계 기능부전으로 정상 운동발달 규칙이나 순서와는 상관없이 비정상적 움직임과 자세 변화가 나타남으로 이들의 운동발달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장애 특성 및 정도에 따라 운동발달의 차이가 현저함으로 정확한 평가 후 각 아동에게 적합한 치료지원 등의 관련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효율적으로 특수교육활동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발달성 협응장애 아동의 국내 중재 연구에 관한 고찰

        이규진,김민주 한국초등체육학회 2019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e current investigation was 1) to search, select and review systematically the intervention research related to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CD) who suffered from poor motor skills and experience difficulty when they participate physical activity 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2) to propose future investigation for providing more effective intervention to children with DCD. We searched forty-one previous research from January, 2000 to July, 2019 from Korean article data base and identified suitable articles, using a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PICO) system. Ten intervention articles were finally chosen for the systematic review. The most intervention research for Korean children with DCD was recruited 7-9 year-ol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research design was randomized controlled trial(level 1). All intervention except only one research adopted 8-week program provided 12-week intervention program. They applied Taekwondo, table tennis, modified golf, ball activity, or fundamental motor skill program to improve their behavior. After the intervention, children with DCD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motor performance, fitness, physical self-concept, fundamental motor skills, or visual perception. We could conclude that Korean children with DCD could develop their motor performance via effective motor intervention program and propose the importance of earl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ho has possibility to experience poor motor coordin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발표된 발달성 협응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운동 중재 연구를 선별하여 이에 관한 연구 내용을 분석하고, 발달성 협응장애 아동을 위한 운동 중재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20년간 (2000년 1월∼2019년 7월)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 41편을 체계적 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 준거에 따라 분류하고 PICO분석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10편의 중재 연구가 선정되었고, 주로 초등학교 저학년인 만 7∼9세의 발달성 협응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비교 연구 형태로 진행되었다. 중재로 사용된 운동은 태권도 수련, 기본 움직임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탁구, 변형된 형태의 골프, 공 운동 프로그램으로 대부분 12주 동안 실시되었으며, 중재에 참여한 발달성협응장애 아동은 운동능력, 체력, 신체적 자기개념, 기본 움직임 기술, 시지각 등의 변인이 유의하게 향상되주요한 종속변인으로 운동능력, 체력, 운동기술 발달 수준, 신체적 자기개념, 시지각 수행 등이 사용되었으며, 중재 프로그램 참여 후에 이러한 변인들은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를 통하여 학교 현장에서는 발달성 협응장애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운동 수행이 떨어지는 아동을 조기에 선별하고, 학교와 현장의 상었다. 국내에서 발달성 협응장애 아동의 중재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12주 간의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발달성협응장애 아동의 운동 수행력은 향상될 수 있으며, 중재의 목표에 따라 중재 프로그램에서 제공할 운동기술의 종류와 수준을 적절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발달성 협응장애 아동의 위한 운동 중재의 시사점과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발달지연 아동 중 뇌성마비 환아에 대한 Capute 및 Bayley 발달검사의 유용성

        임성오,장봉기 대한작업치료학회 200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3

        목적 : 발달지연 아동들에게 Capute와 Bayley 발달검사를 실시하여 뇌성마비 감별에 이들 지수들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이들 검사 중에 뇌성마비를 가장 잘 감별할 수 있는 발달검사 척도를 찾아 뇌성마비 아동을 조기에 진단하고 재활중재와 개입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2년 8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천안시 소재 모대학교 재활의학과에 발달지연으로 내원한 아동 중 검사시 연령이 48개월까지의 아동 250명을 대상으로 Capute 발달검사인 언어지수(CLAMS), 인지적응검사(CAT), 혼합발달지수(CAT/CLAMS)와 Bayley 발달검사인 정신발달지수(MDI), 운동발달지수(PDI), 행동평가척도(BRS)를 검사하였고,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의 차이(MDI-PDI)를 계산하였다. 결과 : 1. 발달지연아 총 250명중에서 뇌성마비군이 86명(34.4%)으로 감별되었고 전반적 발달지연군은 164명(65.6%)이었다.2. 재태기간이 37주 미만군에서 뇌성마비아가 41.7%로 37주 이상군의 26.8%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3. 뇌성마비군과 전반적 발달지연군에서의 Capute 및 Bayley 발달검사의 평균 점수의 차이는 Capute 발달검사인 인지적응검사지수와 혼합발달지수에서는 뇌성마비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각각, p<0.001, p<0.01), Bayley 발달검사 중 운동발달지수와 행동평가척도도 뇌성마비군이 유의하게 낮은 점수였고(각각, p<0.001, p<0.01),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의 차이는 뇌성마비군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0.001).4. Capute 발달검사의 각 지수별 뇌성마비 감별기준 점수로 80미만으로 하였을 때 인지적응검사지수, 혼합발달지수에서 뇌성마비군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분포를 보였다(각각, p<0.001, p<0.01). Bayley 발달검사인 운동발달지수, 행동발달척도,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와의 차이의 감별기준 점수를 각각 85미만, 25미만, 13이상으로 하였을 때 뇌성마비군의 비율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각각, p<0.001, p<0.05, p<0.001).5. Capute 및 Bayley 발달검사의 각 지수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각각, p<0.001).6. 뇌성마비 감별에 영향을 주는 예측 모형을 로지스틱 다중회귀분석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운동발달지수(Odds Ratio; OR=14.559, p<0.001)의 예측력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재태기간(OR=3.080, p<0.001),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의 차이(OR=2.678, p<0.01)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모형의 설명력은 25.1%였다. 결론 : 발달지연 아동 중 뇌성마비아를 조기에 감별할 때에 Bayley 발달검사의 운동발달지수가 가장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발달지수와 운동발달지수의 차이도 고려하는 것이 뇌성마비아 감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cale to screen the Cerebral palsy (CP) out of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And we evaluate the usefulness of Capute Scale and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2nd (BSID-II). Therefore it would be help to diagnosis of CP in early infant and build up the rehabilitation strategy and intervention strategy. Methods : Subjects were 250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visiting university hospital in Cheonan-city, aged under 48 months. The tests were examined from Aug. 2002 to Dec. 2005. We examined the subject Capute Scale composed of Clinical Linguistic and Auditory Milestone Scale (CLAMS), Cognitive Adaptive Test (CAT), Mixed CAT/CLAMS, and BSID-II composed of Mental Development Index (MDI), Psychomotor Development Index (PDI), Behavior Rating Scale (B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MDI and PDI. Results : 1. Eighty-six CP infants (34.4%) were screened and 164 global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GDD) (65.6%) within the 250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2. There were 41.7% CP under the 37 weeks compared 26.8% CP above 37 weeks of gestational age.3. When comparing the average of difference between the CP and the GDD, CP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DD in CAT and CAT/CLAMS. CP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DD in the PDI and BRS in the BSID-II. CP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MDI and PDI.4. When the cut off score is under 80 of the indices of Capute Scale,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 distributed CP in the indices of CAT and CAT/CLAMS (respectively, p<0.001, p<0.01). Under the 85, 25, and above 13 in PDI, BRS, the difference between MDI and PDI of BSID-II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 distributed CP (respectively, p<0.001, p<0.05, p<0.001).5. The indices of Capute Scale and BSID-II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respectively, p<0.001).6. When the predicted model is made by logistic multiple regression, the most effective factor is PDI, the next is gestational age and the difference between MDI and PDI. And the power of explanation of this model is 25%. Conclusion : The most effective scale to screening of CP is PDI of BSID-II in the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And difference between MDI and PDI is considered as useful to screening of CP in the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