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령대별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비교 연구

        이완석,예기훈,An Sun-Joung Leigh,신범주 한국안광학회 2013 한국안광학회지 Vol.18 No.2

        Purpose: When we look at the object, we used the dominant eye mainly. For this reason, a prescription of thedominant eye is an important factor for glasses and contact lenses. This study evaluated visual acuity differences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through analyzing refractive power changes in both eyes by the ages.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fractive error and dominant eyewhich had the superiority in the function of binocular. 186 subjects without ocular disease were examined on thedominant eye. The dominant eye was examined by the Hole-in-the-card test. For the consistency of themeasurements, we tested refractive power in three times by the same person. Results: Using SPSS, therelationship between vision and the dominant eye was analyzed. 135 people of the whole subjects have thedominant eye on right. The Number of the non-dominant eye is 51. We were divided into 3 types, the groupunder the age of 10 that begins to expose environment factor affect on vision (the average age 8.8±1.18) and theage group of 10 to 20 that begins to change refractive power in earnest (the average age 14.1±2.58) and thegroup after the age 20 that began to stabilize vision (the average age 51.8±17.51). The visual acuity of dominanteye was higher than non-dominant eye in all age groups. Nevertheless, thes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significant. Mean astigmatism of dominant eye was smaller than the non-dominant eye, and this is significant,statistically (p=0.017<0.05).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e balanced eye with a lower level of astigmatismhas a more possibility become a dominant eye. 목적: 양안으로 사물을 주시할 때 우세안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안경과 콘택트렌즈 처방 시 우세안의중요성이 크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령대별로 구분하여 양안에 있어서 굴절력의 변화에 따른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시력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186명을 대상으로 Hole-in-the-card test법을 통한 우세안을검사하였다. 검사의 일관성을 위해 동일인이 측정하였으며, 검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3회 반복 실시하였다. Spss 통계를 통해 굴절력에 따른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대상자 186명 중 우안 우세안은 135명, 좌안 우세안은 51명이었다. 굴절이상 환경에 노출되기 시작하는 10세 이전(평균 8.8±1.18세)과 본격적으로 굴절이상이 발생하는 10세에서 20세 사이(평균 14.1±2.58세), 그리고 시력안정화 시기에 접근하는 20세 이후(평균51.8±17.51) 모두 우세안의 시력이 비우세안보다 시력이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근시성 난시에 있어서 우세안의 난시 굴절력 평균값이 비우세안 난시안의 평균값보다 작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나타내었다(p=0.017<0.05). 결론: 양안 중에서 전체적으로 난시도가 작고 균형 잡힌 눈이 우세안으로 선택될 확률이높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우세안의 방향과 강도에 따른 동적 입체시 비교

        심문식,심현석,김영청 한국안광학회 2016 한국안광학회지 Vol.21 No.3

        Purpose: On this study, we compared the relationship of dynamic stereoacuity according to the dominant eye, degree of dominant eye, and dominant agreement eye and hand. Methods: For 130 adults (male 70, female 60), mean age of 21.06±2.21 years old, dominant eye, degree of dominant eye were measured by objective examination by using the diameter 3.8 cm × 3.8 cm thin ring, the dynamic stereoacuity were measured by three-rods test (iNT, Korea). Results: Dynamic stereoacuity according to the dominant eye was center dominant eye without dominance was 14.97±13.80 sec of arc, right eye 22.10±20.01 sec of arc, left eye 22.31±20.39 sec of arc. Dynamic stereoacuity was better when there was no dominance, but the correlation of the dominant eye with dynamic stereoacuity was very low. When Dynamic stereoacuity was separated by in the Center, Mild, Strong, dynamic stereoacuity was 14.97±13.80 sec of arc, 20.76±15.73 sec of arc and 24.45±25.60 sec of arc respectively. The dynamic stereoacuity results were worse when dominance was stonger. However dynamic stereoacuity was better than Center when the degree of dominant eye was rather strong in the dominant left eye. Dynamic stereoacuity according to the dominant eye and hand showed that right eye and hand was 22.63±20.54 sec of arc, left eye and hand was 17.36±10.13 sec of arc, right eye and left hand was 14.79±7.05 sec of arc, left eye and right hand was 22.97±21.42 sec of arc so dynamic stereoacuity was comparatively good when the dominant hand was left. Conculsions: Correlation between the dynamic stereoacuity according to the dominant eye, degree of dominant eye was low, however when degree of dominant eye was Center 14.97 sec of arc, Strong 24.45 sec of arc, the dynamic stereoacuity tended to worse when degree of dominant eye was strong. As a result, dominant eye, degree of dominant eye would have to be considered in a more comfortable binocular balance between prescribed for the wearer in binocular vision correction in binocular function such stereoacuity, sports vision training, presbyopia correction and mono vision. 목적: 본 연구는 우세안의 방향과 우세성의 강도, 우세안과 우세손 방향의 일치와 불일치 시의 동적 입체시를 비교해보았다. 방법: 평균연령 21.06±2.21세인 성인 130명(남자 70명, 여자60명)을 대상으로 3.8 cm × 3.8 cm 직경의가는 링을 이용한 타각적인 방법으로 우세안(dominant eye)의 방향과 강도를 측정하였고, 삼간계(three-rods test, iNT, Korea)를 이용하여 동적 입체시(dynamic stereoacuity)를 측정하였다. 결과: 우세안의 방향에 따른 동적 입체시는 우세성이 없는 중심우세안일 때 14.97±13.80초, 우안 22.10±20.01초, 좌안 22.31±20.39초로 눈의 우세성이 없을때 더 좋았으나 우세안의 방향과 동적 입체시의 상관성은 매우 낮았다. 우세안의 강도를 Center, Mild, Strong로 구분하였을 때 동적 입체시는 각각 14.97±13.80초, 20.76±15.73초, 24.45±25.60초로 우세성이 강할수록 나빠지는 결과를 보였으나 우세안 좌안에서 우세성이 Strong으로 강할 때 오히려 동적 입체시가 중심우세보다도 더 좋게 나타났다. 우세안과 우세손 방향에 따른 동적 입체시는 우안과 오른손일 때 22.63±20.54초, 좌안과 왼손일 때 17.36±10.13 초, 우안과 왼손일 때 14.79±7.05초, 좌안과 오른손일 때 22.97±21.42초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우세손이 오른손보다왼손인 경우가 빈도수는 낮았으나 동적 입체시는 우세손이 왼손일 때 비교적 좋게 나타났다. 결론: 우세안의 방향과 강도에 따른 동적 입체시의 상관성은 낮았으나 눈의 우세성이 없을때 14.97초, Strong 일 때 24.45초로 우세안강도가 강할 때 동적 입체시가 나빠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우세안 방향과 강도는 입체시와 같은 양안시기능과sport vision training, 노안교정과 mono vision과 같은 시력교정 시에 양안균형 면에서 착용자에게 좀 더 편안한 처방을 하는데 고려되어야 요소로 사료된다.

      • KCI우수등재

        성장기 남학생의 비우세손과 우세손의 악력 발달

        류종식(Jong-sikRyu),정현령(Hyun-lyungJeong),강호율(Ho-yulKang)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1

        본 연구는 성장기 남학생의 비우세손과 우세손의 악력 발달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균형적인 신체 발달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피검자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3학년 남학생 82명, 초등학교 6학년 남학생 76명, 중학교 3학년 남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비우세손과 우세손의 악력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우세손과 우세손 모두 각각 발육에 따라 악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우세손과 우세손의 악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세 집단 아동 모두에게서 각각 비우세손과 우세손의 악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단, 왼손잡이의 경우 양 손의 악력에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비우세손과 우세손의 악력 차이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학년에 따른 집단 간 비우세손과 우세손의 악력의 비율 변화를 알아본 결과 초등학교 3학년 남학생의 경우 초등학교 6학년 남학생과 중학교 3학년 남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우세손과 우세손의 악력 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성장기 남학생의 악력은 발육에 따라 비우세손과 우세손 모두 각각 증가하며, 비우세손과 우세손의 악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지만 발육하면서 그 차이는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grip strength development of non-dominant hand and dominant hand on growing male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balanced physical development. To achieve this purpose, both the non-dominant and dominant hand grip strengths were determined in 82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third grade, 76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 and 108 students of middle school third grade, respectively. First, the grip strength increased with the growth of both non-dominant hand and dominant hand, respectivel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ip strength difference between non-dominant and dominant hand of all three groups. However, the grip strength difference between non-dominant and dominant hand on the left-handed students were not observed in all three groups. Third, the relative difference of strength in the third grade elementary student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other two group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observation suggested that the relative grip strength difference between non-dominant and dominant hands was significantly reduced during growing period in male student. In addition, the significant strength difference was not observed in left-handed students in all three groups.

      • KCI등재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동적시력 비교

        심현석,김상현,김영청 한국안광학회 2023 한국안광학회지 Vol.28 No.2

        Purpose: The kinetic visual acuity (KVA) of adults in their 20s was measured in the binocular and monocular ey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to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Methods: The eyes of 117 men and 103 women were fully corrected by subjective and objective refraction. Kinetic visual acuity was measured using a KVA device (KOWA AS-4A). The dominant eye was measured from a distance using the hole in the card test. Results: The binocular KVA of all subjects was 0.45±0.22, whereas the KVA of the right and left eyes was 0.39±0.21 and 0.35±0.20, respectively; the binocular KV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onocular KVA (p<0.001). Men had KVA of 0.48±0.23 in both eyes, 0.41±0.22 in the right eye, and 0.38±0.20 in the left eye, whereas women had 0.42±0.20 in both eyes, 0.35±0.20 in the right eye, and 0.32±0.19 in the left eye. The KVA of the dominant eye was 0.39±0.21 and that of the non-dominant eye was 0.35±0.19,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p=0.040). Among 211 subjects, 123 showed that KVA was better in the dominant eye than in the non-dominant eye. There are 34 cases where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are the same, and 63 cases in which the non-dominant eye was better than the dominant eye. Conclusions: Binocular KVA was better than monocular KVA, and men had better KVA than women. KVA of the dominant ey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dominant eye. In addition, the higher KVA of the dominant eye showed about twice as many distributions as binocular. The binocular KV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ith the higher KVA of the dominant eye. 목적: 20대 성인의 동적시력(kinetic visual acuity: KVA)을 양안과 단안으로 각각 측정하여 우세안과 비우세안으로 분류하여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방법: 남학생 117명, 여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자 ·타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완전교정하였다. 그리고 KVA 측정장치(KOWA AS-4A)를 이용하여 동적시력을 측정하였다. 우세안은 Hole in the card test로 원거리 우세안을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의 양안 KVA는 0.45±0.22이고, 단안은 우안 0.39±0.21, 좌안 0.35±0.20로 양안이 단안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남녀를 비교해 보면, 남자는 양안 0.48±0.23, 우안 0.41±0.22, 좌안 0.38±0.20으로 여자는 양안 0.42±0.20, 우안 0.36±0.20, 좌안 0.32±0.19로 나타났다. 우세안의 KVA는 0.39±0.21, 비우세안은 0.34±0.1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40). 대상자 211명 중 KVA가 우세안이 비우세안 보다 좋은 경우가 123명이고, 동일한 경우가 34명, 비우세안이 좋은 경우가 63명으로 나타났다. 결론: 양안 KVA는 단안 KVA보다 우수하였고, 남자가 여자보다 좋았다. 우세안이 비우세안에 비해 KVA가 유의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양안 중 우세안의 KVA가 높은 쪽이 약 2배 정도 많은 분포를 보인 것을 알 수 있었고, 우세안의 KVA가 높은 그룹의 양안 KVA가 유의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성인의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대비감도

        심현석,심준범,김영청 한국안광학회 2018 한국안광학회지 Vol.23 No.4

        목적: 본 연구는 성인에서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대비감도의 차이와 상관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체 대상자 평균연령 22.96±1.80(21~29)세 99명(남자 51명, 여자 48명)을 대상으로 우세안과 대비감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우세안은 Hole-in-the-card test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대비감도는 Vector Vision을 이용하여 검사거리 2.5 m에서명소시 상태를 유지하고, 공간주파수 3, 6, 12, 18 cpd에서 단안차폐방법으로 단안 측정을 하였다. 결과: 전체대상자의 대비감도는 주파수 3 cpd를 제외하고는 주파수 6, 12, 18 cpd에서 우안보다 좌안이 더 좋았고, 모든 주파수에서 우세안보다 비우세안의 대비감도가 모두 좋았다. 대비감도와의 상관성은 좌안과 우안에서는 주파수 18, 3, 12, 6 cpd 순으로, 우세안과 비우세안에서는 18, 3, 12, 6 cpd 순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전체 대상자는 3 cpd를 제외한 모든 공간주파수에서 대비감도가 좌안과 비우세안에서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우세안을 결정하기 전에 두 눈의 대비감도 측정을 통해 대비감도가 더 우수한 눈을 비우세안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우세안과 대비감도간의 상관성이 다소 높았다. 따라서 양안시기능 균형을 고려한 처방 시 우세안과 대비감도는 함께 고려되어야 할중요한 시기능 요소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contrast sensitivity between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in adults. Methods: A total of 99 adults (51 male and 48 female) with a mean age of 22.96±1.80 years (range, 21–29 years) were recruited. Their ocular dominance and contrast sensitivity were measured using the Hole-in-the-card test and Vector Vision (at spatial frequencies of 3, 6, 12, and 18 cp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ver test was performed for monocular contrast sensitivity measurements. Results: While all subjects had better contrast sensitivity in the left eye (vs. right) at spatial frequencies of 6, 12, and 18 cpd, their dominant eye showed greater contrast sensitivity than the non-dominant eye at all spatial frequencie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contrast sensitivity and right/left eyes as well as dominant/non-dominant eyes (both in order of 18, 3, 12, and 6 cpd). Conclusions: All subjects showed better contrast sensitivity in the left and non-dominant eyes at all spatial frequencies except 3 cpd. By measuring the contrast of the two eyes before deciding on the dominant eye, we can predict the eye with the better contrast sensitivit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ominant eye and contrast sensitivity showed a tendency to be higher. In the prescription of binocular vision balance, dominant eye and contrast sensitivity are important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 KCI등재

        대비도에 따른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시력 비교

        박정은,최현수,박성종,이석주 대한시과학회 2019 대한시과학회지 Vol.21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the visual acuity of dominant eye and non-dominant eye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rast. Methods : The dominant eye of 60 adults (22.4±2.2 years) who had no ophthalmologic disease was determined using the Hole-in-the-card method. The differences between dominant eye and nondominant eye were compared with high contrast visual acuity and low contrast visual acuity. Results : The mean of high-contrast visual acuity (contrast ratio 100%) of the subject was 0.07±0.05 logMAR, 0.11±0.13 logMAR, and the mean of low contrast visual acuity (contrast ratio 10%) was 0.31±0.09 logMAR, and 0.27±0.08 logMAR (p=0.049), respectively. The dominant eye was measured greater than non-dominant eye in high-contrast visual acuity and non-dominant eye was measured greater than dominant eye in low-contrast visual acuity (p=0.003). The visual acuity difference of 0.16±0.23 logMAR when the visual acuity in the same direction is excellently measured in the high contrast chart and the low contrast chart, and the difference in visual acuity of 0.05±0.00 logMAR when the visual acuity in the change direction. Conclusion : The dominant eye greater than non-dominant eye in high contrast visual acuity but low contrast visual acuity can be effected by the difference of binocular visual acuity in high contrast.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nvironment and vision life at the correction.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우세안 검사법 중 하나인 Hole-in-the-card법을 이용하여 우세안을 검출하고 대비도에 따른 우세안 및 비우세안의 시력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 안과적 질환이 없는 20대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Hole-in-the-card법을 시행하였고, 100% 고대비시표와 10% 저대비시표를 이용하여 각 대비도에서의 시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평균 고대비시력(대비도 100%)은 각각 0.07±0.05 logMAR, 0.11±0.13 logMAR이며, 평균 저대비시력(대비도 10%)는 평균 저대비시력의 각각 0.31±0.09 logMAR, 0.27±0.08 logMAR 로 고대비시력은 우세안이 비우세안에 비해 우수하게 측정되었고(p=0.049), 저대비시력은 비우세안이 우세안에 비해 더 우수하게 측정되었다(p=0.003). 고대비시표와 저대비시표에서 같은 방향의 눈의 시력이 우수하게 측정된 경우의 양안의 시력 차는 0.16±0.23 logMAR였고, 고대비시표와 저대비시표에서 우수하게 측정 된 눈의 방향이달라진 경우의 양안의 시력 차는 0.05±0.00 logMAR로 나타났다. 결론 : 우세안은 비우세안에 비해 고대비시력이 우수하게 측정되었지만 고대비에서 양안의 시력 차이는 저대비 시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교정 시 환경 및 시생활의 목적에 따라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검사방법에 따른 우세안의 방향 및 강도의 비교

        심준범,주석희,심현석 한국안광학회 2015 한국안광학회지 Vol.20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자각적, 타각적 방법을 각각 이용하여 우세안, 비우세안을 비교 하였고 그에 따른 우세안의강도를 측정하였다. 방법: 기저질환이 없는 평균연령 21.08세인 성인 129명(남69, 여60)을 대상으로 렌즈미터 접안렌즈를 이용한 자각적인 방법과 손잡이가 달린 3.8 cm×3.8 cm 직경의 가는 링을 이용한 타각적인 방법으로 우세안, 비우세안을 비교 하였고, 또한 림의 이동방향에 따라 우세안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자각적인 방법은 우안 우세안 100명(77.52%), 좌안 우세안 29명(22.48%)으로 나타났다. 타각적인 방법의 우세안은 우안 90명(69.77%), 좌안33명(25.58%), 방향성이 없는 정중앙은 6명(4.65%)으로 나타났다. 자타각적 비교 결과 모두 동측의 방향성(일치)을나타낸 경우는 104명(80.62%), 교차성(불일치)의 경우는 19명(14.73%), 기타 6명(4.65%)로 나타났다. 타각적인 방법에 따른 우세안의 강도는 우안의 경우 전체 90명 중 Middle 52명(57.78%), High 38명(42.22%)으로 나타났고 좌안의 경우 전체 33명 중 Middle 25명(75.76%), High 8명(24.24%)로 나타났다. 결론: 우세안은 검사방법에 따라 방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실행한 O-Ring Test는 우세안의 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고, 우세안의 강도가 약하거나 중간 강도의 우세안을 가진 경우 교차성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와더불어 본 연구를 바탕으로 우세안 방향의 일치성과 불일치성의 관계 및 우세안의 강도에 따른 양안시기능 등 다양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In this study, dominant eye is monitoring and level of dominant was measured in subjective and objective test. Methods: The average age of 21.08 years old of 129 adult (69 male, 60 female) who was no underlying ocular diseas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ominant eye was determined by monocular instrument in subjecttive test and using a thin ring (3.8 cm×3.8 cm) in objective test and level of dominant was measured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hin rim. Results: In the subjective test, there are 100 (77.52%) subjects whose dominant eye was right eye, and 29 (22.48%) subjects whose dominant eye was left eye. In the objective test, 90 (69.77%) subjects had right eye d and 33 (25.58%) subjects had left eye, as dominant eye,and 6 (4.65%) subjects had no dominant eye. Comparison of subjective test and objective test by dominant eye were equal in the 104 (80.62%) subjects, unequal in the 19 (14.73%) and center 6 (4.65%) subjects. The level of dominant eye in objective dominant eye test, there were middle 52 (57.78%) subjects, high 38 (42.22%) subjects in the right eye, and middle 25 (75.76%) subjects, high 8 (24.24%) subjects in the left eye. Conclusions: In this study O - Ring Test hasadvantage of direction and level of dominant eye, and middle or center dominant eye was shown in unequal. From this results, testing of dominant eye should be relationship equal and unequal, also required to be study in dominant eye level in binocular vision.

      • KCI등재

        검사방법에 따른 우세안에 관한 연구

        류인행,전인철 대한시과학회 2022 대한시과학회지 Vol.24 No.2

        Purpose : In this study, three of the various dominant eye test methods such as +2.00D test, circular hole card test and eyepiece approach test were identified, 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dominant eye and other factors, the dominant hand and the corrective refractive power of both eyes was investigated. Methods : Fifty eight adults (36 males and 22 females) age 23.79±5.03 years with no experience of general disease, eye disease and refractive surgery were participated. After full correction, a +2.00 D lens test, a hole in the card test and an eyepiece approach test were performed. Results : The number of those with sensory dominant eye was 38 people on the right and 20 people on the left, sighting dominant eye was is 45 people on the right and 13 people on the left, and eyepiece dominant eye was 46 people on the right and 12 people on the left, showing that the ratio of right eye was high. The number of those with the dominant hand was 56 right-handed and 2 left-handed. Regarding agreement between dominant hand and dominant eye, it was revealed 38 sensory dominant eyes, 45 sighting dominant eyes and 44 eyepiece dominant eyes, showing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greement between the dominant hand and eye(p>0.050).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yes corrected with low refractive errors and the dominant eye(p>0.050). Conclusion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sensory dominant eye and that of the visual dominant eye. Since the dominant eye was measured d differently depending on different measurement methods, it is considered that both a sensory dominant eye test and a visual dominant eye test should be performed for the dominant eye test.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우세안 검사 방법 중 3가지인 +2.00 D 검사, 원형구멍카드 검사, 접안렌즈 접근검사에 따른 우세안을 알아보며, 우세안과 다른 요인인 우세손, 양안의 교정굴절력에 따른 일치성을 알아보고자하였다. 방법 : 전신질환, 안질환, 굴절교정 수술 경험이 없는 평균연령 23.79±5.03세 성인 58명(남 36명, 여 22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완전 교정 상태를 만든 후 +2.00 D 렌즈 검사, 원형 구멍 카드법(hole in the card test), 접안렌즈 접근 검사를 시행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감각 우세안 우안 38명 좌안 20명, 시야 우세안 우안 45명 좌안 13명, 접안렌즈 우세안 우안 46명 좌안 12명으로 우안의 비율이 높았다. 우세손은 오른손 56명 왼손 2명, 우세손과 우세안의 일치는 감각 우세안 38명, 시야 우세안 45명, 접안렌즈 우세안 44명으로 우세안과 우세손의 일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0). 교정굴절력에 따른 우세안에서는 등가구면 굴절력에서 낮은 눈이 우세안인 경우 감각 우세안 18명 시야 우세안 14명 접안렌즈 우세안 16명, 구면 굴절력에서 낮은 눈이 우세안인 경우 감각 우세안 24명 시야 우세안19명 접안렌즈 우세안 19명, 원주 굴절력에서 낮은 눈이 우세안인 경우 감각 우세안 17명, 시야 우세안 21명 접안렌즈 우세안 20명으로 교정굴절력이 낮은 눈과 우세안의 일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0). 결론 : 감각 우세안의 방향과 시야 우세안 방향의 일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우세안은 측정법에 따라 다르게판정될 수 있으므로 우세안 검사는 감각 우세안 검사와 시야 우세안 검사 두 가지 모두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발레 한발착지 시 우세측과 비우세측 다리의 운동역학적 비교 분석

        김성민,김지인 한국체육교육학회 202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8 No.1

        목적: 본 연구는 여자 발레 무용수들을 대상으로 한발착지 시 우세다리와 비우세다리에 대한 운동역학적 변인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발레를 7년 이상 전공한 여학생 16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약 40cm 높이의 박스위에서 지면으로 한발착지를 두 다리로 번갈아가면서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은 지면반력 측정기의 결과값이 최대일때까지로 구간을 설정하였고 엉덩, 무릎, 발목관절의 최대 각도, 각속도, 모멘트, 부하량, 충격량 그리고 최대지면반력을 계산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두 다리 간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α = .05로 설정하였다. 결과: 무릎관절에서 우세다리의 굴곡각도는 비우세다리 보다 크게 나타났고(t = -4.584, p = .000), 굴곡각속도는비우세다리가 빠르게 나타났다(t = 2.724, p = .014). 발목관절의 배측굴곡 각도는 우세다리가 크게 나타났으며(t = 3.484, p = .003), 내번각도는 비우세다리가 크게 나타났다(t = 2.398, p = .028). 배측굴곡의 각속도는 비우세다리가 우세다리 보다 빠르게 나타났다(t = 2.846, p = .011). 무릎관절의 최대 신전모멘트는 비우세다리가 크게 나타났고(t = -3.711, p = .002), 발목관절의 저측굴곡 모멘트는 비우세다리가 크게 나타났다(t = 2.295, p = .034). 결론: 발레 무용수들은 두 다리 간 착지결과가 다르게 나타나 우세다리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할 가능성이크다. 따라서 발레 무용수들에게 두 다리의 수행능력을 유사하게 유지하기 위한 지도자들의 제안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교차언어 연구를 통한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의 수용어휘력 평가

        임동선(Dongsun Yim),윤사라(Sara Yoon),이지연(Jiyeon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이중언어아동의 어휘 평가 시, 일반적으로 단일언어아동을 대상으로 제작된 표준화 검사도구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중언어아동이 사용하는 두 언어 중 한 언어만을 평가한다면, 언어능력을 과소평가하여 언어장애로 과잉 진단할 우려가 있다. 이중언어아동의 연령 증가와 언어경험의 변화를 겪으면서 우세/비우세 언어가 전환될 수 있는데, 두 언어권의 검사도구에 대한 적용이 가능한 상황에서 우세언어에 따라 검사도구 선택에 영향을 주는지, 검사결과를 통해 우세언어를 파악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42명의 만 3-6세 아동들(단일언어 vs. 한국어우세 이중언어 vs. 영어우세 이중언어)을 대상으로 수용어휘력 검사 REVT-R과 PPVT-IV를 실시하여 원점수 및 통합점수를 비교하였다. 통계처리는 공변량 분산분석,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수용어휘력검사에서 한국어만으로 평가한 경우, 한국어우세 이중언어아동집단과 단일언어아동집단의 원점수가 영어우세 이중언어아동집단보다 높았으나 한국어우세 이중언어아동집단과 단일언어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어와 영어로 평가한 경우, 한국어우세 이중언어아동집단과 영어우세 이중언어아동집단의 통합점수는 단일언어아동집단의 원점수와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통합점수 방식은 이중언어아동의 수용어휘력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었으며, 우세언어 및 비우세언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 또한 가능하게 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중언어아동의 수용어휘력 평가를 위해 표준화된 언어평가도구의 적용이 가능하지만 우세언어와 비우세언어를 제시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하며, 우세언어에 따라 두 언어권에 해당되는 검사도구 중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Objectives: Standardized tests are generally used in clinical settings in order to evaluate vocabulary size. However, this method may either overestimate or underestimate bilingual children’s vocabulary skill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standardized tests used with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ho have a different dominant languag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ocial status of a language may influence bilingual chil¬dren’s language outcomes and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composite scoring systems in standardized tests. Methods: Forty-two participants age 3 to 6 formed three groups: Ko¬rean-English bilinguals who speak Korean dominantly (KD-KEB), Korean-English bilinguals who speak English dominantly (ED-KEB), and monolinguals who speak Korean (K-MO).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and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fourth edition (PPVT-IV) were used; raw score and composite scoring systems were com¬pared (within groups). Results: The raw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ho are dominant in Korean and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ho are dominant in English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ho are dominant in Korean and Korean speaking monolingual children. How¬ever, the three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mposite scores of REVT-R and PPVT-IV. Conclusion: Standardized tests can be used to evaluate bilinguals’ receptive vo¬cabulary if composite scoring systems are applied. Thus, standardized test can be used se¬lectively based on dominant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