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용언 활용

        차은혜,황민아,정미란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1

        Purpose :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in syntax development. This study tested how well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an use various conjugated forms of predicates when exposed to predicates. Methods : Ten children from each group, ages 6;0-7;11,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est predicates numbered 20, divided into two categories: 10 familiar and 10 unfamiliar; each category was composed of 5 predicates with rules and 5 predicates with no rules. Total test items numbered 80. The researcher provided a picture describing each predicate, while the researcher read out the base form of the predicate to the children. The children were asked to answer after listening to a question pertaining to predicate conjugating of the picture cards. A three-way mixed ANOVA of group (2)x rule type (2)x familiarity (2) was performed. Results : As a result of a three-way mixed ANOVA, significant main effects were found for group, rule type, and familiarity. In contrast, none were found for interaction effects.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lower performance in overall conjugating task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addition, the children in both groups performed better in familiar rather than unfamiliar predicates and better in predicates with rules than predicates with no rules. They showed a similar pattern in predicate conjugating tasks. Conclusions : It is expected that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ill have difficulties in using different predicate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intervention was discussed. 목적: 경도지적장애아동은 구문 발달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경도지적장애 아동의 용언 활용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도지적장애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의 용언활용 능력을 비교하였다. 방법: 언어연령이 만 6~7세인 경도지적장애아동 10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과제는 용언의 친숙도에 따라 친숙한용언 10개, 비친숙한 용언 10개로 총 20개였다. 친숙도에 따라 구분된 용언은 각각 용언 활용의규칙성에 따라 5개씩 규칙 활용 용언과 불규칙 활용 용언으로 구성하였으며 총 문항은 80문항이었다. 아동은 용언을 나타내는 그림카드를 보면서 용언 활용을 유도하는 질문을 듣고 4개의 목표 어미를포함한 문장을 산출하였다. 자료 분석은 집단(2)×친숙도(2)×규칙유형(2)으로 삼요인 혼합분산분석을실시하였다. 결과: 혼합분산분석 결과, 집단, 친숙도, 규칙유형의 주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집단, 친숙도, 규칙유형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경도지적장애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전반적으로낮은 수행을 보였으며, 친숙한 용언은 비친숙한 용언에 비해 수행점수가 높았으며, 규칙 용언은 불규칙용언에 비해 수행력이 높았다. 경도지적장애아동은 용언 활용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일반 아동과유사한 패턴으로 수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도지적장애아동에 대한 용언 활용 중재에 관하여논의하였다.

      • KCI등재

        ‘조초’의 文法史

        이현희 진단학회 2009 진단학보 Vol.- No.107

        이 글은 근대국어 시기까지 매우 활발하게 나타나던 어형 ‘조초’에 대하여 文法史的으로 고찰하여 그와 관련된 文法史的 事實의 連續性과 斷絶性에 대해 음미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원래 동사 ‘좇-’(隨, 從, 逐)의 활용형이었던 ‘조초’는, 그러한 쓰임새 외에 어휘화한 부사로서의 쓰임새를 12세기 자료에서부터 보이기도 하였고, 문법화한 조사로서의 쓰임새를 15세기 초반 자료에서부터 보이기도 하였던 매우 특이한 어형이었다. 용언 활용형 ‘조초’는 8세기 자료에서부터 16세기 자료에 걸쳐 나타났으나, 문법화한 조사 ‘-조초’는 15세기 자료에 국한하여 나타났고 어휘화한 부사 ‘조초’는 12세기 자료에서부터 19세기 자료에 걸쳐 나타났다. 중세국어의 ‘조초’에 對當하는 어형이 통일신라 시기의 吏讀文에서는 용언 활용형 ‘追于’로 나타났으며, 고려시대 이두문에서는 용언 활용형 ‘追于’와 어휘화한 부사 ‘追乎’로 나타났고, 朝鮮 前期의 이두문에서는 용언 활용형인 ‘追于’, ‘追乎’, ‘隨乎’로 나타났다. 15세기 초기 이두문에 보이는 ‘心遣乎’의 ‘遣乎는 이미 문법화를 경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조사 ‘-조초’가 문법화한 시기는 15세기 직전일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의 석독구결 자료에는 ‘조초’에 對當하는 어형의 예가 비교적 풍부하게 나타났다. 용언 활용형 ‘조초’의 대당형은 ‘隨’와 ‘隨’, ‘自’, ‘卽’, ‘卽’, ‘卽’, ‘則’ 등이 있었다. ‘조초’가 어휘화한 시기는 12세기경인 것으로 추정되는바, 부사 ‘조초’의 대당형은 ‘卽’, ‘卽’, ‘卽’, ‘便’ 등이 있었다. 그 가운데 ‘便’는 용언의 활용형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鄕歌에서는 ‘逐于’와 ‘逐好’가 용언 활용형 ‘조초’에 대당하는 어형이었는데 이곳의 ‘逐’은 “내쫓다”의 의미가 아니라, “따르다”의 의미로 사용된 것이었다. 중세국어 시기의 용언 활용형 ‘조초’ 構成은 ‘NP(-□) 조초 (□-)’와 ‘S-{ㄴ, ㄹ} 조초 (□-)’의 構文構造를 보였고, 문법화한 ‘-조초’는 ‘□□-조초 (□-)’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16세기 국어 자료에서는 어휘화한 부사 ‘조초’가 목격되었다. 용언 활용형 ‘조초’는 점차 소멸되어 17세기 자료에서부터는 극소수의 殘存形만 남기고 용언 활용형 ‘조차’로 대치되어 나타났다. 이와 아울러 중세국어의 ‘□□조초’에 들어 있던, 문법화한 조사 ‘-조초’ 역시 소멸해 버렸다. 그러나 어휘화한 부사 ‘조초’는 19세기의 한글문헌에까지 여전히 나타나고 있었다. 이 부사 또한 현대국어에서는 소멸하여 그 흔적을 전혀 살필 수 없게 되어 버렸다. 부사 ‘조초’ 뒤에 다른 문법형태가 통합한 예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The Production of Inflected Predicates in 4- to 6-Year- Old Korean-Speaking Normal Children

        최은숙(Eun-Sook Choi),최소영(So-Young Choi),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verb conjugations in 4- to 6-year old normal Korean-speaking children using nine declinable words for production tasks. Previous studies have mostly reported the frequency of conjugation production or the appropriateness of meaning.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accuracy of conjugated forms. Methods: Sixty normal children age 4 to 6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subject was presented with nine picture cards representing nine declinable words: ('sada (buy)', 'meokda (eat)', 'bulda (blow up)', 'sseuda (write)', 'jareuda (cut)', 'gupda (broil)', 'deutda (listen to)', 'norata (be yellow)', 'gongbuhada (study)'). After being presented with a card, each subject was asked to conjugate the verb with five endings: ('-nikka (causality)', '-myeon (condition)', '-seo (causality)', '-go (succession)', '-atda (past tense)').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ccuracy of conjugations improved progressively as the children increased in age. The endings '-seo', '-go (succession)', '-atda (past tense)' improved earlier than other endings. The declinable words 'deutda', 'bulda', 'gupda', 'norata' were more difficult to conjugate than other declinable words. The types and counts of errors decreased progressively as age increased.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conjugations with accurate forms stabilizes around the age of 6 in normal Korean children.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를 습득하는 일반 아동들에게서 용언을 활용하는 능력의 발달 양상을 알아보고, 이들에게 나타나는 용언과 어미의 산출 특성을 기존 연구들에서 주로 보고된 사용 빈도나 의미의 적절성 측면이 아닌 활용 형태의 정확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방법: 4-6세의 일반 아동 60명을 대상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활용 정확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을 위해 다양한 활용 형태의 어미와 활용 시 어간과 어미의 형태 변화가 서로 다른 용언을 선정하였고, 이를 그림 자극으로 제시한 뒤 아동의 산출을 유도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용언 활용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미 중 '-서'와 '-ㅆ다'의 경우는 다른 어미에 비해 정확도가 높았으며, 5세와 6세 아동 집단의 차이보다 4세와 5세 아동 집단의 차이가 더욱 크게 나타나 더 이른 나이에 습득되어 산출이 가능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용언의 경우 받침이 있는 불규칙 용언에서 더 많은 활용 오류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대부분 매개모음의 사용 실수와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오류의 수와 유형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모두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아동이 4-6세에 걸쳐 문법형태소의 활용과 관련된 체계를 지속적으로 훈련하며, 2-3낱말 단계부터 출현한 어미의 활용은 6세 무렵 형태상의 정확도 측면에서 안정화됨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 예비 초등교사의 불규칙 활용 인식 연구 - 공주교육대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

        김혜영(Kim, Hye-Young)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敎育論叢 Vol.5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불규칙 용언의 활용 양상과 그 인식을 고찰하는 것이다. 용언 어간에 어미가 결합할 때 대부분의 용언들은 규칙 활용을 하지만 일부 용언들은 어간이나 어미의 형태가 변하는 불규칙 활용을 한다. 그런데 실제 언중의 언어 사용을 보면 불규칙 활용의 양상이 국어 어문 규정에서 정한 표준형과는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본고에서는 공주교대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불규칙 활용의 사용 양상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불규칙 활용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10가지 불규칙 활용 유형에 대해 실제 학생들이 사용하는 활용형들을 조사한 결과, 용언의 기본형과 활용에 대한 이해 자체가 부족하였고, 표준형 외에 변이형들이 많이 나타났다. 변이형의 사용은 불규칙 유형별, 용언별로 차이가 있었다. 변이형은 불규칙형이 쓰여야 할 자리에 규칙형이 쓰이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는데, 불규칙 활용 환경에서 규칙형의 사용이 가장 두드러진 것은 ㄹ 불규칙(ㄹ 탈락)이었다. ㅎ 불규칙은 변이형의 유형이 매우 다양하였다. ㅜ 불규칙과 ㅂ 불규칙에서는 불규칙형을 기본형으로 재구조화한 규칙 활용도 나타났다. 이러한 변이형 사용의 기제는 유추, 재구조화, 의미 변별, 유사 단어와의 혼동, 방언의 영향, 발음의 경제성 또는 종성의 약화 등 그 원리가 다양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jugation patterns of irregular verbs and their perception of irregular conjugation in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en endings are combined with stems, most verbs conjugate regularly, but some verbs use irregularities that change the shape of the stem or ending. However, in actual language use, the pattern of irregular conjugation is different from the standard type set in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In this paper, we surveyed the use of irregular conjugation and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irregular conjugation for first grade students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onjugation patterns used by the students for the 10 irregular conjugation types, there was a lack of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base forms of stems and conjugation, and Many non-standard variants appeared. And The use of variants differed by irregular type and verb. In general, regular forms were used where irregular forms should be used, such a feature was most prominent in the ‘ㄹ’ irregular conjugation. The‘ㅎ’ irregular conjugation had a wide variety of variants. In some verbs in ‘ㅜ’ irregular conjugation and ‘ㅂ’ irregular conjugation, irregular conjugation forms were restructured into basic forms, and the new stems conjugated regularly. The mechanism of use of these variants was found to be diverse, including analogy, restructuring, semantic discrimination, confusion with similar words, the influence of dialects, and the economics of pronunciation or the weakening of final consonant.

      • KCI등재

        용언(用言) 활용(活用)의 불완전성(不完全性)에 대한 소고(小考)

        윤예진(尹藝珍) ( Yoon Ye-ji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4

        이 글에서는 기존에 ‘不完全 用言, 不備用言, 不具用言’으로 연구되어 온 용언 활용의 不完全性에 대하여 살펴본다. 일반언어학에서 不完全 용언은 불가능한 活用形의 존재로 정의된 것에 반해, 한국어학에서 불완전 용언은 극소수의 활용형만을 가지는 것으로. 좁게 정의되어 왔는다. 그러나 이러한 협의의 단절적인 정의는 중간적인 存在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定義上의 문제와 더불어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難點을 가진다. 여기에서는 활용의 불완전성을 程度性 개념으로 파악하고, 한국어학의 불완전 용언은 그 첨단에 해당한 것이라 보고 이를 바탕으로 불완전성을 야기하는 요인을 고찰하였다. 이때 대상 자료는 말뭉치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불완전성은 준말과 같이 형성 과정의 形態·音韻論的 制約에 말미암아 형성되기도 하며, 構文化, 文法化, 死語化 등의 변화에 의해 심화되기도 한다는 것을 밝혔다. 그 과정에서 활용의 불완전성은 예외적인 현상이 아니며 通時的 변화에 수반되는 당연한 현상일 수 있음을 밝혔다.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defectiveness of Korean verb conjugation. Previous studies have only concentrated on “possible form.” However, in this paper, we argueboth “possible form” and “impossible form” areimportant to explain the phenomenon. In general linguistics, defectiveness is defined as the gap of an inflectional paradigm, whereas in Korean linguistics, defective verb is narrowly defined as the verb thathas only few forms (between 1 and 3). However, these disconnected definitions of defectiveness are limited as they do not explain its formation, nor can intermediate cases(verbs that ha Therefore, we define defectiveness as a gradual concept. Usingthis definition, we examine the causes of formation intensification of defectiveness. Consequently, it was revealed that defectiveness is formed by the morphological/phonological constraints of the (word) formation, such as abbreviations. Additionally, it has been intensified by historical changes such as constructionalization, grammaticalization, and decreased usage (loss/ of word). In the analysis, we found that defectiveness is not an abnormal phenomenon, but may be a natural phenomenon accompanied by diachronic changes.

      • KCI등재후보

        활용 양용 용언 연구- 말뭉치 용례를 중심으로-

        남길임 형태론 2004 형태론 Vol.6 No.2

        This study analyzes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verbs that conjugate two ways through a statistical morpho-syntactic analysis of a Korean corpus. By "dual-conjugation Korean verbs" is meant verbs that conjugate both as processive verbs and as descriptive verbs ("adjective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hoice of one type of conjugation or the other by speakers reflects the speakers' linguistic consciousness, this study has used a corpus in order to examine authentic forms in actual use, and moreover, uses a corpus that reflects speech forms from fiction rather than from normatized texts or textbooks (Yonsei Corpus 3). Moreover, this article attempts to reveal the reasons why Korean native speakers choose two different conjugation forms. On the basis of an analysis of examples from the corpus, the article attempts to reveal 1) how speaker's choice of conjugation type is related to speakers' linguistic intuitions and 2) the relationship between conjugation type and semantic features. The article concludes that selection of verb conjugation type is related to verbal aspect as well as the speaker/subject's subjective and objective assessment of the event.(Yonsei University). 이 연구는 특히 형태적 측면에서 동사와 형용사 모두로 활용하는 부류를 임시적으로 ‘활용 양용 용언’이라고 하고, 말뭉치 용례의 계량적 분석과 형태·통사적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용언들의 특이한 활용 양상을 분석하고 분류하여 양용 활용의 원인을 파악한 것이다. 개별 용언의 ‘활용’ 형태의 선택은 그 어휘를 사용하는 화자의 언어 의식을 반영한다는 기본 전제 하에, 이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실제 언어 사용 양상을 그대로 담은 말뭉치, 그 중에서도 교과서나 규범적인 텍스트가 아닌 소설 말뭉치로 삼았다. 말뭉치의 용례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이 연구는 활용 현상이 동사의 어떤 의미적 특성과 어떤 관련을 가지고 있는지, 화자의 언어 직관이 활용 형태 선택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양용 용언류의 활용형 선택은 화자가 용언의 의미 그 중에서도 용언의 상적인 의미를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가와 관련을 가지며, 부가적으로 화자 및 주어의 사건에 대한 주, 객관적 판단이 관련이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계열 관계에 기반한 용언 활용 기술과 규칙성

        이찬영 형태론 2018 형태론 Vol.20 No.1

        지금까지 용언 활용의 규칙성은 주로 어간과 어미의 결합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체 양상의 규칙성을 뜻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하지만 구체적인 활용형과 패러 다임을 중심으로 한 계열 관계 측면의 기술에서는 활용 부류 및 활용형에 대한 화· 청자의 ‘예측 가능성’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용언 활용에 있어서 규칙성은 본질적으로 정도성(程度性)을 내재하는데, 개체 및 집합에 대한 예측 가능성및 불확정성을 측정하는 지표인 ‘엔트로피’(entropy)를 활용하여 현대 한국어 활용 부류에 대한 예측 엔트로피를 산출하면 규칙성이 그 정도에 따라 이루는 연속체를 확인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하여 패러다임 간 유추에 의한 재구조화로 다루어져 온 몇몇 현상들에 대해 ‘더 낮은 엔트로피를 가지는 활용 부류로의 변화’, 즉 ‘더 규칙적인 활용 체계를 지향하는 방향으로의 변화’라는 경향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Regularity of verb conjugation has been treated as regularity of alternation in the combining process between stem and ending. In terms of paradigmatic relations, however, it can be understood as ‘predictiveness’ of the speaker and the hearer about the conjugation class and the conjugated form. Concept of regularity has a matter of degree in nature. When ‘entropy’ which is an index that measures the predictiveness and uncertainty of entities and sets is used to calculate predictiveness for contemporary Korean conjugation class, the continuum of the degree of regularity can be confirm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several paradigm change phenomena which have been treated as restructuring by analogy cross the paradigms and confirm that there is a tendency of ‘changes to a conjugation class with lower entropy’, that is, ‘changes toward a more regular conjugation system’.

      • KCI등재

        한국어 용언 활용 규칙의 교재 기술 방안 연구

        백경미 영주어문학회 2019 영주어문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rregular conjugational form errors use patterns of Chinese learners and to learn how verbs conjugat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difficult task for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o spontaneous speech data for 100 Chines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hinese learners' irregular errors were found to be ‘여' irregular conjugational form, but it was not presented as a separate item in the Korean grammar textbook. And there were many limitations in the explanation. In this study complements the problems of existing Korean textbooks. An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that provide practical help to learners a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의 자유 발화에 나타난 용언 활용 오류 양상을 살펴보고 학습자의 특성에 보다 부합하는 용언 활용 규칙의 기술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국인 유학생 100명의 자유 발화 전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이 보인 용언 활용 오류 가운데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여’ 불규칙 활용이며 매개모음 삽입 오류, ‘ㄹ’ 말음 활용 오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어 문법 교재에는 ‘여’ 불규칙 활용과 매개모음 삽입 양상에 대해서는 별도의 항목으로 제시하지 않거나, ‘ㄹ’ 말음 용언 활용 규칙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기술이 일정하지 않은 등 한계점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한국어 문법 교재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학습자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 방안 사례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현대국어 ‘르-말음(末音)’ 용언(用言)의 형태사(形態史)

        장윤희 ( Jang Yoon Hee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0 No.2

        현대국어의 ‘르-末音’ 用言에는 音韻變化에 의한 것과 語幹 再分析에 의해 再構造化한 것들이 있다. 어간 재구조화를 경험한 용언 대부분은, 有聲 喉頭摩擦音 //의 소멸 및 국어에서 보편적이지 않은 음절의 보편적 음절로의 실현 현상, 그리고 활용형에 대한 語幹 再分析 과정을 포함한 ‘X오/X우->X르-’의 語幹 再構造化를 경험한 것이다. 특히 ‘머므르-, 어우르-’ 등과 같이 기존에 ‘ㄹ-末音’ 用言에서 재구조화한 것으로 알려진 ‘르-말음’ 용언들은 대부분 이러한 어간 재구조화를 통해 형성된 것이다. 현대국어의 ‘르-말음’ 용언들은 대부분 ‘르’ 不規則活用을 보이는데 이는 이전의 ‘르’ 불규칙활용형이 이어진 것은 물론, //의 소멸로 인한 형태소 경계에서의 ‘ㄹㅇ>ㄹㄹ’의 변화, ‘X오/X우->X르-’의 語幹 再構造化 등을 경험한 것들이 포함된다. 또한 ‘러’ 不規則活用은 물론 規則活用을 보이는 경우도 발견된다. The verbs that have stem-final ‘ri’(‘ri-final verbs’) of the Modern Korean are the results of both phonological changes and restructuring due to reanalysis of verb-stem. Most of ‘ri-final verb-stems’ that had undergone verb-stem restructuring are the results of ‘Xo/Xu->Xri-’ restructuring that contains the disappearance of /h/(voiced laryngeal fricative), the phenomenon of getting syllabic universality, and reanalysis of the verb-stem. Especially, most of the ‘ri-final verbs’ that are known to have undergone ‘Xl->Xri-' restructuring such as ‘m□miri-(留), □uri-(竝)’, are in fact the results of this restructuring. Most of the ‘ri-final verbs’ in Modern Korean show ‘ri-irregular conjugation’. Among these verbs, some are descendents of the verbs showing the same conjugation of the past, others are the result of the ‘lh>lr’ change in the morpheme boundary, and the others are the result of ‘Xo/Xu->Xri-’ restructuring in verb-stem. In addition, a few ‘ri-final verbs’ of the Modern Korean show ‘r□- irregular or regular conjugation’.

      • KCI등재후보

        현대 국어 ‘않다’의 활용 형태와 통사 범주

        최호철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4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7 No.-

        This study discusses the discrepancies in the explanation that ‘anhda(않다)’ conjugates regularly under any circumstances and the views that describe function of ‘anhda(않다)’ when ‘-ji(지)’ construction is not proceeded. When the preceding ‘-ji(지)’ construction appears, the restructured ‘anhda(않다)’ is permitted, but when it does not appear, ‘anhada(안하다)’ instead of ‘anhda(않다)’ is employed as conjugation root, and separately alloted a semi conjugation form ‘anta(안타)’ which accords with current coding regulation. ‘anihada(아니하다)’ comprise of ‘ani(아니)’, which does not have predicative syntactic meaning, and ‘hada(하다)’, which adds predicative feature but there is no elements of activity and stativity so ‘anihada(아니하다)’ is neither verb nor adjective and it could not be a predicate which ranked above both of the verb and adjective. Therefore ‘anihada(아니하다)’ could be categorized as an auxiliary predicate. To conclude, an auxiliary predicate ‘anihada(아니하다)’ appears regardless of the preceding ‘-ji(지)’ construction. An auxiliary predicate ‘anhada(안하다)’ only appears when the ‘-ji(지)’ construction is not preceded, but an auxiliary predicate ‘anhda(않다)’ only appears when there is the preceding ‘-ji(지)’ construction and these distributions are complementary. Even when the predicative particle ‘hada(하다)’ is omitted, the rest part of the construction is remained to be linked with main verb, and auxiliary predicate ‘anhada(안하다)’ shrink its conjugation form to ‘anta(안타)’, which differentiates from ‘anhda(않다)’. 이 논문은 ‘않다’가 모든 경우에 규칙적인 활용 형태를 유지한다고 설명한 점과 앞에 ‘-지’형의 구절이 없을 경우에 드러나는 ‘않다’의 기능에 대한 견해의 불일치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앞에 ‘-지’형의 구절이 있을 경우에는 재구조화된 ‘않다’를 인정하되, 앞에 ‘-지’형의 구절이 없을 경우에는 재구조화된 ‘않다’ 대신 ‘안하다’를 활용의 근간으로 삼고 ‘안하다’의 준 활용 형태를 별도로 설정하였으며, ‘안하다’의 준 활용 형태에 대한 표기를 현행 표기 규정에 맞게 ‘안타’로 수정하였다. ‘아니하다’는 서술성의 통사적 의미가 없는 ‘아니’에 서술성을 추가하는 ‘하다’가 결합하여 이루어졌으나 거기에는 동작성이나 상태성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는 요소가 없기 때문에 ‘아니하다’ 자체의 통사 범주는 동사도 형용사도 아니고 이들의 상위 범주인 본용언도 아니며 오직 보조용언으로만 존재할 뿐이다. 결과적으로 보조용언 ‘아니하다’는 앞에 ‘-지’형 구절이 없을 경우에도 실현되고 앞에 ‘-지’형 구절이 있을 경우에도 실현되지만, 보조용언 ‘안하다’는 앞에 ‘-지’형 구절이 없을 경우에만 실현되고, 보조용언 ‘않다’는 앞에 ‘-지’형 구절이 있을 경우에만 실현됨으로써 이들은 상보적 분포를 보인다. 그리고 본용언의 ‘하다’가 생략되더라도 남은 부분의 범주는 그대로 본용언을 이어 받으며, 보조용언 ‘안하다’는 ‘않다’와 구분되는 ‘안타’로 그 활용 형태가 줄어들기도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