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종시대 편찬물 체재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삼강행실도』 ⋅『명황계감』⋅『용비어천가』⋅『월인석보』의 체재를 중심으로 –

        김승우 한국한문고전학회 2018 漢文古典硏究 Vol.37 No.1

        본고에서는 『삼강행실도』⋅『명황계감』⋅『용비어천가』⋅『월인석보』가 지닌 체재상의 특징을 개관하고, 편찬물들 상호간의 상관성 내지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삼강행실도』는 그림과 해설로 짜인 구성의 선례를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다. 백성들에게 삼강의 덕목을 홍포할 목적으로 제작했기 때문에 그림을 통해 내용을 인상 깊게 전달한 후 관련 사적을 한문으로 풀이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왕실 후손을 경계하기 위해 지은 『명황계감』에서는 그 같은 『삼강행실도』의 체재가 준용되었으며, 문건 제작에 수양대군이 깊이 관여하였다. 세종은 백성 들에게 소용되는 삼강행실도와 왕실 후손들을 위한 명황계감의 쌍을 상정 하여 상호 동일한 체재를 갖추고자 의도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창업의 위업을 공식화하기 위해 제작한 『용비어천가』는 노랫말만 존재하던 단계에서는 『삼강행실도』 및 『명황계감』과 별반 관련을 지니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세종은 이내 노랫말 각 장에 일일이 해설을 달아 풀이하도록 지시한다. 이러한 개편 체재는 『삼강행실도』⋅『명황계감』에서 그림이 차지하던 위치에 노랫말이 대신 들어간 형상이다. 한편, 소헌왕후를 추천할 목적으로 편찬한 석 보상절은 명황계감과 마찬가지로 왕실 내부의 문제에 관계되는 문건인 만큼 그 제작에도 역시 수양대군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내용상으로도 명황계감과 석보상절은 각각 당 현종과 석가모니라는 단일 인물의 행적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친연성이 있다. 『용비어천가』는 상기의 편찬물들을 확대하거나 새로운 편찬물의 제작을 추 동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세종은 이미 편찬이 완료된 명황계감의 내용을 바탕으로 168장에 달하는 장편의 노랫말을 지어 내었는데 각 장이 대우로 짜여 있다거나 감계를 영탄으로 드러내었다는 설명으로 미루어 용비어천가 한문 가사의 형식을 활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유사한 작업은 석보상절에 대 해서도 이루어진다. 세종은 석보상절을 받아 보고서 그 내용에 의거하여 곧 583장 규모의 『월인천강지곡』을 지었으며 이때에는 『용비어천가』 국문가사의 형식을 활용하였다. 이들 노랫말은 세종대까지는 별도로 존재하였다가 세조대 에 들어 노랫말이 원 전적과 합편된다. 이때의 합편은 용비어천가의 체재를 재현하는 양상으로 귀결되어, 『삼강행실도』⋅『명황계감』⋅『용비어천가』⋅『월인석보』의 체재가 기본적으로 동일해지는 결과로 이어졌다. 한편, 세조는 『삼강행실도』나 『용비어천가』에는 관심을 두지 않은 반면 명 황계감을 개편하고 『월인석보』를 제작하는 데에는 진력하는데, 이는 자신이 처음부터 두 문건의 편찬에 관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교롭게도 이들 두 문건을 바탕으로 세종이 직접 노랫말을 지어 내었기 때문이다. 자신의 작업과 부왕 의 작업을 한데 합침으로써 세종의 유지가 자신에게로 이어진다는 뜻을 공고하 게 드러내기 위한 의도가 간취된다. 아울러 세조는 합편한 전적을 온전히 국문 화하려는 가외의 시도도 하였다. 이는,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의 사례에 서처럼 국문으로써도 만족할 만한 문건을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의 발로이면 서, 국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의도를 현창하려는 의지가 개입된 결과로도 해석된다. Yongbieocheonga, which was produced to Justify the establishment of Joseon dynasty, did not have any relation with Samganghaengsildo or Myeonghwanggyegam in the beginning when only its lyrics existed. However, King Sejong promptly instructed Choe Hang to give a commentary on each verse of the lyrics. Through this reorganization, in the place where the pictures occupied in Samganghaengsildo and Myeonghwanggyegam, lyrics were substituted in Yongbieocheonga. Seokbosangjeol(釋譜詳節), compiled to commemorate Queen Soheon(昭憲王后), is a document related to the internal problem of the royal family as well as Myeonghwanggyegam, so Prince Suyang also played an active role in its composition. In context, Myeonghwanggyegam and Seokbosangjeol are also similar to each other in that they deal with a single character: Emperor Xuanzong of Tang and Shakyamuni. Yongbieocheonga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above-mentioned compilations to be increased or new ones to be produced. Based on the contents of Myeonghwanggyegam, King Sejong composed 168-verse lyrics, using the form of the lyrics in Chinese characters of Yongbieocheonga. Similarly, based on the contents of Seokbosangjeol, he also composed 583-verse lyrics named Wolincheongangjigok, using the form of the lyrics in Korean vernacular of Yongbieocheonga. These lyrics, which had existed separately until the reign of King Sejong, were integrated into the original texts in the reign of King Sejo. Such reorganizations resulted in a pattern of reproducing the style of Yongbieocheonga, leading to the result that the formats of Yongbieocheonga, Myeonghwanggyegam and Wolinseokbo are basically the same. King Sejo intended to reveal the meaning of his father King Sejong’s continuity to himself by combining his work with that of his father’s. Besides, King Sejo made extra efforts to translate all the combined works into Korean vernacular as well. He was confident that satisfactory documents could be made in Korean vernacular as in the case of Seokbosangjeol and Wolincheongangjigok. It is also understood that he actively used Korean vernacular to praise King Sejong’s intention to newly create the Hunminjeongeum(訓民正音).

      • KCI등재후보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와 조선 건국의 정당화

        최연식(Choi Yeon Sik),이승규(Lee Seung Kyoo)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1

        조선의 건국은 마상의 건국이었다는 점에서 정당성이 취약한 건국이었다. 따라서 조선 건국의 주체들은 역성혁명이 예견된 역사의 숙명이었음을 알릴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점에서 ‘하늘을 나는 용들의 노래’ (Songs of the Dragons Flying to Heaven), 즉 용비어천가의 탄생은 처음부터 정치적인 것이었다. 조선의 건국이 천명에 의해 예견된 것임을 강조하는 용비어천가의 서사구조는 간결하고 명쾌하다. 그러나 용비어천가는 용들의 노래인 동시에 백성의 노래가 되어야 했고, 영웅들의 신화인 동시에 역사의 교훈이 되어야 했다. 이것이 용비어천가에 내재된 긴장의 원천이었다. 용비어천가의 편찬자들은 이 문제를 두 가지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했다. 하나는 역사를 신화화하는 방식이었고, 다른 하나는 신화를 역사화하는 방식 이었다. 내용적으로는 본가 부분이 전자에 해당되고 계왕훈 부분이 후자에 해당된다. 용비어천가의 편찬자들은 역사 기록의 공백을 신화로 보충했고, 그 결과 본가에 등장하는 6명의 건국 주역들은 용으로 승천했다. 동시에 용비어천가의 편찬자들에 맡겨진 또 다른 과제는 과거의 신화를 미래의 역사에 합리적으로 전해주는 것이었다. 계왕훈은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유자들의 역사의식의 산물이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유자들은 제왕들에게 유교적 원칙을 요구했고, 유자들의 왕권에 대한 교정을 정당화하고자 했다. 이 점에서 용비어천가는 조선 건국에 내재된 정치권력과 지식권력의 충돌을 단적으로 보여 주는 작품이다. The legitimacy of Joeseon was very fragile from the beginning on the point that it was founded on the horse back by the general Yi Seonggye. The leading actors of the foundation of Joeseon, therefore, have to explore some new ways to inform that the revolution was the destiny foreseen by history. On these points, the creation of the Songs of Flying Dragons was a political piece when it was first conceived by the compilers. The structure of the Songs of Flying Dragons that the mandate of heaven prognosticate the foundation of Joseon was simple and lucid. However, the Songs of Flying Dragons should be songs of the people as well as songs of dragons, and instruction of history as well as myths of heroes. This is the origins of conflicts and tensions that were immanent in the Songs of Flying Dragons. The compilers of the Songs of Flying Dragons sought to solve these conflicts and tensions in two ways. One is to mythify the histories and the other one is to historify the myths. They supplemented the blanks of histories by myths and the six leading actors of the Joseon foundation had ascended to the heaven as a result. Simultaneously the other task of compilers of the Songs of Dragons was to rationally transmit the myths of the past to the future generation. The latter part of the Songs of Flying Dragons on the instructions to future kings was the products of historical consciousness to accomplish this purpose. In these processes, however, the Confucian scholars wanted to force kings to obey the Confucian discipline, legitimize the rectification of kingship by them. On these regards, the Songs of Flying Dragons is the political piece that shows the conflicts and tensions between political power and scholarly power embedded in the process of Josoen foundation.

      • KCI등재

        『용비어천가約本』에 대한 연구

        김승우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3 No.-

        The Summary Text of Yongbieocheon-ga revised in Pungpaegwan(龍飛御天歌豊沛館改撰約本, 約本) was published by Han Jun-gyeom(韓浚謙), Governor in Hamgyeong Province in the era when the 15th King Gwanghaegun(光海君) reigned. The Summary Text was published because of the following three reasons: ①Because, Han Jun-gyeom could experience how the founders of the country lived their lives, during he stayed in Hamheung(咸興) ②Because, he was interested in Yongbieocheon-ga including stories of Hamgyeong Province, as part of a bid to improve practices in his area. and ③Because, the republication of Yongbieocheon-ga was made in the royal palace during King Gwanghaegun reigned. The Summary Text takes on the two characteristics. This text was firstly published based on historical recordings about the four late kings(四祖), and in a even broader sense, this text came to be published to the effect of ringing an alarm and wake-up call to the subsequent kings. Firstly, allowing that the Summary Text was published in order to highlight Hamgyeong Province, the birthplace of the Joseon Dynasty, it can be cited that all the traces that the late kings went through in the province were recorded in the text. Also, given that Jurchens(女眞) began to expand their territory in northen part of Joseon, at that time, Han Jun-gyeom might probably have to be very careful so that public sentiments could be undisturbed, and in this regard, he was expected to assert local officials and ordinary people on how important the recording of late kings and the status of Hamgyeong Province are.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Summary Text is also correlated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t that time. Han Jun-gyeom might perceive that the humiliation from Japanese Invasion(壬辰倭亂), resulted from the fact that succeeding kings failed to abide by advice from Chapters of "Mu-mang(毋忘)" meaning "Don't forget" in Yongbieocheon-ga that "Succeeding kings must nor forget about a series of ordeals that late kings underwent." At that time when Jurchens were on the eve of intrusion, the possibility is great that such advice might impress Han, too much. Thus, it is deemed that Han would be impressed by the contents in Chapters of "Mu-mang" so as to add a majority of meanings of "ringing an alarm and wake-up call", in the Summary Text. 그동안 『용비어천가』에 대한 연구는 대개 校書館에서 간행된 궁중 판본만을 위주로 진행되었던 탓에, 작품이 실제 향유 · 수용되는 양상에 대해서는 뚜렷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위와 같은 견지에서 『龍飛御天歌豊沛館改撰約本』(『約本』)은 매우 독특한 위상을 지니는 판본이다. 광해군대 함경감사였던 韓浚謙(1557∼1627)에 의해 제작된 『약본』에는 총125개장의 원작 가운데 단26개장만이 선별되어 수록되었을 뿐 아니라 방대한 양의 주석과 할주 역시 각章당 한두 문장 정도로만 간략히 초략 · 언해되었다. 『약본』이 간행된 배경으로는, ①한준겸이 왕조의 발상지인 함흥에 머물면서 국조들의 자취와 지역적 분위기를 몸소 체험할 수 있었던 점과 ②그가 관내의 풍속을 개량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함경도 지역의 사적이 개재된 『용비어천가』에 관심을 갖게 되었던 점, ③광해군 연간에 『용비어천가』의 重刊이 추진됨으로써 『약본』을 제작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한편, 『약본』의 초략양상과 내용을 검토하면, 크게 두 가지 두드러진 특성이 나타난다. 인물의 배정에 있어서 四祖의 사적을 중심으로 초략이 이루어졌다는 점과 내용상의 특성에 있어서 후대 임금을 향한 規戒之義의 비중이 대폭 확대되었다는 점이 그것이다. 첫 번째 특성과 관련해서는, 『약본』이 왕조 창업의 경과 자체보다는 함경도가 왕조의 발상지라는 주제쪽에 강조점을 두어 제작되었으므로, 이 지역에서 주로 활동했던 사조의 행적이 전면에 등장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당시 북방에서는 여진이 급속하게 세력을 확대해 가던 시점이었던 만큼, 함경감사의 소임을 맡은 한준겸으로서는 관내의 민심이 이반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념해야 했으며, 그 같은 필요성에서 관민들에게 사조와 함경도의 위상을 강조했던 것이라 추정된다. 두 번째 특성 역시 시대적 정황과 연관지어 해석할 필요가 있다. 즉, 한준겸에게 있어서 왜란의 치욕은, 선왕대의 간난신고를 잊지 말라고 당부했던 『용비어천가』 毋忘章들의 권고사항이 후대 임금들 사이에서 올바로 지켜지지 않아 발생했던 것으로 인식되었을 여지가 있다. 더구나 여진이 발흥함에 따라 또 다른 전란의 위협을 느껴야 했던 당시로서는 이 같은 권고가 더욱 현실감 있게 다가왔을 개연성이 크다. 따라서 후대 임금들은 선왕들의 고난을 잊지 말고 끊임없이 근신해야 한다는 무망장의 뜻에 한준겸이 깊이 공감하여 위와 같이 규계지의가 대폭 확대된 형태로 『약본』을 제작했으리라 여겨진다. 결국 『약본』은, 『용비어천가』가 특정한 지역적 기반과 시대적 목적에 따라 변개되어 유포 · 향유되기도 하였다는 양상을 실증하는 문건이면서 원작에 대한 사대부 관료적 해석의 단면을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특히 이러한 향유양상은 궁중에서 이루어진 <鳳來儀> 정재의 형태와 뚜렷이 대비된다는 점에서 『약본』의 자료적 가치는 더욱 중요하게 부각된다.

      • KCI등재후보

        용비어천가 판본에 대하여

        조규태 배달말학회 2002 배달말 Vol.31 No.-

        용비어천가는 세종 29년(1447)에 초간 초쇄본이 출간되어 널리 배포되었으나 지금은 권1,2 1책만 전한다. 그 뒤 16세기 경에 초간본을 찍은 목판으로 다시 책을 인출하였는데, 이 초간 후쇄본은 불에 타 가장자리가 보이지 않는 부분도 있고, 자획과 방점의 마멸, 노랫말 장 차례의 임의적인 변개가 있기는 하나, 10권 5책이 온전히 전하여, 용비어천가 애초의 모습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그 뒤 용비어천가는 초간본의 판식을 따른 여러 중간본을 간행하였는데, 제1차 중간본은 광해군 4년(1612)에 초간본을 판하로 복각한 것이고, 제2차 중간본은 효종 10년(1659)에 새로운 판하를 써서 중간한 것이며, 제3차 중간본은 영조 41년(1765)에 제2차 중간본의 책판 중에서 훼손된 것만을 보각하여 간행한 것이다. 용비어천가 각 판본에 해당하는 여러 책들은 규장각 도서관에 주로 보관되어 있으나,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계명대학교 도서관에도 일부 판본들이 보관되어 있다. 이 밖에도 초간본의 판식과는 전혀 다른 두 종류의 용비어천가가 있는데, 그 하나는 세종실록에 실려 있는, 용비어천가 한시의 일부와 국문가사로 흔히 실록본이라 부르는 것이고, 또 하나는 용비어천가 한시의 일부와 이 한시를 새로이 번역한 국문 가사가 실려 있는 '龍飛御天歌 뇽비어텬가'라는 제목을 가진 것으로 '용비어천가 약본'이라 부르는 것이다.

      • KCI등재

        『용비어천가약본(約本)』에 대한 연구

        김승우 ( Seung U Kim )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3 No.-

        그동안 『용비어천가』에 대한 연구는 대개 校書館에서 간행된 궁중 판본만을 위주로 진행되었던 탓에, 작품이 실제 향유·수용되는 양상에 대해서는 뚜렷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위와 같은 견지에서 『龍飛御天歌豊沛館改撰約本』(『約本』)은 매우 독특한 위상을 지니는 판본이다. 광해군대 함경감사였던 韓浚謙(1557∼1627)에 의해 제작된 『약본』에는 총125개장의 원작 가운데 단26개장만이 선별되어 수록되었을 뿐 아니라 방대한 양의 주석과 할주 역시 각章당 한두 문장 정도로만 간략히 초략·언해되었다. 『약본』이 간행된 배경으로는, ①한준겸이 왕조의 발상지인 함흥에 머물면서 국조들의 자취와 지역적 분위기를 몸소 체험할 수 있었던 점과 ②그가 관내의 풍속을 개량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함경도 지역의 사적이 개재된 『용비어천가』에 관심을 갖게 되었던 점, ③광해군 연간에 『용비어천가』의 重刊이 추진됨으로써 『약본』을 제작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한편, 『약본』의 초략양상과 내용을 검토하면, 크게 두 가지 두드러진 특성이 나타난다. 인물의 배정에 있어서 四祖의 사적을 중심으로 초략이 이루어졌다는 점과 내용상의 특성에 있어서 후대 임금을 향한 規戒之義의 비중이 대폭 확대되었다는 점이 그것이다. 첫 번째 특성과 관련해서는, 『약본』이 왕조 창업의 경과 자체보다는 함경도가 왕조의 발상지라는 주제쪽에 강조점을 두어 제작되었으므로, 이 지역에서 주로 활동했던 사조의 행적이 전면에 등장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당시 북방에서는 여진이 급속하게 세력을 확대해 가던 시점이었던 만큼, 함경감사의 소임을 맡은 한준겸으로서는 관내의 민심이 이반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념해야 했으며, 그 같은 필요성에서 관민들에게 사조와 함경도의 위상을 강조했던 것이라 추정된다. 두 번째 특성 역시 시대적 정황과 연관지어 해석할 필요가 있다. 즉, 한준겸에게 있어서 왜란의 치욕은, 선왕대의 간난신고를 잊지 말라고 당부했던 『용비어천가』 毋忘章들의 권고사항이 후대 임금들 사이에서 올바로 지켜지지 않아 발생했던 것으로 인식되었을 여지가 있다. 더구나 여진이 발흥함에 따라 또 다른 전란의 위협을 느껴야 했던 당시로서는 이 같은 권고가 더욱 현실감 있게 다가왔을 개연성이 크다. 따라서 후대 임금들은 선왕들의 고난을 잊지 말고 끊임없이 근신해야 한다는 무망장의 뜻에 한준겸이 깊이 공감하여 위와 같이 규계지의가 대폭 확대된 형태로 『약본』을 제작했으리라 여겨진다. 결국 『약본』은, 『용비어천가』가 특정한 지역적 기반과 시대적 목적에 따라 변개되어 유포·향유되기도 하였다는 양상을 실증하는 문건이면서 원작에 대한 사대부 관료적 해석의 단면을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특히 이러한 향유양상은 궁중에서 이루어진 <鳳來儀> 정재의 형태와 뚜렷이 대비된다는 점에서 『약본』의 자료적 가치는 더욱 중요하게 부각된다. The Summary Text of Yongbieocheon-ga revised in Pungpaegwan(龍飛御天歌豊沛館改撰約本, 約本) was published by Han Jun-gyeom(韓浚謙), Governor in Hamgyeong Province in the era when the 15th King Gwanghaegun(光海君) reigned. The Summary Text was published because of the following three reasons: ①Because, Han Jun-gyeom could experience how the founders of the country lived their lives, during he stayed in Hamheung(咸興) ②Because, he was interested in Yongbieocheon-ga including stories of Hamgyeong Province, as part of a bid to improve practices in his area. and ③Because, the republication of Yongbieocheon-ga was made in the royal palace during King Gwanghaegun reigned. The Summary Text takes on the two characteristics. This text was firstly published based on historical recordings about the four late kings(四祖), and in a even broader sense, this text came to be published to the effect of ringing an alarm and wake-up call to the subsequent kings. Firstly, allowing that the Summary Text was published in order to highlight Hamgyeong Province, the birthplace of the Joseon Dynasty, it can be cited that all the traces that the late kings went through in the province were recorded in the text. Also, given that Jurchens(女眞) began to expand their territory in northen part of Joseon, at that time, Han Jun-gyeom might probably have to be very careful so that public sentiments could be undisturbed, and in this regard, he was expected to assert local officials and ordinary people on how important the recording of late kings and the status of Hamgyeong Province are.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Summary Text is also correlated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t that time. Han Jun-gyeom might perceive that the humiliation from Japanese Invasion(壬辰倭亂), resulted from the fact that succeeding kings failed to abide by advice from Chapters of Mu-mang(毋忘) meaning Don`t forget in Yongbieocheon-ga that Succeeding kings must nor forget about a series of ordeals that late kings underwent. At that time when Jurchens were on the eve of intrusion, the possibility is great that such advice might impress Han, too much. Thus, it is deemed that Han would be impressed by the contents in Chapters of Mu-mang so as to add a majority of meanings of ringing an alarm and wake-up call, in the Summary Text.

      • 필사본 용비어천가의 고찰 : 한글가사를 중심으로

        김문웅 경산대학교 경산문화연구소 2000 경산문화연구 Vol.4 No.1

        18세기 후반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는 필사본 용비어천가는 이상에서 보듯이 표기 질서가 정연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시대적인 차이가 상당히 나는 자료를 그것도 여러 명의 필사자들이 전사해서 완성한 필사본에 그 정도의 혼기(混記)는 예상되었던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중에는 현실 언어의 간섭으로 인한 변개도 있고, 필사자 개인의 의도적인 교정도 있을 수 있으며. 착오나 실수에 의한 오기도 있어 필사본을 이용할 때는 이들을 구별할 줄 아는 국어사적인 안목과 판단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이들의 유형에 대한 대체적인 검토를 통해 필사본 용비어천가의 한글 가사가 어떻게 표기되어 있는가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용비어천가로서는 경산 조곡서원 소장의 필사본이 현재 유일한 것이어서 우리에게 귀중한 자료이면서도 쉽게 볼 수 없음이 제약으로 남아 있었는데, 이번 영인으로 그 문제가 해결 될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용비어천가 국문 가사와 한시의 성립 순서에 대하여

        이근우 한국고전번역원 2017 民族文化 Vol.50 No.-

        This article aims to make clear the order of compilation time between Korean song and Chinese poetry in Yongbiŏch'ŏn'ga(龍飛御天歌, Song of the Dragons Flying to Heaven). The popular opinion is that Chinese poetry preceded Korean song, judged by the general circumstance using Chinese character for writing and the heavy workload of authors like Kwŏn Che(權踶) and An Chi(安止). But the increasing views of preceding Chinese poetry seem to be lacking of objective logical basis. First of all, the fact that the authors of Yongbiŏch'ŏn'ga had several office positions cannot be the inevitable obstacle to write Korean song. They were only the chief executive of works and the practical affairs like compiling History of Koryŏ Dynasty were conducted by lower class officers like Nam Su on. Secondly, although new Korean characters was not familiar with the authors, it was not impossible that they wrote Korean song with it. If necessary, they could get help from the lower officers like Choi Hang(崔恒). We must be cautious about the content of Korean song being more important than the media to express the content. The frequent usage of Chinese idiomatic expression can be explained by the general conditions of those days, not by the result of translating Chinese poetry into Korean song. Chinese poetry rhymes regularly, especially at the last character of even rows. We can anticipate that Chinese poetry have the orderly format as refined literary work. But being contrary to our expectation, Chinese poetry of Yongbiŏch'ŏn'ga rhymes irregularly. In two paragraph with four lines verses, it is necessary to rhyme on every other line. But there are only 8th verses with regular rhymes from the 2nd verse to the 109th verse. If permitting the change of rhyme between the first paragraph and the second paragraph, 49th verses among 108th verses do not conform the rule of rhyme. Decisively, the words used in Korean song were occasionally altered in Chinese poetry to square the rhymes. If Chinese poetry were written in advance of Korean song, the words in the former could be used in the latter. The main cause of changing words seems to fit the rhyme in Chinese poetry during translating Korean song. Consequentially, we do not have to doubt the definite utterance in the preface and postface of Yongbiŏch'ŏn'ga. They said repeatedly that Chinese poetry were made from the completed Korean song for translation. 이 글에서는 먼저 국문가사와 한시의 성립 순서를 둘러싼 논의과정을 살펴보고, 이어서 한시선작설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용비어천가의 한시가 갖는 특징을 통하여 국문가사와 한시의 관계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권제나 안지 등이 고려사 편찬과 같은 중책을 맡고 있었기 때문에 용비어천가의 국문가사를 지을 여유가 없었을 것이라는 견해는, 남수온과 같은 하급관료들이 실무를 담당하고 있었기 때문에 근거가 부족하다. 또한 그들이 새로운 문자를 가지고 국문가사를 짓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주장도, 복잡한 규정은 최항과 같이 문자 창제에 관여한 관리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을 것이기 때문에 성립하기 어렵다. 또한 용비어천가의 한시는 압운이 대단히 불규칙하다. 권제가 지은 다른 한시를 보면 거의 대부분 정확하게 압운을 지키고 있으나, 용비어천가의 한시는 그렇지 않다. 만약 용비어천가의 한시를 먼저 지었다면 이런 일은 생기지 않았을 것이다. 국문가사가 먼저 지어졌기 때문에 그 내용에 맞추어 한시를 짓게 되면서 압운이 불규칙해 진 것으로 보는 편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용비어천가의 서문 등에 분명하게 국문가사를 먼저 짓고 그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서 한시를 지었다고 밝힌 내용을 부정할 근거를 찾을 수 없다.

      • KCI등재후보

        용비어천가의 단락과 구성에 대한 연구

        김승우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5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8 No.-

        This article aims to look into the whole structure of Yongbieocheonga by analysing the forms of verses, the aspects of antithesis, the execution of the musical composition, the cycles and divisions of the piece of music, the characters, and the historic events quoted in each verse. Yongbieocheonga is divided into three parts containing ‘introduction’, ‘main subject’, and ‘conclusion’, in which the main subject can be spilt again into ‘introduction’, ‘main subject’, and ‘conclusion’. That is, the one hundred twenty five verses of Yongbieocheonga has ten paragraphs following ⓐ1st-2nd verses, ⓑ3rd-8th verses, ⓒ9th-14th verses, ⓓ15th-16th verses, ⓔ17th-26th verses, ⓕ27th-89th verses, ⓖ90th-109th verses, ⓗ110th-114th verses, ⓘ115th-124th verses, and ⓙ125th verse. In these ten paragraphs, ⓐ corresponds the introduction while ⓑ-ⓘ are the main subject, and ⓙ is the conclusion. Among ⓑ-ⓘ, each of ⓑ-ⓓ, ⓔ-ⓖ, and ⓗ-ⓘ in order is applicable to the introduction, main subject, and conclusion of the main subject of the whole work. Especially, the two parts of ⓑ-ⓓ and ⓔ-ⓖ are described in regular sequence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kings while 15th-16th, 86th-89th, and 108th-109th verses summarize or convert the preceeding contents by presenting different verse forms or characters. Meanwhile, paragraph ⓘ cautions descending kings against being idle or cruel in two stages. Many people have remarked from the fifteenth century downward that the structure of Yongbieocheonga is too complicated to be comprehended. In fact, the writers of the work had complex intentions of praising the forefathers of the dynasty and warning descendant kings at the same time, of describing the founding chronicles of Joseon dynasty comparing with Chinese history, and of writing exemplary odes even equivalent to classical poems. Nonetheless, the writers must have been confident that they could fully accomplish their purposes. Actually, they managed to compose such a complete work as Yongbieocheonga after due consideration. 본고에서는 시형, 대우, 악곡상의 실연 여부, 악곡상의 분단과 순환, 인물과 사적 등 <용비어천가>의 구성에 관계된 여러 준거들을 분석 및 검토한 후, 이를 종합하여 작품 전체의 구성을 앞부분부터 차례로 살핌으로써 <용비어천가> 내부의 층위가 어떠한 방식으로 분단되고 또한 각 층위들이 어떻게 연결되면서 하나의 장편을 이루게 되는지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용비어천가>는 서사, 본사, 결사의 삼단 구조를 바탕으로 하면서 본사가 다시 서․본․결로 삼분되는 형태로 정리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용비어천가> 125개 장은 우선 ㉠1~2장, ㉡3~8장, ㉢9~14장, ㉣15~16장, ㉤17~26장, ㉥27~89장, ㉦90~109장, ㉧110~114장, ㉨115~124장, ㉩125장의 총 열 개 부분으로 분단되며, ㉠이 서사, ㉡~㉣이 본사의 서, ㉤~㉦이 본사의 본, ㉧~㉨이 본사의 결, 그리고 ㉩이 결사의 성격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각 장의 차사(次詞)에 다루어진 조종의 사적에 따라 본사의 서와 본에서는 그 안에서 또 다시 일정한 순차가 나타나며, 서의 말미인 제15~16장, 본 가운데 각각 태조와 태종 사적의 마지막 부분인 제86~89장 및 제108~109장에서는 이전과는 다른 형식이나 인물이 제시되면서 앞서 나온 내용을 정리하거나 전환하는 형상을 띤다. 한편, 본사의 결에서는 조종의 순차를 일정 정도는 고려하되, 그보다는 사왕들에게 전달하는 교훈적 내용을 우선시하여 두 층위의 규계를 잇달아 제시한다. 이러한 본사를 서사인 제1~2장과 결사인 제125장이 전후로 감싸면서 작품 전체의 내용을 예고하고 끝맺는 구성을 취하였던 것이다. <용비어천가>의 구성이 대단히 번만해서 그 흐름이 쉽게 간취되지 않는다는 평가는 이미 조선전기부터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제출되어 왔다. 조종을 칭송하면서 동시에 사왕을 향한 경계를 드러내고, 조선의 건국사를 다루되 중국사와의 연계를 현시하려는가 하면, 가창 텍스트이지만 문학적으로도 완정한 형식을 갖추어 작품을 제진하려던 여러 복합적인 지향이 엇걸리면서 이처럼 다단한 작품이 산출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 <용비어천가>에서는 그러한 중층적 의도를 한 작품 안에 모두 담아내어야 하고 또한 담아낼 수 있다는 제작자들의 의지 내지 자신감이 묻어나기도 한다. 다종의 요소들을 어떻게든 균형감 있게 배치해 보려는 모색이 여러 부면에서 감지되기 때문이다. 때로 그러한 시도가 과히 성공적이지 못했다고 회의적으로 평가할 여지도 있겠으나, 그처럼 불완전한 결과물을 통해서라도 이 작품을 짓는 데 간여된 본래적 지향들을 되짚어 보아야 할 필요성은 다분하다. 따라서 본고에서 이루어진 검토는 일차적으로는 <용비어천가>의 구성과 층위를 구명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 작품의 제작 목적을 가늠하는 데에도 긴요하게 소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龍飛御天歌』에 나타난 조선왕실의 “小中華”적 정체성 창출과 타자인식

        정다함(Chong Da-ham)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7

        Ever since modern scholarship of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history after 1945 in Korea, the text of Songs of Flying Dragons(龍飛御天歌) has always been interpreted within the narrow nationalist frame which only highlights that the text is to show “unique” origin of Korean identity, only because those small portions of the whole texts were written in Hunmin’ch?ng’?m(訓民正音) alphabet. However, in fact, Songs of Flying Dragons not only includes the texts about Joseon royal house’s unique Korean identity, but also shows elaborate descriptions and interpretations on identities such as “Middle Kingdom(中華)”, Jurchens, and “Wako” pirates that modern Korean scholarship can hardly define as “Korean” or “proto-Korean”. This study is to rethink those different identities of others that has been seen as alien and thus secondary in the text of Songs of Flying Dragons by korean nationalist scholarship, and to reinterpret them as the necessary “others” to which Joseon royal house mirrored itself to imagine its own identity and position as “Lesser middle Kingdom(小中華)” by compiling Songs of Flying Dragons, converging into the “universal” Confucian civilization of “Middle Kingdom” and differentiating from the savagery of “barbari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