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상업건축 외피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플래그쉽 스토어를 중심으로 -

        강소연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1

        The skin of contemporary commercial architecture forms a fluidic space which goes beyond an image expression of a subject and it is reflecting the brand philosophy of flagship stor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deriv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skin designs which form a symbolic space of flagship stores This study sets and analyzes cases of expression characteristics appeared on the skin designs of flagship stores in Korea which depict the reputation and unique value of each brand in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s seek the change of various space by attempting transparency, semi-transparency and reflexibility. second, the skin designs maximize space by successively connecting different materials in fashion and cosmetic space as diversifying interior and exteriors with non-material property and the designs emphasis the symbolization of forms that unify the structure and the exterior lastly, the skin designs form the deep, yet fluidic flow of space through the change of light and reflect silhouette images by generating multi-layered skin designs In conclusion, skin designs express a differentiated relational formation in various visual-perceptual space areas and they realize a new space that share and relate brand philosophy in flagship stores and architectural space beyond the meaning of a skin form. 현대 상업건축의 외피는 이미지 표현의 대상을 넘어 유동적인 공간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플래그쉽 스토어의 브랜드 철학을 외피디자인에 투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플래그쉽 스토어의 상징적인 공간을 형상화하는 외피디자인의 표현특성을 고찰하고 유형화하여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의 명성과 독창적인 가치를 공간화하여 다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국내 플래그쉽 스토어 외피디자인에 나타난 표현특성의 사례대상을 중심으로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설정하고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브랜드 사례대상을 중심으로 나타난 결과는 첫째, 경계공간이 확장된 외피디자인을 통하여 투명성과 반투명성, 반사성을 주로 시도하여 다양한 공간감의 변화를 의도하고 있었다. 둘째, 비물질적인 물성으로 내. 외부를 다변화시키며 패션과 코스메틱 공간에 상이한 재료의 외피가 연속적으로 결합되고 있었다. 또한 공간의 영역을 극대화하고 구조와 외피가 일체화되는 형태의 상징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다층적 외피디자인의 생성으로 실루엣 이미지를 투영하고 빛의 변화에 따라 깊이 있는 유동적인 공간의 흐름을 형상화 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외피디자인의 표현특성은 다양한 시지각적 공간영역의 차별화된 관계형성의 표현이며, 외피 형태의 의미를 넘어 플래그쉽 스토어와 건축공간에 브랜드 철학을 공유하고 상호연계하는 새로운 공간을 실현하고 있었다.

      • KCI등재

        파라메트릭 설계를 적용한 에너지 저감형 오피스 외피 최적 설계안

        김종현 ( Kim Jonghyun ),김진호 ( Kim Jin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기후변화와 자원의 고갈 등으로 인한 환경 문제는 전 세계가 당면한 심각한 문제이다. 정부는 에너지절감 계획과 구체적인 실천방안에 대한 정책을 수립 및 추진 중이다. 특히 건축물 외피의 경우 창호 성능개선, 단열보강, 외부차양 설치 등을 통한 에너지 소비량 절감이 우선 과제로 제안되고 있다. 본 디자인에서는 고층건축물 외피 설계에 있어 전면 유리 커튼월로 사용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외피의 열 손실로 인한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환경성능 검토가 가능한 파라메트릭 디자인을 활용하여 에너지 성능 분석을 통한 새로운 친환경 외피 설계 최적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고층건축물이 밀집한 대상지를 선정하고, 해당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 절감을 위한 배치, 평면, 입면을 계획한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외피 모듈 조건을 분석하여 최적화된 외피 설계안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파라메트릭 디자인 툴인 라이노 (Mcneel Rhino)와 그라스하퍼(Grasshopper 3D), 그라스하퍼의 에드온(Add-On)인 레이디벅(Ladybug) 프로그램을 활용한다. 먼저 레이디벅을 활용하여 배치, 평면, 입면에 따른 에너지 성능 분석을 통해 최적화된 매스형태를 결정한다. 그리고 각 향의 외피와 인근 건축물의 영향이 반영된 일사량의 영역별 소비량을 파악하여 외피 최적 설계안을 제안한다. (결과) 도출된 디자인은 외피 디자인을 비롯하여 대상지에 계획하는 건축물이 가지는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포함하는 설계안이다. 먼저 에너지 성능 분석을 통해 도출된 배치, 평면, 입면이 적용된 유리 커튼월 시스템을 도입하여 입면의 일사 조건별 적용 범위에 최적화된 차양계획을 적용한다. 실내가 아닌 외부차양 시스템을 활용하여 직사광선이 건축물 유리에 열전도가 되기 전에 차단 가능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결론) 본 디자인에서는 건축물의 배치, 평면, 입면 형태별 기준 모델을 바탕으로 개념설계단계에서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적인 최적의 외피 설계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개념설계 단계에 적합한 에너지 효율적인 디자인 전략과 초기 형태 대안의 기준 모델을 기반으로 고층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적인 형태제안 방법론을 정립하였으며, 에너지 효율적인 건축물의 형태제안 시스템의 개발 방향을 제안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recent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the depletion of resources are serious problems facing the world. The government establishes and implements policies on energy saving plans and concrete measures. In particular, priority has been given to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windows and doors, reinforcing insulation and installing louver system. In this design, we found that the ratio of using the outer skin as the curtain wall in the design of high-rise buildings is gradually increasing. This results in heat loss of the shell and increased energy consumption. This design utilizes parametric for real-time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 In addition, we propose a new environmentally friendly envelope design optimization method through energy performance analysis. (Method) First, select the site where high-rise buildings are concentrated. Then plan layouts, floor plans, and elevations to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results, the condition of the shell module is analyzed to derive the optimized facade design. Utilize the parametric design tools Rhino, Grasshopper and Ladybug. we use Ladybug to analyze energy performance according to layout, plane and elevation. The resulting results determine the optimal mass. In addition, we plan the louver system the amount of insolation in each area, which reflects the facade of each incense and the influence of nearby buildings. The proposed facade is a sunshade system tha t encloses the glass curtain wall part to effectively absorb direct sunlight, providing easy temperature control inside the building. (Results) The derived design is a design plan that includes the facade design and the solution to the problems of the projected building. A glass curtain wall system with layouts, planes, and elevations derived from energy performance analysis is introduced to apply the sunshade plan optimiz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solar condition of the facade. An external louver system was used to derive the most effective way to block direct sunlight before it became thermally conductive to the building glass. (Conclusions) In this design, based on the reference model for the layout, floor plan, and elevation of the building, the design process of the energy-efficient optimal facade design was presented at the conceptual design stage. Furthermore, the energy-efficient form proposal methodology of high-rise buildings is established based on the energy-efficient design strategy suitable for the conceptual design stage and the reference model of the initial form alternative. In addition, we propos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form proposal system of energy efficient buildings.

      • KCI등재

        공간 디자인마케팅 관점에서 본 엑스포건축의 디자인 특성 - 2010년 상하이엑스포 국가관 외관을 중심으로 -

        박성신 ( Pak Sungsin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5 No.-

        국가브랜딩 시대에 상하이 엑스포 각 국가관은 정해진 기간 내에 방문객들을 유입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 현실적인 목표와 전략을 바탕으로 공간 디자인이 이루어졌다. 즉, 국가아이덴티티를 상징화한 공간 디자인을 통해 국가 이미지 제고에 이르는 공간 디자인마케팅의 실현 장이었다고 할 수 있다. 효과적인 공간 디자인마케팅 수행을 위해 공간 디자인 시 국가 아이덴티티의 문제가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접근방법은 전통적인 건축의 현대화, 국가를 대표하는 시각적 요소인 색채나 재료의 적용, 국가를 상징하는 개념의 공간화, 단순한 형태의 반복이나 거대한 스케일 등으로 인한 랜드마크화로 집약된다. 공간 디자인 시 표피 디자인과 야간경관의 강조,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친환경적 디자인은 국가관이 지닌 공통점이다. 표피 디자인은 역동적인 조형성을 강조된 입체화된 표피, 바람 등 주변 환경에 순응하는 표피, 기계적 장치나 방문객의 움직임을 노출하는 표피,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디지털 표피로 구체화했다. In National brand era, the World Exposition increases exchanges in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fields and it shows the spatial design trends. At the same time, it is a field of space design marketing. Each pavilion plays a major part of space design marketing as a media. According to the concept of space design marketing, the pavilions are designed to hold the visitors, to symbolize the nation identity and to evaluate the nation image. In 2010 Shanghai Word Exposition, the pavilions express the national identity in the following ways: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al technique, installation of traditional color and materials, creation of space in the basis of symbolic concept and making a landmark. They emphasize also themselves through powerful mass and surface design such as dramatic form and three-dimensional surface, surface adapting to the change in the surroundings, kinetic surface showing the visitors` circulation and digital interactive surface.

      • KCI우수등재

        파라메트릭 디자인을 활용한 건축물의 리노베이션에 관한 연구

        조준희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potential of parametric design as an alternative design method to overcome renovation limitationsof commercial buildings in urban areas that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nd complex. Four domestic renovation projects usingparametric designs were selected and the methods and effects of it in response to commercial renovation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reveal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ametric design method were effectively utilized in the renovation process of commercial buildings. Parametric design achieves the symbolism and representation required by the facade of commercial architecture appropriately and economicallyby precisely controlling the geometry while factoring construction through algorithms. In addition, by expanding the scope of renovation tothe surrounding context and considering it in the design, the effect of renovation can be enhanced and a positive impact can be broughtabout in the public aspect of an urban environment. 본 연구는 점차 중요해지고 복잡해지는 도심지 상업건축물의 리노베이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대안적 디자인 기법으로서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파라메트릭 디자인을 활용한 국내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기법과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상업용 건물의 리노베이션 과정에서 파라메트릭 디자인 기법의 특성이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파라메트릭 디자인은 알고리즘을 통해 새로운 입면을 위한 기하학적 구조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동시에 시공성을 고려함으로써 상업 건축물의 리노베이션에서 파사드가 요구하는 상징성과 표현성을 적절하고 경제적으로 달성하고 있다. 또한 파라메트릭 디자인은 리노베이션의 관계 범위를 개별 건축물을 넘어 주변 맥락으로까지 확장하여 디자인에 고려함으로써 리노베이션의 효과를 높일 뿐 아니라 도시환경의 공공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 건축물의 디지털 외피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명희 ( Myung Hee Kim ),장재원 ( Jae Wen Jang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2012 地域社會開發硏究 Vol.37 No.2

        기술의 발전은 건축물의 외관을 외관을 이전 시대에 비해 자유롭게 하는 배경을 형성하고, 건축물의 외피는 이러한 영향의 대응에 시·지각적으로 매력적인 대상이 되고 있다. 외피에 대한 표현성은 현대 건축에 와서 다양한 실험적 접근을 보이게 되는데, 디지털 외피는 이러한 경향의 대표적 사례로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지털 외피의 접근은 현대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표현의 사외적 공감대가 무르익으면서, 새로운 표현에 대한 시대적 욕구, 그리고 정체성(Identity)의 추구 등과 관련한 복합적인 작용의 결과와 연결되어 나타난다. Development of technology allows to freely create the facade compared to the previous ones. And the building surface in response to such influence has become the attractive subject from visual and perception니 standpoint. The expression of surface attempts to have various experimental approaches, and the approach to digital surface is one of such tendencies. As a result, approaching to digital surface was related with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maturing social consensus to the digital media, desire of diverse expression, pursuit of visual identity and other complex backgrounds.

      • KCI등재
      • KCI등재

        근ㆍ현대 건축 외피디자인의 시대성과 표현기법에 관한 비교연구

        조종수(Cho, Jong-So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2 No.6

        Architecture has been expressed a complexity of their civilization with evolving into a living spaces and a crystalloid of culture in the times. So, architecture is always a dramatic phenomenon related to architectural aesthetic and technical expression in harmony with social and cultural issues by the times. From this point of view, we can describe that architecture is one of an important mediators to analyze the integrated trend of time. Specially an expressed building envelop which is a matter of consequence in the architectural component is first visual factor including architectural meaning and historical back ground. Therefore, this study firstly starts an investment for discriminative characteristics of building envelop design in the times, then will take the comparative analysis related with modern age and contemporary age based on phases of the times. This research will give the chance to prepare of the pillar of future envelop design in the practical affairs and has simultaneously the chance to understand of inclusive envelop design methodology by the changes of the times.

      • KCI등재

        비(非)물질적 표현이 도입된 집합주거의 외피 연구

        모조설(Mao, Zhao-Xue),남경숙(Nam, Kyung-S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0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9 No.5

        Modern architecture and design presents a variety of heterogeneous, multifarious expressions, reinterpreting and expressing the performance of materials or the function of Spaces, the processes contained therein. This mode of series is interpreted as immaterial rather than reductive. On the basis of the investigation of the immateriality of explicit space, the meaning of spatial design and immateriality is redefin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immaterial in space and the immaterial characteristics and types in modern space design, and to analyze the immaterial characteristics in domestic residential space. First,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e research are presented. Secondly,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the concept of spatial immateriality, the development trend of immaterialization and the structural form of immaterialization are understood,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immaterialization is investigated. Third, to grasp the immaterial properties of the living shell,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behavior of human beings, and select the works of writers related to the immaterial performance. Fourthly, it combines the immateri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generated from the skin with the discovery, deformation, distortion, fusion and progress of the component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immaterial outer skin. To study and understand the concept of immateriality, secondly, to classify the immateriality characteristics and types in space design, and to master the immateriality characteristics in settl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