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진출 한국 프랜차이즈 외식산업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왕신,김홍기 한국유통경영학회 2017 유통경영학회지 Vol.20 No.2

        With the growth of the world economy and social formation, Korean franchises foodservice industry has been developed rapidly, and plentifully entered into Chinese market through Korean wave.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study: first, in order to the Chinese customers who had consumption experience of Korean franchises foodservice industry as investigation objec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of Korean franchises foodservice industry which entered into Chinese market, to realize the factors that will influence Chinese consumers' psychology and behavior. An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approachwe can provide better service for the group of targeted consumers. Research design, data, andmethodology: In this study take the Chinese customers who had consumption experience of Korean franchises foodservice industry as investigation objec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of Korean franchises foodservice industry which entered into Chinesemarket. Results: The results showthat the water ability quality,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and food quality of Korean franchises foodservice industry stationed in the Chinamarket is the influencing factor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Secondly, customer satisfaction has influence on awareness of customer loyalty. Conclusions: The Korean franchises foodservice industry stationed in the China market can make efforts the improve the water ability quality,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and food quality to realize the goal of improving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And providing the most advanced and diversified service tomeet diverse of customer demand.We hope this studywill take a help onmarketing strategy and customermanagement. 본 연구는 중국 진출 한국 프랜차이즈 외식산업의 서비스 품질요인과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와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중국 진출 한국 프랜차이즈 외식산업 경영자들에게 중국인 고객의 유치 전략의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중국인 소비자 2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Statistic 22을 통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인구통계적인 특성과 외식산업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았고, 설문항목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인이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영향을 끼친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중국 진출 한국 외식산업의 종업원역량 품질, 물리적 환경품질, 상품 품질은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진출 한국 프랜차이즈 외식산업을 방문하는 중국인 고객들은 인지된 서비스 품질이 결과적으로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이론적 기반을 검증함으로써, 중국 진출 한국 프랜차이즈 외식산업 경영자들은 높은 수준의 서비스 품질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 영업이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외식산업 창업속성이 고객지향성 및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송경숙(Kyong-Suk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6

        본 연구는 외식산업 창업속성이 고객지향성 및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서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외식업체의 5년 이상 창업자 300명을 대상으로 2013년 2월 1일부터 28일까지 설문조사 후 SPSS v. 17.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외식산업 창업속성이 고객욕구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창업자금, 창업입지, 창업시설, 창업상품이 고객욕구이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식산업 창업속성이 고객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창업자금, 창업시설, 창업상품이 고객관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지향성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고객욕구이해, 고객관계가 창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외식산업의 창업에 따른 창업자금, 입지, 시설, 상품요소가 중요하고, 고객지향적인 고객욕구의 이해와 관계밀착이 종국적으로 성과로 나타나 장기적으로 안정된 경영을 뒷받침해 주는 요인임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business startup attributes on customer orientation and business startup performance in the foodservice industry.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n 300 entrepreneurs, who are running 5 or more years of restaurants in Seoul, through February 1 to February 28, 2013. The SPSS v. 17.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business startup attributes on the understanding of customers desire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showed that business startup funds, business startup location, business startup facilities and business startup produc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understanding of customers desires. Second, the effect of business startup attributes on customer relationship in the foodservice industry showed that business startup funds, business startup facilities and business startup produc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ustomer relationship. Third, the effect of customer orientation on business startup performance in the foodservice industry showed that the understanding of customers desires and customer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business startup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business startup funds, business startup location, business startup facilities and business startup product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are important, and the customer-oriented understanding of customers desires and close adherence to customers lead to ultimate performance, supporting a stable management in the long term.

      • KCI등재

        외식산업 소비자의 소비자 윤리에 관한 인식 연구

        정효선,윤혜현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07 호텔경영학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people of different classes toward consumer ethics in the field of foodservice industr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s that were reorganized according to consumer ethics scale(CES) in order to assess the consumer ethics recognition of consumers on a five-point scale.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463 consumers an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t-test, one-way ANOVA,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ree different types of ethical attitudes among the consumers investigated in association with the foodservice industry : unconscientious illegal behavior(12 variables), intentional unlawful behavior(6 variables) and excessive expression of complaint(5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reliable, as the Cronbach's alpha values were above 0.7 for all the factors. The men showed more ethical attitude than the women, and the elder consumers seemed to behave more ethically than the youngers. The company and government employees were more inclined to be ethical than the students and housewives. For the monthly income, the higher income earners were more ethical than the small income earners among the ethical attitudes of consumers. The relig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consumers didn't show any differences to their ethics in consumption situations. 외식산업에 있어서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가 인식하는 소비자 윤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으며, 외식산업의 특수한 소비상황에서 소비자의 특성에 따른 소비자 윤리를 고찰하였다. 총 463명의 소비자를 표본으로 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t-test, ANOVA를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연구결과 외식산업 소비자의 소비자 윤리에 있어서는 비양심적 위법행위, 의도적 위법행위, 과도한 불만 표출행위 등의 3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외식산업의 고유한 소비 상황에 있어서 여성이 남성보다 약간 더 비윤리적인 성향을 보였고, 연령과 소득이 낮은 학생과 주부계층이 보다 낮은 윤리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외식산업의 특징적인 소비 성향에 있어서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소비자의 윤리성에는 상이한 차이가 있음이 증명되었으며, 특히 연령이 낮고 소득이 적은 학생집단이 다른 소비계층에 비해 외식산업의 특수한 소비상황에서도 윤리성이 결여된 소비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소비 상황에서 소비자의 윤리적인 태도는 스스로에게 내제된 윤리의식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개인의 윤리적인 가치관이 윤리적인 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소비자의 윤리 수준을 제고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윤리적인 가치관 제고를 위해 이들을 대상으로 한 대학에서의 체계적인 윤리교육이 필수적이라고 여겨지며 업체는 기업윤리의 준수를 통해 모범적인 경영을 함으로써 윤리적인 소비 문화의 정착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외식산업 지배적 브랜드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성수,변광인 한국호텔관광학회 2008 호텔관광연구 Vol.10 No.3

        A dominant brand is an important subject of particular interest in field of marketing of business management. In order to examine the position of dominant brand in foodservice industry, this study focused on comparing the results of secondary data extracted from information on domestic foodservice industry with those of survey on young population, i.e. undergraduates in their 20's.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ison, this study sought to allow for the rank of relatively well-recognized or preferred brands in foodservice industry business, recognized presence of dominant brands and preceding variables, so that it could provide cross-section data from analysis on dominant brands in foodservice industry. To meet the goals, this study dealt preliminary with 4 major foodservice brands standing for each category of foodservice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as demonstrated by the findings on secondary data, it was found that higher brand awareness was not always an index of higher brand preference, and the higher sales profit and higher number of shops were not necessarily associated with higher brand awareness and higher brand prefer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preceding variables for dominant brands in foodservice industry. Third, it was found that our students had high awareness about the presence of dominant brands in foodservice industr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empirical basic data for positioning of current restaurant brands in more competitive restaurant business than ever as well as their evolution into dominant brands in parallel with private brand management for future marketing strategy in each category of foodservice industry, and will be useful for taking competitive advantages.

      • KCI등재

        외식업체의 확률적 점포선택에 관한 연구

        김명희,이용천,양태석 한국외식경영학회 2014 외식경영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 저자는 고객에 의해 만들어진 점포선택의 비판적인 개관을 서술했다. 선택방법에 대해서는, 외식산업에 의해 발표된 세일즈 랭킹의 통계를 사용하는 외식기업을 선택하였으며, 그것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끌어내기 위해 로지스틱 회기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조사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2010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수행되었다. 90부의 설문지가 외식산업과 연관된 각 회사로 배부되었다. 전체 630 부가 배포되었으며 550부가 회수되었다 (회수율 91.67%). 공간선택 모델을 고려하여, 상업지역은 서울 홍익대 지하철역으로 제한하였다. 외식산업의 적합성과 고난도의 예측은 연구모델의 적합성을 증명한다. 고객들이 레스토랑을 방문하기 위한 가장 필요한 조건으로는 시간(0.1552), 레스토랑 스토어(0.14), 경쟁사 (0.169), 외관(0.194), 교통(0.175), 가격(0.27), 종업원(0.23), 멤버쉽(0.173) 및 기대(0.227)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I outline a critical review of the store selections made by customers. In relation to such selection, the logistic regression is used to draw the variables affecting it. In the process of selecting subjects, I opt for foodservice corporations using the statistics of sales ranking which were announced by the foodservice industry. Since September 1st to September 15th 2010,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ustomers. Ninety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each company that is associated with the foodservice industry. In total, 63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550 copies were recollected (a recovery rate of 91.67%). Considering the spatial choice model, the business district was restricted to Hongik University Subway Station, Seoul. The fitness of the foodservice industry and a high level of forecasting prove the suitability of the study model. The most necessary requirements for customers to visit restaurants were time(.152), restaurant store(.14), the rival company(.169), appearance(.194), traffic(.175), price(.27), the kind of employee (.23), membership(.173) and expectation(.227).

      • KCI등재

        외식산업의 온라인 구전 커뮤니케이션이 서비스 충성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기대 일치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허영욱,나상균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5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determining the effects of on-line communication by words-of-mouth on service loyalty and intention of words-of-mouth, particularly in food service industry. Although some preceding studies have mentioned that on-line communication by words-of-mouth may be connected to service loyalty and intention of words-of-mouth, detailed investigations have not yet been conducted as to what are the actual factors in communication by words-of-mouth that may affect service loyalty and intention of words-of-mouth. By specifying the factors that would affect service loyalty and intention of words-of-mouth, this study attempts to lay foundation for establishing customer-oriented strategies for service management of food service industry by which both consumers and suppliers of food service industry can form and ensure a long-term business relationship.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quire into the Effect of Online Word-of-Mouth Communication on Service Royalty and Word-of-Mouth Intention in the Foodservice Industry. The analysis was shown that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f online word-of-mouth communication in the Foodservice industr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ervice royalty and word-of-mouth intention. And the effect of online word-of-mouth communication on service royalty and word-of-mouth inten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rvice expectation-confirmation. It was proven that the double path model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by each path of these factors boosts the interaction with the mutual synergy when a communication occurs simultaneously as a positive mechanism. 본 연구는 외식산업의 온라인 구전 커뮤니케이션이 서비스 충성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외식산업에서의 온라인 구전 커뮤니케이션의 전달자와 수신자와 이들 상호작용 커뮤니케이션이 서비스 충성도와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온라인 구전 커뮤니케이션이 서비스충성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서비스기대 일치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의 각 경로별 송수신자간 긍정적인 관계로써 동시다발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때, 상호 상승작용에 따른 동반 상호작용을 촉진시켜 줌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외식산업 창업속성이 창업 과잉자신감과 창업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송경숙(Kyong-Suk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는 외식산업 창업속성이 창업 과잉자신감과 창업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외식업 창업자 총 300명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 1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외식산업 창업속성이 창업 과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창업자 특성, 창업자금, 입지, 상품요인이 창업 자신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외식산업 창업속성이 창업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창업자금, 입지, 상품요인이 창업자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셋째, 창업 과잉자신감이 창업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창업 과잉자신감은 창업자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는 창업자 특성변인으로서 전문화된 경영마인드와 관련 지식, 경험이 그만큼 중요하고, 이에 기반한 충분한 자금조달과 준비속에 고객의 유동인구가 상품특성과 결합하여 적합한 곳에 입지할 때 고객의 이용과 선택 또한 안정된 경영으로 이어져 자신감과 함께 안정경영을 통한 긍정적인 태도로 나타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usiness startup attributes on the overconfidence of business startup and entrepreneurs attitude in foodservice industry.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300 entrepreneur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through October 1 to October 30, 201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funds for business startup, locations and produc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on the overconfidence of business startup(p<.05). Second, funds for business startup, locations and produc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 attitude(p<.01). Third, the overconfidence of business start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 attitude(p<.001). The findings stated above mean that knowledge or experience related to specialized management mind as entrepreneurs characteristic factors are just as important, and customers use and choice of restaurants are also connected to stable management when the floating population of them are located to a suitable place in combination with product characteristics in enough financing and preparation based on this, showing entrepreneurs positive attitude through stable management along with confidence.

      • KCI등재

        외식 O2O플랫폼의 품질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성가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아름(Lee, Ah-Reum),김태희(Kim, Tae-Hee) 한국외식경영학회 2020 외식경영연구 Vol.23 No.6

        본 연구는 외식 O2O플랫폼의 품질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소비자가 느끼는 성가심의 정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외식 O2O플랫폼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10~50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시작하여 총 405부의 유효표본을 확보했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과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외식 O2O플랫폼 품질특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식 O2O플랫폼의 품질 특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성가심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가심이 낮은 집단은 시스템 품질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정보 품질에 대해서는 지각된 가치에 유의하다고 나타났으며, 성가심이 높은 집단에서는 시스템 품질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하였고 정보 품질에 대해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성가심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푸시알림 품질과 지각된 가치의 인과관계 규명, 성가심의 조절효과를 규명한 것으로 향후 외식 O2O플랫폼의 푸시알림 품질은 위치기반서비스를 기반으로 적재적소에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수립을 세워 제공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강화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attributes of foodservice O2O platform, perceived value, and behavior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s’ annoyance was examined. A total of 405 valid samples were obtained by launching an online survey of customers who had foodservie O2O platform users, and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quality attributes of foodservice O2O platforms, and consumers’ perceived values, and the consumers’ perceived values had a positive impact on behavior intentions, and the impact of the quality attributes of foodservice O2O platforms on consumers’ perceived values was moderated by the annoyance. In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annoyance, the system qual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values whereas the information qual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values. In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annoyance, the system qual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values whereas the information qual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In the future, the push notification quality of foodservice O2O platforms should be reinforced in order to provide individually customized information at the right time and place based on location based service.

      • KCI등재

        ‘한국외식경영학회’의 설립과 초기성장에 대한 생애사 연구

        류무희,문성식 한국외식경영학회 2022 외식경영연구 Vol.2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changes in roles in the society through life history research by tracing the activity trajectories of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at the early societies. The method of this paper performed the holistic primary coding of Lieblich, Tuval-Mashiach, & Zilber (1998) to draw the story line, and the secondary coding based on the longitudinal qualitative data analysis matrix of Saldana(2009). The procedure was applied. The specific results consisted of three themes: first, ‘taking the first step in the establishment of a society,’ second, ‘excellent industry-university connection and the Food Service Industry Promotion Act’, third,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is the development of the restaurant industry’, and nine subcategories.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provide a win-win idea and insight for cooperation between academia, industry, and related government ministr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by capturing the successful foundation and initial operation mechanism of the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참여자 3인의 초기학회에서의 활동 궤적을 추적함으로써 학회에서의 역할 변화를 생애사 연구를 통해 해석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방법은 스토리 라인을 그리기 위해 Lieblich, Tuval-Mashiach, & Zilber(1998)의 전체론적 형태의 1차 코딩을 수행하였고, Saldana(2009)의 종단적 정성적 데이터 분석 매트릭스에 의한 2차 코딩 절차를 적용하였다. 그 구체적 결과는 세 가지 주제 첫째, ‘학회 설립의 첫발 내딛기’, 둘째, ‘탁월한 산학 연계와 외식산업진흥법’, 셋째, ‘학회의 발전이 곧 외식업의 발전’과 9개의 소분류로 구성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한국외식경영학회’의 성공적인 창립과 초기운영 기제를 포착함으로써 외식산업 발전을 위해 학계, 업계와 관련 정부 부처의 협력을 위한 상생적 아이디어 및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외식산업 종사원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이 심리적 소진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부서형태의 조절효과 검증 -

        홍윤주,김영중 한국관광학회 2018 관광학연구 Vol.42 No.9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perfectionism in the foodservice industry upon burnout and job attitude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division between the relations of perfection, burnout, job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a total of 283 employees, this study reviewed the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a total of six hypotheses using the AMOS program.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model were simultaneously tested through the use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proposed model provided an adequate data fit, χ2=609.686(df=255), p<0.001, CMIN/df=2.391, IFI=.904, NFI=.845, TLI=.886, CFI=.903, RMSEA=.070. The model's fit was deemed satisfactory, thus providing a good basis for testing the hypothesized paths. The SEM results showed that self-oriented perfectionism (β=.116), other-oriented perfectionism (β=.134), 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β=.300) in the foodservice industry had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burnout. Also, burnout (β=-.167)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job engagement; burnout (β=.203)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engagement (β=-.358)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외식산업 종사원이 인지하는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이 심리적 소진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최종 분석에 사용된 283개의 자료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총 6개의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는 χ²=609.686(p<0.001), df=255, CMIN/DF=2.391, IFI=.904, NFI=.845, TLI=.886, CFI=903, RMSEA=0.070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차원인 자기지향(β=.116), 타인지향(β=.134), 사회부과(β=.300)는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심리적 소진은 직무태도인 직무열의(β=-.167)와 이직의도(β=.203)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직무열의는 이직의도(β=­.358)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외식산업 종사원이 인지하는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은 심리적 소진과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더불어,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 심리적 소진 및 직무태도와의 인과관계에서 부서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