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코올 의존 환자의 퇴원 후 지속적 외래 방문 영향 요인

        김경훈 ( Kime Kyoung Hoon ),안이수 ( Ahn Leesu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4

        알코올 의존 환자들은 퇴원 후 평생 동안 재발 위험에 직면하므로 만성질환 관점에서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퇴원 후 지속적인 외래 방문은 알코올 의존 환자의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지속적인 외래 방문 수준은 낮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알코올 의존 환자의 지속적인 외래 방문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환자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환자 퇴원 계획 수립, 재발 방지 프로그램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진료비청구자료를 사용하여 알코올 의존 입원 환자를 선정하고, 퇴원 후 지속적 외래 방문율을 분석하였다. 2010년 알코올 의존으로 입원한 환자는 18,835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0.4세, 여성은 11.6%였다. 알코올 의존으로 퇴원한 환자 중에서 6개월 동안 한 달에 최소한 한번 이상 지속적으로 외래를 방문한 환자는 8.3%에 불과하였고, 특히 3개월 내에 지속적 외래 방문율이 크게 감소하였다. 환자 특성별로는 연령이 젊을수록, 남성, 의료급여 환자일수록 지속적인 외래 방문율이 낮았고, 내과적, 정신적 질환이 동반된 환자, 이전 입원 경험이 있는 환자는 지속적인 외래 방문율이 높았다. 따라서 퇴원 후 지속적 외래 방문율이 낮은 집단에 초점을 둔 퇴원 교육과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를 강화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Alcohol-dependent patients face a substantial risk of relapse after inpatient care in their lives. The continuing outpatient care after intensive inpatient care is an important role to reduce the risk of relapse. However,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research on the affecting factors of continuing ca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ntinuous outpatient visit rate and determine factors to affect the continuous outpatient visit after discharge. A continuous outpatient visit is defined as an outpatient visit that is made at least once every 6 months. A total of 18,835 alcohol-dependent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6 months after discharge. We perform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continuous outpatient visit and patient`s characteristics. Only 8.3% of patients received continuous outpatient care within 6 months of their discharge. Patients who were younger, male, and under medicaid were less likely to make post-discharge outpatient visits on a continuous basis. Effort needs to be exterted to provide adequate discharge education programs and to strengthen community services for these patients.

      • KCI등재

        외래관광객의 한옥 방문동기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동․서양간 비교를 중심으로 -

        이대은,이충기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9

        Korean Traditional Houses (Hanok) provide unique heritage experience for visitor in South Korea. In light of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Hanok’s, this study aims to further identify foreign tourists’ motivation for Hanok experiences, to examin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ivation between Asian and Western visitor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ivati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foreign visitors who stayed at T-Guest house in Bukchon, Seoul. Factor analysis delineated six dimensions of Hanok motivations from 24 items of motives: Cultural exploration, Escape, Socialization, Family togetherness, Hanok experience, and Novelty. The results of t-test indicate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ivation between Asian and Western visitor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reveal that the motivation factors of Cultural exploration, Socialization, Hanok experience and Novel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urthermore, Z-test show that the coefficient of Hanok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sian and Western visitors. 본 연구의 목적은 1) 한옥 게스트하우스를 찾는 외래관광객의 방문동기를 확인해내고, 2) 동양인과 서양인 방문객의 인구통계적 및 관광행동적 특성과 방문동기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며, 3) 동기와 만족도 및 행동의도와의 상호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는 한옥 게스트하우스 중 하나인 북촌 티게스트하우스를 방문한 외래관광객을 대상으로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인분석결과 24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한옥 방문동기는 ‘문화탐험성’, ‘일상탈출성’, ‘사교성’, ‘가족친화성’, ‘한옥체험성’, ‘신기성’의 6개 동기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한옥 방문동기와 문화권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한 결과, ‘문화탐험성’, ‘가족친화성’, ‘한옥체험성’, ‘신기성’ 동기에 있어서 동양인과 서양인 방문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양인에 비해 서양인의 방문동기가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한옥 방문동기와 만족도 및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동․서양 방문객간 공통적으로 ‘문화탐험성’, ‘신기성’, ‘한옥체험성’, ‘사교성’이 한옥 방문 만족도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한옥체험성’이 동양인과 서양인 방문객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Z-test를 통해 검정되었다.

      • KCI등재

        부산광역시의 대기오염물질과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한 외래 방문 간의 연관성

        정수빈,이혜원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2 대한보건연구 Vol.48 No.3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outdoor air pollution levels in Busan have short-term effects on outpatient department(OPD) visits for allergic rhinitis. Methods: We identified 25,523 patients who visited OPD for allergic rhinitis as a primary disease in Busan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between 2013 and 2017. We conducted a quasi-Poisson regression as a time series analysis using generalized additive models(GAM)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ir pollutants(particulate matter less than 10μm, particulate matter less than 2.5μm, sulfur dioxide, nitrogen dioxide, ozone, carbon monoxide) and OPD visits for allergic rhinitis. We considered the lag effect of air pollution up to 7 days and performed subgroup analyses by age, sex and season. Results: We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O3 and OPD visits for allergic rhinitis at lag2(percentage change in relative risk[RR]=1.75%; 95% CI: 0.41%~3.11%), and all moving-average lags. The best-fitting lag structure was lag0~6(percentage change in RR=3.67%; 95% CI: 1.11%~6.29%). Exposure to PM2.5 also showed the association with OPD visits for allergic rhinits(percentage change in RR=1.76%; 95% CI: 0.04%~3.52%, lag0~7), although the PM2.5 effect became non-significant in two pollutant analyses. In stratified analyses, stronger associations were found in patients aged 10~19 years, females, fall and winter.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exposure to O3 is associated with OPD visits for allergic rhinitis. To manage the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related to O3 exposu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epare O3 reduction measures through continuous O3 monitoring.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의 실외 대기오염물질 농도가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한 외래 방문에 미치는 단기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알레르기 비염으로 외래 방문한 일 평균 25,523명의 환자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기오염물질(PM10, PM2.5, SO2, NO2, O3, CO)과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한 외래 방문 간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화 가법 모형을 이용하여 준포아송 분포를 가정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7일까지의 대기오염 지연효과를 고려하였으며, 연령별, 성별 및 계절별로 하위 그룹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O3와 알레르기 비염 간의 유의미한 연관성이 단일 시차 lag2(percentage change in RR=1.75%; 95% CI: 0.41%~3.11%) 및 모든 누적 시차에서 나타났다. 제일 적합한 누적 시차는 lag0~6(percentage change in RR=3.67%; 95% CI: 1.11%~6.29%)이었다. PM2.5의 노출도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한 외래 방문과 연관성이 있었으나(percentage change in RR=1.76%; 95% CI: 0.04%~3.52%, lag0~7), two pollutant 모형을 적용한 후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하위 그룹 분석 결과 10~19세, 여성, 가을 및 겨울에서 O3와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한 외래 방문 간의 연관성이 크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O3가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한 외래 방문과 연관성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알레르기 비염의 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O3 모니터링을 통해 적극적인 O3 저감 대책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방한 외래 관광객의 전반적 만족도, 재방문 및 추천 의사, 이미지 변화 정도의 종단 연구 -2007년, 2011년, 2015년 대륙별 및 국가별 비교-

        이돈재,황호종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8

        본 연구는 2007년, 2011년, 2015년 ‘전반적 만족도’, ‘재방문 의사’, ‘추천 의사’, ‘이미지 변화 정도’의 4개 반응변수를 대상으로 세계, 아시아, 북미, 유럽과 중국, 일본의 국가별로 우리나라 방문외래객의 특성을 분석한 종단연구이다. 사용된 인구통계학적 변수는 성별(2), 직업(3), 연령(6)이며 적용분석방법은 순위로짓모형이다. 전 세계 방한 외래객의 4개 반응변수의 평균은 2015년에 근접할수록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변수 모두에서 여성이면서 학생이고 20대일 경우가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집단으로 분류된다. 재방문의도와 추천의사도 여성과 학생이 가장 높았다. 방문 후 이미지 변화정도는 일본 학생이 크게 나타났고 중국은 60대가 가장 높았다. 평균조건으로 계산한 예상 확률은 각 년 도별 외래객 실태 보고서에서 제시된 가장 높은 평가(5점)의 비중보다 높게 나타났다. 중국과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권 방문객의 평가는 낮은 반면 북미와 유럽 방문객의 높은 평가가 전체 비중을 선도하고 있다. 한계효과도 오즈비율과 평균조건의 예상 확률과 다르지 않게 여성이면서 학생 그리고 20대일 경우 재방문의사, 추천의사, 이미지 변화정도가 높았다. 다만 중국, 북미, 유럽은 성별 변환에 따른 한계효과가 동일하지만 일본은 남성으로 전환 시 –3.1%∼19.5%까지 이미지 변화가 부정적으로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한계효과를 보인 대륙은 유럽과 북미주이며 유럽과 북미주는 학생보다 비 소득자의 재방문 및 이미지변화정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This longitudinal study focuses on foreign tourists and investigates their overall satisfaction, intention to revisit, and intention to recommend Korea as a destination. The change in the image of Korea held by foreign tourists in 2007, 2011 and 2015 was examined using an Ordered Logit Model. On average, the values of the four response variables generally increased as they approached the year 2015. For all four variables, female student visitors in their 20’s responded most favorably. Female and student groups also gave the highest number of referrals. Asian visitors, including those from China and Japan, showed low ratings in general, while visitors from North America and Europe showed high ratings. In China, North America, and Europe, gender difference was insignificant, whereas Japan demonstrated a sizable and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The continents that showed the greatest magnitude of marginal effects were Europe and North America where income earners’ revisit intention and image change were greater than that of the students.

      • KCI등재

        휠체어 유형에 따른 보험급여비 지급 후 외래이용의 변화에 관한 연구

        김경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5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0

        This study has set virtual theory that providing health care benefits for an electro-motion wheelchair shall improve the handicapped's accessibility to medical services, and analyzed comparison data with the handicapped provided health care benefits for a normal wheelchair. The study subject has been 662 of brain injuries and spinal cord injuries aged more than 20 years old out of 805 health care benefits subjects provided with a normal wheelchair or an electro-motion wheelchair from April 22, 2005 to May 21, 2005. t-test and ANOVA have been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influential factors of the change in outpatient visits frequency in about 6 months and Logistic Regression was done based on its results to analyze influences from a different type of a wheelchair with corrections made to other potential factors. For statistic analysis and statistic process of data, SPSS Statistic Program Ver. 10.0 has been applied. For the analysis standard of 24 days by increase in the change of number of outpatient visits, electro-wheelchairs users visited 2.49 times more frequent than normal wheelchairs. As per our study, it is clearly proven that the handicapped with mobility disability can access to medical services more frequent with electro-wheelchairs than normal wheelchairs. We find this study meaningful in a way that this paper has extracted results of how an electro-wheelchair helps mobility disabled handicapped's outpatient visits better than a normal wheelchair and being the first close analysis on the change of outpatient visits with health care benefits provided. 본 연구는 전동휠체어에 대한 보험급여비 지급이 장애인의 의료이용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고, 이를 증명하기 위해 일반휠체어에 대한 보험급여비가 지급된 장애인과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05년 4월 22일부터 2005년 5월 21일까지 전동휠체어 및 일반휠체어에 대하여 보험급여비를 지급한 건강보험대상자 805명 중 20세 이상의 뇌병변장애와 지체장애를 가진 66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장애인의 의료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로 성별, 연령, 거주지, 보험료, 동거가족 수를 사용하였고, 장애특성변수로 수행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장애유형 및 장애등급 등을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 6개월 전․후 외래 방문일수의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보장구 보험급여비 지급 6개월 전․후 외래 방문일수 변화량이 24일 이상 증가한 경우를 기준으로 했을 때는 보장구 유형에 따라 외래 방문일수 증가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동휠체어가 일반휠체어에 비해 2.49배 외래 방문일수 증가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이동성 장애를 가진 장애인은 외래 의료이용이 많은 경우 전동휠체어를 이용할 경우 일반휠체어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의료이용의 접근성이 향상되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지역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한 외국인 방문객 시장세분화 연구 -여행 중 음식 관련 행동들을 기반으로-

        강성진 ( Sung Jin Kang ),도경록 ( Kyong Lhong Doh ),조록환 ( Lock Hwan Jo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4 觀光硏究 Vol.2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지방 지역(수도권, 광역도시 제외)으로 여행경험이 있는 외국인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여행 중 음식 관련 행동들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음식관광객 유형을 분류하여 유형별 프로파일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18세 이상의 중국, 일본, 미 주, 유럽권 외국인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 중 730개를 회수하여 불성실 응답 31부를 제외하고 699부를(응답률:81.1%) 분석에 사용하였다. 여행 중 음식 관련 행동은 요인분석을 통해 ‘조리법 관심’, ‘지역음식 체험’, ‘미식 추구’, 친 숙한 음식체험‘ 4개 요인들이 도출되었다. 이들 요인들을 바탕으로 체계적 군집분석과 K평 균 군집분석을 통해 4개의 음식관광객 유형이 확인되었다: 소극형 음식관광객, 일반형 음식 관광객, 적극형 음식관광객, 로컬푸드형. 이들 음식관광객들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에서 유의 한 차이를 보였으며, 월 가계 소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로컬푸드형은 다른 유형보 다 연령이 높고 여성 비율이 높으며, 적극형은 다른 유형보다 교육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여행행태 특성 중 여행 동반형태, 여행기간, 음식정보원, 음식정보 탐색수준, 총 여행경 비 중 식음료 지출비용에서 네 그룹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형과 적극형은 친구, 가족들과 여행을 즐기는 반면 소극형과 로컬푸드형은 혼자 여행을 즐기며, 상당수가 5일 이상 여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컬푸드형은 음식정보 탐색에서 가장 적극적이었고 적극형은 현지에서 음식정보를 얻고 식음료 지출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음식관광을 통해 외국인 방문객을 유치하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 관련 실 무자들에게 그들 지역에 적합한 표적시장을 찾아내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food tourism segments on foreign visitor traveling local areas in South Korea by utilizing their food related behaviors and to provide a profile of foreign food tourists. A total of 900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foreign students who had ever traveled to local areas in South Korea over the last one year. Of them, 730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and 699 survey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ponse rate: 81.1%). Four dimensions of food-related behaviors were derived by using factor analysis: ‘interest in cooking’, ‘local food experiences’, ‘gourmet-oriented activities and ‘familiar food experiences’. From K-mean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food-related behavior dimensions, four food tourist segments were identified: regular food tourists, active food tourists, passive food tourists, and local food tourists. The group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socio-demographics such as age, gender, and education except for monthly household income. In particular, local food tourists were older than others and active food tourists were at a higher education level. The four groups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t regarding their travel behaviors such as travel length, travel accompany, information sources, a level of information searching, and food & beverage expenditure amount. Regular and active food tourists tended to travel with family or friends meanwhile passive and local food tourists enjoyed travelling alone for 5 or more days. Thus, local food tourists were most active in searching for food information. Active food tourists turned to get food information from locals and spent more on their food & beverage than oth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a profile for foreign food tourist, which would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to vitalize food tourism in local areas.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 서비스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효과

        이상진,곽찬영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16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7 No.3

        Purpose: This is a comparative study using secondary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long term care (LTC) insurance. Methods: Visiting nursing (VN) service users (n=666) and non-users (n=4,375) were extracted and compared in terms of medical expenditures, length of hospitalization, and annual number of ambulatory care visits to investigate effects of VN services in LTC. Results: Total health care expenditur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it was found that VN service users spent about $ 1700 than non-users for their medical costs between 2009 and 2011. The average length of in-hospital stay for VN service users was 19.4 days shorter than that of non-users. However, using VN service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annual number of ambulatory care visits. Conclusion: The study has found that VN services are effective ways of providing community-based LTC services. We recommend LTC policy makers to further utilize VN services to deliver cost effective health care services.

      • KCI등재

        재방문 및 재입원 여부에 따른 의료서비스 품질요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은규,이훈영,정기택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09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1 No.1

        Recent changes of the competing environment and government policy in the medical service industry greatly affected the management of public and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They realized that satisfying customers is vital for survival and prosperity. Thus, many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such important service factors influenc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 the medical service. However, we suspect that the revisiting customers might appreciate the service quality factor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time visit patients. Thus, we examined whether the import service quality factors influencing customer satisfaction are different between the first time visit patients and the revisit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both for outpatients and inpatients to find some interesting difference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different service quality factors should be emphasized according to the patient type of the first time visit or the revisit customers. 최근 환자고객들의 질 높은 서비스에 대한 요구와 같은 환경적 변화는 공공 및 민간 의료기관들에게 생존차원의 경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는 것과 함께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의료기관들은 각 고객집단에 대하여 어떻게 서비스를 제공할지 알아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에 대하여 반복구매와 초기구매의 개념을 도입하여 두 집단간의 차이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즉, 어떠한 의료서비스 요인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재방문 및 재입원과 신규방문 및 신규입원의 차원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증적 분석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일부지역의 병원들을 중심으로 시행되었으며 입원과 외래를 구분하여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회귀분석, T-Test를 중심으로 시행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신규방문 환자와 재방문 환자는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었으며 신규입원 환자와 재입원 환자도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회귀분석의 독립변수가 달리 측정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결과는 의료기관들이 신규 고객과 기존 고객에게 차별적인 마케팅 역량을 투입하여야 전반적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연구논문 : 면세점 선택속성이 쇼핑지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외래 관광객의 방문목적을 중심으로-

        현미정 ( Mi Jeong Hyun ),신성원 ( Sung Won Shin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2 Tourism Research Vol.36 No.-

        In international tourism, shopping by foreign tourists contributes to the economy greatly by earning foreign currency through an increase shopping expenses. Shopping is already considered a major part of tourism worldwide. For foreign visitors to Korea, shopping is a major activity, and the main locations are duty free shops. In this study, We analyzed which influence of duty free shop`s selection attributes contribute to the spending in a duty free shop. To study the subject, We established 2 hypothesis and analyzed by the following analytical tools: factorial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foreign visitor have 4 type of duty free shop`s selection attributes: credibility, convenience, efficiency and sales ability of salesperson. Efficiency and sales ability of salesperson have positive effect for customer`s shopping expenditure, except for credibility and convenience which is not positive. Also the result showed that 4 type of duty free shop`s selection attributes have not difference in customer`s shopping expenditure, according to Foreign Visitor`s purpose of vis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