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몽골국 초기 異文化와 宮廷의 外交典禮

        김장구 동국사학회 2012 동국사학 Vol.53 No.-

        이 논문에서는 대몽골국(Yeke Mongγol Ulus) 초기에 몽골초원에 존재했던 다양한 이방인과 이문화의 흔적과 궁정에서 행해진 외교전례의 실상을 살펴보았다. 쿠빌라이 카안(Qubilai Qa’an)이 제국의 중심을 칸발릭Qan Baliq[大都]으로 옮긴 후에는 더욱 다양한 이방인들이 대몽골국을 방문하거나 몽골의 통치에 협력했다. 그러나 이런 현상이 갑자기 발생한 것이 아니라 대몽골국 성립을 전후한 시기에 이미 다양한 이방인들이 존재하였다는 점을 밝혔다. 대몽골국이 성립되면서 문서행정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고, 타타통가와 친가이, 발라 등 다양한 출신의 인재들이 그 기초를 닦았다. 이어서 몽골을 방문한 중세 서양의 수도사들이 남긴 기록을 통해 몽골 궁정의 외교전례의 실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외교사절은 궁정에서 수 백 미터 떨어진 곳에서 말에서 내리고, 수석 서기가 호출할 때까지 기다렸다. 이후 호출을 받고는 숨긴 무기나 유해한 것을 지니지 않았는지 몸수색을 받고 궁정 안으로 들어갔다. 특히, 궁정으로 들어갈 때는 문지방을 밟지 않도록 단단히 주의를 받았다. 대칸 앞에서는 무릎을 꿇고 관리와 통역을 통해 간접적으로 대화를 나누었다. 카르피니는 훌륭한 통역을 만났지만, 루브룩이 방문했을 때는 좋은 통역이 없어 많은 불편을 겪었다. 이것은 당시 몽골에게 유럽이 그리 중요한 상대가 아니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뭉케 카안(M?ngke Qa’an)이 루이(Louis) 9세에게 보낸 문서를 통해, 대몽골국의 카안이 발행하는 명령문의 정형구인 “영원한 하늘의 힘에 의해(m?ngke tngri-yin k???n-d?r)”로 시작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음을 보았다. 아울러 몽골의 ‘세계정복 선언’의 일면도 살펴볼 수 있었다.

      • KCI등재

        기획논문 : 대몽골국 초기 리문화(異文化)와 궁정(宮廷)의 외교전례(外交典禮)

        김장구 ( Jang Goo Kim ) 동국사학회 2012 동국사학 Vol.53 No.-

        이 논문에서는 대몽골국(Yeke Mongyol Ulus)초기에 몽골초원에 존재했던 다양한 이방인과 이문화의 흔적과 궁정에서 행해진 외교전례의 실상을 살펴보았다. 쿠빌라이 카안(Qubilai Qa`an)이 제국의 중심을 칸발릭Qan Baliq[大都]으로 옮긴 후에는 더욱 다양한 이방인들이 대몽골국을 방문하거나 몽골의 통치에 협력했다. 그러나 이런 현상이 갑자기 발생한 것이 아니라 대몽골국 성립을 전후한 시기에 이미 다양한 이방인들이 존재하였다는 점을 밝혔다. 대몽골국이 성립되면서 문서행정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고, 타타통가와 친가이, 발라 둥 다양한 출신의 인재들이 그 기초를 닦았다. 이어서 몽골을 방문한 중세 서양의 수도사들이 남긴 기록을 통해 몽골 궁정의 외교전례의 실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외교사절은 궁정에서 수 백 미터 떨어진 곳에서 말에서 내리고, 수석 서기가 호출할 때까지 기다렸다. 이후 호출을 받고는 숨긴 무기나 유해한 것을 지니지 않았는지 몸수색을 받고 궁정 안으로 들어갔다. 특히, 궁정으로 들어갈 때는 문지방을 밟지 않도록 단단히 주의를 받았다. 대칸 앞에서는 무릎을 꿇고 관리와 통역을 통해 간접적으로 대화를 나누었다. 카르피니는 훌륭한 통역을 만났지만, 루브룩이 방문했을 때는 좋은 통역이 없어 많은 불편을 겪었다. 이것은 당시 몽골에게 유럽이 그리 중요한 상대가 아니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뭉케 카안(Mongke Qa`an)이 루이(Louis) 9세에게 보낸 문서를 통해, 대몽골국의 카안이 발행하는 명령문의 정형구인 "영원한 하늘의 힘에 의해(mongke tngri-yin kucun-dur)"로 시작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음을 보았다. 이울러 몽골의 ``세계정복 선언"의 일면도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various form of diplomatic courtesy of the early Great Mongol Empire (Yeke Mongγol Ulus) court and to analyze diverse foreign cultures, or subcultures, of the Mongolian steppe culture. After Qubilai Qa`an moved he imperial capital to Qan Baliq, growing numbers of foreigners visited the Empire and cooperated with the Imperial govemment. But this phenomenon has a specific pericodical background and this study has elucidated the fact that there were already a large groip of foreigners from various cultures before or after the foundation of the Mongol Empire. Among them were merchants, warriors, priests, envoys, clerks, interpreters, translators, and prisoners of war(peasants and artisans). Cosmas from Russia made the throne and seals for an enthronement ceremony Guyug qa`an and Guillame Buchier from France made ``monggunmodu``, which is a sort of a water fountain providing five different kinds of drink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Empire, there was a bigger necessity for a construction of an administrative sytem, therefore, administrationists of various origins like Tatatongγa. Sigi Qutuqu, Cinγai, Kadac, and Bala built the administrative foundation of the Empire. Historical records made by western priests visited the Mongol Empire were used as an important source of the elucidation of the diplomatic courtesy of the Imperial Court in this study. Envoys had to get off their horses hundreds meters before the palace and waited for an order from the prime clerk of the court. After the order of entrance arrived, they had to get through a security check. They were specifically wamed not to step on thresholds in the palace. In front of the Great Qa`an, they had to fall on their knees and talk to the Qa`an through interpreters or vassals. Plano de Carpini was fortunate enough to have a competent interpreter, but William of Rubruck was not too lucky and he had to trouble himself to communicate with Monglians. This suggests that Euroe was not regarded as an important diplomatic partner by the Mongol Empire. There is a letter from Mongke Qa`an sent to Louis IX still exists and this letter has a specific wording of the Qa`an`s official order, which starts with "In the power of the everlasting God(mongke tngri-yin kucun-dur)". And one can also have a glance at the declaration of the conquest of the world from the letter.

      • KCI등재

        17세기 중반 問慰行을 통해 본 대일외교의 내용과 성격 - 1640․1651년 문위행을 중심으로 -

        이상규 조선시대사학회 2015 朝鮮時代史學報 Vol.75 No.-

        The Munwihaeng was sent to console the return of the Lord of Tsushima and congratulate on birth of a son of the Lord. The party of Tsushima pressed the Munwiyokgwan(問慰譯官) for omission of the statement to congratulate the birth of the son in the document(書契) of the Yaejoe(禮曹) but the Munwiyokgwan serenely explained the situation and their appeal was relieved. After diplomatic ceremony, both parties made their requests. The party of Tsushima wanted to purchase drugs that are interested by Dokukawa Bakuhu, requested to restore the suspended voyage of private ships, asked to elevate diplomatic level, and requested to move Waegwan(倭館) to Busancastle. The Munwiyokgwan explained or postponed answers to their requests but wanted Tsushima to mediate purchase of military materials and asked to relive the complaint on congestion of cotton. In the talk between the Lord faced the Munwiyokgwan, the Lord asked about the status of Joseon pressed by Qing Dynasty and, asserting that they might give external support, asked movement of Waegwan again. The Munwiyokgwan tried not to make any diplomatic mistake by vindicating the situation of Joeson reasonably. A Munwiyokgwan was sent in 1651 during a state funeral of Joeson but both parties conflicted in relation to the dresses of the diplomatic mission. The Munwiyokgwan said that they worn white official belts because they were in a state funeral but the party of Tsushima oppose saying that white official belts did not meet congratulatory ceremony. The party of Tsushima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purpose of such Munwihaeng was the return visit to two times of envoys for the state funeral of King Injo and Inauguration of King Hyojong. The party of Tsushima raised the problem that Joeson merchants had a serious difficulty in payment in silver currency in the market of Waegwan and added the complaint in the quality of cotton. The Munwiyokgwan said that Gyeongsangdo’s cotton in maximum and that, if there was any dissatisfaction concerned, the situation had to be understood. 1640년 문위행은 쓰시마 번주가 대마도로 돌아온 것을 위로하고 번주의 득남을 축하하려는 목적으로 파견되었다. 쓰시마측은 예조서계에 득남 축하의 구절이 없는지를 다그쳐 물었으나, 문위역관의 차분한 설명에 무색해지고 말았다. 외교의례 후에 양측은 자신들의 요구 사항을 제기하였다. 쓰시마측은 막부의 관심사인 약재 구입을 요청했고, 중단된 사선의 도해권 회복을 부탁했다. 외교 의례의 격을 높여달라고 하였고 부산성으로 왜관 이전을 요구하였다. 문위역관은 해명 또는 유보적인 답변을 하면서도, 쓰시마측에게 군사물자의 구매 중개를 요청하고 목면 적체의 불만을 누그러뜨려 달라고 하였다. 번주와 문위역관이 대면한 자리에서, 번주는 청에 압박된 조선의 처지를 캐물으며 자신들이 외원이 될 수 있음을 내세워 왜관 이전을 재차 요구하였다. 문위역관은 중태에 빠진 본국의 처지를 이치에 맞게 변호하여 외교적 누를 남기지 않으려 하였다. 1651년 문위행은 조선의 국상 중에 파견되어, 양측 간에 사신의 복장을 둘러싸고 해석을 달리하였다. 문위역관은 상중이므로 백색 관대를 착용하였다고 했는데, 쓰시마측은 길례에 백색 관대가 어울리지 않는다고 반발하였다. 쓰시마측은 문위행이 인조 국상에 조위하고 효종 즉위에 하례한 2번의 사자에 대한 답방임을 명시하려고 하였다. 쓰시마측은 조선 상인들이 왜관 開市에서 은화를 빚지는 것이 심각하다고 제기했다. 목면의 품질 요구는 강도가 높았다. 문위역관은 교린의 실정론으로 양해를 부탁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