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와카 번역사적 위치 - 『선역애국백인일수』-

        박상현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0

        본고에서는 식민지 시기에 발표된 와카 번역 및 와카 번역 텍스트를 통사적으로 살펴보았다. 최남선은 도쿠토미 소호의 <지기난(知己難)>을 조선어로 번역하여 『시문독본(時文讀本)』에 실으면서 기노 토모노리(紀友則)의 와카(和歌)를 시조 형식으로 옮겼다. 이광수는 명치천황과 이방자의 와카를 조선어로 번역했다. <명치천황어제근역(明治天皇御製謹譯)>과 <이방자전하어가9수(李方子殿下御歌九首)>가 그것이다. 서두수는 『만엽집(万葉集)』에서 ‘병사의 노래’만 골라 번역한 <防人歌(사모리노우다):치졸한 이식>을 발표했다. 김억은 『만엽집』을 발췌․번역한 <만엽집초역(万葉集鈔譯)>, 『애국백인일수(愛国百人一首)라는 와카집(和歌集)을 조선어로 옮긴 <선역애국백인일수(鮮譯愛国百人一首)>, 막부 말기의 애국지사로 미화된 인물들이 남긴 와카를 번역한 <순난유주(殉難遺珠)>를 식민지 조선에 각각 소개했다. 그리고 와카 번역집 『선역애국백인일수(鮮譯愛国百人一首)』도 상재했다. 식민지 시기에 와카 번역 및 와카 번역 텍스트는 주로 신문과 잡지라는 매체를 통해 식민지 조선에 수용됐는데, 김억의『선역애국백인일수』만이 유일하게 단행본이라는 형태를 갖추고 있었다. 번역문학사적 측면에서『선역애국백인일수』는 근대 최초의 와카 번역집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수록된 ‘서(序)’와 ‘권두소언(卷頭小言)’을 통해 이 와카 번역집의 성립 사정과 김억의 번역 의도 및 번역 방법 등을 비교적 자세히 알 수 있었다. 이 점이 식민지 시기에 발표된 최남선, 이광수, 서두수의 와카 번역과는 크게 다른 것이었다. 지금까지 김억은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근대번역시집을 출간한 번역가로, 그리고 최초의 근대시집을 출판한 시인으로 자리매김 되어 왔다. 하지만 앞으로 이와 같은 문학사 서술에 김억이 근대 최초의 와카 번역집을 간행했다는 사실도 들어가야 할 것이다. 이것이 설사 황국신민화와 ‘국어(=일본어)’ 보급을 위한 목적이었다고 해도 말이다. 문학사를 새로 써야 한다는 말이다. 이것을 명확히 지적한 것이 본고의 의의라고 생각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wakas and their translations translat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a syntactic manner. Choi Nam-seon translated Kino Tomonori’s wakas while Lee Gwang-soo translated the poetical works of Majesty Meiji Tenno and Lee Bang-ja’s wakas into Korean. In addition, Suh Doo-soo translated Sakimorinouta into the Korean language. Specifically, Kim Eok translated Mannyousyu and One Hundred Patriotic Poems into Korean. He also translated the wakas written by those who were hailed as patriots during the late Tokugawa period and introduced them to Joseon. He published One Hundred Patriotic Poems in Korean as well. The wakas and their translations during the colonial period were mostly introduced to Joseon through newspaper or magazines. Kim Eok’s One Hundred Patriotic Poems in Korean Translation was the only separate volume. One Hundred Patriotic Poems in Korean was the first waka translation edition in modern times. So far, Kim Eok has been remembered as the translator and poet who translated a collection of modern poems into Korea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rom now on, it should also be remembered that he was the first who translated a collection of modern wakas into Korean in Korea.

      • 와카(和歌)에 대한 밀교적 해석

        정천구(Jung Chun koo)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3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8

        『샤세카슈(沙石集)』는 중세 일본의 대표적인 불교설화집으로, 무주 이치엔(無住一圓, 1226∼1312) 이 편찬하였다, 이 책의 권5에는 일본의 고유한 시기인 와카(和歌)기 대거 수록되어 있어 주목을 끄는데, 특히 이와카에 대해 이치엔이 밀교적 해석을 덧붙이고 있어 고찰할 필요가 있다. 외카애 대해서는 가인들에 의해 문학적으로 해석되어 왔으나, 이치엔처럼 밀교와 관련지어 해석한 경우는 드물었다. 물론 이치엔 이전에 사이교(西行) 법사나 지엔(慈圓) 등과 같은 승려들에 의해서 와카가 진언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암시되거나 간략하게나마 거론된 적은 있다. 그러나 이치엔은 더욱 심도있게 해석을 하여 일종의 가론(歌論)을 마련하였다, 이치엔은 와카에 총지의 덕이 있다고 하면서 와카와 진언이 하나라는 주장을 하였다. 이러한 주정의 근거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기원에서 일본 토착의 신이 부르기 시작한 노래가 와카이고, 그 신은 부처나 보살과 다르지 않은 존재이므로 와카는 곧 부처의 말씀과 같다는 것이다. 둘째는 와카의 글자 수 서른 한 자가 『대일경』의 서른 한 품과 같다는 것이다. 셋째는 "입에서 나온 말은 모두 진언이다"는 것을 틀어 와카 또한 입으로 나온 말이므로 진언과 다르지 않다고 한 것이다. 이치엔의 해석은 그대로 중세적 사유의 전환을 보여주는 것이다. 중세전기에는 문명권의 중심부와 주변부가 우열의 판제에 있어서 주변부는 중심부에서 공동문어인 한자와 보편종교인 불교를 받아들여서 높이 받들며 열등한 처지에 있었으나, 중세가 진행되면서 차츰 자국의 문화를 새롭게 인식하면서 중심부와 대등하다는 인식을 하기에 이르렀다. 그렇게 문명권의 문화는 서로 대등하다는 인식을 잘 보여주는 것이 와카에 대한 밀교적 해석이었다. 즉, 주변부의 노래인 와카가 문명권에서 공통적으로 창작되던 한시와 다르지 않고 와카에 담은 뜻이 불교의 핵심과 통할 수 있다는 것을 근거로, 중심부와 주변부는 대등하다는 것이었다. Muju Ichien(無住一圓, 1226∼1312) wrote a book titled Shasekishu(沙石集) in which is comprised many tales concerned with Buddhism and explanations for its tales. Especially, he compiled a hundred Waka(和歌) in volumn 5 and explained them in detail and in depth. WaKa is poetry native to Japan from ancient times, and has been explained from the viewpoint of literature by many poets. But Ichien explained it from the viewpoint of Tantrism(密敎). He was not originated in its explanation and inspired by predecessors who are Buddhists of Sagyo(西行) and Jien(慈圓). They suggested or explained briefly that Waka is connected with Dharni(眞言). Ichien said that Waka has the virtue of Dharni, and insisted that waka is the same with Dharni. His explanation is based on following facts. First, originally waka was sung by the native god who is not different from Budda or Boddhisattva. Therefore waka is the same with words laid tongue of Buddha. Second, waka is composed with 31 syllables, and its number is the san1e with chapters of Great Sun Sutra(大日經) which is the fundamental Sutra in Tantrism. Third, on the ground that all words from the tongue are Dharni, he insisted that waka sung by a spoken language is not different with Dharni. The explanation of Ichien indicated that a way of thinking was changing in n1iddle ages. Early in the middle ages, there was a relationship of superiority or inferiority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of the civilization. In the East Asia, the people in the periphery had to adopt Chinese character and Buddhism to aspire to attain to the cultural society. It was because they were in inferiority. But they were getting to recognize their native culture from the other viewpoint, and finally attained to the awakening that the culture of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is equal in value. Ichien showed that equality in his Tantric explanations of Waka.

      • KCI등재

        육당 최남선의 조선어역 와카 연구 - 와카 번역사적 위치 -

        박상현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8

        식민지 조선에서 최남선, 이광수, 서두수, 김억이 조선어로 옮긴 와카 및 와카 번역 텍스트를 통사적으로 살펴보았다. 최남선의 경우는 <지기난(知己難)>에 번역․수록되어 있는 기노 토모노리(紀友則)의 와카(和歌)를 검토했다. 한편 이광수의 <명치천황어제근역(明治天皇御製謹譯)>과 <이방자전하어가9수(李方子殿下御歌9首)>, 서두수의 <防人歌(사모리노우다):치졸한 이식>을 살펴봤고, 김억의 <만엽집초역(萬葉集鈔譯)>과 <선역애국백인일수(鮮譯愛國百人一首)> 그리고 <순난유주(殉難遺珠)> 및 <우국유주(憂國遺珠)>도 고찰했다. 결국 와카 번역사적 측면에서 최남선의 와카 번역은 다음과 같은 어떤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첫째, 과문한 탓인지 모르겠지만 최남선의 와카 번역은 식민지 시기 최초로 시도된 와카의 조선어역이었다. 둘째, 그는 와카를 최초로 시조 형식으로 옮겼다. 셋째, 와카의 가어인 ‘君(きみ, KIMI)’를 ‘님’으로 최초로 번역했다. 넷째, 와카를 도착언어중심주의로 번역했고, 자국화로 옮겼다. 최남선의 와카 번역에 관한 연구는 시작된 지 얼마 안됐다. 앞으로 연구할 테마가 적지 않다는 말이다. 예컨대 최남선의 와카 번역 전략은 도착언어중심주의였고, 자국화였다. 김억도 와카를 도착언어중심주의로, 자국화로 옮겼다. 와카 번역 양상에서 최남선과 김억은 동일했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떤 영향 관계와 상관 관계에 있는 것일까? 한편 해방 후 김사엽도 역시 시조 형식으로 만엽집을 우리말로 옮겼다. 이들은 또한 어떤 영향 관계와 상관 관계에 있는 것일까? 추후 새로운 글에서 구체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aka and their Korean translations by Choi Nam-seon, Lee Gwang-soo, Suh Doo-soo, and Kim Eok in a syntactic manner. First, it reviews, in the case of Choi Nam-seon, Kino Tomonori’s waka compiled in “Tikinann”. In addition, “Value of the Poetical Works of Majesty Meiji Tenno”, “Lee Bang-ja’s Nine Royal Verses”(translated by Lee Gwang-soo), “Sakimorinouta”(by translated by Suh Doo-soo), “Abridged Translation of the Mannyousyu”, “One Hundred Patriotic Poems in Korean Translation”, “Zyunanyuizyu” and “Yuukokuisyu”(translated by Kim Eok) are examined. It then asks, where Choi Nam-seon’s translations stand in the history of waka translation? The aforementioned reviews found the following: first, it is not if this was because of limited information, but Choi Nam-seon’s translation was the first attempt to translate waka into Kore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Second, he was the first person who translated waka into a sijo(Korean poem) form. Third, he was the first to use the word “nim“(Mr./Mrs.) for “Kimi.” Fourth, he localizes waka by translating them in an indigenous language-centric manner. The history of studies on Choi Nam-seon’s waka translation is short, which means that there are still many topics to study.

      • KCI등재

        『헤이케 모노가타리』(平家物語)에서의 와카(和歌)의 역할과 의미

        張永喆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5

        <헤이케 모노가타리>(平家物語)에는 와카(和歌)가 약 100수 수록되어 있다.(가쿠이치본 覺一本의 경우) 권1부터 권12 및 관정권(灌頂卷)에 이르기까지 빠짐없이 나타난다. 기능적으로는 연애시, 망향가, 임종시, 진혼가, 기원의 시, 탁선(託宣), 풍자시 등으로 나타난다. 작품 전체 차원에서는 이야기 현재와 직접 연관된 와카와 고사, 회고, 유래 등과 관련된 와카가 혼재한다. <헤이케 모노가타리>에서 와카는 작품 전체 구성과의 연관성 및 개별 장면에서의 필요성에 의해 적절히 구사된다. 그럼으 로써 다다노리(忠度)의 도성 탈출과 전사, 시게히라(重衡)의 생포와 처형, 겐레이몬인(建禮門院)의 출가와 왕생 이 야기가 큰 줄거리의 헤이케 이야기에 수렴된다. 와카는 <헤이케 모노가타리> 안에서 작품이 의도하는 인물상을 구현하는 데 기여한다. 나아가서 와카는 등장인물 과 독자(또는 청자) 사이의 공감대 형성에 큰 역할을 한다. 와카를 포함하여 문장으로서의 운율성은 그런 역할을 더 욱 확장시킨다. <헤이케 모노가타리>에서 와카의 의미는 등장인물의 고양된 감정이나 생각을 말로 이끌어낸다는 점에 있다. 이를 통해 그 사람됨이 확인된다. 인간 자체가 미화되기도 하고 그가 산 운명이 모순됨을 알리기도 한다. 또한 와카는 등 장인물끼리의 감정 교류를 확실히 드러내 준다. 대화의 효과를 거두기도 한다. 와카를 통해 사건 전개가 심화되거 나 사건의 결과를 음미하게도 한다. 또한 와카는 인간과 신의 교류의 의미도 갖는다. 기원, 탁선, 진혼 등의 와카가 이에 해당한다. Heike Monogatari contains about one hundred Japanese poems, each of which can be classified as a poem of love, homesickness, or the closing of life, or as a requiem, prayer, oracle, or satire. As a whole, the Japanese poems can be distinguished by whether or not the storytelling is set in the present. Some are historical poems, made up of a reflection and historical account, including the lives of important figures. Poems recounting the escape and death of Tadanori, the capture and execution of Sigehira, and the entry into priesthood and attainment of Nirvana by Kenleimonin, are assembled into the story of Heike. The role of the Japanese poems in Heike Monogatari contributed to the materialization of characters, and gained the sympathy of readers. The rhythm of the words emphasizes the elevated thoughts and feelings of the poems’characters, attempting to establish a mutual sympathy between humanity and the gods.

      • KCI등재

        헤이안 시대 연애담에 나타난 와카의 기능 ―가덕의 요소를 지닌 이야기를 중심으로―

        김태영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0 일본학연구 Vol.60 No.-

        모노가타리(物語)의 와카(和歌)는 당시의 풍속으로서의 와카 생활의 반영이기도 한 동시에, 작품 형성의 지향성을 가지고 모노가타리의 주요 장면에서 언어의 표현력에 기반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방법 의식에 의해 정위된다. 지금까지 작중와카에 관한 연구는 주로 표현론적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와카가 지닌 효용(노래의 덕)이라는 관점에서 모노가타리의 작중와카를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타모노가타리(歌物語)를 중심으로 한 『겐지 모노가타리(源氏物語)』이전 작품과 『겐지 모노가타리』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남녀 교류의 양상을 중심으로 증답(贈答) 장면을 분석해 보았다. <노래의 덕> 즉 와카 덕분에 지은 죄를 용서받는다는 이야기는 설화와 칙찬집 등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 <가덕설화(歌徳説話)>란 현실에서 읊어진 노래에, 그 노래가 가져온 <덕>이 비현실적 요소로서 추가됨으로써 생겨난 <설화>라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 <가덕>과 <가덕설화>를 따로 다룬 이유이기도 하다. 분석의 결과, 『고킨슈(古今集)』「가나 서문(仮名序)」이 선언한 <와카의 덕> 즉 와카의 힘에 대한 믿음은 우타모노가타리에서 특히 전형적으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으며, 『겐지 모노가타리』의 경우에는 주요 여성인물들이 지닌 개성이 그들이 읊은 와카에도 잘 드러나 있었다. 즉 <가덕><가덕설화>의 전형적 패턴인 ‘훌륭한 와카를 읊어 승진을 하고 처벌을 면한다’는 식의 이야기가 아니라 모노가타리의 전개방향을 반영한 와카 증답이 다채롭게 이루어지고 있고, 와카가 인물들 간의 관계의 복잡미묘한 흐름과도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Waka of Monogatari is a reflection of Waka as a custom of the time, and at the same time, it plays its role with the directivity of work formation and methodical consciousness that has an effect based on the expressiveness of language in the main scenes of Monogatari. Until now, studies on Sakuchū waka have mainly been done from an expressionistic point of view, and there have been no studies that have analyzed the Sakuchū waka of Monogatari from the point of view as an utility (the virtue of song) that Waka contains. In this study, it analyzed the scene of exchanging gifts in Waka focusing on the aspect of exchanges between men and women targeting previous works of 『Genji Monogatari』 and 『Genji Monogatari』 based on Uta-monogatari. <The virtue of Song>, that is a story of being excused for sin thanks to Waka can be seen in many of the stories and Chokusen wakashū, and, in particular, the 10th volume of 『Jikkinsyo』 deals with <the virtue of song> while enumerating virtues of talent and accomplishments in general including <The virtue of Chinese poetry> and <The virtue of a song>. <Katoku Setsuwa> is a narrative created by adding <Virtue> brought into the song recited in reality as an unrealistic element. In other words, <Katoku> and <Katoku Setsuwa> need to be dealt with separately in the research, and this study analyzes <Wakawa and story with the elements of Katoku>. As a result, the belief in <The virture of Waka>, that is the power of Waka, declared by 「Kanajo」 of 『Kokin-wakasyu』 showed typically in Utamonokatari, and in case of 『Genji Monogatari』 the intense individuality of the main female figures was well illustrated in Waka they sang. In other words, it found that Waka exchanges reflect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Monogatari were made colorfully, and Waka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complex flow of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but it’s not a story of typical pattern of <Katoku> and <Katoku Setsuwa> that recited ‘great Waka’ and got promoted or avoided punishment.

      • KCI등재

        『만엽집(萬葉集)』 완역서 연구 - 성과와 과제 -

        박상현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0 비교일본학 Vol.48 No.-

        김사엽과 이연숙 그리고 최광준은 『만엽집』을 완역하고자 하는 목표는 같았다. 번역 도중 에 김사엽이 작고하는 바람에 그는 『만엽집』에 수록된 모든 작품을 우리말로 옮기지는 못했 다. 하지만 그의 번역은 후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이연숙은 김사엽을 비판적 으로 계승하여 『만엽집』 완역을 달성했고, 최광준은 독자적인 노선을 보이면서 『만엽집』 완역을 이루어냈다. 이로써 7-8세기에 성립됐다고 하는 『만엽집』이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한국 에서 번역되었다. 게다가 완역본이 2종이나 출간되었다. 일본문학번역사에서 큰 획을 그은 사건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일본문학번역사에서 큰 족적을 남긴 김사엽과 이연숙 그리고 최광준의 『만엽집』번역이지 만 이들 번역에 남겨진 과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첫째, 김사엽은 『만엽집』을 우리말로 옮길 때 번역본을 명시하지 않거나 복수의 번역본을 차용했다. 최광준도 번역본을 명확히 제시하지 않았다. 『만엽집』 원본이 현존하지 않고, 서로 다른 여러 사본과 판본 그리고 주석서만 남아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만엽집』을 번역할 때 는 이연숙처럼 자신이 차용한 번역본을 반드시 명시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둘째, 김사엽은 『만엽집』을 번역할 때, 와카의 리듬이 아니라 시조의 리듬으로 와카를 번 역했다. 현재 우리에게조차 잊힌 시조의 리듬으로 와카를 번역한 것에는 그의 민족주의 의식 이 반영되어 있었다. 반면에 이연숙은 김사엽을 비판하면서 와카의 리듬대로 번역했다. 와카 의 음수율을 존중하는 것도 중요하기는 하지만 한국 독자에게 이런 리듬은 어색하다고 말하 지 않을 수 없다. 한편 최광준은 정형시의 모습을 보이는 와카를 자유시처럼 번역했다. 이해 하기 쉽기는 하지만 와카가 가지는 음악성이 살아 있지 않다는 아쉬움이 없는 것도 아니다. 이들이 보여준 삼인삼색(三人三色)의 와카 번역은 와카를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를 보여준 구 체적인 사례라는 점에서 큰 성과다. 하지만 와카가 가지고 있는 음악성을 살리면서 독자친화 적인 번역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과제도 동시에 남기고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향후 번역자간에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김사엽과 이연숙은 『萬葉集』를 우리식 한자읽기로 『만엽집』으로 표기했지만, 최광준 은 일본식 한자읽기로 『만요슈라고 적고 있다. 이렇듯 『萬葉集』라는 서명조차도 번역자 사 이에서 어떻게 우리말로 옮길 것인가에 대한 일치된 의견이 없다. 이밖에도 『만엽집』에는 독 특한 용어가 많이 나온다. 예를 들어 ‘사랑의 노래’를 가리키는 것으로 ‘相聞(そうもん)’이 있 다. 이것은 ‘사랑의 노래’ 혹은 ‘상문’으로 옮길 수 있다. 또는 ‘소몬’으로 할 수도 있고, 혹은 ‘소몬(相聞)’과 같이 일본식 한자읽기와 한자를 병기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번역하지 않고 한자로 ‘相聞’으로만 표기할 수도 있다. 이처럼 ‘相聞(そうもん)’이라는 용어는 5가지 정도 의 번역어를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이 용어에 대해서도 번역자간에는 아직 의견 일치가 없는 상태다. 와카의 음수율과 더불어 『만엽집』에 나오는 용어를 어떻게 우리말로 옮길 것인가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앞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In the translator of the Japanese literary works, the complete version of 『Manyoshu (萬葉集)』 left a big mark, but at the same time, there are some task. First, when translating 『Manyoshu』 into Korean, the translated version must be clearly identified. This is because the original 『Manyoshu』 does not exist. Second, some of the rhythms of Waka(和歌) were translated into rhythms of the Sizo(時調) and others were translated according to the rhythm of Waka. There was also a translation of Waka like free poetry. This is a great achievement in that it is a concrete example of how to translate Waka's rhythm. However, it also leaves the task of how to make reader 『friendly』ranslations while taking advantage of Waka's musicality. Third, there is no consensus among translators whether 『Manyoshu』 should be written as 『만엽집(manyeobjib)』 or 『만요슈(Manyoshu)』. In addition to the rhythm of Waka, I think that there should be an active discussion about how to transfer the name of the 『Manyoshu』 in Korean.

      • KCI등재

        다서(茶書)에서 보는 와카 和歌의 위치

        임찬수(Lim, Chansoo)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3

        다서에서 보는 와카는 크게 4가지 면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첫째는 다도의 미의식이나 사상적 배경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당시의 문화는 운문문학을 토대로 하고 있으며, 다도에 참여하는 통치자 귀족 중류계층의 무사나 승려 등도 와카나 연극 무용등 여러 장르의 소양을 갖추고 있었다. 따라서 와카로부터 미의식이나 표현방법을 차용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둘째는 교훈적인 내용을 담을 형식을 제공하고 있다. 물론 교훈적인 내용이 다도라는 양식에서 처음으로 시작된 것은 아니지만, 음률이 있어 외우기 쉽고 오래 기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다도에 임하는 마음가짐, 도구사용 및 배치법등과 같은 내용을 와카의 형식을 빌려 표현하고 있다. 세 번째는 다인의 개인적인 감정이나 일상사를 술회하는 방식이다. 대개의 경우 다인들은 와카나 렌가에 대한 소양이 있었고, 다도를 즐기는 상류계층의 사람들은 한시나 와카 렌가를 다도모임에서 같이 즐기기도 하였다. 따라서 차를 마신 뒤에 같이 시를 읊조리거나 다회가 끝난 뒤 편지로 다회에 대한 소감을 시로 표현하였다. 네 번째는 다도구의 명칭에 사용하였다. 다 도구는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고유한 명칭을 붙이거나 전해오는 도구 명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특히 와카에서 유래된 도구의 경우에는 이미 정형화된 이미지를 통해 전통미와 권위를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실의 거는 족자에 와카나 묵적을 사용하는 것도 불교 사상을 다도의 근본 사상과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지만, 전통성과 고전에 대한 권위의식도 작용하였다. Viewed from tea ceremony books, Waka affords four significant implications. First, Waka provides aesthetic consciousness or ideological backgrounds for tea ceremonies. The then culture was based on poetry literature and the cultured men had knowledge of Waka, play or dance. It is therefore evident that aesthetic consciousness or forms of expression were borrowed from Waka. Second, Waka embodies didactic contents. Although the didactic writing was not originated from tea ceremonies, the embedded tone and rhythm made it easier to memorize that one's attitude of mind towards attending tea ceremonies and ways to use tea services were expressed in forms of Waka. Third, Waka indicates personal feelings or relates the ordinary affairs of life. In most cases, tea-enjoying people were well-equipped with Waka or Renga. In fact, the tea-enjoying upscale were used to delight themselves with Waka or Renga during or after tea ceremonies by reciting and writing poems. Finally, Waka relates to the names of tea services and instruments. It was typical for people to give unique names or keep inherited names of tea services. Especially, tea services associated with Waka could attain classic beauty and authority through the stereotypical image. Although the Buddhist ideology laid a foundation of tea ceremonies, traditions and consciousness of authority with classics also affected the use of Waka or calligraphy in hanging scrolls in tea rooms.

      • KCI등재

        한국에서의 와카 번역사 연구

        박상현(Park, Sang Hyu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6 일본문화연구 Vol.0 No.57

        본고에서는 식민지 시기와 광복 후에 시도된 와카 (和歌) 번역 양상을 번역학의 관점에서 검토해보았다. 우선 식민지 시기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이 기간에 시도된 와카 번역양상은 와카를 시조 형식으로 옮기는 자국화 번역(최남선, 김억)과 와카의 리듬을 준수하여 옮기는 타국화 번역(이광수, 서두수)이 공존하며 경합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태평양전쟁기 직전과 전쟁기에는 타국화 번역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한편 광복 직후에 와카를 시조 형식으로 번역하는 자국화 번역(김사엽)이 있기는 했지만, 광복 후 대부분의 번역자는 와카를 타국화로 번역했다. 그런데 식민지 시기에 와카를 타국화로 번역한 배경에는 일본어로 된 원문에 대한 번역자의 존중과 경외가 있었고, 광복 후에는 와카는 정형시라는 것이 있었다. 따라서 언뜻 보기에 두 시기에 시도된 와카의 타국화 번역에는 어떤 공통점도 없어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중요한 공통점이 있다. 바로 원문과 번역문 사이에는 위계질서가 있다는 인식, 곧 원문 중심주의가 뿌리 깊게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다.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South Korea, there were two approaches to translating waka. First, there was domestication, in which waka was translated into sijo (Korean poem) form. Second, there was foreignization, in which waka was translated into Korean, in compliance with Korean’s own rhyme. Right before and during the Pacific War, around the time of the national liberation, Kim Sa-yeop translated waka into Korean in sijo form. Since then, however, most translators have preferred foreignizing translations.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foreignizing translation was dominant in waka translation patterns. This was true during the colonial period because of the Pacific War and translators’ respect for the original Japanese-language texts.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there was a fixed form of verse in Japanese. Therefore, at first glance, it would appear that there were no similarities between the foreignizing translations of waka don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those done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However, they actually share an important common feature – a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verse and its translation. In other words, original-text centrism is deeply rooted.

      • ‘와카(和歌)’를 통해서 보는 전통과 현대

        斎藤麻子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논집 Vol.23 No.-

        ‘와카’는 오래전부터 일본인의 심정을 표현하는 정형시(詩)로 고대부터 계승되어온 일본문화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와카의 창작이란 문예적 창작이며 개인 심정의 표출임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향수되는 장소나 방식은 위정자(為政者)와의 관계를 끊을 수 없었다.9세기에 궁정에서 천황에 의해 개최된 ‘우타 아와세(歌合)’는 와카의 창작이 집단적으로 행해졌고 또 그 와카의 우열(優劣)을 승부하는 시합 형식으로 오락성을 겸한 행사였다. 천황이 왕비의 외가세력에 대항하기위해 ‘우타 아와세(歌合)’를 열고 칙찬집(勅選集)의 편찬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12세기 후 ‘우타 아와세(歌合)’에 종교적인 색채가 더해져 와카 계의 뛰어난 가선(歌仙)들의 공양이라는 ‘에이구(影供) 우타 아와세(歌合)’가 탄생하였고, 이는 절이나 신사(神社)에서도 열렸는데, 그 배경에는 ‘언령신앙(言霊信仰)’이 있었다. 또 이 시대에 새롭게 정권을 장악한 무사계급에게 전통성을 가진 와카는 자기 정당성을 구현하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었다. 17세기 포르투갈의 카드로부터 전래되어 형성된 ‘햐쿠닌잇슈 가루타(百人一首カルタ)’가 성행하고, 메이지(明治) 시기에 들어와 그 방식이 획일화됨으로써 근대국가의 정신적 통제 수단의 역할을 완수하기에 이르렀다.집단적으로 와카를 향수하는 ‘우타 아와세(歌合)’, ‘에이구(影供)’, ‘햐쿠닌잇슈 가루타(百人一首カルタ)’는 와카의 계승에 큰 역할을 했는데 그 전통성 유지에 있어서는 정치적요소도 배제할 수 없다. Waka, a fixed form of Japanese poetry expressing emotion, developed since ancient times and became the core of Japanese culture. However, the traditionality of waka is deeply related to where and how it has been enjoyed.Uta-awase, has entertainment elements to distinguish the superiority of waka through group competition since the ninth century. However, the function of the Waka(uta-awase) has been evolved indifferent ways. It was used as emperor to confront the relatives of the queen, Buddhist to show their offerings to great kasen(歌仙: master of waka), with the notion of “faith in word spirit(言霊信仰)”, warriors to express their legitimacy and traditionality, andcontrol the minds of Japanese people in modern times.Waka has seen continual success with the constant creation of new venues for it to be composed and enjoyed as a group. Japan's governing class has also helped this form of poetry by recognizing it as a tool for justifying themselves and expressing their legitimacy.

      • KCI등재

        와카의 가재(歌材)와카미즈에 관하여

        권혁인 ( Kwon Hyuk-i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7 日語日文學硏究 Vol.100 No.2

        본 연구는 `와카미즈` 라는 와카의 소재가 어떤 위상을 가지는지에 대해서 만엽시대의 `오치미즈`와 비교하여 고찰한 것이다. 헤이안시대 말엽에 갑자기 등장한 `와카미즈`라는 소재는, 일찍이 일본의 민속학자 오리구치씨에 의해 와카미즈론이 생겨나면서 민속신앙의 원류에 관한 뜨거운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지만, 언제나 만엽시대의 `오치미즈`와 동일시 되어 취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달의 오치미즈` 가 가지는 신화적 배경과 `입춘의 와카미즈`라는 궁중행사로써의 문화적 배경사이에는, 고대의 풍속이 왕권의례와 겹쳐지면서 변모된 과정이 있음을 논증했다. 따라서 와카사(和歌史)에 있어서는 와카의 소재로써는 전혀 다른 용법으로 수용되었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었다. 만엽시대의 용어로 국한되면서 고대인들의 불로장생의 신선사상이나 선약(仙藥)이라는 이미지에 고정된 `오치미즈`와는 달리, `와카미즈`는 입춘의 궁중 의례에 사용되는 전문가인들의 영진(詠進:시가를 지어 바치는 행위)에 사용되는 전문가어(歌語)로서의 위상을 가진다. 그리고 이 `와카미즈`는 헤이안 말엽부터 가마쿠라시대까지 집중적으로 전문가인들에게 답습되면서, 문화적인 입지를 단단히 다지게 된다. 이어 후대의 하이쿠에 이르러서는 신년의 계어(季語)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가어로 발전하는 양상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the phase of singing material "Wakamizu" from the relation with "Ochimizu". It is clear how the culture of "Oshimizu", which is said to originate from China`s immortal thought and the Ryukyus`s private customs, entered into the Heian dynasty, how it transformed and secured the cultural phase. At the event of "Kyou-wakamizu", a song using a singing material called "Wakamizu" by a special poet is offered. Therefore, it came to be positioned as the main singing material to the master praises by the special poet. In the flow of Waka, you can explain that "Ochimizu" and "Wakamizu" secured a distinct self-domain of mythicity and occasionality. Manyo `s "Ochimizu of the Moon" turned into the "Wkamizu of The first day of spring" at the end of the Heian period. It can be judged that the royal ceremonial ritual has influenced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from such a series of "Ochimizu of the Moon" to "Wkamizu of The first day of spring". At the beginning of a new period of spring time, as a ceremonial ceremony of "life" regeneration and revival, "Kyou-wakamizu" gave the opportunity to use poetry material "Wakamizu" different from "Oshimizu" to poetry at the time, It was succeeded by the outstanding singers of the later singing altar and acquired the current cultural ph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