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션브랜드의 옴니 체험 공간을 위한 사례 연구 -디지털 전략을 중심으로-

        양송이 ( Yang Songi ),이정교 ( Lee Ju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패션비즈니스시장은 온라인과 디지털시장으로 인해 가파르게 환경의 변화가 도래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흐름과 최근 covid-19로 인하여 언택트, 온택트 등의 새로운 소비 트렌드는 패션시장의 더 빠른 변화를 재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현대의 패션 공간은 다양한 컨텐츠와 공간 연출을 함으로서 대중이나 패션, 관련된 학회 등에 관심을 충족시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Covid-19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던 지난 2월에도 많은 패션브랜드들은 패션쇼를 열었지만 무관중으로 대체하고 온라인 생중계를 하였다. 그러나 첫 번째 디지털 패션위크 경험은 이전처럼 온라인 바이럴을 일으키지 못했는데 아마도 직접 런웨이를 보는 생동감이나 감동 등 실질적 공간에서 느껴지는 물리적인 경험을 대체하기에는 아직 부족한 면이 많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방법으로 코로나 이후의 새로운 일상을 뜻하는 뉴노멀 시대가 격리와 연결의 공존을 만들어내는 옴니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 브랜드들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온라인 오프라인을 통합하는 옴니체험전략, 운영프로그램, 구현기술 등을 분석, 구체화 함으로서 패션 브랜드의 옴니적 체험의 지향성과 가능성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패션 브랜드 공간의 개념과 특징, 옴니 체험 채널의 정의와 옴니 체험 체널을 위한 디지털 프로그램과 전략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또한 선정된 브랜드의 사례조사를 통하여 각 브랜드의 특징과 활용하고 있는 옴니채널 전략을 중심으로 온/오프라인 공간에서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전략을 살펴보았다. (결과) 모든 브랜드들이 온/오프라인에서 VR, AR, AI, IOT 등의 디지털 기법을 사용하여 관람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주는 마케팅을 펼치고 있으며 고객과 상호작용하는 기회를 얻고자 한다. (결론) 이처럼 옴니 체험적 요소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경험을 믹스하며 체험자에게 만족을 주며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는 마케팅 방법이다. 앞으로 패션 공간의 방향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어떻게 융합하느냐에 달려있다. 실제 존재하는 공간에서의 패션 공간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며 그 안에서 고객과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이에 패션 공간은 옴니 체험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관람자의 브랜드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원활한 소통이 가능할 수 있도록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변화하는 사회를 투영해야 하는 전시의 역할에 새로운 가치를 찾아내어 창의적인 콘텐츠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modern fashion business market is rapidly changing the environment due to the online and digital markets. In particular, due to the tren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ecent covid-19, new consumption trends such as untact and on-tact are urging a faster change in the fashion market. Against this background, modern fashion exhibitions are showing the appearance of satisfying interest in the public, fashion, and related conferences by creating various contents and spaces at the level of museums or companies. Even in February, when Covid-19 began in earnest, many fashion brands held fashion shows, but replaced them with no spectators and broadcast live online. However, the first digital fashion week experience did not cause online viral as before, perhaps because there are still many insufficient aspects to replace the physical experience felt in a real space, such as the liveliness and emotions of seeing the runway. As a strategic way to cope with this, it is predicted that the new normal era, which means a new everyday life after Corona, will become an omni that creates coexistence of isolation and connection.Therefore,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conduct research on the premise that the exhibition space of the fashion brand in the future needs omni-directional experiential marketing in a way that takes into account various tastes and distribution structures across offline and online for quick and efficient communication with viewers. (method) This thesis examin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brand space, the definition of an omni experience channel,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igital programs and strategies for the omni experience channel. In addition, through a case study of selected brands, the digital strategy used in the online/offline space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rand and the omnichannel strategy used. (Result) All brands are engaged in marketing that gives viewers a new experience using digital techniques such as VR, AR, AI, and IOT both online and offline, and wants to get an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customers. (Conclusions) As such, the omni experience element is a marketing method that mixes offline and online experiences, gives satisfaction to the experiencers, and raises brand awareness. The direction of fashion exhibition in the future depends on how to integrate online and offline, transcending time and space. Fashion exhibitions in the actual space will continue in the future,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will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Therefore, the fashion exhibition actively utilizes the omni experience method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the spectators to the brand and to find new values in the role of the exhibition, which should reflect the changing society by actively using online and offline to enable smooth communication. You will have to move on to creative content.

      • KCI등재

        만달라에서 네트워크로: 므란따우(Merantau) 예술가의 귀환과 장소성의 재배치

        이창규 한국동남아학회 2023 동남아시아연구 Vol.33 No.3

        In this article, I conduct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intricate interconnections within the Indonesian art scene,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artistic endeavors of Seniman Merantau. These artists have established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prominent artistic centers like Yogyakarta and Bandung in Indonesia, while also demonstrating a propensity for settling in various locations, including their hometown. The study places particular emphasis on the Tambo Art Center (TAC) in Bukittinggi, West Sumatra, and explores the alternative art community of Omnispace, which exists on the periphery of the Bandung Institute of Technology (ITB), a crucial hub for art education in Java. These entities actively challenge the prevailing Javacentrism paradigm and seek innovative approaches to redefine and relocate artistic spaces. To illustrate these concepts, a detailed case study of the avant-garde art project, Omnispace, operating on the fringes, is presented. Departing from the traditional focus on the tangible, political influence, and situational aspects of territory often encapsulated in the mandala model,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symbolic representation of artists who endeavor to establish renewed and reciprocal relationships by harnessing the agency inherent in their artistic creations. By adopting a holistic perspective that intertwines the practices of Merantau artists, I assert the significance of acknowledging the dynamic and open circulation of mediation and exchange facilitated by non-human actors and the materiality of artworks. 이 글은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 반둥과 같은 예술창작의 ‘중심’과 공생 관계를 맺고, 자신의 고향이나 타지에 정착한 므란따우 예술가(Seniman Merantau)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인도네시아 예술장의 중층성과 연결성을 검토한다. 특히 자바중심주의를 넘어 자신들의 네트워크를 이용해 새로운 장소성의 재배치를 모색하는 서수마트라 부낏띵기의 땀보 아트센터(TAC: Tambo art center)와 자바의 가장 주요한 예술 교육기관인 반둥공대(ITB: Institut Teknologi Bandung)의 곁(para-)에 위치하고 있는 옴니스페이스(Omnispace)의 대안예술프로젝트를 사례 분석한다. 므란따우 예술가의 ‘주변성’으로 시작한 예술프로젝트는 인도네시아 예술계 전반에 큰 파장을 일으킨다. 므란따우 예술가들은 예술계의 매개자, 특히 갤러리 관계자와 컬렉터들의 네트워크를 지방에 이식할 수 있는 조력자 역할을 하며 확장된 글로벌 현대미술의 장소성을 부여한다. 미디어 아트나 에코 아트와 같이 기존의 예술 장르와 문법에서 벗어난 예술생산-수집 방식들을 통해 지역의 토착 지식과 비인간행위자들이 작품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계기들이 생성된다. 만달라 모델이 포착할 수 있었던 영토의 물리적, 정치적 영향력 또는 상황적 귀속성과는 별개로, 이 글은 예술작품이라는 준-대상의 행위자성을 끌어와 새로운 공생적 교환관계를 갱신하고자 했던 예술가들의 상징적 조합으로 므란따우 예술가들의 실천에 접근할 것을 제안하고, 비인간행위자 내지는 작품의 물성(materiality)이 만들어 낸 매개와 교환의 열린 순환에 주목할 것을 주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