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교류와 온생명 개념에 기초한 ‘온문화’ 패러다임의 고찰과 학제간 융합연구 모형 제시

        최인령(Choi, In Ryeong),최무영(Choi, Moo Young)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1

        정보혁명이 지구촌 전체를 연결하며 인간의 삶을 정보 중심으로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정보 중심의 사회변동에 대한 인식에 토대를 둔 이 논문은 생명과 문화에 대한 근원적인 성찰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문화란 거대한 생명체와 같다’라는 제안으로부터 출발한다. 이에 따라 복잡계 물리와 정보교류 관점으로 생명과 문화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후에 온생명 개념에 기초하여 온문화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온 문화 패러다임은 정보혁명이 유발한 경제적 양극화, 생태계 파괴, 문화획일화 등의 부정적인 결과들의 극복을 위해 자연-인간-사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화해하는 문화 형식이다. 또한 오늘날 문화의 의미와 위상이 다원적이고 다차원적으로 확장됨에 따라 온문화의 분석틀로서 관념 · 조직 · 기술의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되는 인문학 · 사회과학 · 자연과학의 학제간 융합연구 모형을 제안한다. Recognizing that the information revolution connects the earth as a whole and changes the human life entirely into information-oriented one, this paper raises the need for fundamental reflection on life and culture and begins with the proposition that culture is the same as a huge life form. We thus attempt to interpret life and culture new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hysics of complex systems and information exchange, and present the paradigm of global culture based on the concept of global life. The global culture paradigm is a cultural format in which nature, humans, and society are organically connected and reconciled, in order to overcome such negative consequences as economic polarization, destruction of ecosystems, and cultural uniformization caused by the information revolution. Finally, as the meanings and phases of culture are diversified and expanded in a multi-dimensional fashion, we propose a model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humanities and social and natural sciences, which consists of three axes of ideology, organization, and technology, as an analysis framework of global culture.

      • 낱 생명

        전세일(Sae Il Chun) 한국정신과학학회 2008 韓國精神科學學會誌 Vol.12 No.2

        생명이란 영ㆍ위ㆍ생ㆍ식(榮衛生植)하는 존재를 말한다. 스스로를 영양할 수 있고, 방위할 수 있고, 복제할 수 있고 번식할 수 있는 존재이다. 생물체의 기본 단위는 세포이다. 세포 하나하나가 따로 따로 살아있는 생물체이다. 나의 몸을 이루고 있는 하나의 세포는 “낱 생명”이 되고 하나하나의 세포가 다 합친 내 몸 전체가 “온 생명”이다. 내 생명은 지구라고 하는 온 생명의 일부로서의 낱 생명이며, 지구 생명은 우주라고 하는 더 큰 온 생명의 일부로서의 낱 생명이 되는 것이다. 생명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낱 생명과 온 생명의 상관관계를 연구해야 할 것이다. A "living thing" can be defined as an identity which maintain the functions of nourishing self, protecting self, copying self, and multiplying self. Basic unit of a living thing is a cell which has an independent living ability. While a cell is considered to be an 'individual life', the entire body of a person's body can be considered to be a 'whole life'. likewise a person's body in return can be an relative 'individual life' as a part of universe which is a 'whole life'. In order to understand a life phenomena, inter-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whole life should be understood.

      • KCI등재

        특집 논문 : 생태철학과 생명 ; 환경윤리에서 생명 논의의 윤리적 함축과 전망

        김완구 ( Whan Ku Kim ) 한국환경철학회 2009 환경철학 Vol.0 No.8

        오늘날 문명의 발달로 전례 없는 환경이나 생명 관련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그것들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 그런데 사실 이 두 문제는 별개의 문제가 아니고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에 같이 논의되어야 한다. 환경은 생명을 가진 존재들을 둘러싼 것을 지칭하는 말이고 그 환경에 둘러싸인 것이 바로 생명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생명의 정체를 밝히는 작업은 간단치가 않다. 그럼에도 이런저런 이유들로 사람들은 보통 생명이라는 현상은 그 자체 소중히 여겨야 할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이야기한다. 그러한 가치를 사람들은 흔히 본래적 가치라고 한다. 환경 윤리와 철학에서 논의되는 주요 문제들의 큰 줄기는 바로 여기에서 출발한다. 생명이 가치를 가지고 그래서 소중히 여겨져야 한다면 그것을 유지시키기 위한 조건들로서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어떤 것들도 어떻게든 소중한 것으로 여겨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환경 윤리 및 철학적 논의에서 소중히 여겨야 하는 대상의 범위는 인간 생명에서 시작해서 그 생명을 가능케 하는 존재인 다른 생물적 환경이나 무생물적 환경에까지 점점 확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존재들의 위상 및 가치에 대해서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환경 철학과 윤리의 핵심적인 주제가 된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생명의 정의, 생명의 범위 그리고 생명의 가치와 관련한 여러 철학적 문제들이 등장하게 되지만, 무엇보다도 주목해보아야 할 문제 중의 하나는 그러한 것들에 가치를 부여하고 소중히 여기는 데서 발생하는 각 개체생명들 간의 갈등 또는 각각의 개체생명과 전체생명들이라고 할 수 있는 ‘온생명’이나 ‘생태계들’과 같은 전체들 간의 갈등의 문제이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몇몇 철학적 논의들을 통해 검토해 볼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는 인간의 생존과 지구생존의 위기를 맞고 있는 오늘날 이러한 논의들이 가지는 윤리적 함축 및 그것의 실천가능성에 대해 간략하게 탐색하면서 이러한 문제의 효과적인 해결을 위한 앞으로의 작업방향을 제시한다. These days, human beings face unprecedented problems occurring in the field of environment and life, with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So many peoples are much concerned about these challenges. However we must explore these together,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The term environment refers to conditions surrounding a life form, and so-called life is something surrounded by environment. But It is not so easy to define and identify life clearly. Nevertheless people say that life is valuable in itself and so we must treasure it. That is the very intrinsic value problem. The main issues in the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ethics start from this point. First we confer intrinsic value to the human life and in turn to all other living things. But these individual lives on which intrinsic values are conferred can`t exist independently of other living things including non-living things. They have ne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o sustain their own life. If so, other living things and non-living things have to be conferred the same value. Therefore intrinsic value conferring objects are extended from human life to non-living things or life as a whole, that is, `global life`, `ecosystem` and the like. Several issues, such as the definition and the boundary of life, appear from this extensionism, but central to the process of extending intrinsic value to the several objects is the problem of conflict between an individual life and life as a whole. Thus in this paper I focus on these arguments some philosophers have made and examine the ethical implications of this arguments. But this work is not easy. And finally I suggest a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특집논문 : 보생명과 움벨트 개념 탐색 -환경 교육의 관점에서-

        김남수 ( Nam Soo Kim ) 한국환경철학회 2013 환경철학 Vol.0 No.16

        이 글은 자기와 주변 세계의 관계를 내포하고 있는 개념어인 보생명과 움벨트 개념을 탐색하였다. 환경이라는 용어는 자기와 주변 세계의 관계를 내포하지 않아서 항상 ‘친’혹은 ‘자기’와 같은 수식어를 필요로 한다. 움벨트와 보생명 개념은 각각 유기체의 고유의 세계와 개체 생명을 생명이게 하는 세계라는 의미이다. 두 개념은 공통적으로 유기체와 주변 세계와의 관계가 상보적이며 하나의 전체를 이룬다는 점을 의미하므로 나와환경과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움벨트 개념은 보생명 개념에서 깊이 해명하지 않은 주체적인 세계를 주로 다룬다는 점에서 보생명론을 보완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다. 한편 낱생명의 움벨트는 보생명과 다르게 해당 낱생명의 생존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들을 모두 포섭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기후 변화와 같이 인류가 공동으로 진단하고 대처해야 할 사안에 대해서 이해 기준과 행동 지침을 정하려면 인간 공동의 모형인 현대 과학에서 파악한 보생명의 모습에도 주목해야 한다. 두 개념은 우리에게 지속가능성 과학에 대한 학습, 낱생명의 움벨트 이해와 존중, 공동 움벨트를 위한 학습과 소통 등 여러 가지 함의를 제공한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이 글은 우리가 관행적으로 환경이라 부르던 대상을 보생명으로 부르기를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plored the concepts of co-life and umwelt which conno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the surrounding world. The term ‘environment’ always needs modifiers such as ‘pro’ or ‘self’ since it does not conno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the surrounding world. The concepts of umwelt and co-life suggest the distinct world where an organism exist and the world that makes an individual life within it exist as a life, respectively. The two concepts share the meaning that an organism and the surrounding world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s, and consist of a whole, thus naturally conno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the environment. The idea of umwelt can complement the co-life theory usefully in that it involves the subjective world which is not explicated by the idea of co-life. Meanwhile, the umwelt of an individual life does not embrace all the aspects necessitated for the survival of that life. Therefore, to determine the criteria for understanding and action guidelines regarding the matters that require the diagnosis and the response that the mankind should make, e.g. climate chang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features of co-life grasped by the modern science which itself is a model agreed by the mankind. The two concepts provide us with various implications such as learning about sustainability science, an individual life`s understanding about and respect for co-life, and learning and communication towards a shared umwelt. Based on these, the paper proposes to use the term ‘co-life’ in place of the conventionally-used word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몸과 기계의 경계 : 사이버네틱스, 인공생명, 온생명

        김재영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09 탈경계 인문학 Vol.2 No.2

        Gregory Bateson described the problem of prosthesis: Whether the cane for the eye-handicapped belongs to the body of that person? This question from posthuman studies concerns the interface between bodies and machines. I approach to the question from three viewpoints: (1) cybernetics and the problem of the observers, (2) Artificial Life (A-Life) and the boundary of life and non-life, and (3) Global Life (or On-saeng-myeong) and the so-called Seoul interpretation of quantum mechanics. The proponents of cybernetics in the 1940s regarded both animals and machines as self-regulating homeostatic systems. Thus cybernetics blurred the boundary of the living and the non-living systems. Bateson, Heinz von Foerster, and Humberto Maturana discussed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 “observers.” They argued that the genuine cybernetic systems must include the observer as part of the systems. Thus the interaction and the interface between the living and the non-living systems is of great significance. The researchers on A-Life concern with producing the life-as-it-could-be beyond the life-as-we-know-it. Hence A-Life seems to be suitable for the further discussion of the interface between bodies and machines. But A-Life itself lacks the ontological distinction of life and non-life. However, the theory of Global Life (or On-saeng-myeong) discusses the true nature of what life is and articulates the concept of life from the general philosophical and/or physical viewpoint. Thus it gives the better starting point of the ontological demarcation between the living bodies and the non-living machines. In that sense, the question of prosthesis can be correctly explored in the theory of Global Life. Moreover, the Seoul interpretation of quantum mechanics argues that the measurement process is not only the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the system and the apparatus, but the transaction of communicating the informations between the observer and the observed. Therefore the apparatus for the observation should be regarded as part of the observer. The problem of observers in cybernetics can be solved from the Seoul interpretation of quantum mechanics. This article corresponds to the first part of the long-term research project of making out the boundary or interface between the living bodies and the non-living machines. I argued that Global Life and the Seoul interpretation of quantum mechanics provide with the correct starting point for this problem of prosthesis.

      • KCI등재

        녹색이 평화다 : 생명의 관계성과 종교

        이찬수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5 No.-

        환경(environment)이 인간에 대해 타자로 구성된 세계라면, 생태계(eco-system)는 나와 타자가, 인간과 자연이 유기적으로 얽혀있는 체계이다. 사회, 정치적 시스템도 생태계에 어울리게 재구성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확대되면서 새롭게 등장하고 부각된 언어가‘녹색’(green)이다. ‘녹색’은 자연에 대해 일방적 주체 의식을 가지지 않으면서, 자연의 일부로서의 인간됨을 살려나가는 과정에 부각된 은유적인 언어이다. 녹색의 기초는 생태적 질서이고, 자연과의 유기적 관계성이다. 그러면서 생태적 자세가 사회화 내지 문화화될 수 있도록 하는 정치적 입장이나 자세도 들어있다. 이 녹색 정치는 생태적 질서의 문화화와 생활화를 통해 이루어지면서, 녹색적 가치가 생활화될 수 있도록 추동하는 시스템이기도 하다. 갈퉁(Johan Galtung)이 인간의 내적 평화를 위해서라면 일상의 작고 수평적인 구조가 필요하다고 보는 이유도 녹색은 결국 생활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삶의 방식과 정서, 마음가짐 등이 녹색사회의 가장 기초에 있다고 갈퉁은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녹색의 속성을 ‘관계성’ 과 ‘생명’으로 잡고, 불교적 세계관과 장회익의 온생명(Global life) 이론, 그리고 신학적 입장 등을 교차 비교하면서 녹색을 종교가 지향하는 평화 및 갈퉁이 말하는 ‘적극적 평화’(positive peace)의 개념 및 상태와 연결짓고자 한다. ‘적극적 평화’가 직접적, 구조적, 문화적 폭력이 극복되고 건강한 관계성이 정치, 경제, 사회적인 차원으로 구체화된 상태라면, 그것은 녹색이 지향하는 상태이기도 하다. 동시에 이러한 타자와의 유기적 관계성과 건강한 생명의 사회화는 사실상 종교적 이상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녹색, 평화, 종교는 근원적인 차원에서 비슷한 구조와 내용을 한다. 이런 시각으로 본 논문에서는 녹색의 정치, 경제적 함축성을 종교적 세계관과 연결짓고, 관계와 생명의 건강함을 나타내주는 사회적인 언어, 즉 ‘평화’로 번역해보고자 한다. When an environment is a world consisted of the others to humans, an ecosystem is a system where humans and nature are organically interconnected. The term ‘green’ was born as the idea of reorganizing society and political system to be in harmony with eco-system has become significant throughout the world. ‘Green’ is a figure of speech that is not of a unilateral subject matter, but of a process where humans are acknowledged as a part of nature. The basis of ‘green’ is built upon ecological networks and its close relationship with nature. ‘Green’ also incorporates a political stance that encourages ecofriendly attitude to be enculturated and socialized. Green politics, which is a system that empowers the green value to be part of human life, is accomplished through enculturation and regularization of ecological order. The reason Johan Galtung believes that in everyday lives, small horizontal structures are needed is because ‘green’ deals with things that happen in the realm of life. Galtung states that in what way someone lives his/her life, with what motion he/she has, what mindset he/she lives with are the basic elements of a‘ green’ society. This thesis will define the characteristic of ‘green’ as ‘relationship’ and ‘ life. ’Furthermore, this paper will cross-compare buddhistic outlook on the world, the Global Life Theory by Hoe-Ik Chang,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in order to interconnect ‘green’ to the definition and the condition of Galtung’s ‘positive peace.’ When direct, structural and cultural violence is settled and healthy relationship is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socially realized through‘ positive peace,’ it can be said that‘ green’ is accomplished as well; Being able to maintain good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socializing of healthy life is what religion aims to accomplish. Therefore green, peace, and religion work similarly in terms of their original purpose. In this sense, this thesis will relate politics of green and economic implications to religious point of view, and ultimately translate them into a social term that shows how healthy relationship and life humans have;‘ peace.’

      • KCI등재

        김광섭 시에 나타난 공동체 인식 연구

        손민달 ( Min Dal Son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0

        김광섭의 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주로 후기시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기존 연구는 그의 시세계 전반의 변화를 삶의 궤적과 대응시켜 해석하려는 문제를 낳았다. 이에 본연구는 김광섭의 시에 나타난 ‘공동체’에 대한 인식 변화를 통해 그의 시적 변모를 입체적으로 해석하고, 초기시의 한계점으로 지적된 관념성의 문제를 규명하고자 한다. 공동체에 대한 그의 인식 변화는 ‘나라’를 인식하는 ‘상상의 공동체’와 자아와 타자의 관계에 중심을 두는 ‘존재론적 공동체’, 유기체적이고 전일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한 ‘생명공동체’로 구분된다. 그의 첫시집 『동경』에는 앤더슨이 제시한 ‘상상의 공동체’로 규정할 수 있는 ‘민족’의 대응어인 ‘나라’가 다수 등장한다. 김광섭은 ‘나라’를 매개로 일제강점기라는 현실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함께 긍정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표현한다. 그의 초기시를 표면적인 관념성과 고독과 허무로 평가하는 것은 이로써 보완할 수 있다. 김광섭의 중기시에는 자아와 타자와의 관계성 자체에 주목하는 존재론적 공동체를 보여준다. 특히 레비나스가 말하는 타자의 현전, 자아의 타자에 대한 ‘책임’과 ‘대속’을 시의 중요한 표지로 삼아 시작활동을 하였다. 이는 그가 자아 중심에서 타자 중심으로 존재의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성북동 비둘기』를 포함한 후기시는 생명공동체적 인식을 보이면서 자아 범위를 무한히 확장시킨다. 특히 그는 인간과 자연을 포함한 ‘온생명’을 시화하고 유기체적이고 전일적인 생명공동체를 구상한다. 그러나 요나스가 제시한 생태학적 책임 윤리의 측면에서 그의 시는 일정부분 한계를 보인다. Previous studies mostly focused on the later poems of Kim Gwang-seop, which raises a problem of making the overall changes to his poetic world correspond only to his life trajectory.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changes to his perceptions of "community" in his poems, interpreting his poetic transformations in a solid manner and explaining about the issue of ideality that was pointed out as a limitation with his early works. Changes to his perceptions of "community" are centered around the "imaginary community" to perceive "nation," "ontological community" with a focus on relations between ego and others," and "life community" based on organic, whole thinking. In his early poems, "nation," which is a corresponding word to "people" that can be defined as "imaginary community" proposed by Anderson, makes frequent appearances. Kim expressed his negative perceptions of reality represented by the ruling Japanese via "nation" and his strong yearning for hopes in it, which raises a need to reconsider the old practice of defining his early works as the poems of superficial ideality, solitude, and futility. In his middle poems, he paid attention to relations between ego and others themselves, dreaming of ontological community. He especially engaged in creative poetic activities with the presence of the other and the "responsibility" and "atonement" of ego for others proposed by Levinas as his important covers of poems. In his later works, Kim expanded the scope of his ego infinitely, showing his perceptions of life community. He, in particular, expressed "global life" including man and nature in poetic words and devised an organic, whole life community. Some of his later poems, however, do have certain limitations, as well, when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for man proposed by Jonas is presented as the standard.

      • KCI등재
      • KCI등재

        김지하의 시세계와 생태적 상상력

        홍용희(Hong Yong-Hee) 문학과 환경학회 2007 문학과 환경 Vol.6 No.2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Korea started at the end of 1960s when Jeeha Kim started to work as a poet. The corrupt government used modernization as one of many ruling strategies, which destroyed the traditional "life-value" idea and the culture of revival under the name of "industrial development of the country." Kim strongly resisted and tried to preserve the life-value idea against the power of death, which tried to destroy the life-centered communal nature. He emphasized this point, as a poet of resistance and fighting. Not only his ”Five Enemies", but also "Red Street" and "With the burning thirst" show his life-centered idea. However, his direct fighting and resistance gradually evolved into a wide embracing and reconciliatory stage. "Looking up the star field", 'The torment of center", "Flower blooming", "The dawn river" (2006), and "The silk road" (2000) which were published after the year of 1980; after "Aerin" belonged this reconciliation stage. Kim's poetic world shows the features of the stage of his direct resistance and fight against the power of death, and the reconstruction of revival culture keeping with the very fundamental and expansive view which may even purify the power of death. Especially, "Hwagae; Flower blooming", "The dawn river", and "The silk road" which were published recently show the realization of apocalyptic prediction and the features of the concentration on life and peace in detailed contexts. The exit to a new world must be found in order to escape the crisis of civilization due to "the entire world's modernization." Therefore, the living paradigm should progress to seek to the continuous life beyond the unrelenting industrialization of 20th century. The proper re-recognition and discovery of the essence of life is required to achieve this goal. The idea of respecting life which is related with the spirit, diversity and individuality is evident in Kim's poetry, could be the solution for the problem which is produced by the mechanical paradigm. Kim's poetry has meaningful value now in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 KCI등재

        요나서에 나타난 온 생명체를 향한 야웨의 공의와 사랑

        박지온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23 신학연구 Vol.60 No.1

        Das Buch Jona ist ein Prophetenbuch, worin das didaktisch-theologische Interesse enthält. Die Jona-Erzählung wird mit verschiedenen Charakteren, Traditionen und theologischen Motiven narrativ entfaltet. In der christlichen Auslegungen wurden diese Erzählung oft auf das Thema “Israel und Nichtisrael” oder “Juden und Heiden” reduziert. Aber das Buch Jona spricht nicht von einem unbedingten Gericht über Nichtisrael. Vielmehr spielen die Nichtisraeliten im Jonabuch eine wichtige Rolle. Deshalb wird in der vorliegenden Arbeit mit der Perspektive von JHWHs Gerechtigkeit und Liebe zu seiner allen Lebewesen untersucht. Durch die widersprüchlichen Handlungen von Jona und den Heiden(Kap.1-3) sowie durch Gespräch mit JHWH(Kap. 4) führt “die Spannung Gottes Gericht und Liebe” im ganzen Buch Jona. In diesem Buch ist deutlich, dass JHWH in einer besonderen Beziehung zu seinem Volk Israel steht. Aber dies darf nicht exklusiv missverstanden werden. JHWH, als der Schöpfer aller seinen Schöpfung, hat seine Liebe und sein Mitleid auf die Seeleute, die Menschen und die Tiere in Ninive — aller Lebewesen. 나서는 신학적 교훈을 담고 있는 예언서로서, 그 안에 다양한 인물, 전승, 신학적 모티브 등과 함께 메시지를 서술적으로 펼쳐나간다. 기독교해석에서는 이 책을 ‘이스라엘과 열방’ 또는 ‘유대인과 이방인’이라는 이분법적 주제로 매우 축소시켰다. 그러나 요나서는 비-이스라엘에 대한 무조건적 심판을 말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요나서에 나오는 비-이스라엘인들은요나서 전체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모든생명체에 대한 야웨의 공의와 사랑의 관점에서 요나서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요나서 1-3장에 나타나는 요나와 비-이스라엘인들의 상반된 행동과 요나서 4장의 요나와 하나님과의 대화를 통해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 사이의긴장감’이 요나서 전체를 이끌어간다. 요나서는 야웨가 이스라엘과 특별한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 야웨 하나님을배타적인 방식으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 모든 피조물의 창조주이신 야웨는이방 선원들과 니느웨의 사람들 및 동물들, 즉 모든 생명체에 대한 사랑과연민을 베푸시는 분이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