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극권 진출을 위한 해양공간 인문지리: 동해-오호츠크 해-베링 해

        김정훈,한종만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9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3 No.2

        As the accessibility of the Arctic Circle is increasing, researches on the Arctic Circle are very actively being carried out at home and abroad. However, these studies are mostly conducted in the individual areas of political, economic and scientific domains,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values at a comprehensive level as a space where geopolitical, geographical and geocultural problems work in combination. To realize this end, the following three things need to be considered. First, the research area is a place where the interests in resource development and northern route management that will determine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21st century as well as the Artic neighbors are concentrated. Second, the linkage of the research area requires systematic research, that is, each research topic is closely linked by the future development strategy (blueprint) of the relevant countries. Third, all research topics are integrated studies that are investigated in combination by closely linked geopolitical, geopolitical and geocultural approaches. In particular, since the study of the Ohotsk Sea and the Coast of Bering Sea, which are the gateways to the Arctic, is a necessary space for approaching the Arctic, the future growth engine of the Republic of Korea,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growth in advance. Therefore,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comprehensive value and analysis contents & methods of the Artic from the views of humanities and geographical approach to the research space. 본 연구공간(동해-오호츠크해-베링해)은 한국사회에 에너지·자원 확보/수입원/공급처의 다변화, 물류유통,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으로의 확장, 생활공간의 확대, 해외 식량 기지의 확보(수산업 등), 환경과 생태에 대한 글로벌 이슈의 충족, 녹색성장의 토대, 남북한 통합 촉진과 북한경제 발전의 연착륙유도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미래 한국사회의 ‘기회의 공간’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국제사회와 우리의 기대에 부합하는 미래의 한국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선도적 준비로써 해당지역의 지정, 지경 지문화적 의미와 연구필요성 등을 제기해보고자 한다. 북극권의 접근성이 높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북극권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대부분 정치적, 경제 및 과학적 입장의 개별적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어 지정, 지경 및 지문화적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공간으로서 종합적 차원에서의 가치와 분석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항이 먼저 고려될 필요성이 있다. 첫째, 연구공간은 21세기 한반도뿐 아니라 해당국들의 미래를 결정할 자원개발과 북방항로 운용의 이해관계가 집중된 곳; 둘째, 연구대상지역의 연계는 시스템적 연구(Systemic Approaches)를 요구, 즉 각 연구 주제는 관련국의 미래 발전 전략(청사진)에 의해 상호 긴밀하게 연계; 셋째, 모든 연구 주제는 긴밀하게 연계된 지정학적, 지경학적, 지문화적 접근법들에 의해 복합적으로 연구되는 통합연구(Integrated Studies). 특히, 우리의 입장에서 북극을 향하는 관문인 오호츠크 해 및 베링 해 연안 지역연구는 향후 대한민국의 미래성장 동력 지역인 북극에 접근하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공간으로 이에 대한 선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기에 본 연구를 통해, 연구공간에 대한 인문·지리학적 접근에서 지역의 종합적 가치와 분석 내용과 방법 등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북극권의 진출로 오호츠크 해와 베링 해 지역연구: 선적활동과 장애요인

        한종만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8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2 No.1

        Global warming in the Arctic region is twice as fast as that in other regions. Arctic sea ice in summer keeps renewing its lowest extent every year since 2010, which has been monitored by satellite observations since 1970s. This decrease of Arctic sea ice is expected to benefit the usage of the Arctic route, and developments and utilizations of energy, fishery, and ecotourism resources in the Arctic Circle. The vessels in the Russian Far East and the vessels of Korea, China, and Japan using Arctic shipping route, which includes the Northeast Passage, the Northwest Passage, and the Transpolar Sea Route, trail the Bering Strait, through the East Sea, the Sea of Okhotsk, and the Bering Sea. Therefore, developments in the Arctic region and shipping activities across the Bering Strait are expected to increase steadily. Although the developments and increased shipping activities can raise risks of accidents and harm the ecosystem, not only infrastructure for prevention and post-management of accidents is lacking, but also national, bilateral, and multilateral governance system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has not been settled. Sustainable ecosystem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developments, uses of the Arctic route, and the governance. In this article, Chapter 2 outlines the physical and huma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a of Okhotsk and the Bering Sea. Chapter 3, the current status and analysis of marine activity in the study area, contemplates the trade structure and current status of importation and exportation, ports, and shipment through the Aleutian Islands and the Bering Strait. Chapter 4 explores the obstacles to the Arctic route and activation strategies for the route. 북극 지역의 온난화는 기타 지역보다 2배나 빠르게 상승하고 있으며, 1970년대 인공위성 관측을 시작한 이래 2010년부터 여름철 북극해 얼음 규모는 매번 최소치를 갱신하고 있다. 북극해의 해빙으로 북극항로의 이용과 북극권의 자원/에너지 개발, 수산자원의 활동, 생태관광자원의 이용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러시아 극동지역과 한중일의 선박은 동해 , 오호츠크 해, 베링 해를 거쳐 베링해협을 통과해야만 가능한 북극항로는 북동항로, 북서항로, 북 극점 경유 항로로 구분된다. 북극개발과 베링해협 통과 선적활동은 꾸 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극권 개발과 선적활동과 증가로 야기되는 여러 형태의 사고 위험 성과 부정적 생태계의 변화 가능성도 병행되고 있으며, 사전 및 사후 사고 예방을 위한 인프라 시설의 부족과 부재뿐만 아니라 환경보호를 위한 국가별, 쌍무간, 다자간 거버넌스 시스템도 정착되지 않은 상황이 다. 개발과 항로 이용과 거버넌스는 지속가능한 생태계에 기반을 둔 차 원에서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 제2장은 오호츠크 해, 베링해협과 베링 해 남부와 북부 지역의 자연 및 인문 지리적 특성을 개관한 후 제3장 연 구공간 해양활동의 현황과 분석에서는 수출입 현황과 구조, 항구 현황, 알류샨열도와 베링해협 통과 선적 현황을 고찰한다. 제4장에서는 북극 항로의 장애요인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의 러시아 명태 수입과 러시아 수산업투자 고찰 - 러시아 명태 수입 의존도 분석을 중심으로 -

        김선래,김은미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4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8 No.1

        This article analyzes the problems of Russian Pollock quota for imports which is the largest proportion of incomes since the 1990s. After the Fukushima Nuclear disaster, South Korea's reliance on the Russian Pollack has been increased even more and cannot be thinkable without Russian Pollock in Korean cuisines. The demand of Russian Government for South Korea to invest to the Russian Fisheries Industry causes “Tug of War” between the Governments of South Korea and Russia annually. Based on the fact, we are able to observe the Russian smooth Secure Supply and Korean Pollock Industry by examining the Introduction process of Russian Pollack. According to the Korean-Russian Fisheries Commission we can see the current status of investments of Russian fisheries sector. We want to show the efforts and conclusions on long-term stable supply of the once resurrected fishing grounds. 이글은 1990년대 이후 한국의 명태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러시아산 명태에 대한 수입과 쿼터 문제를 분석한 글이다. 러시아 산 명태 의존도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더욱 더 가속화하여 한국 식생활에서 러시아 산 동태를 빼 놓고는 생각할 수 없다. 러시아산 명태의 수입쿼터를 놓고 매년 한국정부와 러시아 정부간 줄다리기를 하는 이유는 한국의 대 러시아 수산산업에 대한 투자라는 러시아의 요구 때문에 그렇다. 본문에서 한국의 명태산업과 그 문제점 그리고 러시아 산 명태에 대한 한국의 도입과정을 살펴봄으로서 러시아 산 명태의 원활한 공급확보와 한국의 명태산업에 대하여 알아본다. 한․러 어업위원회에서 매년 러시아가 요구하는 대 러시아 수산부문투자에 대한 현재의 현황과 그 대안을 살펴본다. 한때 한국의 명태 어장이었던 동해어장의 부활과 장기적인 러시아 산 명태의 안정적 수급을 위한 노력도 결론에 제시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