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의 번역 데이터에 나타난 타갈로그어 어순 오류 유형 분석 - 힌디어, 크메르어와의 대조를 중심으로

        전지연(Jeon Ji Yeon),지화숙(Ji Hwa Sook),Aldrin P.Lee,이정희(JUNG HEE LEE) 한국아시아학회 2022 아시아연구 Vol.25 No.4

        언어 유형론적으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힌디어, 크메르어, 타갈로그어의 기본어순을 대조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세 언어는 세계 언어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SOV, SVO, VSO 유형을 가지고 있다. 세 언어는 모두 서로 다른 기본어순을 가졌으며, 한국어를 세 언어로 번역했을 때 어떤 오류 유형이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유형론적인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Greenberg(1966)의 세 가지 분류 기준에 따라 세 언어의 기본어순을 확인한 후, 기본어순의 구성성분인 주어, 서술어, 목적어의 관계를 구성소 구조를 통해 설명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언어 유형론적으로 서로 다른 힌디어, 크메르어, 타갈로그어의 기본어순을 대조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국어를 세 언어로 번역했을 때 나타나는 어순의 공통점, 유사점, 차이점을 정리하고 가장 많은 오류가 나타난 타갈로그어 어순 오류 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힌디어, 크메르어와 대조하였다. 또한 타갈로그어의 오류 유형을 중심으로 세 언어의 기본어순과 관련한 오류 유형 사례를 소개하였다. 힌디어의 경우 한국어와 같은 SOV 언어라는 것에서부터 기본어순의 특성에서 많은 공통점이 있기에 어순 오류가 나타나지 않았다. 크메르어는 한국어와 달리 SVO 에 속하는 언어로, 동사가 주어 뒤에, 목적어, 부사어 앞에 위치하고 전치사+명사, 명사+형용사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 사용된 크메르어 번역문에는 어순 오류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부분에서는 예상되는 오류가 없었다는 것에 데이터 수집 목적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며 이 부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타갈로그어는 주요 어순이 VSO 이나 가변적 어순으로 다양한 문장 표현이 가능하다. 타갈로그어는 대체적으로 SV 형식과 VS 형식을 모두 취할 수 있고 도치소 ‘ay’를 통해 서술어와 주어의 위치를 자유롭게 바꾼다. 따라서 ‘ay’ 오류가 예상되었고 실제로 도치문에서 어순 오류가 가장 많이 나왔다. 또한 수식 관련 오류와 연결어미 오류가 발견되었다. 이 자료를 토대로 학습자 특성 연구의 자료가 될 수 있으며 대조언어학적 자료가 없는 언어권의 자원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work examined three typologically distinct languages —Hindi, Khmer, and Tagalog— from a contrastive point of view. The three languages have SOV, SVO, and VSO types respectively, word order patterns that are commonly observed in world languages. This paper analyzed what type of error occurs when Korean is translated into these three languages that have different basic word order. To analyze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the basic word order of the three languages was checked according to the three classification criteria of Greenberg (1966),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predicate, and object, which are constituents of the basic word order, was explained through the constituent structure. As a research method, the basic word order asymmetry in Hindi, Khmer, and Tagalog — languages that have different typological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from a contrastive perspective. Based on this, the commonaliti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word order appearing in Korean and the three languages are summarized, and examples of error types related to the basic word order are introduced. The analysis centred around the typology of word order-related errors in Tagalog, which exhibited the greatest number of errors, and a contrastive analysis of Hindi and Khmer was also undertaken. In addition, while focusing on the Tagalog’s typology of errors, occurrences of these types of word order-related errors in all three languages were also introduced. In the case of Hindi, since it is an SOV language like Korean, there are many commonaliti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word order, so no word order errors appeared. Unlike Korean, Khmer is a language belonging to SVO. The verb is located after the subject, before the object, and before the adverb, and has the structure of preposition + noun, noun + adjective. Despite these differences, word order errors did not appear in the Khmer translation used in this study. In this par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urpose of data collection because there was no expected error, and an in-depth study on this part seems necessary. In the Philippine’s Tagalog language, the main word order is VSO, but various sentences can be expressed in a variable word order. In general, Tagalog can take both SV and VS forms, and the position of the predicate and subject can be freely changed through the inverted ‘ay’. At this time, the ay error was expected, and the word order error occurred the most in the inverted sentence. Also, errors related to formulas and linking endings were found. The findings in this study could provide a baseline data for the study of learner characteristics. It is also hoped that it will become a resource for languages that do not have any comparative linguistic research data yet with foreign languages, including Korean.

      • KCI등재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오류 유형에 따른 말명료도 분석

        이영미(Young Mee Lee),성지은(Jee Eun Sung),심현섭(Hyun Sub Sim),한지후(Ji Hoo Han),송한내(Han Nae So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말명료도 수준에 따른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오류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마비말장애인의 말명료도를 예측할 수 있는 조음오류 유형을 살펴보았다. 방법: 대상자는 화자와 청자로 나누었다. 화자는 뇌성마비를 동반한 마비말장애인 100명이며, 청자는 마비말장애인의 말을 청취해본 적이 없는 20대 정상 청력 성인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신뢰로운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오류 유형의 분석을 위해서, 훈련된 평가자가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오류 유형을 APAC 녹음 자료를 사용하여 자음의 생략, 대치, 왜곡, 첨가, 음소 및 음절의 연장, 반복, 부적절한 쉼, 비구어적 소리를 분석하였다. 말명료도 측정을 위해서 청자가 조용한 환경에서 헤드폰을 착용하고 화자가 말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단어를 받아쓰도록 하였다. 산출된 말명료도 점수에 따라서, 화자를 말명료도 수준에 따라서 고 집단(n=44), 중 집단(n=33), 저 집단(n=23)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혼합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말명료도 수준과 조음오류 유형의 주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말명료도와 조음오류 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하였다. 말명료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조음오류가 유의하게 적게 나타났으며, 생략, 대치, 쉼의 조음오류 유형에서 말명료도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오류 유형 중에서, 생략, 대치, 비구어적 소리만이 말명료도를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말명료도 수준에 따라서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오류 유형의 프로파일에 차이가 있었으며, 생략, 대치, 비구어적 소리만이 마비말장애인의 말명료도를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마비말장애인의 말명료도 수준과 조음오류 유형을 평가, 치료, 음성 인식 프로그램 개발 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rticulation error patterns according to the level of speech intelligibility and to examine which articulation error patterns significantly predicted speech intelligibility in adults with dysarthria. Methods: One hundred speakers with dysarthria and 25 native listener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Based on the levels of speech intelligibility, speak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highintelligibility speakers (n=44), mid-intelligibility speakers (n=33), and low-intelligibility speakers (n=23). APAC words were used as stimuli for obtaining dysarthric speech. Articulation error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eight categories as follows: omission, substitution, distortion, addition of consonants, prolongation, repetition of the phonemes and syllables, intra-word pause, and non-speech sounds. Frequencies of articulation error patterns were examined by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peech intelligibility was judged by 25 native listeners using a word transcription task. Results: Results of the two-way ANOVA (groups x articulation error patterns) revealed that the two main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high-intelligibility speakers showed fewer errors than the rest of the groups, and that substitution had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for error than the rest of the patterns. A two-way inter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ue to the fact that the group differences emerged only in three articulation error patterns (substitution, omission, and intra-word pause).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analysis showed that omission, substitution, and nonspeech sound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peech intelligibility in dysarthria. Discussion &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the articulation error pattern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speech intelligibility and may differentially contribute to speech intelligibility in persons with dysarthria.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evaluating dysarthric speech and developing a speech recognition device for dysarthric speakers.

      • KCI등재후보

        초등수학 서술형 평가에서 나타나는 오류 유형 분석

        정현도,강신포,김성준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4 No.3

        수학과 평가에서 주로 제기되는 문제점은 평가 내용이 단편적인 지식을 암기하는 쪽으로 치우쳐 있다는 점과 평가 문항이 객관식 문제 중심의 지필 검사에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교육현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서술형 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검토하고, 이 과정에서 비롯되는 오류 유형을 분석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곧, 서술형 평가를 통해 학생들이 알고 있는 수학적 지식을 수학적 용어로 자유롭게 표현하는 과정에서 그 과정이 옳은지, 개념 이해가 정확한지를 검토하고, 만약 잘못 이해하고 있다면 무엇 때문에 이러한 오류를 범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수학문제해결과정에서 비롯되는 오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며, 수와 연산 영역에서 서술형 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진행된 것이다. 연구과정은 먼저 서술형 평가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문항 이해의 오류, 개념 원리의 오류, 자료 사용의 오류, 풀이 과정의 오류, 기록 단계의 오류, 풀이 과정의 생략 등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문항별 답안에서 나타나는 유형별 오류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학업성취도에 따라 오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중․하 성취도에 따른 오류 유형을 분석하였다. 서술형 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검토하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함으로써, 평가를 통한 피드백이 효과적인 수학학습지도로 연결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questions that mathematical evaluations strive to memorize fragmentary knowledge and have an objective test. To solve these problems on mathematical education We did descriptive test. Through the descriptive test, students think and express their ideas freely using mathematical terms. We want to know if that procedure is correct or not, and, if they understand what was being presented. We studied this because We want to analyze where and what kinds of faults they committed, and be able to correct an error so as to establish a correct mathematical concept. The result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mistakes students make when solving the descriptive tests can be divided into six things: error of question understanding, error of concept principle, error of data using, error of solving procedure, error of recording procedure, and solving procedure omissions. Second, students had difficulty with the part of the descriptive test that used logical thinking defined by mathematical terms. Third, errors pattern varied as did students' ability level. For high level students, there were a lot of cases of the solving procedure being correct, but simple calculations were not correct. There were also some mistakes due to some students' lack of concept understanding. For middle level students, they couldn't understand questions well, and they analyzed questions arbitrarily. They also have a tendency to solve questions using a wrong strategy with data that only they can understand. Low level students generally had difficulty understanding questions. Even when they understood questions, they couldn't derive the answers because they have a shortage of related knowledge as well as low enthusiasm on the subject.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양식과 수학문장제 문제의 오류유형 및 관계분석

        최진성 ( Jin Seong Choi ),신진숙 ( Jin Sook Shi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이 보이는 인지처리양식을 알아보고 수학문장제 문제에서 보이는 오류유형을 파악하여 이 둘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지적장애학생들에게 있어 수학문장제 문제 교수방법에서의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경남지역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입급되어 있는 지적장애학생(N=100)을 대상으로 K-ABC검사와 오류유형 분석 검사지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적장애학생들의 인지처리양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세부적으로 보면, 전반적 인지처리양식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처리양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선행연구들과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보여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지적장애학생들이 보인 수학문장제 문제의 오류유형은 잘못된 연산 오류와 계산오류, 주어진 수 오류, 임의의 답 오류, 무응답 오류 순이다. 이중 잘못된 연산의 오류가 반 이상을 차지하는데, 이는 문장제 문제의 의미를 해석하지 못하여 범하는 오류라고 볼 수 있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의미 파악에 필요한 교수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지능유형과 오류유형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순차우세학생의 경우 잘못된 연산의 오류가 유의미하게 높고, 주어진 수 오류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동시우세학생의 경우 주어진 수 오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잘못된 연산의 오류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에 인지처리유형에 따라 오류를 범하는 형태가 다름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인지유형에 따라 다른 오류유형을 보임에 따라 학생의 인지유형에 따른 다른 교수법의 적용이 필요함을 암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mental data for developing a educational pregram by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alyzing cognitive processing style and an analysis of error on the process of word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by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understanding their relationship. In order to do this, we conducted a study with 100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special education classroom in Gyeongnam regional, using by K-ABC and test of error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sequential processing scale and simultaneous processing scale in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concrete, there was no significant on general cognitive processing style and on general characteristics cognitive processing style. It`s be in discord with precedent study. So, It`s need follow-up study be conducted on the more data. Second, the errors committed by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t 5 pattern: operation mistake, simple calculation error, flawed logic, random guess, no attempted answer. omong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ost mistakes involved operation mistake, simple calculation error. 499 of error in operation mistake observed was higher than 151 of calculation errors. It`s mean he wasn`t understand word problem. We need to develop methods teaching to solve this problem. Third, There was significant between error pattern and cognitive processing style. Sequential processing student show significant higher operation mistake than simultaneous processing student. Simultaneously processing student show higher flawed logic than sequential processing student. So we should support that it`s teaching pursuant to cognitive processing style.

      • KCI등재

        《삼국사기》 일식기록의 한중 사료 대조와 일식상황 비교

        김일권(Kim, Il-gwon)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7

        본 연구는 《삼국사기》 수록 65차 67건의 일식기록이 지닌 사료적 가치와 자료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고대 중국사의 일식사료와 일일이 대조하는 사료비판작업을 진행하였고, 더불어 실제 발생한 것으로서의 역사일식도로써 대비를 수행하여, 삼국시대 일식상황을 일식기록의 상황과 일식발생의 상황으로 분리하여 접근하는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개진하였다. 한중 사료 비교를 진행한 결과, 67건 중 63건 기록이 《한서》, 《후한서》 등 고대 중국사의 일식기록과 동일성을 보여 중국사료 의존성이 94%나 되었다. 중국사에 대응되지 않는 나머지 4건은 공교롭게도 모두 일식이 불가능 해의 기록이어서 기록 착란으로 간주되었다. 이에 따라 《삼국사기》가 중국사와 무관하게 일식사건을 독립적으로 기록한 사례가 하나도 없는 상황을 야기하였다. 《삼국사기》 일식기록 중에서 사료 오류 내지 한반도 일식 불가 기록이 전체 34%(총 22차 23건)로 추출되었으며, 이는 《삼국사기》 기록의 일식실현율이 최대 66%임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그 오류유형과 자료형태가 여러가지로 분석되었는데, T1 유형(4건)은 중국사에 대응기록이 없으면서 일식 불가능한 해의 기록착란 유형이고, T2 유형(19건)은 중국사가 지닌 일식기록 오류와 동일한 상태의 기록이며, T3 유형(5건)은 중국사 기록과 선택적 동일성을 지니면서 한중 일식이 가능한 경우이며, T4 유형(39건)은 한중 양자 기록이 동일하면서 한반도에서 일식 가능한 경우이다. 다시 하위 세분을 시도하여, T2A 유형은 양자 오류가 동일하면서 한중 모두 일식이 불가능한 경우(4건), T2B 유형은 중국사 여러 기록 중 오류기록을 선택하여 결과적으로 한중 일식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3건), T2C 유형은 전사과정에 오탈자가 발생하여 역시 일식이 불가능한 경우(2건), T2D 유형은 한중 둘다 일식불가한 기록을 답습한 경우(6건), T2E는 동일한 기록이나 중국은 가능하고 한반도는 관측불가능한 경우(4건)로 나눠졌다. T3A 유형(1건)은 외견상 오류가 아니나 건축(建丑) 개력의 상황을 반영하지 않은 역법상 오류로 보았고, T3B 유형(4건)은 오류가 아닌 기록을 선택한 경우이다. T4A 유형(11)은 한반도에 개기식과 금환식이 발생한 경우, T4B 유형(18건)은 개금식보다 낮은 강한 부분식 경우, T4C 유형(11건)은 0.5식분 이하 약한 부분식 상황인데, 여기에 속한 0.5이하 저식분(5건)과 0.3이하 미식분(5건)는 해석에 따라서 직접 육안으로 관측하기 힘든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때 애장왕 2년(801) 5월 기록은 이날 경주에서 0.43식분을 보인 발생 일식임에도 불식(不食)으로 기록함으로써, 신라 자신의 직접 관측 결과 기록이라는 사료적 가치를 지님과 동시에, 0.5이하 저미식분인 경우 육안관측이 어려운 문제 곧 관측 한계식분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3종의 역사일식도로써 삼국시대 일식발생상황을 개금식 중심으로 검출한 결과, 신라 992년 동안 총 76회가 추출되었다. 이는 개금식 빈도가 삼국시대에 매 13년마다 1회 발생하고, 개기식은 평균 27년에 1회꼴로 발생하는 비율임을 시사하였다. 이 새로운 분석은 당시 실제 개금식 발생에 따라 정치사회적 변화를 재해석하는 새로운 역사해석의 기준과 방법을 제시한 의의가 있을 것이라 전망되었다. As to know, there are 67 records of solar eclipse in the ancient Korean history text, Samguk-sagi. As two records are overlapped for the same year of eclipses, there are really 65 cases of solar eclipse events. In order to know the historical material value of solar eclipse records written in the ancient Samguk-sagi, in this paper I mad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eclipse records of the Samguk-sagi and those of many ancient Chinese history texts, for Shiji, Hanshu, Later Hanshu, Jinshu, Weishu, Old and New Tangshu, etc. As the result of my analysis in this paper, I checked total 63 cases among 67 records were same or similar records with those of the ancient Chinese history texts. I classified each error type of record eclipse or the recording similarity. The other 4 records are written only in the Samguk-sagi, but they are not dates of real eclipse occurring, because all of them have each certain recording error. This means most of the eclipse records of Samguk-sagi reproduced from those of the ancient Chinese history texts. I also verified these matters by another method of several historical charts of East Asian solar eclipse. It brings up a new issue to our academic circles that someone sometime in the past would have inserted all those eclipse records to the Samguk-sagi by accident, however it is hard to know a reason of the record inserting. Therefore, for the first time, I argued newly that the existence of same Chinese eclipse records in the Samguk-sagi were irrelevant to the recording authenticity itself.

      • KCI등재

        오류의 유형학 수립을 위하여: 프랑스어 오류의 새로운 이해와 교육적 활용방안

        최이정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5 No.-

        Le présent article a pour but d'éclairer la nature de quelques erreurs de français sous un angle diachronique et de proposer des cadres de base à prendre en compte afin d'établir la typologie des erreurs éventuelles pour les apprenants coréens. Cette étude s'appuie sur deux études importantes de Luzzati et al. et Manesse et al. menées auprès de locuteurs natifs de français et de locuteurs étrangers. Tout d'abord, la connaissance de l'histoire du français, comme nous le constatons, par exemple dans le passage de "il est un avocat" à "il est avocat" nous permet de comprendre les relations entre l'erreur et la norme selon les époques et ainsi de mieux conceptualiser et expliquer ce point de grammaire dans un cours de langue. Ensuite, l'examen des études citées précédemment sur les typologies des erreurs nous amène à développer la nécessité d'établir une typologie des erreurs des Coréens en fonction des différentes conditions d'évaluation dans lesquelles les erreurs apparaissent. L'étude de Luzzati et al. sur la catégorisation des erreurs chez les germanophones et les hispanophones nous sert de référence pour décrire les erreurs de français et les raisons pour lesquelles les erreurs spécifiques se produisent. D'autre part, la hiérarchisation des erreurs proposée par Manesse et al. et la théorie du concept de l'accord en français de Melcuk nous fournissent les bases que devrait avoir une typologie des erreurs d'un point de vue à la fois pédagogique et linguistique. Enfin, notre tâche ultérieure - l'établissement d'une typologie des erreurs typiques commises par les apprenants coréens - nous permettra de mieux percevoir les erreurs les plus fréquentes en relation avec les caractéristiques typiques de la grammaire du français telles que l'accord. Cette étude sur la typologie des erreurs nous amène finalement à réviser en tant qu'enseignants les objectifs du cours de langue et à repenser les méthodes d'enseignement de façon qu'elles s'y adaptent. Pour que l'enseignement de la grammaire soit plus efficace, les enseignants devront intégrer les concepts de base importants de la phonétique dans les cours de langue et également proposer aux étudiants des techniques d'auto-correction telles que la relecture et la lecture à voix haute. Ceci permettra de sensibiliser les apprenants à l'importance des relations entre le son et l'orthographe dans la grammaire du français. 프랑스어 오류에 대해서는 국내 학자들의 연구가 활발한데, 이 논문들은 주로 한국 학습자들의 오류 성향 혹은 오류의 원인을 분석한 논문으로, 작문에 나타난 한국인 학습자들의 전형적인 오류의 유형을 분석한 한정길(2008)과 이경수(2008), 초급 프랑스어 학습자에게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한 정일영(2010)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장한업(2008)은 프랑스어 문장의 다시쓰기를 통해 한국인 프랑스어 학습자와 프랑스어 원어민의 문장 사용 유형을 비교함으로써, 한국인 학습자가 소홀히 하기 쉬운 문법사항들과 그 문법사항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문형들을 고려한 지도방안을 권장하였다. 한편, 김혜란(2009)은 언어 오류를 해석하는 매우 다양하고 서로 상반된 이론들을 보임으로써 언어 오류를 연구할 때 주의해야 할 점들을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본 논문은 특히 한정길(2008)과 이경수(2008)에서 제시된 언어 오류의 의미를 새로운 관점-통시적인 관점-에서 조명하고 프랑스어권의 언어학자들과 언어교육학자들이 분석한 프랑스어 오류의 유형들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인 학습자에게 적합한 오류의 유형학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반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필자는 “규칙의 성격으로 학습시킬 수 있는 구문적 특성을 교수자가 잘 파악하고 이를 교수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잘 전달하여야 한다.”는 한정길(2008:151)의 주장에 동의하면서 문법 수업에서 교수자가 직접적으로 학생들에게 가르치지 않더라도 알고 있으면 유용할 프랑스어 문법의 성립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보다 프랑스어다운 표현을 가르치기 위해 언어의 화계(niveaux de langue)에 따라 언어 오류의 개념을 확장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이경수(2008)에 덧붙여, 의사소통접근법을 지향하는 오늘날의 외국어 교육 현실에 비추어 우선시해야 할 교육 내용을 정하고 이에 따라 오류 간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설정하는 작업이 오류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필수적이라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또한 이와 함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문법교육의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겠다. 먼저 통시적으로 살펴볼 문법 구조는 프랑스어 어학수업에서 특히, 초급 단계의 어학 수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다음의 문법사항들이다. 첫 번째는 <주어 + être 동사 + 직업을 나타내는 속사>, 두 번째는 <beaucoup de + 복수 명사>, 세 번째는, <부분관사 du + 단수 형용사 + 단수 물질명사>, 네 번째는 전치사를 포함한 구문으로 <en + 국가명사/대륙명/장소>, <à + 도시명>, <dans + 정관사 + 명사>, <sur + 정관사 + 명사> 구문이다. 다음으로 살펴볼 프랑스어권 학자들의 언어 오류 유형에 대한 연구는 프랑스인의 언어 오류를 분야별로 제시한 Capelovici, 스페인어를 모국어로 하는 프랑스어 학습자와 독일어를 모국어로 하는 프랑스어 학습자들의 언어 오류를 분석한 Luzzati, Lehuen, Lemeunier의 연구와 프랑스 초등학교 학습자들의 언어 오류를 분석한 Manesse, Cogis, Dorgans, Tallet의 연구이다.

      • KCI등재

        한국계 필리핀어 학습자의 작문 오류 유형 연구

        로넬라란호 ( Ronel O. Laranjo ),신성철 ( Shin Seong-chul ) 한국동남아학회 2016 동남아시아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한국계 필리핀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오류를 분석하여 이들 오류의 유형과 항목을 제시하고 오류의 추정 원인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마닐라 시내 3개 대학에서 필리핀어를 학습하는 초급, 중급 및 고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작문 과제를 완성하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35개의 작문을 수집하였다. 총 349개 문장에서 추출된 213개의 유효 오류를 분석하여 철자, 형태 및 통사 오류로 분류하고 누락, 첨가, 오선(misselection), 오순 (misorder) 및 혼합 등 다섯 유형으로 항목화하였다. 가장 많은 비율의 오류는 모든 등급 (초급 59.3%; 중급 73.4%; 고급 77.8%)에서 형태적 오선 오류였으며 형태적 누락 오류가 뒤를 이었다. 실례와 함께 오류 유형을 제시하고 오류의 추정 원인을 설명한다. 모든 등급에서 언어내 오류가 언어간 오류보다 많음을 보여주었고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The study analyzes errors produced by Korean learners of the Filipino language in their written compositions, presents types and categories of the errors and provides some possible explanations for the cause of errors. The study has conducted a survey and collected 35 written compositions from three different groups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ing Filipino at three universities in Manila. A total of 213 errors from 349 sentences were analyzed. Errors were classified at three linguistic levels (orthographic, morphological and syntactic) and categorized into five types such as omission, addition, misselection, misorder and blend.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largest proportion of errors was from morphological misselection at all proficiency levels: Beginner (59.3%), Intermediate (73.4%) and Advanced (77.8%), followed by morphological omission. Types of errors are presented along with examples and possible sources of errors are explained. It has turned out that there were more intralingual errors interlingual than errors at all levels and implications of these errors in teaching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분수 계산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유형 분석

        엄재엽,류성림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9 초등교육연구논총 Vol.25 No.2

        The study was intended to find out the errors in fractional computation, which are frequent in 6th grade studen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errors in fractional computation were 10 including erroneous conversion of mixed numbers, erroneous conversion of Improper fraction, erroneous reduction of fraction to a common denominator, erroneous reduction of a fraction to its lowest terms, erroneous addition and subtraction, technical error, erroneous application of descriptive operators and combined errors. Second, the causes of types of errors in fractional computation were probably attributable to inequality of fractions and lack of understanding various concepts of fractions, which might lead to insignificant use of fragmentary algorithm. Third, it was found that when descriptive questions, not simple operation, were provided, the frequency of errors was increased, which suggests that the causes of error types were because the students had simply and repetitively learned algorithms without concepts of fractional operations understood. That may be also analyzed that they could not correctly select a solution operator in a given sentence through mathematical interpretation, causing fundamental errors. In addition, for the reason why it is not limited to calculating fractions, the basic ability of mathematics such as four basic operations with natural numbers as well as fractions and the concept of equality sign(=) was generally insufficient, causing such errors. 본 논문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분수 계산에서의 오류 유형과 그 원인에 대해 파악하여 분수의 교수·학습 방법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수 계산에서 보이는 오류의 유형은 대분수 변환 오류, 가분수 변환 오류, 통분 오류, 약분 오류, 역수 오류, 분수 구성 오류, 덧셈 오류, 기술적 오류, 문장제의 연산자 적용 오류, 복합적 오류의 10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수 계산 오류 유형의 원인은 분수의 비동치(比同値)를 비롯한 분수의 다양한 개념 이해 부족과 이로 인한 무의미한 단편적 알고리즘 사용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단순한 연산이 아닌 형태(문장제)로 제공되면 연산자 적용에 있어서 오류의 빈도가 높아지며, 이런 오류 유형의 원인은 분수의 사칙연산의 개념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하게 반복적인 알고리즘 중심으로 학습한 결과로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오류 개선 방안을 세 가지 사례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말소리장애 하위유형별 오류패턴 특성

        하승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언어학적 증상으로 분류한 말소리장애 하위유형별로 다음절 낱말에서 보인 오류패턴을 살펴보고, 각 하위유형의 특성 및 기저 결함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3세에서 9세 11개월의 120명의 말소리장애 아동이 산출한 2-5음절 낱말의 오류패턴을 분석하였다. 오류패턴을 단어단위와 분절음(자음, 모음), 왜곡 오류패턴으로 분류하고 출현 횟수와 비율을 살펴보았다. 또한 발달적, 비발달적 오류패턴으로도 분류하여 말소리장애 하위유형별로 각 오류패턴 유형의 출현 횟수와 비율에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였다. 결과: 조음장애 아동은 말운동 단계에서의 결함을 보여주는 왜곡 오류 비율이 다른 말소리장애 유형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비일관적 음운장애 아동은 단어단위 오류패턴을 높은 비율로 사용하면서 말소리를 연속적으로 정확하게 배열하여 산출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일관적 또는 비일관적 음운장애 아동은 음운 표상 단계의 결함과 관련이 있는 비발달적인 오류패턴을 사용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오류패턴 분석을 통해서 말소리장애 아동이 말처리 과정에서 보이는 기저 결함을 추론해 보고 궁극적으로 하위유형별 말소리장애 특성을 이해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에 따른 오류 유형 분석

        김영아,김성준 한국학교수학회 2013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6 No.1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문장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고 문제해결전략별 오류 유형 및 그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문제해결학습의 실패 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문장제 해결과정에서 학생들이 선호하는 전략을 살펴보면 식 세우기와 예상과 확인, 규칙 찾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단순화하기 전략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문장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 유형의 특징은 문제해결전략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이를테면 식 세우기의 경우, ‘문항 이해의 오류’, ‘개념 원리의 오류’, ‘풀이 과정의 오류’ 순으로 나타난 반면, 그림그리기에서는 문제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잘못 이해하여 그림으로 나타내는 오류를 주로 범하였고, 표 만들기의 경우 문제에서 주어진 정보를 표로 나타내는 과정에서 정보들 간의 관계를 잘못 이해하여 오류를 범하는 ‘문항 이해의 오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문장제를 통한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생들이 선호하는 문제해결전략을 확인함과 동시에 문제해결전략별 나타나는 오류의 특징을 확인함으로써 해결전략에 따른 오류를 예상하고 이에 대처하는 교수학습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