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섭취 오노마토피어에 관한 일한 대조 연구

        은수희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3 일본학연구 Vol.70 No.-

        본 연구에서는 사람이나 동물이 음식을 먹을 때 나타나는 모습이나 소리, 즉 「섭취 오노마토피어」에 관하여 일본어와 한국어에서 어떠한 부분에서 풍부하게 나타나는지 또는 어떠한 표현의 차이를 보이는지 양 언어의 양상을 대조 고찰하였다. 또한 「섭취 오노마토피어」의 일차적인 의미파악에 그치지 않고, 「섭취」에서 연상되는 이미지가 사람의 감정이나 성격을 나타내는 오노마토피어로 의미가 확장되는 양상을 살펴보는데 의의를 두었다. 일본어와 한국어의 어휘는 비슷한 부분이 많다고 하지만 그 가운에 나타나는 표현의 차이에 주목하였다. 음식의 종류와 식사 예절에서 비롯되는 표현의 차이가 언어의 사용 양상과도 관계가 있다고 판단되며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일본어와 한국어의 食에 관한 어휘연구를 이어가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contrasted the appearance and sound of people and animals eating food, so-called “Onomatopoeia,” in what parts of Japanese and Korean appear richly, and what expressions are different.In addition, the goal was not only to grasp the primary meaning of “intake Onomatopoeia,” but also to identify and see how the image associated with intake expands its meaning to Onomatopoeia, which represents a person’s feelings or personality.While it is said that Japanese and Korean vocabulary have many similarities, the difference in expressions was noted. It is judged that the difference in expressions starting with food type and table manners is also related to language usage, so we will continue vocabulary research on “food” in Japanese and Korean.

      • KCI등재

        「오노마토피어+하다」 와 「オノマトペ+する」의 의미기능

        김경민 ( Kim Kyung-min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7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8

        본고는 한일 드라마에서 나오는「오노마토피어+하다」와「オノマトペ+する」의 의미기능을 면밀히 비교·분석하여 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그 차이점에 대한 원인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오노마토피어+하다」와「オノマトペ+する」는 동작, 상태, 감정, 감각 등 다양한 의미기능을 가지고 있지만,「오노마토피어+하다」는「동작」과「감정」보다는「상태」의 의미기능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オノマトペ+する」는「상태」보다는「동작」이나「감정」의 의미기능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둘째, 「오노마토피어+하다」가「オノマトペ+する」보다 감정의 의미기능이 적은 이유는 한국어에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가 매우 많고 다양하기 때문이고,「오노마토피어 +하다」가 동작의 의미기능이 적은 이유는「오노마토피어+거리다」,「오노마토피어+대다」,「오노마토피어+이다」가「오노마토피어+하다」를 대신하여 동작의 반복이나 계속의 의미로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반해는「オノマトペ+する」는「오노마토피어+하다」와는 달리 형용사의 의미로는 사용되지 않고, 동사의 의미로만 사용되고 있어 상태보다는 동작의 의미기능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것은 오노마토피어의 용언으로서「オノマトペ+つく」,「オノマトペ+めく」,「オノマトペ+ける」가 있지만, 이들은 한국어의「오노마토피어+거리다」,「오노마토피어+대다」,「오노마토피어+이다」와는 달리 그 의미자체에 동작의 의미가 없으며, 그 사용도 매우 제한되어 있어「オノマトペ+する」가 이들을 대신해 여러 가지 의미기능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여겨진다. The thesis clarifies the commonal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Onomatopoeia+hada」 and 「Onomatopoeia+suru」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in Korean and Japanese TV drama series furthermore analyzing the cause of the difference. The following is the abstract of the conclusion. ① 「Onomatopoeia+hada」 and 「Onomatopoeia+suru」 both convey various meanings including "motion", "state", "emotion", and "sensation". However, 「Onomatopoeia+hada」 is more often used in the meaning of "state" instead of "motion" or "emotion". Whereas 「Onomatopoeia+suru」is more often used in the meanings of "motion" and "emotion" instead of "state". ② The reason 「Onomatopoeia+ha-da」 having fewer "emotion" meaning function can be attributed to the diversity and magnitude of adjectives with emotional function in Korean language. The reason for fewer "motion" meaning function of 「Onomatopoeia+hada」 can be ascribed to the frequent use of 「Onomatopoeia+georida」, 「Onomatopoeia+daeda」, and 「Onomatopoeia+ida」 in regards to repetitive or continuative meaning which can replace 「Onomatopoeia+hada」. In contrast, 「Onomatopoeia+suru」 functions only as verb therefore, it has more usage in meaning "motion" than "state". Furthermore, other predicates of onomatopoeia in Japanese language such as 「Onomatopoeia+tsuku」, 「Onomatopoeia +maeku」 and 「Onomatopoeia +kiru」 do not convey "motion" and the usage is limited in comparison to the Korean counterparts 「Onomatopoeia+georida」, 「Onomatopoeia+daeda」,and「Onomatopoeia+ida」 thus「Onomatopoeia+suru」is widely used instead of their different meaning functions.

      • KCI등재

        韓·日触覚オノマトペの意味拡張と名詞·動詞共起制約 - 「かたさ、湿り気、粘り気、痛み」の意味資質を持つ オノマトペを中心として -

        張鎭暎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7 일본언어문화 Vol.41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 in which the tactile onomatopoeia with the meanings of 「hardness, moisture, viscosity, and pain」 is extended to those with the abstract meanings. It also compares and analyzes the co-occurrence of nouns and verbs with the onomatopoeia. As a result, it is verified through this study that when the meaning is extended from the concrete tactile sense of the human body to the abstract meaning of human psychology or of the external situation, the tactile onomatopoeia with the same meanings in both Korean and Japanese is extended to those with the similar abstract meanings. Meanwhile, in the case of co-occurrence of nouns and verbs, the onomatopoeia is most frequently used with the nouns representing body and food, but it does not show as many co-occurrence restrictions with specific verbs as with nou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터키어에서의 오노마토피어 개념과 정의

        연규석 ( Kyoo Seok Yeon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2007 중동연구 Vol.25 No.2

        의성 의태어로 번역되는 영어의 오노마토피어(onomatopoeia)는 그리스어의 ‘이름(onomat)’에 ‘만들다(poiein)’가 결합된 형태로, 인구어에서는 주로 실제 세계의 소리를 따라 만든 낱말을 가리키는것으로 쓰이고 있다. 의성 의태어는 대개의 경우 그 모국어 화자가 들으면 그 의미하는 바를 짐작하게 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언어 기호의 자의성이란 특질에 위배되는 것으로 볼 수도 있지만, 실제의 소리를 모방해서 나타내도 언어에 따라 달라지므로 언어 기호의 자의성에 어긋나는 것은 아닌 것이다. 인구어나 영어의 경우 오노마토피어가 의성어에만 집중되어 있고, 또한 쓰이는 담화의 장면도 유아어에 국한되며, 이것의 사용이 품격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통 생각한다고 한다. 한편, 터키에서는 이제까지 나온 수많은 터키어 문법 관련 논저에 의성어에 관한 언급은 간혹 등장하나 의태어에 대한 언급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자국어에 대한 깊은 성찰 없이 오노마토피어를 대하는 인구어학자들의 태도를 그대로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터키어에는 인구어에 비해 의성어와 의태어가 상당히 풍부하고 또한 교착어라는 특성에 따라 각종 접사들과 결합하면서 터키어 어휘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의성어의태어의 정의를 내리는 작업은, 그 자체로서 독립된 논저를 이루지는 않았더라도 이미 시도되었고, 어떤 의미로는 이미 공인된 결과로 완결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아무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정의라 할지라도 타당한 정의로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짚고 넘어가야 할 점들이 있다. 첫째는 자연의 소리와 말의 소리가 어떻게 구별되는가의 문제이다. 이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비분절음’과 ‘분절음’의 차이이다. 또 하나는 의성어와 의태어가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 의해 ‘뜻이 통해야’한다는 점이다. 여기서는 일단 소리나 모습을 나타낸 분절음이 화자와 청자가 사용하는 언어의 음운 체계에 속해 있어야 한다는 점이 기본적인 전제가 된다. 즉, 물이 흐르는 소리이건 사람이 걷는 모습이건 이를 나타내는 소리가 그 언어의 자모로 구성되어 있어야 하며 그 언어의 문자 체계로 적을 수 있어야 하는 한편,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두루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특정 시기에 특정인에 의해 쓰이기 시작한 의성어의태어가 사회성을 획득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마지막으로 의성어의태어의 범위 문제이다. 단어의 일부가 의성이나 의태로 이루어진 경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터키어에 의태어라는 범주를 새롭게 설정하는 한편, 의성어와 의태어를 함께 논의해 볼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오노마토피어에 대한 터키에서의 기존의 개념과 정의를 위에서 지적한 문제점들을 논의하면서 터키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재정립해보았다.

      • KCI등재

        한·일 감정·심리 오노마토피어 의미확장 패턴 분석

        장진영(Jang, Jin-Young) 일본어문학회 2016 일본어문학 Vol.75 No.-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onomatopoeia which represents human emotions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labeling it as “emotional/psychological onomatopoeia.” It also attempts to analyze the patterns of meaning extensions in both Korean and Japanese emotional/psychological onomatopoeic expressions that correspond to the five semantic domains of “tension, surprise, fear, anger, and nervousnes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images stemming from a person’s physical senses extend their meanings to represent his or her emotions and mental states. In Korean and Japanese onomatopoeic expressions, however, some differences appear in the senses as to which meaning extensions occur. The only exception is the emotional/psychological onomatopoeia related to anger, in which case both Korean and Japanese onomatopoeic expressions tend to extend the meaning from a burning fire or an outburst of energy to a figurative expression of anger.

      • KCI등재

        어휘화 레벨에 따른 일․영 오노마토피어 대응 양상 분석

        장진영 일본어문학회 2019 일본어문학 Vol.86 No.-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translations take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lexicalization level when Japanese onomatopoeia is translated into English. Giongo, which has a lower lexicalization level, is mostly used in quotations and verbs with sound symbolism. As the lexicalization level gets higher, it is used diversely as a verb, an adjective, an adverb, a phrase, etc. In the case of level 1 onomatopoeia, they rarely correspond to English onomatopoeia, and most of them are used in the verbs with sound symbolismor descriptive phrases. In the case of level 2 onomatopoeia, they are used as giongo and gitaigo at the same proportion, and many of them correspond to the verbs with sound symbolism. In level 3 onomatopoeia, there is an extension of meaning from giongo to gitaigo. Giongo takes the affix to and corresponds to the English verbs with sound symbolismor descriptive phrases. Gitaigo with the affix ni, whose meaning is extended from giongo, does not correspond to any specific verbs but various parts of speeches. Due to the meaning extension within the gitaigo, level 4 onomatopoeiais used in diverse parts of speech according to the context. The same is true of level 5 onomatopoeia. 本論文では日本語のオノマトペが英語に翻訳される場合、語彙化のレベルが低い擬音語の場合は引用、または、音象徴性を持つ動詞と対応していることに対して、語彙化のレベルが高くなるにつれ動詞、形容詞、副詞、説明的語句などいろいろな表現と対応していることを調べてみた。 まず、レベル1のオノマトペの場合、英語のオノマトペと対応するのはあまり現れていないし、大抵音象徴性を持つ動詞、または、説明的語句と対応をなしている。また、レベル2のオノマトペは擬音語と擬態語の意味を同時に持っているので英語の音象徴性を持つ動詞と対応する場合が多かった。レベル3のオノマトペは擬音語から擬態語への意味拡張が現れているが、擬音語の場合は「と」型であり、この場合対応する英語の表現は音象徴性を持つ動詞、または、説明的語句と対応をなしている。また、擬態語に意味拡張した「に」型の場合は特定動詞と対応せず多用な形式と対応している。レベル4のオノマトペは擬態語内部の意味拡張であるので、文脈によって多様な形式と対応している。これはレベル5の擬情語も同様である。

      • KCI등재

        한·일 감정·심리 오노마토피어 어휘화 과정 분석 - 음과 의미와의 유연성(有緣性) 약화를 중심으로 -

        장진영 일본어문학회 2018 일본어문학 Vol.80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weakened relation between sound and meaning in the case of high lexicalization, in which Japanese onomatopoeia transform from the words imitating sound and states to the ordinary words. In line with this aim, the study attempts to classify the degrees of lexicality of onomatopoeia words, verifying that the onomatopoeia describing feeling and emotion are most likely to be part of the established vocabulary. It also investigates whether the equivalents of voiced/voiceless consonants and those of voiced/voiceless vowels are semantically related, which used to be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 of onomatopoeia with a close relation between sound and meaning. After analyzing the lexicalization of Korean and Japanese onomatopoeia expressing feeling and emotion, it demonstrates that the latter is more lexicalized than the former since Japanese onomatopoeia with abstract and figurative meanings do not have their equivalents in both sound and meaning. On the other hand, Korean onomatopoeia words tend to be more lexicalized when they are used as idiomatic expressions.

      • KCI등재
      • KCI등재

        한·일촉각오노마토페의 의미확장과 명사·동사공기제약 -「단단함、습기、점성、통증」의 의미자질을 갖는 오노마토페를 중심으로-

        장진영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7 일본언어문화 Vol.41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 in which the tactile onomatopoeia with the meanings of 「hardness, moisture, viscosity, and pain」 is extended to those with the abstract meanings. It also compares and analyzes the co-occurrence of nouns and verbs with the onomatopoeia. As a result, it is verified through this study that when the meaning is extended from the concrete tactile sense of the human body to the abstract meaning of human psychology or of the external situation, the tactile onomatopoeia with the same meanings in both Korean and Japanese is extended to those with the similar abstract meanings. Meanwhile, in the case of co-occurrence of nouns and verbs, the onomatopoeia is most frequently used with the nouns representing body and food, but it does not show as many co-occurrence restrictions with specific verbs as with nou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