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오감(五感)명상의 세 유형

        김형록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2019 명상심리상담 Vol.21 No.-

        In applying five-sentence meditation to psychological counseling or psychotherapy, this paper presents three models related to five senses: Five Senses Meditation(FSM) as an educational program, Reporting Five-Senses meditation(RFSM) as a method of practice, and Five Senses based on Reflected Image Meditation(RIM). First, the FSM as an educational program award develops and uses each independent program for five senses. The FSM are utilized for educational purposes, mainly for infants and young adults. However, there are some inconveniences in the point where the preparation is needed if it is intended to be carried out personally in a natural state, rather than for educational purposes under the intended plan. Second, RFSM as a method of practice shows how an individual performs meditation training in the natural state of daily life, not the planned set program. In training for beginners, two people are paired to report their experience status. This is useful for checking performance. Finally, FSRIM is a method to recall specific images that are problematic and observing them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five senses. This is a method specialized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or psychotherapy, and this paper presents procedures for femal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depression. 본고는 오감명상을 심리상담이나 심리치료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교육적 프로그램으로서의 오감명상, 보고하는 오감명상, 오감에 기반한 영상관법 등 오감과 관련된 3가지 모델을 제시한다. 먼저 첫째로 ‘교육적 프로그램으로서’ 오감명상은 오감에 대한 각각의 독립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한다. 주로 유아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교육적인 목적으로 오감을 활용한다. 그러나 의도된 계획에 의한 교육적 목적이 아니라 자연 상태에서 개인적으로 수행하려는 경우에는 준비물이 필요한 점에서 불편한 점이 있다. 두 번째, ‘수행방법으로서’ 오감명상은 계획된 정해진 프로그램이 아니라, 개인이 일상의 자연 상태에서 명상수련을수행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초보자를 위한 훈련에서 두 사람이 짝을 지어서 자신의 경험 상태를 보고하게 한다는 점에서, 이것은 수행정도를 점검하는데 유용하다. 마지막으로 셋째는 ‘오감에 기반한 영상관법’은 문제가 되는 특정한 영상을 떠올려서 오감에 따라 순차적으로 관찰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심리상담이나 심리치료에 특화된 방식으로, 본고에서는 여성독거노인의 우울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절차를 한 사례를 통해서 보여준다.

      • KCI등재

        오감(五感)과 브랜드디자인의 인터랙티비티에 관한 연구

        천미순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1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IT 기술의 진보, 글로벌화 시대는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도 영향을 끼쳐, 인간과 미디어간의 상호작용 형태를 바꾸고 있다. 기존의 미디어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일방향의 커뮤니케이션이라면, 이제는 미디어를 통한 정보전달 뿐만 아니라 수용자의 반응을 이끌어 내어 또 다른 커뮤니케이션을 만들어내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감성적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수용자들은 미디어를 보고, 듣고, 만지고, 냄새 맡고, 맛을 느끼는 오감적인 체험으로 미디어가 전달하는 1차원적인 정보를 뛰어넘어 수용자의 잠재의식 속에 기억과 함께 새로운 정보를 창출하고 반응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오감은 서로 연계되어있고, 하나의 감각기관에 의존하는 커뮤니케이션 보다는 다양한 오감, 즉 공감각을 사용할수록 좀 더 기억에 남는 커뮤니케이션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진행은 첫째,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정의와 발전과정을 알아봄으로써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이해한다. 둘째, 오감에 대한 개념과 인간에게 정보가 오감을 통해 어떻게 지각되는지를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셋째,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발달과 오감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넷째, 오감 분류에 따른 브랜드디자인을 사례 연구하였다. 앞으로 브랜드디자인이 인터랙티브가 되기 위한 방법론을 오감활용에서 찾는다면, 감성적·경험적인 인터랙티브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할 것이다. The age of globalization, changes in lifestyle and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have affected human communication and also is changing the shape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media. If the media standard has been communication that simply involves one way correspondence of communication, it now is changing to media that does not just convey information but also draws a response from the user and creates a two way flow of communication. In particular, one can say that what draws the most attention is emotional two way communication. By users experiencing media through the five senses of touch, taste, sight, smell and hear, media transcends the conveyance of information in the first dimension and creates new memories and information in the user's subconscious. In this sort of process, the five senses are linked to each other. Rather than relying on just one sensory faculty, media using all five senses can create media that is more memorable. This thesis progresses as follows. First, I attempt to understand interactive media by determining its identity and course of development. Second, I examine the notion of the five senses and consider how information is theoretically perceived by people. Third, I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ve media and the five senses. Fourth, I look at instances of brand design in accordance to the five sence. In the future, for brand design to become interactive it can utilize use of interactive and emotional communication.

      • KCI등재

        실과 가정영역에서 오감활용 감성교육 방안 연구

        이성숙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4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motional education applying five senses to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this, it examine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five senses and emotional education and needs of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to practical arts education, analyzed the elements of emotional education based on human character, goal and nature of pursued by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and explored factors related to practical arts education, five senses and emotional education. It suggested the cases of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with units of home economics in the 2009 revised practical art curriculum. Using five senses is naturally connected to emotion, concretely related parts to emotion such as curiosity and confidence can be developed during the class and if the class is performed with the theme of these emotions, emotion can be enhanced and effec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tself can be also increased. Boosting a desirable emotion using five senses enhances thinking,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s also helpful to achieve goals of study and strengthen core compet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components of emotional education from the human characters and educational goals pursued by the 2009 revised practical art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it was related to most of areas of five components of emotional education, emotional education was possibl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it would contribute to the accomplishment of goal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t followed the following principles to present the practices of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It was organized to include home economics area evenly and enrich emotion by stimulating five senses with various instruments and materials. It was experience-centered rather than theory-oriented and recognition or emotion was formed to stimulate five senses. Contents and experiences of emotional education based on the goals of curriculum and emotional education were planned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conducted. Contents of emotional education consisted of five factors and are developed by stages. Theme, goals and contents of activity and central senses of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in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suggested. The results of total 22 classes by two~four classes for each theme were presented. The unit, 'Making Healthy Snack' was presented as a case of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It is therefore expected that practical arts education can be connected to emotional education and application of five senses,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can enhance emotion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will be also helpful to reach learning goals and strengthen core competenc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ubsequently, it is considered that research on the analysis of effects of applying i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required. 이 연구는 실과 가정영역에서 오감활용 감성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하여 오감 및 감성교육의 의의 및 필요성, 실과교과에서 오감활용 감성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였고, 감성교육 요소를 실과 교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 목표, 성격 등을 바탕으로 분석하였고, 실과교과, 오감, 감성교육과의 관련 요소를 탐색하였다. 2009 개정 실과교육과정 가정영역의 단원을 중심으로 오감활용 감성교육 프로그램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오감활용은 자연스럽게 감성으로 연결되며, 실과 수업 중에 호기심, 자신감 등과 같은 구체적인 감성과 연관된 부분을 찾을 수 있으며 이러한 감성을 주제로 수업이 이루어질 경우, 감성이 제고됨과 동시에 실과교과 자체의 효과도 높아지게 된다. 오감을 활용한 바람직한 감성의 고양으로 사고력, 창의력, 문제해결력 등이 증진되며 실과교과의 학습 목표 도달 및 핵심역량 강화에 도움을 준다. 2009개정 실과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교육목표 측면에서 감성교육 구성 요소를 분석한 결과, 감성교육 다섯 가지 요소(자기 인식, 자기 조절, 자기 동기화, 타인 감정 인식, 대인 관계 능력) 중 대부분의 영역과 관련이 있었으며 실과교육에서 감성교육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실과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오감활용 감성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원칙은 가정영역이 골고루 포함되도록 구성하였고, 다양한 도구와 재료로 오감을 자극하여 감성이 풍부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론보다는 체험을 중심으로 하여 오감 자극을 사고로 유발시켜 인식이나 감정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교육과정 목표와 감성교육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그 목표에 기초한 감성교육 내용과 경험을 계획하여 실과 교수 학습 활동을 통해 수행하도록 하며, 감성교육의 내용은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하여 단계별로 진행하도록 하였으며, 실과 가정영역에서 오감활용 감성교육의 주제명 및 활동 목표, 활동 내용, 중점 감각을 제시하였다. 오감활용 감성교육 프로그램의 실제는 감성교육 요소 단계별로 주제를 구성하는 방법(각 주제별 2~4차시로 총 22차시)과 한 주제 내에서 감성교육 단계별로 교육이 전개되는 방법(‘건강간식 만들기’단원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실과교과는 감성교육, 오감활용과 연계가 가능하며 오감을 활용한 감성교육으로 감성 능력 함양 및 사고력, 창의력, 문제해결력 등이 증진되며 실과교과의 학습 목표 도달 및 핵심역량 강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후속적으로 초등학생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周易≫의 象數學으로 본 李箱의 <烏瞰圖>

        이구의 동아인문학회 2018 동아인문학 Vol.45 No.-

        This article sought to contemplate Sang Lee’s 「Ogamdo(烏瞰圖)」 by applying the statue and mathematics of the book of changes. This means uncertainty of the future. The title of the poem: 「Ogamdo」 implies that there is uncertainty for one’s situation as well as future. 「Ogamdo」 is a series of works; it starts from No.1 and ends with No. 15. Sang Lee claims righteous moral duty throughout the numbers. If the world is chaotic, people have to know their place and behave accordingly. Sang Lee purposely set No.1 to No. 10 to one verse and No.11 to No.13 to another to wish order and harmony to coexist. Crying of Ahae(兒孩) indicates that stupid civilians and crying means distressing real world. The sentence means that civilians are suffering because they are ignorant, but as soon as they break out from their own stupidity, there will be a bright future for them. Firstly, in No.4, numbers are written upside down, which expressed Sang Lee’s the viewpoint of realm. Secondly, • are connected diagonally, which separate numbers. Sang Lee did this in his work to express his desire; he pursued orderly world rather than chaotic world. Thirdly, diagnose 0•1 implies ultimate aspiration and hope. Fourthly, throughout numbers such as 1931 and 26•10, Sang Lee secretly expresses his wishes. He contains his wishes in numbers. One can observe that what Sang Lee wants is to recover the world; that every citizens are in order and equally treated in the world. In this way, 「Ogamdo」 illustrates Sang Lee’s current situation in the real world and his ideal image of the world. 이 논문은 이상의 <오감도>를 ≪주역≫의 상수학 이론에 적용시켜 그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오감도(烏瞰圖)>에 나오는 오감(烏瞰)의 의미는, ‘어찌 볼 수 있는가?’ 또는 ‘무엇이 보이는가?’라는 뜻이다. 이는 곧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의미한다. 시 제목을 <오감도>라 한 것은 현재 자아가 처한 상황과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암시한다. <오감도>는 제1호로 시작하여 제15호로 끝맺고 있다. 이 숫자를 통하여 자아가 정명(正名)을 주장하고 있다. 세상이 혼란할수록 사람들이 자신의 분수를 지켜야 하고, 자신의 분수에 맞게 행동하여야 한다. 그가 <오감도> 시를 제1에서 제10까지를 한 연으로 제11에서 제13까지를 한 연으로 한 것은 질서와 조화가 공존하는 세계를 바라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아해(兒孩) 울음에서의 아해는 어리석은 백성을 가리키고, 울음은 고통스러운 현실세계를 의미한다. 현재 백성들이 어리석어 고통을 받고 있지만, 이 어리석음을 깨트리면 밝은 미래가 오리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시제4호에서, 첫째 숫자가 거꾸로 되어 있는 것은 자아가 세상을 보는 관점을 표현한 것이다. 둘째 •이 대각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숫자를 분리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자아가 드러내고자 한 것은 그가 바라는 세상이 혼란한 세계가 아니라 질서정연한 세계라는 나타낸 것이다. 셋째 진단 0•1은 곧 자아의 무한한 포부 또는 희망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자아가 26•10과 1931등의 숫자를 통하여 자신이 소원을 비사(秘辭)하고 있다. 자아 자신의 희망을 숫자 안에 담고 있다. 그가 바라는 세계가 만민(萬民)이 질서 있고 공평한 세상을 회복하는 것이라는 것을 이 숫자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이 <오감도>는 자아 자신이 처한 현실세계와 그가 바라는 이상세계를 그려내고 있다.

      • 오감학습법의 작용과 전망

        김현철(Kim, Hyun-Chul)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5 학습과학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오감학습의 관점에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현행 인성교육이 가지고 있는 한계와 문제점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앞으로 학교폭력뿐 아니라 근본적으로 인간개발이라는 교육의 본질적 목적에 있어 오감학습이 출발점이 된다는 점을 입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난 2014년 4월21일부터 6월26일까지 서울의 한 중학교의 학교부적응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안교실에 오감학습 오감학교 협동조합의 오감학습 프로그램을 적용,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세계에 대한 올바른 감각과 감수로부터 올바른 의식의 형성은 가능하다는 오감학습법의 교육적 적용과 확장 가능성이 높아졌다. 둘째, 12경락 진단척도를 통해 개인별, 유형별 오감학습법을 위한 진단척도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셋째, 오감학습법의 대상별, 단계별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을 확산시키고 지금까지 제기된 오감학습 방법에 따른 프로그램들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오감학습법을 교육현장에 적용하면서 학생들의 행동수정의 순차는 단순히 보고 읽고 쓰는 오관의 능력을 넘어서 인간의 오감능력은 리더십으로 그리고 경세력과 소통력으로 발달된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a hypothesis that Five-Senses Learning is a starting point in the essential purposes of education for human development as a humanity education program is progressed in the viewpoint of Five-Senses Learning. To reappraise the suitability of Five-Senses Learning Model this study applied this learning model to a student group of school maladjustment of a middle school in Seoul and observed from 21 April 2015 to 26 June 2015.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 possibility of educational application and extension of Five-Senses Learning Model that development of the right consciousness is possible only from the correct senses and sensory receptions in the objective world was higher. Secondly, a basis of diagnostic scale development by individual and type for Five-Senses Learning Model was established in the diagnostic scale of 12 meridians, the pathway of Chi energy flow. Thirdly, necessities of Five-Senses Learning Programs by object and type were spreading and many other programs by Five-Senses Learning methods were organizing. Lastly, when Five-Senses Learning Model is applied to the school environment the behavior modification in sequential of student will be developed from the ability five-senses to the leadership, self-governing and administration ability, and Sotong ability beyond the simple sensory receptions like seeing, reading and writing.

      • 오감학습법의 적용과 전망 : 서울 N중학교 인성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김현철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5 학습과학연구 Vol.9 No.1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a hypothesis that Five-Senses Learning is a starting point in the essential purposes of education for human development as a humanity education program is progressed in the viewpoint of Five-Senses Learning. To reappraise the suitability of Five-Senses Learning Model this study applied this learning model to a student group of school maladjustment of a middle school in Seoul and observed from 21 April 2015 to 26 June 2015.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 possibility of educational application and extension of Five-Senses Learning Model that development of the right consciousness is possible only from the correct senses and sensory receptions in the objective world was higher. Secondly, a basis of diagnostic scale development by individual and type for Five-Senses Learning Model was established in the diagnostic scale of 12 meridians, the pathway of Chi energy flow. Thirdly, necessities of Five-Senses Learning Programs by object and type were spreading and many other programs by Five-Senses Learning methods were organizing. Lastly, when Five-Senses Learning Model is applied to the school environment the behavior modification in sequential of student will be developed from the ability of five-senses to the leadership, self-governing and administration ability, and Sotong ability beyond the simple sensory receptions like seeing, reading and writing. 본 연구는 오감학습의 관점에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현행 인성교육이 가지고 있는 한계와 문제점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앞으로 학교폭력뿐 아니라 근본적으로 인간개발이라는 교육의 본질적 목적에 있어 오감학습이 출발점이 된다는 점을 입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난 2014년 4월21일부터 6월26일까지 서울의 한 중학교의 학교부적응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안교실에 오감학습 오감학교 협동조합의 오감학습 프로그램을 적용,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세계에 대한 올바른 감각과 감수로부터 올바른 의식의 형성은 가능하다는 오감학습법의 교육적 적용과 확장 가능성이 높아졌다. 둘째, 12경락 진단척도를 통해 개인별, 유형별 오감학습법을 위한 진단척도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셋째, 오감학습법의 대상별, 단계별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을 확산시키고 지금까지 제기된 오감학습 방법에 따른 프로그램들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오감학습법을 교육현장에 적용하면서 학생들의 행동수정의 순차는 단순히 보고 읽고 쓰는 오관의 능력을 넘어서 인간의 오감능력은 리더십으로 그리고 경세력과 소통력으로 발달된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오감을 이용한 아이디어발상연구

        유근옥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design stage, giving a sense for design ideas more concrete by applying the five senses through observations and analysis. It also trained the students to come up with different ideas. This will help in the expansion of the existing narrow concept of the design of a product. The study area includes enrollment of the students ie the 35-students in Department of Design and trained for 5-days. In oder to improve their creativity by involving ability of visual senses, touch, smell, taste and hearing. Students with such training developed a rational thinking about the product concept. By such training they attribute quality with a diverse shape and even express their thoughts which results in a creative products. The key-points of this training were devide into three detailed parts using five senses. At first the imagination concept, such training evoked the sleeping brain results in constructive of their own mind-map with personal sensitivities. The second one was expressing training by words and through brain-storming-methods with question and answer for their past and present five senses. The last one was writing training of the new product concept. Initially students "senses" was eccentric but with the applications of five senses the fragments patterns was observed. Applying their five senses, specific acts of conduct was able to pinpoint how they can use the observations. The students will posses horizontal divergence and convergence. The convergent thinking and learning observation, foster one's power of observation and expression. The expressive skills give an opportunity to get into a logical thinking. And the way the designer's creative designing skills could be used in the development is expected to vary.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의 기초단계인 디자인 발상을 위해 감각 즉 오감을 적용하여 보다 구체적인 관찰과 분석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상 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4년제 대학교 디자인전공 2학년 학생 35명에게 5일 동안 창의성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오감훈련방법, 즉 시각, 촉각, 후각, 미각, 청각을 이용한 방법을 적용한 후 결과를 제시하였다. 오감훈련의 목표는 일반적인 발상훈련보다 더 세분화되고 구체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오감을 이용하였다는 점이다. 오감훈련의 내용은 첫째, 잠자는 두뇌를 깨우기 위해 마인드맵을 이용하여 각각의 감각을 중심어로 한 자유로운 연상훈련과 오감훈련이론, 둘째, 오감훈련 이론 후, 오감훈련의 질문과 답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느낌을 글과 형태로 표현하는 훈련, 셋째, 자료를 정리하여 새로운 제품 컨셉을 작성하는 훈련으로 구성 되었다. 학생들은 ‘오감’ 적용 전에는 단편적인 행위만 나타냈었으나 ‘오감’을 적용하여 관찰할 때는 단편적인 행위가 아닌 구체적인 행위들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었고 관찰한 내용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게 되었다. 이 훈련을 통해 학생들은 발상하는 방법과 컨셉 정리 및 형용사 용어에서 느껴지는 형태를 다양하게 표현해보면서 발산적사고와 수평적사고 그리고 수렴적 사고를 익히고 관찰력과 표현력, 논리적인 사고까지 얻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궁극적으로 이 방법이 디자이너의 창의적인 디자인능력 개발에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오감을 이용한 아이디어발상연구

        류근옥 ( Ryu Kun-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9 No.-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의 기초단계인 디자인 발상을 위해 감각 즉 오감을 적용하여 보다 구체적인 관찰과 분석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상 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4년제 대학교 디자인전공 2학년 학생 35명에게 5일 동안 창의성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오감훈련방법, 즉 시각, 촉각, 후각, 미각, 청각을 이용한 방법을 적용한 후 결과를 제시하였다. 오감훈련의 목표는 일반적인 발상훈련보다 더 세분화되고 구체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오감을 이용하였다는 점이다. 오감훈련의 내용은 첫째, 잠자는 두뇌를 깨우기 위해 마인드맵을 이용하여 각각의 감각을 중심어로 한 자유로운 연상훈련과 오감훈련이론, 둘째, 오감훈련 이론 후, 오감훈련의 질문과 답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느낌을 글과 형태로 표현하는 훈련, 셋째, 자료를 정리하여 새로운 제품 컨셉을 작성하는 훈련으로 구성 되었다. 학생들은 `오감` 적용 전에는 단편적인 행위만 나타냈었으나 `오감`을 적용하여 관찰할 때는 단편적인 행위가 아닌 구체적인 행위들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었고 관찰한 내용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게 되었다. 이 훈련을 통해 학생들은 발상하는 방법과 컨셉 정리 및 형용사 용어에서 느껴지는 형태를 다양하게 표현해보면서 발산적사고와 수평적사고 그리고 수렴적 사고를 익히고 관찰력과 표현력, 논리적인 사고까지 얻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궁극적으로 이 방법이 디자이너의 창의적인 디자인능력 개발에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design stage, giving a sense for design ideas more concrete by applying the five senses through observations and analysis. It also trained the students to come up with different ideas. This will help in the expansion of the existing narrow concept of the design of a product. The study area includes enrollment of the students ie the 35-students in Department of Design and trained for 5-days. In oder to improve their creativity by involving ability of visual senses, touch, smell, taste and hearing. Students with such training developed a rational thinking about the product concept. By such training they attribute quality with a diverse shape and even express their thoughts which results in a creative products. The key-points of this training were devide into three detailed parts using five senses. At first the imagination concept, such training evoked the sleeping brain results in constructive of their own mind-map with personal sensitivities. The second one was expressing training by words and through brain-storming-methods with question and answer for their past and present five senses. The last one was writing training of the new product concept. Initially students "senses" was eccentric but with the applications of five senses the fragments patterns was observed. Applying their five senses, specific acts of conduct was able to pinpoint how they can use the observations. The students will posses horizontal divergence and convergence. The convergent thinking and learning observation, foster one`s power of observation and expression. The expressive skills give an opportunity to get into a logical thinking. And the way the designer`s creative designing skills could be used in the development is expected to vary.

      • KCI등재

        「오감도 시제1호」의 시제(詩題) ‘오감도(烏瞰圖)’와 ‘13’의 의미 재고(再考)

        강동우 ( Dongu G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이상(李箱)의 시 「오감도 시제1호」에서 ‘오감도(烏瞰圖)’와 ‘13’의 의미를 재고하여 도가적 사유와의 연관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오감도 시제1호」는 이상의 작품 세계를 집약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이상 문학을 이해하는 열쇠가 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상호텍스트적 방법을 적용하여, 「오감도 시제1호」와 이상의 다른 작품들의 비교를 통해 그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였다. 또한 거기서 도출된 의미가 도가적 사유체계와 접맥되어 있음을 밝혔다. 연구 결과, 시제 ‘오감도’에서 ‘오감(烏瞰)’은 인간의 고정된 시각에서 벗어나 모든 시선을 아우를 수 있는, 전체를 조망하는 시선으로 이해하였다. 이것은 도가의 ‘도추(道樞)’ 혹은 ‘이명(以明)’과 다름 아님을 밝혔다. 또한 ‘13’은 단순한 수적 개념보다는 시간 의식을 내포한 것으로, 도가의 순환반복하는 시간관과 맥을 같이 함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13인의 아해’는 죽음을 극복하기 위해 유한한 공간 속에서 무한한 자유와 평온을 얻고자 하는 존재로 이해하였다. 본 논문에서 도출된 결과들은 서구 이론에 경도되어 있는 이상 연구에 새로운 방법론의 가능성이 되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reconsider a meaning of ‘Ogamdo’ and ‘13’ in Yi Sang’s poem Ogamdo Nr. 1 and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the meaning of them and Taoist Thought. Ogamdo Nr. 1 is a main key to understand Yi Sang’s literature in terms of showing intensively Yi Sang’s works. To explore these issues, applying an inter-textual method in this paper, I shed new light on the meaning through comparing Ogamdo Nr. 1 and Yi Sang’s other works. Moreover, the meaning from the outcome clarified to be connected to Taoist Thought. As a result, I understood that crow-eye views (Ogam) in Ogamdo was a sight to put together entire views escaping from humankind’s fixed perspective. I clarified this was similar to a relative True and False of things or Clear Mind in Taoism. In addition, I examined that ‘13’ was in line with a viewpoint of time of circulating and repeating in Taoism including temporalities rather than simple numerical concepts. Therefore, I understood that ‘13 children’ were existence to obtain infinite freedom and peace in a finite space to overcome the death. I hope that results in this paper will shows possibilities of new methods with regard to researches of Yi Sang which have been examined by Western theories.

      • 오감(五感)적 요소를 접목한 브랜드 스페이스 연출 계획 -마임 화장품 프레쉬가든을 중심으로-

        김소현,임하영,장효실,최혜원,이진민,장미정,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7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4 No.-

        인간이 갖고 있는 감각 기관은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의 총 다섯 가지로, 이를 모두 활용 할 때 이상적 공간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화장품의 공간 연출 계획 시 오감적 요소를 접목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7년 3월~6월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융합연출디자인> 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로서 작업물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결합하여 기능적 만족감과 더불어 체험적 만족감 제공하는 오감적 디스플레이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오감을 활 용한 뷰티 쇼룸으로 감각을 공간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정립을 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아울러 다양한 매체와 공간의 개념이 일반화 되어 가는 오늘날 기업 환경 속에서 오감적 체험을 기반으로 한 공간연출은 가상의 공간속에서도 유연하게 적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요소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이와 관련된 쇼룸 공간 개발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