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隋)·당대(唐代) 예악(禮樂) 속 악(樂)의 인식 변화

        배윤경 ( Bae Yun-kyoung )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18 동국사학 Vol.64 No.-

        예악은 수당시대를 기점으로 큰 변곡점을 가진다. 樂이 예악에 부속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음악 자체로 전문 영역으로 인식되고, 실질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보는 관점이다. 이는 隋·唐代에 다양한 음악이 공급되어 인식 전환의 배경을 마련했다고 보았다. 즉 隋·唐代에는 다양한 민족의 음악들이 들어오게 되고, 이를 받아들이는 황제의 인식이 이전과 달라졌다고 보았다. 이러한 변화는 예악 속에 부속된 관념적 음악이 아닌 음악 자체의 독립적 인식을 의미한다. 황제가 음악을 음악 자체로서 즐기고 향유하는 변화를 가져왔다고 보았다. 이러한 음악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예제와 악제의 분리로 나타났다. 이는 악제의 쇠퇴를 의미하지 않는다. 隋·唐代는 어느 시대보다 음악이 발달한 시기이다. 음악이라는 예술 분야로서의 독립적 행보를 보인 것으로 음악 자체로 발전한 시기를 말한다. 隋·唐代는 다양한 음악, 서역 음악인 호악을 비롯하여, 민간에서 전래된 음악, 그리고 종교 음악이 다양하게 공급되는 시기이다. 이러한 공급은 隋·唐代 황제들의 취향이라는 수요와 만나서 커다란 시너지를 발휘한다. 즉 음악에 대한 인식이 변하면서 음악이 예악적이고, 정치적 기능이 아닌 실제 감정을 표현하고 예술로서의 음악으로 향유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인식은 隋·唐代 비약적으로 발전한 음악 전문 서적의 저술로 이어지고, 실제로 다양한 국가의 다양한 악곡, 악무, 음악 연출로 나타나게 된다. 예는 고정적인 개념이고 그것을 지키는데 의의가 있다면, 음악은 인간의 감정을 기본으로 삼기에 그것을 고정적으로 묶어 둔다는 것은 처음부터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 수당시대는 예악 속 음악에 대한 인 식의 전환으로 역사상 음악이 가장 발달하고 관념 속의 음악이 아닌 실제적 음악이 존재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The rites and music changed greatly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rites and music are independent from the ritual and music to the professional field. The emperor enjoyed the music, and the change began. This sentence separates the system of courtesy and music. This does not mean the decline of music. The Sui and Tang Dynasties are more developed than ever. Music is developed independently in the field of art. Sui and Tang Dynasties are Huyue, religious music and other performances are endless. Many kinds of music ar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ests of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understanding of music has changed. Music is no longer a political function. Having the function of music itself. This book inherits the works of the music books of the Communist Youth League.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kinds of music, music and dance, music performances. Courtesy is a fixed concept. It has the meaning of protecting it. But music may be based on human feelings, and it is bound to be impossible to bind it together.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understanding of ritual music changed. So, music is the most developed in history. This period of time is not the music from the concept, but the period when the real music exists.

      • KCI등재

        고대시가와 전통예악의 친연성 탐색 - 시가와 가악의 효용성과 그 접점을 근거로 -

        이현정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4

        In this, the poems of “Guji-ga,” “Hwangjo-ga,” and “Dosol-ga” were assumed as objects that imply traditional Ye-ack, and the reason underlying this was explained. The discussion focused on the process of confirming that these works have been functioning as a kind of “Ye-ack” within the ritual or social trend. In the process of re-contextualizing “Guji-ga” songs into “Hea-ga,” the poetic and musical traditions are confirmed. The songs of the “Guji-ga” series have been divided into cases related to social and political problems and those related to personal problems regarding utility while maintaining the constancy of the shamanic song. This trend proves that public witchcraft has been useful for the integration of heterogeneous groups or the resolution of conflicts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times and cultural history. This point is equivalent to the function or utility of music and art. “Hwangjo-ga” is a poem that has been re-functionalized to have ritual and political utility by selecting a collective lyric folk song that spread widely at the time. In this respect, the appearance of “Hwangjo-ga” contains the political intention of King Yuri to promote stability and harmony by relying on collective sensibility through ritual or ritualistic reasons. In other words, “Hwangjo-ga” fully supports the universal tradition and the sadistic tradition of Korean poetry history, 謠) into the ga (歌). “Dosolga” is a work in which poetry has been re-operated to suit the times. Like in previous studies, the poetry of “Dosolga” is a series of works ranging from the creation of “Dosolga” of King Yuri to that of “Dosolga” of Wolmyeongsa. These songs support magical and ritualistic perceptions about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and social stability and form a tradition of poetry and music. Additionally, the “Dosolga” of Wolmyeongsa is meaningful in its emergence and transmission as a clue to the poetic and musical tradition that has continued until the age of eight in that it combines the magical power of “songs” and “singing.”As such, the branch of ancient poetry allows us to examine the reality of traditional ga-ack and Ye-ack thinking. The view that the ancient city is limited to a single species and is regarded as a corrosive product that has been cut off before the appearance of incense sticks should be changed. The ancient poetry group is also of significance as a model of our poetry history that triggered poetic tradition and traditional Ye-ack in the lullaby of ritual and music (Ga-ack) used in it. 이 글에서는 <구지가>, <황조가>, <도솔가>를 전통예악적 자질을 함의하는 대상들로 상정하고 그 까닭을 해명하였다. 이들 작품이 시대적 시류 안에서 일종 의 ‘예악(禮樂)’ 혹은 그러한 자질을 띤 대상으로서 기능하여 왔다는 사실을 밝 히는 것이 본 논의의 요체다. <구지가>는 <구지가>계 노래가 <구지가>로, 이것이 다시금 <해가>로 재맥락화 되는 과정에서 시가적ᆞ가악적 전통을 생산하였다. 특히 이 흐름은 공적인 기원 주술요가 시대적ᆞ문화사적 전환에 따라 이질적인 집단의 통합이나 갈등의 해결 을 위하여 소용되어 왔다는 사실을 방증하는데, 이 지점이 가악과 예악의 기능 혹은 효용성과 동궤라 할 만하다. <구지가>의 기원인 <구지가>계 노래들은 주술 시가의 항상성은 유지하면서도 사회적ᆞ정치적인 문제와 관련되는 경우와 개인적 문제와 관련되는 경우로 이분되며 효용적 측면에서 다소 결을 달리 해 오기도 하였다. <황조가>는 요(謠)를 가(歌)로 전환하여 상층의 시가를 마련하여 온 우리 시 가사의 보편적 전통, 곧 가악적 전통을 십분 담지한 노래다. <황조가>는 당대에 널리 퍼져 있던 집단적 서정민요를 의도적으로 택하여 제의적ᆞ정치적 효용성을 갖도록 재기능화 한 시가이다. <황조가>의 출현 의의는 유리왕이 당시 혼란한 정치적ᆞ사회적 상황을 집단적 감성(정서)에 기대어 타개하려 하였으며, 그 자 장이 국가적 차원에서 벌인 제의였다는 데 있다. 이런 측면에서 <황조가>에는 일면 공동체의 안정과 화합을 도모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담겨 있다. <도솔가>는 <도솔가>계 시가를 시대적ᆞ사상적 시류에 알맞도록 재운용한 노 래다. 유리왕대 <도솔가>에서 월명사의 <도솔가>에 이르기까지, <도솔가>계 시 가는 왕권 강화와 사회 안정에 관한 주술적ᆞ제의적 인식이 담긴 노래로서 우리 시가사에서 하나의 양식 체계를 생산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도솔가>계 시가들 을 나름의 시가적ᆞ가악적 전통, 전통 예악적 특질을 담지한 대상들로 파악할 수 있는 근거와 다름없다. 무엇보다도 월명사 <도솔가>는 고대시가 일군이 담지 하던 사유, 즉 ‘노랫말’과 ‘노래부르는 행위’가 가진 주술적인 힘을 계승한 향가의 감동론, 그리고 전통 예악의 특질을 한 데 결합하여 보여주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처럼 <구지가>, <황조가>, <도솔가>는 제의(祭儀)에서 소용된, 혹은 제의와 일정 정도 상관성을 지닌 가악(歌樂)이라는 전제 하에, 시가적 전통과 전통예악 을 촉발시켰던 모본으로서 시가사적 존재 의의를 획득한다. 이 같은 해명은 고대시가 일군을 전통예악적 사고관의 실체를 계기적(繼起的)으로 예증해 낼 대상으로 취급한다는 점에서, 그 위상을 새로이 정립할 수 있어 유의미하다.

      • KCI등재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에 나타난 인(仁)의 형상

        구본현 ( Gu Bonhyeon ) 한국고전문학회 2017 古典文學硏究 Vol.51 No.-

        본고의 목적은 <공무도하가>에 등장하는 아내의 행동과 노랫말이 禮樂과 仁을 형상화한 것임을 밝히려는 데 있다. 주제에 대한 논의에 앞서 해석상 논란이 되었던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狂夫`의 정체에 대하여 여러 이견이 있으나 문맥상 `미친 사내`로 보는 것이 옳다. “머리를 풀어헤치고 술병을 들었다(被髮提壺)”는 서술은 `狂`의 의미를 상술한 구절로 보는 것이 온당하다. 다만 이 구절을 실의하여 은거하는 사람의 행동으로 확대 해석할 수도 있다. `狂夫`의 정체보다 중요한 것은 아내의 행동이다. 강을 건너려는 남편을 말리는 것과 하늘을 부르며 흐느끼는 것은 인지상정에 해당하는 행동이다. 문제는 공후를 연주하며 노래를 부른 뒤 강물에 투신하는 행위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데 있다. 이에 대한 해명은 예악에 대한 당대의 관념에서 찾을 수 있다. 감정을 절제케 하는 음악은 상대와의 질서를 규정하는 예의와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 따라서 아내의 순절은 죽은 남편에 대한 현실에서의 마지막 예를 실천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마지막 구절인 “그대를 어찌하란 말입니까(將奈公何)?”는 “나 없이 당신 혼자 저승에서 어찌 살 수 있겠습니까”라는 상대 중심의 발언으로 해석해야 한다. “被髮提壺”로 표현되는 `狂`의 상태는 현실세계인 이승에서 자립하여 살기 어려움을 의미한다. 아내는 이런 남편을 보살펴 줄 사람이 저승에 있을 리 없음을 깨닫게 된다. 남편을 딱하게 여기는 `惻隱之心`과 현재의 상황을 차마 견디지 못 하는 `不忍之心`은 아내로 하여금 순절이라는 극단적인 예의을 선택하게 만든다. 음악을 통해 감정을 이겨내고 남편에 대한 예를 회복하려 한 아내의 모습은 `克己復禮`, 즉 仁을 실천한 君子의 모습과 비슷하다. <공무도하가>가 오래도록 전승되고 재창조될 수 있었던 것은 그 이야기와 노랫말에 형상화된 儒家의 이상적인 인간상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on Gongmudohaga[公無渡河歌, a song entitled “Sweetheart, don`t cross the river”] paid attention to a background tale, thereby having made a relatively rough analysis on lyr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a motive of creative writing and a meaning of lyrics, rather than discussing about author, writing period, and creation space. The identity of Gwangbu[狂夫] was raised many opinions, but needs to be regarded as having a meaning of “crazy man.” The narrative as saying of “having lifted a liquor bottle with shaking own hair out loose” is proper to be seen as a passage of elaborating a meaning of Gwang[狂, crazy]. Still, the dejection of this paragraph leads to having possibility available for being interpreted as a behavior of a person who turned own back on the world. What is important more than the identity of Gwangbu is the behavior of a wife who wrote lyrics. What stops the action of the husband who tries to cross a river or what cries bitterly to the sky after witnessing her husband`s death corresponds to human nature. A problem relies upon being difficult to understand or sympathize with the action of singing with playing Gonghu[??] and the act of going into the river. The explanation about this can be found in the idea of music in those days. The music, which is a mean of making a recovery into the state of harmony through restraining the expression of the excessive emo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courtesy of embodying order in a relationship with others through recognizing each other`s differences. What plays Gonghu and sings a song becomes the action of newly prescrib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dead husband and oneself as well as of recovering a peace of mind. What tries to resume a relationship with others with getting over the excessive emotion directly becomes a case of Geukgibokrye[克己復禮, control oneself and recover one`s courtesy]. The last passage with saying “What shall I do for you?” must not be interpreted as a self-centered meaning dubbed “How will I live alone without you?” The last paragraph needs to be considered to be the you-ism comment dubbed “How can you live alone beyond the grave without me?” The state of Gwang, which is expressed with Pibaljeho[被髮提壺, having his hair loose and holding liquor bottle in his hand], implies to be unavailable for living independently in this real world. The wife, who regained her composure through music, comes to realize that there cannot be a person who will take care of this husband beyond the grave. The mind of being unavailable for enduring this situation, namely, Cheukeunjisim[惻隱之心, pitiful mind] and Bulinjisim[不忍之心, unbearable mind] brings about the drastic action called throwing oneself. The wife`s image, which practices a will to hold on to the mind of love and sympathy for the husband to the end with recovering courtesy through controlling this as music in the wake of expressing extreme sadness enough to reproach heaven, is similar to the image of Gunja[君子] who practiced In[仁, virtue] that is Confucian`s ideal type of human being. What Gongmudohaga could be steadily transmitted and recreated for a long time seems to be accredited just to this reason.

      • KCI등재

        유교의 정체성을 다시 묻는다 ; 원시유가의 형성과 본질적 이념 - 공자의 천인관과 예악사상을 중심으로-

        이상은 ( Sang Eun Lee ) 동양철학연구회 2007 東洋哲學硏究 Vol.50 No.-

        本篇論文是爲了確認儒家成立初期卽原始儒家形成期的儒敎的整體性是甚마、其原型的合理性是甚마、他們追求的本質的理念到底是甚마而着筆的。孔子通過對傳統的信仰對象卽``天``做了個新的解釋而發現了道德的人間主體。他認爲``天道``乃至``天理``以``德``之形態賦與於人間。他的天道觀的核心不在於天, 而內在於我們人的本質-``德``。可謂是在眞正的意義上發現了道德的主體之人間自我。這是在中國哲學史上的一個劃時代的轉換。於是孔子在與生命有關的主體的自覺和具體的實現的意義上將人的本質規定爲``仁``。對孔子來說像禮與樂這樣的外形的文化如果不基於眞正的人間性的本質, 就根本沒有存在的意義。反之, 通過這些禮樂可以實現``仁``(人間完成)的思想。仁的實現就是孔子的 目標, 禮樂却是具體的實踐方法。在孔子思想裏禮樂就是完成人間的手段, 進一步通過禮樂之社會的實踐以建設文明社會這才是目標。孔子的理想就是天與人的隱密的邂逅, 人與人之間的調和的相逢, 通過以仁爲本質的禮樂之個人的實踐完成人間, 通過禮樂之社會的實薦而建立美好的文明社會. 我們可以把這些內容叫做原始儒家之本質的理念

      • KCI등재

        공자의 윤리사상 다시 읽기 -인(仁) 개념의 재조명을 중심으로-

        강봉수 ( Bong Soo Kang ) 한국윤리학회 2012 倫理硏究 Vol.84 No.1

        This thesis aims to reread the Confucius ethical thought by focusing on recounting the concept of Ren(仁). Confucius stipulated certain order or norms as Liyue(禮樂)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he suggested Ren(仁) as the fundamental virtue or universal principle. Confucius accounted the fundamental virtue or universal principle as the ``perfect morality``. One can only become a virtuous person when he or she masters Ren(仁) as the perfect morality hence he or she can make decision and judgement on the basis of the order of Ren (仁). In other words, this is the fundamental system of Confucius ethics. However, what does Ren(仁) really means? Ren(仁) is not a concept that can be interpreted in a single way. Ren(仁) is a concept with three meanings. They are a)Ren(仁) of Youwei(有爲; utility) ethics, b)Ren(仁) of Dangwei(當爲; righteousness) ethics and c)Ren(仁) of Wuwei(無爲: inactivity) ethics. Confucius prescribed different notions of Ren(仁) in different situations and he did not promoted any specific concept as a realm of the truth. Therefore, the principle of Ren(仁) has been a slippery concept as it possesses multiple meanings within it. Obviously, the concept of Ren(仁) which Confucius struggled to achieve and practice during the period of warring states in ancient China from the Zhou dynasty to the Chao dynasty is the Ren(仁) of Dangwei(當爲; righteousness). In this sense,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Ren(仁) where people understood the thought of Ren(仁) in the aspects of righteousness is not an error. Nevertheless, Confucius himself conceded the practical ethics and especially in his latter years, he realized the fact that it is impossible to materialize the ideal and strived to live a life of Ren(仁) of Wuwei(無爲: inactiv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