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 논문 : 폴 틸리히, 예술의 신학

        김산춘 ( San Choon K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0 美學·藝術學硏究 Vol.32 No.-

        문화신학자로 널리 알려진 폴 틸리히(Pau1 Tillich, 1886-1965)는 거의 40여 년에 걸친 그의 강의, 강연, 논문 등을 통해 종교와 예술의 상호관계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일관되게 표명하였다. 틸리히의 예술에 대한 개념은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예술은 궁극적 실재에 대한 한 개인의 체험의 표현이다." 그러나 정작 틸리히 자신은 자신의 글들을 모아 한권의 책으로 펴낸 적은 없다. 사후 Dillenberger의 편집에 의해 출판된『On Art and Architecture』(1987)만이 틸리히 의 예술의 신학의 정수를 시대 순으로 더듬어볼 수 있는 유일한 보고서이다. 필자는 무엇보다도 틸리히 자신의 목소리가 담긴 이 책을 중심으로 그의 예술의 신학을 주로 표현주의 회화론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가 틸리히의 예술의 신학을 이해하기 위해 우선 검토해야 할 핵심적인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와 문화의 관계이다. 틸리히는 종교와 문화를 대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내재성을 가진 것으로 보았다. 우리는 이를 이른바 그 의 ``문화의 신학``안에서 살펴볼 것이다. 둘째, 그는 바로 그 문화의 신학을 설명하기 위해, 문화의 가장 전형적인 형태인 예술을 선택하는데, 여기서 예술은 표현주의적 양식의 예술을 가리킨다. 왜 틸리히는 철저하게 시종일관 표현주의 양식을 고수하였는가? 그것은 틸리히에게 표현주의라는 양식 그 자체가 종교적이었기 때 문이다. 셋째, 틸리히는 시각예술과는 좀 거리가 멀다고 할 프로테스탄티즘의 신학자이다. 그런 그가 논하는 프로테스탄트 예술이란 대관절 무엇을 말하는가? 틸리히가 지적하듯이, 프로테스탄티즘은 ``말``에 묶여있으며 시각예술과는 극히 의심스런 관계에 있었다. 그런데 그 자신은 정작 카톨릭으로 간주될 정도로 시각예술 에 대해 개인적인 애착을 보였다. 그러므로 이 글의 과제는 문화의 신학, 표현주의 양식 그리고 진정한 종교 적(프로테스탄트적) 예술이란 무엇인가를 밝히는 일이 될 것이다. 틸리히의 예술의 신학은 그의 문화의 신학의 한 전형이었다. 신학이 모든 존재자들 안에서 그리고 모든 존재자들을 통한 신적인 것의 현현에 관한 이야기 라면 예술의 신학은 가능하고, 그때 예술의 신학은 예술의 행위와 창조에 있어서 의 신적인 것의 현현에 관한 학설이 된다. 예술의 신학은 예술작품 안에서 궁극 적 실재의 현현을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며, 그 결과 결정적인 것은 예술이 종교적이 되기 위해서 꼭 종교적인 대상을 다루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궁극적인 의미와 존재의 체험이 표현적으로 주어진다면 세속 예술도 종교적일 수 있다. 궁극적 실재에 대한 체험이 표현된 모든 시대의 예술적 양식은 그 시대의 종교적 실존의 기록이다. 틸리히가 보기에 20세기의 위대함은 표현주의 원리의 발견, 즉 미화적 자연주의(beautifying naturalism)의 표층을 파괴하는 힘을 가지고 실재의 심층(the depth of realty)으로 돌파하는 원리의 재발견에 있었다. 그리고 거기서 오히려 그 는 세속적인 주제의 풍요로움 안에서 새로운 프로테스탄트적 종교적 예술의 가능성을 보았다. Paul Tillich(1886-1965) is well known as a theologian of culture. For almost 40 years, he expressed through lectures, speeches, and articles his consistent view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art. His essential conception of art is seen in the following statement: "Art is an expression of an individual`s experience of the ultimate reality." However, he himself did not collect his writings on art for a book.『On Art and Architecture』 (1987) is edited and published posthumously by Dillenberger. And it is the only material by which one can follow chronologically the essential ideas in Tillich`s theology of art. Focussing on the book, therefore, this article wants to consider his theology of art in general and his expressionist theory of painting in particular. For adequate understanding of Tillich`s theology of art,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following points. First, Tillich sees that religion and culture are not contradictory but mutually indwelling. This article will elaborate on that point in relation to his so-called ``theology of culture.`` Second, in explicating his theology of culture Tillich chooses the most typical form of art in culture, that is, ``expressionistic style`` of art. It is because the expressionistic style itself for him is ``religious.`` Third, Tillich is a theologian of Protestantism that rather distances itself from visual arts. As he points out, Protestantism tied to ``words`` is suspicious of visual arts. But Tillich is personally attached to visual arts to the effect that he could be considered Catholic. This paper` s task is to make clear Tillich`s theology of culture, and his thoughts on expressionistic style and religious(Protestant) art. Tilhich`s theology of art is, in fact, a type of his theology of culture. If theology is a discourse on the manifestation of the divine in and through all beings, theology of art is possible and, in that case, it is a theory of the manifestation of the divine in the very act and creation of art. A theology of art presupposes that one is able to recognize the manifestation of the ultimate reality in artworks. As a result, - this is decisive-in order for art to be religious it needs not necessarily deal with specifically religious objects. A secular art can be religious if an expression is given to the experience of the ultimate meaning and being. Then, the art form of every age, in which experiences of the ultimate reality are expressed, is the record of the religious existence of the age. As Tillich sees it, the greatness of the 20th century lies in a discovery of the principle of expressionism, that is to say, a rediscovery of the principle of breakthrough into the depth reality by destroying the surface of beautifying naturalism. Therein, that is, in the abundance of secular subjects, Tillich sees rather the possibility of a new Protestant religious art.

      • KCI등재

        1부 특집: 헤겔과 종교 : 직관에서 표상으로: 헤겔의 정신철학에서 예술로부터 종교로의 이행 문제

        박배형 ( Bai Hyoung Park ) 한국헤겔학회 2013 헤겔연구 Vol.0 No.34

        헤겔 철학에서 예술, 종교, 철학은 하나의 동일한 영역, 즉 절대정신의 영역을 이루는 세 계기들이다. 헤겔은 예술로부터 종교로의, 종교로부터 철학으로의 이행을 주장하는데, 특히 전자의 이행에 있어 해석상의 여러 난점들이 존재한다. 이런 난점들은 우선 헤겔이 예술과 종교에 부여하는 특별한 성격과 관련되어 있다. 즉 예술과 종교가 모두 절대정신의 영역을 이루고, 근본적으로 동일한 내용을 지니면서 그 형식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는, 다시 말해서 예술은 직관의 형식을, 종교는 표상의 형식을 갖는다는 헤겔의 입장과 관련되어 있다. 또 이 난점들은 그의 철학적 완숙기의 노작 『철학 대계』나 그의 『미학강의』에 서술된 이행과 그의 다른 저작들, 특히 『정신현상학』에서 서술된 이행이 서로 간에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과도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난점들이 난점들로서 계속 남아 있게 된다면, 헤겔은 일관적이지 못한 이론을 제시했다는 혐의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고, 이러한 의심은 헤겔의 체계 자체에 대한 의심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필자는 이와 같은 난점들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이행에 관한 헤겔의 주장들이 일관성을 잃지 않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는 해석이 가능하다는 입장의 표명과 함께, 이러한 해석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헤겔이 예술로부터 종교로의 이행을 논할 때, 이를 참된 예술에서 참된 종교로의 이행이라는 구조 속에서 서술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해석에 의거하자면, 우리는 예술로부터 종교로의 이행에 대해 말할 때 참된 예술과 참된 종교를 기준으로 삼아, 즉 고전적 예술과 기독교를 기준으로 삼아 생각해야만 한다. 필자는 이 해석을 통하여 이러한 이행과 관련된 모든 난점들이 일거에 제거될 수 있다고 주장하지는 않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난점들이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이 해석이 갖는 장점과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In der Hegelschen Philosophie des Geistes befinden sich Kunst, Religion und Philosophie in derselben Sphare, in der absoluten Sphare des Geistes. Diese drei Momente des absoluten Geistes bilden als unteschiedliche Weisen des Wissens eine Hierarchie. In der Hegelschen Philosophie des absoluten Geistes geht die Kunst in die Relinion, diese in die philosophie uber, genausowie die Anschauung in die Vorstellung, diese ins Denken in der philosophie des subjektiven Geistes. Die Struktur dieses Ubergangs ist von grundlegender Bedeutung in der logischen Entwicklung in dem Hegelschen philosophischen Sysem. Ohne diese Struktur zureichend zu verstehen, istnahres Verstandnis von Hegels Philosophie des Geistes kaum moglich. Aberes gibt mehrere Schwierigkeiten in der Deutung des Ubergangs von der Kunst zur Religion. Sie beziehen sich zuerst auf die Seite, dass nach Hegel die Kunst und die Religion ein und denselben Inhat haben, aber die erstere die Form der sinnlichen Anschauung, die letztere die Form der Vorstellung hat Sie beziehen sich auch auf die Tatsache, dass jener Ubergang in Hegels Enzyklopadie oder in seinen Vorlesungen uber die Asthetik mit dem Ubergang in seiner Phanomenologie des Geistes nicht ubereinstimmt. Ich habe einerseits die Meinung vertretten, dass eine Interpretation moglichist, die Hegels Behauptungen uber den Ubergang trotz jener Schwierigkeiten als konsequent erscheinen last. Andererseits habe ich solche Intepretation prasentiert: Hegel stellt, genau gesehen, den Ubergang in der Struktur einessolchen von der wahrhaften Kunst zur wahrhaften Religion dar. Nach dieser Intepretation mussen wir diesen Ubergang von der wahrhaften Kunst zur wahrhaften Religion, von der klassischen Kunst zum Christentum zur Basis der Berachtung machen, wenn wir uberhaupt einen Ubergang von der Kunst zur Religion in der Philosophie Hegels verstehen wollen. Ich behaupte nicht, dass wir von allen Schwierigkeiten durch meine Interpretation befreit warden konnen. Aber ich habe Vorteile und Gultigkeit dieser Interpretation dadurchvor Augen gebracht, dass diese ein paar entscheidende Schwieirigkeiten auflosen kann.

      • KCI등재후보

        종교와 예술의 문제(Ⅰ) -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미의 종교」를 중심으로 -

        이승현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7 No.-

        “The modern men, who have lost religion, are seeking sacredness in the arts,”said Eliade. A religious theologian, Paul Tillich, presented the concepts of the cultural artifacts that are formed in the religiously matured moments that are created by the artists who experience religious sacredness. He categorized them into historic and philosophical frames in his book “A Theology of Culture (Die Theologie der Kultur)”. In the moderncriticism of religion, the two scholars who emphasized the need to expand the concept of religion,provided the traditional theme of“ arts and religion”with a new concept“, arts and the unconstrained and tangible”. The main features of modern religious culturesthey found are twofold: 1) the liberation of arts from the limited boundary of the arts that established religions tolerate; 2) the liberation of religion from the established religions. Religious philosopher Yanagi Muneyoshi (1889-1961), who lived the same era with Tillich purported “the religion of beauty”by emphasizing the provision of concrete “Tao”actualized in the halls of beauty, which could replace the disappearing temple-based religions back in Japan. In the transformational period of modernization in Asia, religious philosophers made efforts to overcome the conflicts of different streams such as the east vs. west cultures, imperial nationalism vs. humanism, and the traditional way of life vs. the modern way of life. Especially, they endeavored examining religions and arts, and tried to participate in reality through arts and religion. This paper aims to present an opportunity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oday’s meaning of religion and arts by investigating the process that Muneyoshi’s went through to form his theory on “the religion of beauty.” 엘리아데는“종교를 망각해버린 근대인은 그 신성함(聖性)을 예술속에서 구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종교신학자 폴 틸리히도『문화의 신학(Die Theologie der Kultur)』을 통해, 종교적인 내실을 체험하는 사람이 구상화한 온갖 문화 창조물을 유형적, 역사철학적으로 분류하며,“종교가 결실을 맺은 문화란 본래 어떠한 것인지, 실제 종교 쪽에서 스케치해 보는”개념을 제시하였다. 근대에 활발해진 <종교> 비판에 대해 종교 개념 확장의 필요성을 강조한 그들은 <예술과 종교>라는 테마를“예술과 무제약적으로 실재인 것”이라고 말하며, 기성 종교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예술을 생각하는 것으로부터 예술의 해방과 기성종교로부터 종교를 해방하는 것이 근대 종교 문화의 특징이라고 보았다. 폴 틸리히와 동시대를 살다 간 일본의 종교철학자 야나기 무네요시(柳宗, 1889-1961)는“전반적으로 사원(寺院)종교가 쇠퇴해가는 오늘날, 그것을 대신할 것은 미의 전당을 세우고, 그것을 매개로 눈에 호소하며 도(道)를 명확히 하는 것”이라는「미의 종교」론을 독자적으로 전개하였다. 근대화라는 문명사적 대격변기를 목격한 아시아의 종교철학자가 전통적인 삶의 방식과 근대적인 삶의 방식, 서양문화와 동양문화,그리고 제국주의적인 내셔널리즘과 그에 대립하는 휴머니즘의 경계선에 서서 이질적인 것의 대립을 초극하기 위한 궁극적인 고찰과 실천을종교와 예술을 통해 추구하고자한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이러한 야나기의「미의 종교」론 형성과정을 통해 종교와 예술이 갖는오늘날의 의미를 통찰해 봄으로써 종교 이해의 장을 넓혀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자연종교와 예술종교의 위상

        최신한(Choi, Shin-Han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8 동서인문 Vol.0 No.10

        이 논문은 헤겔의 『정신현상학』 에서 자연종교와 예술종교의 개념과 위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신현상학에서 종교는 도덕성과 철학사이에 위치한다. 이른바 자기 확신적 정신과 절대지 사이에 놓여 있는 종교는 의식 경험의 최고봉에 속한다. 철학을 대변하는 절대지는 종교적 경험 없이 마련될 수 없기 때문이다. 종교적 경험은 자연종교에서 예술종교를 거쳐 계시종교로 나아간다. 자연종교는 정신의 직접성을 드러낸다면 예술종교는 정신의 대자성을 표현한다. 헤겔은 자연종교에서 빛종교, 식물종교, 동물종교를 다루며 장인의 의미를 밝힌다. 예술종교에서 그리스종교를 집중적으로 분석하며 운명, 서사시, 비극, 희극에 나타난 정신의 대자성을 드러낸다. 대자적 정신은 자기의 개념에 도달하지 못한 미완의 정신이다. 예술종교는 정신의 자기관계를 완성하는 계시종교로 이행한다. 자연종교와 예술종교는 의식의 경험을 완성하는 중요한 계기들로서 절대지를 향해가는 정신의 단계를 보여준다. 자연종교와 예술종교는 단순히 과거 형태의 종교로 치부될 수 없으며 삶에서 언제나 확인할 수 있는 인간 정신의 특징들이다.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status of natural religion and art religion in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In the Phenomenology, religion lies between morality and philosophy. One of the highest experiences of consciousness is the religion that lies between the so-called self-confident spirit and the absolute knowledge because the absolute knowledge embodied by philosophy cannot be established without the experience of religion. The religious experience goes first from natural religion to art religion, and finally to revealed religion. While the natural religion manifests the immediacy of spirit, the art religion expresses the spirit for itself. Hegel discusses the manifestations of natural religion as light religion, plant and animal religion, and elucidates the meaning of the artificer’s products. As for the art religion, Hegel focuses on the Greek religion, which he analyzes to reveal the spiritual work of art in fate, and in epic, tragedy, and comedy. The spirit for itself is an incomplete spirit that could not reach its own concept. Thus, the art religion moves on to the revealed religion, which completes the spiritual self-relation. Natural religion and art religion are important phases in the completion of consciousness towards the absolute knowledge. Nonetheless. natural religion and art religion cannot merely be regarded as religions of the past; rather, they are particular attributes of the human consciousness, which can always be seen in one’s life.

      • KCI등재

        종교시설의 사회문화적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개신교 문화예술콘텐츠네트워크 사례경험을 중심으로

        주희현 ( Hee Hyun Jo ),장웅조 ( Woong Jo Chang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8 주관성연구 Vol.- No.41

        본 연구는 오랜 인류 역사 속에서 제도적, 물리적 인프라를 기반으로 문화예술창작, 향유, 교육 등을 통해 예술 경영의 태동과 실행에 기여해온 종교단체의 문화예술 사회적 역할을 재조명한다. 이를 위해 비영리운영의 경제성, 장소의 편재성, 자율적 수용성 측면에서 한국사회의 문화예술계와 다양한 접점을 가지고 있는 개신교를 중심으로 ‘언론-예술인-교회 문화예술 네트워크’의 경험자들의 인식을 Q방법론을 통해 분석했다. 연구대상자로 참여한 예술가, 향유자, 기획자, (공간)운영자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개방 소통형, 사회 참여형, 종교매개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각각의 특징은 문화예술 현장으로서 종교시설의 다양한 활용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종교시설의 탈종교적 함의는 예술 활동의 장으로서, 그리고 예술경영의 전초기지로서, 종교시설의 사회문화적 역할확대를 지지하고 있다. 이로써 4차 혁명으로 불리는 융합시대에 문화예술의 사회적 과제수행에 대한 정교융합의 진보적 상생 가능성을 확인하고 그 근거를 정리했다. In this study, the social and cultural role of religious institutions and their facilities in fostering arts and culture were examined. Religious organizations possess institutional and physical infrastructure and has history with supporting artistic production and education in general. An in-depth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the management cases of the “Media-Artists-Church” Culture and Art Network, an organization which focuses on Protestant churches that actively engage in the arts and culture of Korean society through sponsorship, non-profits, and provision of physical facilities. The Q-Methodology was ueed to identify the patterns of actors’ perception in each of the cases. Understanding the patrons’ perceptions of the arts and culture is important for designing the direction, continuity, and expansion of the arts sector.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ommunicational, Social-Participational, and Religious-Interventional.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hold the potential to, in various combinations,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he art and cultural field in Korea. In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 multi-point analysis of the pressing issues of the art and culture in Korean society and proposes guiding principle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종교와 예술의 문제 1 :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미의 종교」를 중심으로

        이승현(李勝鉉)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7 No.-

        엘리아데는“종교를 망각해버린 근대인은 그 신성함(聖性)을 예술속에서 구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종교신학자 폴 틸리히도『문화의 신학(Die Theologie der Kultur)』을 통해, 종교적인 내실을 체험하는 사람이 구상화한 온갖 문화 창조물을 유형적, 역사철학적으로 분류하며, “종교가 결실을 맺은 문화란 본래 어떠한 것인지, 실제 종교 쪽에서 스케치해 보는”개념을 제시하였다. 근대에 활발해진 비판에 대해 종교 개념 확장의 필요성을 강조한 그들은 라는 테마를“예술과 무제약적으로 실재인 것”이라고 말하며, 기성 종교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예술을 생각하는 것으로부터 예술의 해방과 기성종교로부터 종교를 해방하는 것이 근대 종교 문화의 특징이라고 보았다. 폴 틸리히와 동시대를 살다 간 일본의 종교철학자 야나기 무네요시(柳宗, 1889-1961)는“전반적으로 사원(寺院)종교가 쇠퇴해가는 오늘날, 그것을 대신할 것은 미의 전당을 세우고, 그것을 매개로 눈에 호소하며 도(道)를 명확히 하는 것”이라는「미의 종교」론을 독자적으로 전개하였다. 근대화라는 문명사적 대격변기를 목격한 아시아의 종교철학자가 전통적인 삶의 방식과 근대적인 삶의 방식, 서양문화와 동양문화, 그리고 제국주의적인 내셔널리즘과 그에 대립하는 휴머니즘의 경계선에 서서 이질적인 것의 대립을 초극하기 위한 궁극적인 고찰과 실천을 종교와 예술을 통해 추구하고자한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야나기의「미의 종교」론 형성과정을 통해 종교와 예술이 갖는 오늘날의 의미를 통찰해 봄으로써 종교 이해의 장을 넓혀보고자 한다. “The modern men, who have lost religion, are seeking sacredness in the arts,” said Eliade. A religious theologian, Paul Tillich, presented the concepts of the cultural artifacts that are formed in the religiously matured moments that are created by the artists who experience religious sacredness. He categorized them into historic and philosophical frames in his book “A Theology of Culture (Die Theologie der Kultur)”. In the moderncriticism of religion, the two scholars who emphasized the need to expand the concept of religion, provided the traditional theme of “arts and religion” with a new concept“, arts and the unconstrained and tangible”. The main features of modern religious culturesthey found are twofold: 1) the liberation of arts from the limited boundary of the arts that established religions tolerate; 2) the liberation of religion from the established religions. Religious philosopher Yanagi Muneyoshi (1889-1961), who lived the same era with Tillich purported “the religion of beauty” by emphasizing the provision of concrete “Tao” actualized in the halls of beauty, which could replace the disappearing temple-based religions back in Japan. In the transformational period of modernization in Asia, religious philosophers made efforts to overcome the conflicts of different streams such as the east vs. west cultures, imperial nationalism vs. humanism, and the traditional way of life vs. the modern way of life. Especially, they endeavored examining religions and arts, and tried to participate in reality through arts and religion. This paper aims to present an opportunity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oday’s meaning of religion and arts by investigating the process that Muneyoshi’s went through to form his theory on “the religion of beauty.”

      • KCI등재

        인륜적 공동체와 예술종교 - 헤겔의 『정신현상학』을 중심으로 -

        정미라(Chung Mi-La)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논집 Vol.60 No.-

        헤겔은 종교와 예술을 한편으로는 인간의 삶을 형성하는 고유한 영역으로 이해하면서 동시에 절대정신의 한 부분으로서 인간의 자유를 실현시키는 실천철학적 요소로 간주한다. 그에게서 예술과 종교의 의미는 인간에게 내재한 아름다움에 대한 상상력의 욕망 속에, 혹은 피안의 세계를 이해하고 구원을 가능하게 하는 종교적 갈망 속에 소진되지 않는다. 그는 특히 종교적 정신 속에서 개인들이 공동체와 일체감을 느끼는 정서적 기능 뿐 아니라 사회적 규범을 정당화하는 정치적 기능을 발견하며, 따라서 종교를 사회적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제도로 인식한다. 본 논문은 헤겔이 자신의 고유한 철학적 사유를 처음으로 체계화한 󰡔정신현상학󰡕에서 종교, 특히 예술종교가 지닌 의미를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본 논문은 고대 그리스사회에서 예술종교가 어떻게 인륜적 세계를 가능하게 하는 추동력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주고, 이를 통해 예술종교에 내재해 있는 실천철학적 기제가 무엇인지를 해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헤겔이 자신의 철학 체계 내에서 철학과 함께 절대정신으로 다루고 있는 종교와 예술의 문제를 사회적 실천문제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인륜적 공동체에서 행해진 예술종교의 의미와 역할을 실천철학적 관점에서 해명하며, 마지막으로 예술종교를 통해 매개된 고대 인륜적 공동체가 지닌 한계를 고대 그리스의 비극과 희극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Dieser Aufsatz zielt darauf ab, die Bedeutung der Religion, vor allem der Kunstreligion, in der Phänomenologie des Geistes zu erläutern, in welcher zuerst Hegel seine eigenen philosophischen Gedanken systematisiert hat. Insbesondere soll geklärt werden, wie die Kunstreligion als treibende Kraft für eine sittliche Welt in der antiken griechischen Gesellschaft gewirkt hat und mithin welche praktisch-philosophischen Momente der Kunstreligion innewohnten. Zu diesem Zweck soll die Problematik von der Religion und der Kunst, welche beide Hegel in seinem philosophischen System gleich der Philosophie als absoluten Geist thematisiert hat, in Bezug auf Fragen der sozialen Praxis näher analysiert werden. Im Folgenden soll die Bedeutung und Rolle der Kunstreligion, welche in der sittlichen Gemeinschaft praktiziert wurde, vom Standpunkt der praktischen Philosophie aus erläutert werden. Abschließend soll den Grenzen der antiken, durch die Kunstreligion vermittelten, sittlichen Gemeinschaft nachgegangen werden, und zwar im Hinblick auf die Tragödien und Komödien des antiken Griechenlands.

      • KCI등재

        미술의 문화적 작용

        김대열(Kim, Dae-Youl) 동서미술문화학회 2012 미술문화연구 Vol.1 No.1

        인생의 과정에서 교육, 종교, 도덕, 과학, 경제 등의 중요한 활동이 있는데, 이러한 활동이 바로 인류 문화의 아주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그런데 우리는 문화라고 하면 곧바로 예술과 동일시해서 이해하려 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 원인이 어디에 있는 것일까? 이는 아마도 예술이 인류의 각종 활동에 출연하여 그 활동의 성질을 조장하고 그 활동 발전의 기초를 세우고 있기 때문이라 하겠다. 즉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신념, 종교, 사고방식이나 가치관 등 추상적인 잠재 문화를 시각언어(language of vision)로 전달하고자 한다면 추상적 언어 문자에서는 부족한 부분을 메울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예술은 잠재 문화를 우리가 감수할 수 있는 객관 존재로 만드는 능력 이외에 아주 유력한 문화의 기록이며, 절대 신뢰할 수 있는 역사의 산물이기도 하다. 우리는 능히 이러한 예술품을 빌어 시간과 공간의 거리가 아주 먼 고대 이집트 파로와 시대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으며, 경주 석굴암 불상을 통해 신라인의 사회와 종교 신앙을 감수할 수 있다. 우리는 이와 같은 예술품의 감상을 통해서 당시의 사회 문화의 이해와 아울러 선인의 경험과 감정 속에 우리의 경험과 감정을 서로 이입(移入)하게 된다. 이처럼 예술은 문화의 계승과 전달에 있어서 크나큰 작용을 하고 있다. 간추려 말하자면 예술은 문화의 가장 구체적인 표징이며 또한 문화를 받쳐 주는 유력한 지지자로 문화로 하여금 더욱 변화의 가치를 가지게 한다. There are important actions of the education, religion, morality, science and economy in the process of life. These actions are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mankind culture. But it is common for us to try to understand the culture by identifying it with the art. What`s the reason of that? Maybe it is because that art has appeared in the various actions of the mankind, promoting the character of the action and building the found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actions. It is possible to fill up the gap in the abstract language letters by trying to deliver the abstract latent culture such as belief, religion, the way of thinking and values which don`t appear in the language of vision. Especially the art is the record of the most influential culture and the result of the absolute reliable history besides the power to make the latent culture as the objective being that we can endure. We can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far away ancient Egypt Pharaoh and its period whose time and space is so far away, with the help of the artworks and can appreciate the society and religious faith of Shilla people through the Buddha statue of the S?kkuram Cave Temple in Kyung-Ju. Through the appreciation of the artworks like this, we can not only understand the social culture of that era but also put our experience and emotion into those of our ancestors. Like this, the art is doing huge functions in the succession and handing down of the culture. To be summarized, the art is the most concrete sign of the culture and the strong supporter holding the culture to have the value of the change.

      • KCI등재

        프루스트 작품 속에 나타난 예술과 종교

        길해옥 ( Kil Hae-ok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5 프랑스어문교육 Vol.48 No.-

        ‘프루스트의 예술관을 지탱하는 힘은 바로 종교다’라는 정론을 출발점으로, 본 연구의 목표는 프루스트의 소설『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과연 종교가, 구체적으로 가톨릭이 작가의 예술관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밝히는데 있다. Mingelgrün의 연구가 한 작가의 예술관과 종교관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며, 자신의 무의식 속에서 어떻게 글로 형상화되는가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먼저 그가 주장하는 논거를 통해, 작품의 주제와 소재에 영향을 미치는 성경 속 주요 인물들과 에피소드와 같은 구조적 측면과 성서 구절에 대한 모작 및 비유, 그리고 복음서 인용과 같은 문체적 측면이 어떻게 작품에 반영되고 있는가를 우선 단계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소설 속 주인공인 마르셀이 알베르틴과의 사랑에서 겪는 고통스런 여정이 마치 그리스도의 수난과정을 재현하는 것처럼 묘사되고 있음을 Mingelgrün의 연구 방법론 속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프루스트의 예술관은 정신과 물질세계의 상호 교감작용에 그 근저를 두고 있으며, 이 두 가지는 자신만의 독특한 문학적 방식을 통해 수없이 변형되어, 결국 비의지적인 기억을 통해 다시 재탄생되어진다. 이는 결국 과거의 축적된 개인적인 경험은 물론 현실적 삶을 다시 재정립시키는 작업으로, 끊임없이 움직이며 사라지는 사건이나 인물들을 순간적으로 포착함으로써 낡고 익숙한 감각의 습관들로 인해 사장되어 버린 사물에 생명을 불어 넣는 부활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예술가의 창작이란 바로 이 같은 작업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무의미한 일상성으로부터 해방된 인물들과 이들로 인한 사건들은 작품 속에 서로 스며들고 녹아 새로이 탄생되며, 시간의 우연성으로부터 해방되어 영원의 불멸화를 꾀할 수 있다. 즉, 프루스트에게 존재했으나 보이지 않았던 신비의 존재를 다시 번역해 글로 표현하는 것이 바로 프루스트 예술의 근원이며, 이런 글쓰기의 작업은 종교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영원은 시공을 떠나 존재할 수밖에 없으며, 영원성을 대변하는 신성(神聖)의 세계에 관여하는 것이 바로 종교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프루스트에게 있어서 신성의 근원은 무엇이며, 또한 종교의 절대적 진리는 자신의 예술 행위 즉 글쓰기에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 것일까? 프루스트는 세상의 본질을 정교하게 끄집어내는 예술가의 표현 양식이야말로 신의 몸짓에 가까워야 하며, 신의 소리에 전율을 느끼고 그것을 글로 받아쓰는 것이 바로 작가의 역할이라고 보았다. 왜냐하면 신성을 글로 드러내는 것이 바로 예술의 존재 이유이며, 바로 신성에 대한 찬양이 예술의 본질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서 마르셀 스스로가 작가로서의 소명의식을 깨닫게 되는 과정은 마치 육화(肉化)된 인성(人性)이 신성화되는 가톨릭 미사의 성찬의 전례 과정과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곧 신을 통해 마르셀은 실존적인 자아의 한계에서 벗어나 관조적인 관점으로 자신의 삶을 승화된 문체로 재구성함으로서 다시 부활시키게 되며, 이런 예술 행위는 잃어버린 인간의 진아(眞我)를 찾는 과정으로서, 곧 잃어버린 시간을 되찾는 여정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신적 ‘자기묘사’에서 드러난 슐라이어마허의 예술적 주체로서 ‘우리-존재’의 문제

        최태관 ( Tae-kwan Choi ) 한국조직신학회 2021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5 No.-

        본 논문은 슐라이어마허의 예술적 주체에 관한 연구이다. 예술적 주체는 삼위일체 하나님과 관계하는 그의 인생에서 얻게 된 삶의 근원적 인식이다. 그 근원적 인식에서 슐라이어마허는 우리-존재를 가시화하는 우주적 활동성과 그의 자연적이고 역사적 유산으로서 신적 자기묘사의 현실성-예술작품-을 발견하게 된다. 따라서 본 글은 슐라이어마허의 삶에서 가시화한 우주적 활동으로서 신적 자기묘사와 그를 토대로 형성된 관계적 주체로서 ‘우리-존재’를 해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편으로, 본 논문은 신적 자기묘사에서 다양한 개성적 인간이 예술적 주체로서 구체화되는 우주적 활동성의 의미를 밝혀낸다. 전통적인 슐라이어마허의 종교적 인간의 근간으로서 경건성에 대한 이해는 항상 기독교 중심의 개성적 삶을 표현하는 방식에 머물렀다. 그러나 예술적 자아로서 종교적 주체에 대한 인식은 감각적으로 경험하는 것을 표현하는 제한적 의미의 예술론을 넘어 다른 종교적 자아와의 관계에서 교제의 삶을 재구성하는 일에 기여한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현실 세계를 예술작품으로 구조화하는 우주적 활동성의 근간으로서 성육신의 의미를 밝힌다. 다른 한편, 본 논문은 예술작품으로서 총체적 세계에 가시화된 주체로서 ‘우리-존재’를 구체적으로 해명한다. 나사렛 예수의 원형적 인간에게서 시작된 우리-존재는 그리스도의 근원적 직관을 통해 드러난 우주와 하나가 됨으로써 역사화된 총체적 삶을 표현한다. 성탄축체, 독백론, 신앙론에 확장되고 있는 우리-존재의 현실은 우주적 활동성을 근간으로 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자기 확장의 사건이다. 또한 우주의 신비가 자연과 역사 안에 드러나는 사건이다. 우주의 활동성에서 드러난 타자적 현실성과 상호주체로서 우리-존재와의 계속되는 상호 관계에서 신적 자기묘사는 정점에 도달하게 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글은 슐라이어마허의 예술론의 의미를 서술한다. 그의 예술작품으로서 총체적 삶의 이해는 개별적이고 포괄적인 우주적 활동을 근간으로 하는 초월적 활동을 표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존재는 우주의 활동성을 중심으로 형성된 자연과 역사, 혹은 인간과 자연의 새로운 공동체를 의미하며 그것이 곧 슐라이어마허의 종교의 궁극성이 의미하는 바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본 논문은 슐라이어마허의 예술론이 절대의존의 감정과 자유 사이에서 성취된 신적 자기묘사의 참여이며 교의학적이고 윤리적 총체적 삶을 표현하는 것임을 강조한다. This paper is to explain on Schleiermacher’s the problem of religious subject as the subject of the Art in his work “on the religion” and “the christian faith.” The religious subject is the fundamental awareness of his religious life that he has gained through his relationship with trinity. Schleiermacher regards the cosmic activity as the power of the divine self-description. This power makes our existence visible and his natural and historical heritage as a work of art. This article is to describe‘our existence’ visualized in Schleiermacher’s life as the reality of cosmic activity. This our existence is formed by the divine self-description. On the one hand, this thesis tries to find the meaning of cosmic activity in which various individual human beings are embodied as the subject of art in the divine self-description. The recognition of the religious subject as an artistic self contributes to reconstructing the holistic life in relation to other religious religions beyond the limited sense of art that expresses what is experienced sensibly. this paper understands the meaning of the incarnation as the basis of cosmic activity that expresses the reality of the world into works of art. On the other hand, this thesis specifically regards ‘our existence’ as a subject visualized in the whole life as a work of art. ‘Our existence’ expresses the total life that is historically formed by becoming one with the universe. This total life began with the archetypal human of Jesus of Nazareth und revealed through his fundamental intuition. ‘Our existence’ is an event of the self-expansion of the divine self-description based on the cosmic activity. The divine self-description has reached its apex in the reality of otherness revealed in the cosmic activity and the continued interrelationship with our existence as intersubjects. Furthermore, this article describes the meaning of Schleiermacher’s understanding of cosmic reality in the relation to the divine self-description. Here is formed the Works the art as the expression the holistioc life. The works are the production of comic association between the subjects of art and the cosmic activity in the devine self-description. Therefore, our existence means a new community of nature and history, or humans and nature formed around the activity of the universe, and that is what Schleiermacher’s ultimate religion means. finally, this paper emphasizes that Schleiermacher’s art theory is a participation in the divine self-description achieved between the feelings of absolute dependence and the feelings of freedom, and that it expresses the dogmatic and ethical whole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