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발달과 영성 : Ken Wilber의 통합예술발달을 중심으로

        김문희(Kim Moonhee),박성현(Park Sungh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근대 이후 영성은 예술, 심리학, 종교에서 분리되어 소외되어가다가 최근 명상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심리학에 유입되면서 영성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고 있다. 명상과 결합한 예술치료프로그램이나 초월적인 예술치료 접근이 늘어나는 현 추세에서 예술발달에서의 영성과 그 표현에 대해 새롭게 조망할 필요가 생겼다. 본 논문은 예술발달에서의 영성과 영적 예술표현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자아초월심리학의 Ken Wilber의 통합예술 발달이론과 전통적인 예술표현과 미적 발달이론을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예술에서의 영성의 위치를 살펴보고 Wilber의 통합예술 발달이론의 이론 정립 가능성과 예술치료에서의 영성 예술의 의미를 모색하였다. 자아초월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전통적인 예술 표현발달과 미적 발달이론을 Wilber의 통합예술 발달 이론과 비교 살펴본 결과, 전통적인 예술 표현발달과 미적 발달이론들은 예술에서의 영성의 발달 범위를 포괄하지 않으며 영성 예술에 대한 관점의 한계점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Wilber의 통합예술 발달이론은 예술에서의 전인적 발달 범위를 보이며, 수직과 수평적 수준의 통합적인 관점을 갖고 있으며, 영적이며 초월적인 영적 예술 발달에 대한 이해를 돕고, 예술의 창의성을 넘어 참된 영성 예술에 대해 말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Wilber의 예술발달은 예술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와 가치를 재확인하게 하며 진정한 예술의 방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또한 주류 심리학에서 예술표현과 미적 발달이론이 충분히 포함하지 못한 영성적인 인간의 전인적인 예술표현의 발달을 이해하게 한다. 더불어 초월적인 영성 예술의 이해를 돕는 예술 발달 모델로서의 정립 가능성을 볼 수 있어서 예술의 이해를 넓히게 하는 문화 예술 교육과 예술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pirituality has been alienated from art, psychology, therapy, and religions since modern times; however, recently, spirituality has begun to gain attention again as meditation has been integrated into psychology as a new paradigm. As art expressive therapy programs combined with meditation and transcendent access to art therapy are increasing, a new view of spirituality and its expression in art development is needed. In order to discuss spirituality and spiritual art expression in art development, this paper compares Ken Wilber’s theory of integral art development with those of traditional artistic and aesthetic development in transpersonal psychology. Through this comparison, this paper examines the position of spirituality in art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Wilber’s theory of integral art development and the meaning of spiritual art. From a transpersonal psychology perspective, a comparison of traditional artistic and aesthetic development theories with Wilber s integral art development theory reveals that traditional artistic and aesthetic developmental theories do not fully cover the scope of spiritual development in art. In contrast, Wilber s theory of integral art development has a vertical and horizontal perspective, helps understand spiritual art development as moving toward spiritual art of a non-dual high level, and speaks of true spiritual art beyond art creativity. Wilber’s theory of integral art development reaffirms the essential understanding and value of art and suggests a true direction for art. It also makes us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the spiritually whole human in spiritual art expressions that do not fully include artistic and aesthetic developmental theories in mainstream psycholog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and art expressive therapy that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art by seeing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it as an art developmental model that helps to understand transcendent spiritual art.

      • KCI등재

        진화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예술에 관한 연구

        김영미,박일호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4

        Even though the art of pluralism, which is the main theory of art of the present day, has a positive aspect to provide the diversity of the arts, it poses a risk to advocate cultural relativism and confuse the realm of art. Extreme cultural relativism denies psychological aspects of individuals toward art and urges the artistic value of a certain type of art originates from the specific culture that it belongs to. It also claims that the art is only a product of the culture. The dogma of cultural relativism brings about cultural determinism to define art, ignoring mental experience of art. On the other hand, the universality of art should be re-speculated if artistic nature is considered to be inherited to every human being as a basic instinct. From the view point of the universality of art, it is suggested that there must be a universal and fundamental principle, transcending time and space, under all kinds of artistic activities from any kinds of cultural back grounds. Evolutionary psychology, which has been successfully explaining how human mind works by combining Darwinism and recent developments of biology and informational technology, proposes that human mind has innately designed mental functions to perform and enjoy art, namely "art instinct". It is believed that art becomes esthetically activated when the art instinct of human beings interacts with social activities. However, if the values of social aspects are over-emphasized, as in the modern contemporary art where social or financial power predominates, art instinct of each individual would have scarce chances to activate. It should be noted that depriving external stimuli for art instinct from human beings may shut down the innate mental function for art permanently. Thus, investigating "art instinct"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would comprehend not only biological human innate for art but also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stimulating the innate. It could be a new model for art analysis, the integrated casual model, which would be an excellent analyzing tool to rejuvenate the generality of art.. 오늘날 지배적인 예술 이론인 예술의 다원화는 예술의 다양성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면이 있지만, 예술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문화적 상대주의라는 문제점에 봉착할 수 있다. 극단적인 문화적 상대주의는 예술에 대한 개인의 심리적 분석을 거부하면서, 예술적 미적 가치는 그 예술이 속한 문화에서 비롯되며, 예술은 순수한 문화적 생산물이라고 주장하게 된다. 이러한 주장은 예술 정의에 있어서 문화결정주의라는 결과를 야기 시키며 인간의 심적 예술경험을 소외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하지만, 인간의 언어사용과 같이 예술도 모든 인간이 영위해야 할 기본적인 본능과 연관되어 있다면, 예술의 보편성을 다시 재고되어야 할 문제이다. 예술의 보편성은 외적인 모습이 문화에 따라 다르게 표현된다고 할지라도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원리가 근저에 있으며 그것은 인간의 마음에 내재되어 있을 것이므로 그 마음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진화심리학은 예술 본능이 인간의 마음의 설계 과정에서 본유적으로 설계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예술은 인간의 본성과 사회적인 것과의 조화를 통해서만 미적인 상호작용이 활성화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인간의 예술 본능은 간혹, 사회적인 가치에만 중점을 둘 경우에는 인간 본성과의 상호작용은 불가능해 지며, 인간이 자연적으로 가지고 있는 예술에 대한 속성들이 발현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그것은 외부적인 자극이 전혀 없을 때 그 속성들은 영원히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진화심리학을 통한 인간의 예술 본능에 대한 분석은 생물학적인 인간의 본성과 그 본성의 발현을 위한 사회적 문화적 자극 환경을 모두 포괄하는 새로운 예술 분석의 통합인과모델이며, 이 이론을 예술의 보편성 회복을 위해서 분석의 틀로 사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민화의 상징적 의미와 예술치료적 가치 탐색 연구

        신미경,오승진,이난경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4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민화의 상징적 의미를 알아보고 예술치료적 가치 탐색을 연구한 논문으로 민화가 가지는 상징의미가 오늘날 예술치료현장에서 가치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국내외에 전문서적과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는 민화가 민중 사이에 성행하고 자료가 풍부한 조선시대의 민화를 중심으로 하였다. 조선시대 회화 중 일반 서민의 그림이라 불리는 민화는 인간이 추구하는 보편적, 근원적인 욕구가 상징화되어 있는 대표적인 회화이다. 민화는 생활 주변의 모든 대상들, 즉 현실 뿐 만 아니라 상상의 내용, 전설과 설화 등 다양한 소재들이 그려졌다. 민화가 담고 있는 의미를 보면, 장수(長壽)ㆍ부귀(富貴)ㆍ다남(多男)ㆍ성애(性愛) 등을 바라는 인간의 근원적 소망을 상징으로 표현하여 민중의 삶에 위로와 기쁨을 주었다. 또한 민화에 등장하는 다양한 소재는 인간이 공유하는 보편적 정신으로, 상징들이며 집단무의식의 내용인 원형을 이해하는 것으로 통합된 자기(self)를 발견하게 해준다. 민화의 상징들은 집단무의식의 원형을 형상화하고 있으며 그 내용이 보편성을 띠고 있으므로 모든 인간 심리에 숨겨있는 감정을 고양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징들은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보편적 정서를 반영한 것으로 예술치료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ymbolic meaning of folk painting from analytic psychological point of view and researches on the search for art therapeutic value, and aims to see if the symbolic meaning of folk painting is still meaningful today's art therapeutic sector. The method of study is focused on the domestic and foreign specialized books and relevant theses and the scope of study is focused on the folk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when the folk painting was popular among people and of which the data is abundant. Folk painting which is called as the painting of ordinary person among the paintings of Joseon Dynasty period is a representative painting that symbolizes universal and primal desires pursued by human. The folk painting deals with all life objects including legends and tale which are contents of imagination as well as reality. The folk painting comforted and pleased the people's lives by expressing root desires of human for longevity, wealth, fecundity of men, and sexual love with symbols with the meanings contained in the folk paintings. Also, the various materials appeared in the folk painting are universal spirits and symbols shared by human, and they help us discover unified self by understanding the original form, the contents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e symbols of folk painting embody the original form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as the contents are charged with universality, they have the power to boost the emotion that hides in the human psychology. Therefore, such symbols reflect universal emotion for happy life of Korean people and it means that they have artistic art therapeutic value.

      • KCI등재

        회화와 문학의 비교매체론 : 일제강점기 조선근대회화와 조선근대문학을 중심으로

        김미영(Kim Mee-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8

        이 논문은 한국근대미술과 한국근대문학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의 부분 연구로서, 일차적인 목적은 색과 형을 매개체로 한 조형예술과 언어를 매개체로 한 문학의 본질적 고유성을 탐구하는 데 있다. 애국 계몽기로부터 한일합방 무렵에 도입된 서양화와 근대적 문학양식은 한국근대 회화와 문학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조선의 회화도, 문학도 1920년대까지는 서구적 양식의 수용과 모방의 단계에 있었다면, 1920년대 후반이나 1930년대에는 문학은 국한문체의 극복과 계몽주의에서의 탈피가 가능해지고, 회화에서는 ‘조선적인 것’, ‘향토색’의 추구를 골자로 한 조선신미술론이 등장하는 등, 창작상에서도 서양화의 한국적 수용이 어느 정도 가능해진다. 하지만 만주사변 이후 1930년대 말에 이르면 문학은 일제의 조선어탄압과 맞물려 국민문학의 형태로 왜곡의 시기를 겪는 반면, 회화를 비롯한 조형예술계는 조선총독부의 배려(?) 아래, 조선적 미학을 간취한 성과물들로 상대적으로 풍성한 성취들을 내어 놓게 된다. 일제는 조선미술전람회를 필두로 다양한 방식으로 조선근대미술을 장려한 반면, 조선어를 매개로한 조선신문학에 대해서는 매우 강압적인 조치를 취하였다. 이런 현상은 왜 일어났을까? 이 글은 이에 관한 답변을 예술의 매체가 갖는 본질적인 속성에서 찾는다. 언어가 가지는 시간성의 문제와 비물질성, 회화나 조각 등 조형예술이 갖는 공간성과 물질성의 측면이 갖는 본질적 고유성을 빙켈만과 레싱의 논쟁을 통해 살펴보고, 색(형)을 매개로 한 회화와 언어를 매개로 한 문학의 본질적 차이를 수용자의 입장에서, 다시 말해 인지심리학적 측면에서도 비교ㆍ고찰해 보았다. 인지심리학에 따르면, 언어에 의한 절차적, 시간적 스키마(스크립트)를 갖는 문학의 내러티브는 공간적 스키마에 의한 회화가 수용자에게 불러일으키는 immersion의 단계에 비해 한층 더 고차적인 단계, 즉, 수용주체가 가지고 있던 기존의 스키마나 스크립트와 충돌을 일으켜 수용주체의 내면에서 스키마들의 재배열을 요청하는 engagement의 단계에 이르게 될 개연성이 높다. 따라서 언어예술인 문학은 조형예술인 회화에 비해 수용주체의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개입을 더욱더 요구하며, 주체의 내적 변화를 유도할 개연성이 그만큼 크다. 인지심리학적 모델에 따라 수용자의 측면에서 문학과 회화를 비교해 보면, 일제가 대동아공영권을 논리로 조선어를 말살함으로써 언어예술인 문학을 통제하고자 한 것은 제국의 꿈을 실현하는데 매우 유효한 조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제의 조선어 탄압에 대해 임화가 국어로서 제국어를 인정하면서도 문학창작어로서 조선어의 존재를 용인해야 한다는 입장에 선 것은 그가 국가(nation)의 실종 국면에서 민족의 실체인 언어를 문화(문학)를 통해 수호하고자 한, 일종의 “동화하면서 저항하기”의 전략적 선택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Essay is composed a part of studies on interactional approaches between Korean modern formative arts & literature. The aims of this essay are revealed what make different effects fine arts with literatures and why Japanese colonialists had permitted Korean Modern arts but they didn't permit korean literatures in the late periods of Japanese colonialists ruled Korean Peninsula. This essay insists those problems are depends on the media. Colors and shapes are media of formative arts. Langage is the media of literature. Colors and shapes are the factors of universality nevertheless ethnics & times. But products of the formative arts paintings are very specific. The other hand, Langage is the essence of the ethnical culture and literature pursuits the speciality represent universality. And Langage depends on time, But color & shape depends on space. Some of scholars(ex, Schank) in cognitive psychology assumed time schema on text is more efficient to reassign his(her) established schema and to make regenerated schema not copy than space schema on text in reader's mind. The enjoyment of arts products is constructed two different steps. First step is immersion, second is engagement called by Douglas & Hargadon. Engagement has more needs as the active & subjective participation by text reader. time schema has more procedural and cause and effect. Because langage is based on time, literature is based on langage. That's why Japanese colonialists had want to control Korean literature more than Korean fine arts in the late of the periods Japanese colonialists ruled Korean Peninsula.

      • KCI등재후보

        긍정심리학에 기초한 집단예술치료와 집단상담치료 비교연구 -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서를 중심으로 -

        이아영,오미영 한국예술치료학회 2016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생에게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집단예술치료와 집단상담치료를 실시하고 자아존중감, 학교생 활적응, 긍정심리 및 정서를 중심으로 그 효과에 대해 비교 연구 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 3학년, 3학급을 무작위 선정하여 a 학급 23명 실험집단, 동질 집단인 b학급 24명 비교집단, c학급 22명을 대조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은 주2회 60분씩 12회기의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비교집단은 주2회 60분씩 총12회기의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집단상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대조집단은 무처치 하였다. 척도로는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긍정적 부정적 정서측정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이 대조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과 하위요인인 총체적 자아존중감을 유의하게 향상시켰고 실험, 비교 집단이 대조집단에 비해 학교생활적응과 하위요인인 환경적응과 열정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특히 실험집단은 비교, 대조집단보다 긍정정서의 하위요인인 기쁨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집단예술치료가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긍정적인 정서·행동의 발달 및 유지를 위한 프로그램으로써 향후 학교에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s therapy and group counseling therapy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the self- esteem, school adjustment and emotion of third-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group integrative arts therapy and group counseling therapy. The subjects were the students in three third-grade classes that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I.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group arts therapy program and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a group counseling program in 12 sessions, twice a week, 60 minutes each. The instruments were a self-esteem scale, a school adjustment scale and Affect Survey scale, which were all subjective sca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group arts therapy was found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when the three groups were compared and the group arts therapy was found to significantly boost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eacher adjustment and friend adjustment among the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 and joy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is therapy could be one of useful programs to bolster the school adjustment, positive affects and positive emotion, decrease negative emotion of third-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o facilitate their school life.

      • 임상미술치료의 기초학문으로서 예술심리학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전망

        이모영 ( Mo Young Lee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3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예술심리학이 미술의 치유적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적 틀의 정립에 얼마나 유익한 통찰을 제공해 줄 수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예술심리학의 주요 이론과 연구문제를 살펴보고, 이 이론들이 미술치료 이론의 발전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과 한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기존의 예술심리학 이론들은 미술의 치유적 효과에 대한 이론적 논거에 실제적 기초를 제공하는데 한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시각적 사고에 대한 예술심리학적 논의에 의하면 이미지, 즉 그림은 언어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마음의 측면에 접근할수 있도록 하고, 주의를 집중할 수 있는 감각적 닺을 제공하여, 문제를 더욱 다양하고 깊이있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정서적분위기를 고취하여 자기관여를 증가시켜, 더욱 자신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돕는다. 그리고 이미지는 자유롭게 사고하고 상상하도록 하여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하도록 함으로서 자신의 문제에 대한 통찰을 경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미술의 치유적효과에 대한 예술심리학적 논의는 그동안 미술치료의 연구에서 등한시되어 온 미술치료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논거에 실제적기초를 제공해 줌으로써 미술이 지니고 있는 power에 의한 미술치료 이론을 세우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또한 다른 유형의 심리치료들과의 차별성을 드러내도록 함으로써 미술치료의 학문적 정체성을 강화하는데도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임상미술치료학연구 2013;8(2):27-37) This study intended to have a theoretical review on how useful insight the psychology of art can provid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explaining the healing effect of art. For this, the study primarily examined the major theories and research issues of the art psychology and analyzed roles such theories play for the advancement of art therapy theory, particularly their potentials and lim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rt therapy theories in the past had limits in providing the realistic basis for the theoretical grounds for argument for the healing effect of art. Second, the image, the picture, lets viewers approach the aspect of the mind that cannot be reached linguistically, provides them with the sensible anchor to concentrate the mind to handle issues more variously and in depth, and arouses emotional mood and increases self-involvement to pay more attention to their own issues according to the art-psychology discussion on visual thinking. Furthermore, the image lets viewers think and imagine freely to explore various possibilities and experience the insight about their own issues. Such art-psychology discussions on the healing effect of art provides the realistic basis for the theoretical grounds of argument about the effect of art therapy that has been neglected in the study of art therapy and is expected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art therapy theory based on the power of art.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intensifying the academic identity of art therapy through the differences from other types of psychological therapies.

      • KCI등재

        니체사상과 오토 랑크의 심리학 -랑크의 니체수용을 중심으로-

        김정현 한국니체학회 2009 니체연구 Vol.16 No.-

        In der Philosophie handelt es sich heutzutage bei der Konzeptualisierung des Unbewussten um eine Verbindung zwischen der Anthropologischen Philosophie und der Metapsychologie der Psychoanalyse, so geht es bei Offenbarung der Lebenskunst um einen Brückenschlag zwischen Praktischer Philosophie und psychodynamisch orientierter Therapie. Auf diesen wissenschaftlichen Tendenzen bewegen sich auch die Psychologie und Willenstherapie Otto Ranks. Unter dem Einfluß von Schopenhauer, Nietzsche und Freud etabliert Rank sowohl die Ichpsychologie und die Persönlichkeitspsychologie als auch die Willenstherapie. In diesem Aufsatz zeige ich zunächst, wie sich der Gedanke Ranks besonders unter dem Einfluß von Nietzsche zu ‘Psychologie des Künstlers’, ‘Psychologie von Geburt, Tod und Angst’, ‘Psychologie des schöpferischen Willens’ und 'Psychologie des Schaffensdrangs’ entwickelt. Im Fortgang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ie theoretische Grundlage und die philosophische Implikation seiner Willenspsychologie behandelt. Rank setzt Nietzsches Existenzästhetik als die schöpferische Selbstgestaltbarkei des Menschen in die Form der Psychoanalyse um. Er bildet damit die theoretische Grundlage seiner Willenstherapie heraus. Rank öffnet den Blick dafür, dass Kreativität zu den grundlegenden Möglichkeiten des Menschen gehört, die ihn dazu befähigen, einen Weg aus der Neurose und psychischer Krankheit zu finden. Seine Psychotherapie, die sich um die Reaktivierung des verdrängten, gebrochenen und geschwächten Wollens des Menschen herauskristallisiert, impliziert den Charakter der Praktischen Philosophie. 현대에서 무의식을 개념화하며 인간학적 철학과 정신분석의 메타심리학 사 이를 연결하는 문제가, 그리고 삶의 기술(Lebenskunst)에서 실천철학과 심 리역동에 기반한 치료를 가교하는 문제가 중요한 철학적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자아의 발달과 삶의 조형과정에서 창조성을 강조하는 랑크의 심리 학과 의지치료이다. 그는 쇼펜하우어, 니체, 프로이트의 영향을 받으며 자아심리학, 인성심리학 뿐만 아니라 의지치료를 새롭게 주창한다. 이 논문은 니체를 중심으로 랑크의 사상이 형성되는 과정을 ‘예술가의 심리학’, ‘탄생과 죽음, 불안의 심리학’, ‘창조 적 의지의 심리학’, ‘창조욕의 심리학’으로 구분하며 추적했고, 그의 의지치료의 심리학에 담긴 철학적 이론적 기반과 그 함의를 살펴보았다. 그는 창조적 자기조형성이라는 니체의 실존미학을 정신분석에 응용하고 이 를 다시 자신의 치료영역에 적용함으로써 예술적 치유나 의지치료의 이론적 기반을 만들었다. 그는 예술적 창조성에 대해 평생 관심을 가지고 이를 신경증 치료에 적용했고 창조적이고 생산적 인성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추구했다. 이러 한 그의 작업은 심리치료일 뿐만 아니라 억압된 의지와 삶의 의욕을 활성화하는 치료적 철학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 심리학의 영역에서 바라본 문화적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모영 한국문화교육학회 200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3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cultural competencies from psychological perspectives and to indentify psychological factors of cultural competencies. To achieve these aims, this study used following procedures. The study narrowly defined the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e as a specific system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to create, appreciate, and enjoy arts and culture. Then the study explored presumably related factors such as motivational factors, factors from personality-traits, cognitive factors and psycho-social factors. The study compared these psychological factors of cultural competencies with the ones described in existing studies like the BKJ Project on the key competencies classification. Consequently, many elements were found similar to the ones of existing studiesbut several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Such differences are considered to be based on the gap between the concept of culture and that of cultural competencies. Therefore, the 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ies need to be discussed in consideration of the broad spectrum between culture and cultural competencies. In this regard, 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jects would provide deeper insight into cultural competencies by offering descriptions about culture and cultural competencies from the diverse viewpoints of various domains and analyses of key competencies of cultural competencie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본 논문은 문화적 역량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해보고 문화적 역량의 심리학적 구성요소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적 역량의 개념을 문화와 예술을 창조하고, 감상하고, 향유하는 데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의 전문화된 체계로 규정하고, 문화적 역량과 관련된 것으로 가정되는 동기적 차원, 성격특성적 차원, 인지적 차원 그리고 심리사회적 차원들을 분석하여, 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문화적 역량의 심리학적 구성요소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렇게 분석된 문화적 역량의 심리학적 구성요소들을 BKJ 프로젝트 핵심역량 분류와 같은 기존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많은 부분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유사한 구성요소들이 추출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서로 다른 차이점들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차이점들은 문화와 문화적 역량의 개념에 의한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에 대한 논의는 문화와 문화적 역량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다양한 영역에서 문화와 문화적 역량을 기술하고 이를 근거로 문화적 역량의 핵심역량을 분석하는 학제적인 연구 프로젝트는 문화적 역량에 대한 유익한 통찰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개대된다.

      • KCI등재

        20세기 춤의 현대화 과정에 나타난 심리표현의 특성 - 예술심리학의 논의와 비교를 중심으로 -

        나일화 ( Na Ilhwa ),김말복 ( Malborg Kim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4 무용예술학연구 Vol.4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temporary discussions over psychology of art comparativel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expressions shown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the 20th century dance. The modernization of the 20th century dance shares modernism’s ‘existing system and criticism over tradition’ and ‘subjective experience and individualistic’ characteristics. Also, regarding the psychological expressions of modern dance and modern ballet, major discussion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experimental psychology, psychoanalysis, and Gestalt psychology show that the modernization of dance gave and received influence with the ideology of the time. There has been no research so far that deals with psychological expressions shown in the 20th century modern dance in relation with psychology of art of that tim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discovered the contact point that art of dance exchanges with the ideology of the time beyond a certain choreographer’s expressive method or a microscopic view to a dance work and also suggested a macroscopic point of view that can figure out the position of dance among the aesthetic flows of the other ar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